KR102080325B1 -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325B1
KR102080325B1 KR1020190091247A KR20190091247A KR102080325B1 KR 102080325 B1 KR102080325 B1 KR 102080325B1 KR 1020190091247 A KR1020190091247 A KR 1020190091247A KR 20190091247 A KR20190091247 A KR 20190091247A KR 102080325 B1 KR102080325 B1 KR 102080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ront wall
folding
left wall
righ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락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피 filed Critical (주)케이엠피
Priority to KR1020190091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497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whereby at least one side wall is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36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to the pallet
    • B65D2519/00641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 B65D2519/00646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by mean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각형 형상의 바닥플레이트의 각 모서리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뒷벽, 우벽, 좌벽 및 앞벽을 포함하는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뒷벽, 상기 우벽, 상기 좌벽 및 상기 앞벽이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수직을 이루도록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내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된 상태의 접이식 상자를 접는 방법은, 상기 앞벽이 외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내부 공간이 오픈되는 앞벽 개방 단계; 상기 우벽과 상기 좌벽이 임의의 순서에 따라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평행하게 폴딩되는 우벽 폴딩 단계 및 좌벽 폴딩 단계; 상기 뒷벽이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내부 공간으로 폴딩되는 뒷벽 폴딩 단계; 및 외측으로 회동되어 있던 상기 앞벽이 내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폴딩되는 앞벽 폴딩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뒷벽 폴딩 단계와 상기 앞벽 폴딩 단계는 임의의 순서로 폴딩 가능한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PROCESSING METHOD OF FOLDING TYPE BOX}
본 발명은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사출물 상자는 농수산물이나 각종 공산품을 담아 운송,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이러한 농산물이나 각종 공산품을 담은 상자의 운반은 주로 지게차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자를 이용한 후, 빈 상자의 운송 및 보관을 위해서는 빈 상자를 복층으로 적층하여 지게차를 이용하여 이송시켜야 하는데, 빈 상자를 별도의 지지수단 없이 적층하는 것은 안정적이지 못하며, 상자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보관 장소에서 상자가 차지하는 부피가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시에만 원하는 형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보관시에는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상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자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자 내부에 적층되어 있는 물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9031호(2010.06.03.)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접힘이 가능하여 사용 여부에 따라 부피를 줄여서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일 면이 개방 가능하도록 하여 상자 내부에 수용된 물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각형 형상의 바닥플레이트의 각 모서리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뒷벽, 우벽, 좌벽 및 앞벽을 포함하는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뒷벽, 상기 우벽, 상기 좌벽 및 상기 앞벽이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수직을 이루도록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내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된 상태의 접이식 상자를 접는 방법은, 상기 앞벽이 외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내부 공간이 오픈되는 앞벽 개방 단계; 상기 우벽과 상기 좌벽이 임의의 순서에 따라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평행하게 폴딩되는 우벽 폴딩 단계 및 좌벽 폴딩 단계; 상기 뒷벽이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내부 공간으로 폴딩되는 뒷벽 폴딩 단계; 및 외측으로 회동되어 있던 상기 앞벽이 내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폴딩되는 앞벽 폴딩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뒷벽 폴딩 단계와 상기 앞벽 폴딩 단계는 임의의 순서로 폴딩 가능한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상자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펼치는 방법은, 상기 앞벽이 내부공간 외측으로 회동되어 내부공간을 오픈하는 앞벽 개방 단계; 상기 뒷벽이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수직이 되도록 외측으로 회동되는 뒷벽 오픈 단계; 상기 우벽과 상기 좌벽이 폴딩된 임의의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수직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우벽의 일 측 및 상기 좌벽의 일 측이 상기 뒷벽과 접촉되는 우벽 오픈 단계 및 좌벽 오픈 단계; 및 상기 앞벽이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수직이 되도록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 각각의 타 측에 접촉되는 앞벽 오픈 단계;를 포함하는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앞벽이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과 각각 고정되도록, 상기 앞벽의 양 측에 설치되고,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 각각이 상기 뒷벽과 고정되도록,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의 일 측에 설치되는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뒷벽,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은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벽을 고정시키는 체결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뒷벽에는,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과 각각 접촉되는 양 측에 상기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에는, 각각이 상기 앞벽과 접촉되는 타 측에 상기 체결홈이 형성되는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 각각의 일 측에 설치된 상기 고정부 각각이 상기 뒷벽의 양 측에 형성된 상기 체결홈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뒷벽과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이 고정되고, 상기 앞벽의 양 측에 설치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 각각의 타 측에 형성된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앞벽이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과 고정되는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앞벽은,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 내측 및 상기 내부공간 외측으로 회동이 가능한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뒷벽,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은,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수직하기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 내측으로 회동이 가능한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접힘이 가능하여 사용 여부에 따라 부피를 줄여서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일 면이 개방 가능하도록 하여 상자 내부에 수용된 물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가 개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병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가 접힌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도 10에 따른 부분 A를 확대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도 10에 따른 부분 B를 확대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를 접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를 펼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1)가 개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병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1)가 접힌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접이식 상자(1)는 바닥플레이트(10), 벽부(20) 및 고정부(30)를 포함한다.
바닥플레이트(10)는 접이식 상자(1)의 바닥면을 이룰 수 있다. 바닥플레이트(10)의 각 모서리에는 벽부(2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닥플레이트(1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모서리 부분에 벽부(20)가 연결될 수 있다. 바닥플레이트(10)는 각 모서리에는 연결부(11, 12, 13, 14)가 형성되어, 연결부(11, 12, 13, 14)를 통해 바닥플레이트(10)의 각 모서리에 벽부(20)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1, 12, 13, 14)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플레이트(10)의 모서리 개수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11, 12, 13, 14)는 바닥플레이트(1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1, 12, 13, 14)는 바닥플레이트(10)의 각 모서리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11, 12, 13, 14)는 바닥플레이트(10)의 각 모서리에서 바닥플레이트(10)와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1, 12, 13, 14)는 제1 연결부(11), 제2 연결부(12), 제3 연결부(13), 제4 연결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1), 제2 연결부(12), 제3 연결부(13) 및 제4 연결부(14)는 바닥플레이트(10)의 각 모서리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며, 서로 높이가 상이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연결부(13), 제2 연결부(12), 제1 연결부(11), 제4 연결부(14) 순서대로 높이게 높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벽부(20)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벽부(20)가 접이식 상자(1) 내측으로 접히는 순서에 따라 연결부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벽부(20)가 접히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 3 내지 도 6 및 도 17 및 도 18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각 연결부(11, 12, 13, 14)에는 각 벽부(20)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각 벽부(20)와 핀(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벽부(20)가 각 연결부(11, 12, 13, 14)에서 회동 가능하다.
벽부(20)는 바닥플레이트(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벽부(20)는 바닥플레이트(10)의 각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벽부(20)가 바닥플레이트(10)와 수직을 이루도록 각 연결부(11, 12, 13, 14)에 연결될 때, 각 벽부(20)의 양 측 단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벽부(20)는 뒷벽(21), 우벽(22), 좌벽(23) 및 앞벽(24)을 포함할 수 있다. 뒷벽(21)은 제1 연결부(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우벽(22)은 제2 연결부(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좌벽(23)은 제3 연결부(1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앞벽(24)은 제4 연결부(1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뒷벽(21) 내지 앞벽(24)이 바닥플레이트(10)에 연결됨으로써,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상자 형태가 완성될 수 있다. 즉, 바닥플레이트(10)가 상자의 바닥면을 이루고, 뒷벽(21) 내지 앞벽(24)이 상자의 측면을 이룰 수 있다.
각 벽부(20)는 체결홈(211, 221, 231)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홈에 인접한 벽부(20)에 설치된 고정부(30)의 일부가 삽입되어, 인접한 벽부(20) 간에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뒷벽(21)은 제1 연결부(1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뒷벽(21)은 제1 걸림부(210) 및 제1 체결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부(210)는 뒷벽(21)의 양 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210)는 뒷벽(21)의 양 측 단부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제1 걸림부(210)는 뒷벽(21)의 단부에서 단차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뒷벽(21)의 일 측에서 돌출되는 제1 걸림부(210)는 제2 연결부(12) 측으로 돌출되고, 뒷벽(21)의 타 측에서 돌출되는 제1 걸림부(210)는 제3 연결부(13)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일 측과 타 측 각각은 각 벽부(20)의 좌측과 우측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뒷벽(21)과 우벽(22) 및 좌벽(23)이 연결될 때, 제1 걸림부(210)가 우벽(22) 및 좌벽(23)과 접촉되어, 우벽(22) 및 좌벽(23)이 상자 내부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체결홈(211)은 뒷벽(21)의 양 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홈(211)은 뒷벽(21)의 양 측 단부에서 제1 걸림부(210) 내측에 형성되는 홈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홈(211)은 우벽(22) 및 좌벽(23)에 설치되는 고정부(30)와 동일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홈(211)에 우벽(22) 및 좌벽(23)에 설치된 고정부(30)가 삽입됨으로써, 뒷벽(21)과 우벽(22) 및 좌벽(23)이 고정될 수 있다.
우벽(22)은 제2 연결부(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우벽(22)은 제2 걸림부(220), 제2 체결홈(221), 제2 가이드부(222) 및 제2 스토퍼(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걸림부(220)는 우벽(22)의 일 측 단부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즉, 제2 걸림부(220)는 우벽(22)의 일 측 단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220)는 제1 걸림부(210)와 접촉되어 체결될 수 있다. 제2 걸림부(220)와 제1 걸림부(210)가 서로 맞춰지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우벽(22)이 상자 내부공간의 외측으로 회동되지 않고, 뒷벽(21)과 우벽(22)이 수직을 이루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체결홈(221)은 우벽(22)의 타측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홈(221)은 앞벽(24)에 설치되는 고정부(30)와 동일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우벽(22)과 앞벽(24)이 수직으로 맞닿았을 때, 앞벽(24)에 설치된 고정부(30)가 제2 체결홈(221)에 설치되어, 제2 체결홈(221)과 제4 체결홈(241)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22) 및 제2 스토퍼(223)는 우벽(22)에 설치되는 고정부(30)를 가이드 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2 가이드부(222) 및 제2 스토퍼(223)는 후술할 제4 가이드부(242) 및 제4 스토퍼(243)와 동일한 형상, 구조 및 기능을 수행하므로, 도 7 및 도 8에서 제4 가이드부(242) 및 제4 스토퍼(243)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고 생략하도록 한다.
좌벽(23)은 제3 연결부(1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좌벽(23)은 제3 걸림부(230), 제3 체결홈(231), 제3 가이드부(232) 및 제3 스토퍼(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걸림부(230)는 좌벽(23)의 타 측 단부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즉, 제3 걸림부(230)는 좌벽(23)의 일 측 단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걸림부(230)는 제1 걸림부(210)와 접촉되어 체결될 수 있다. 제3 걸림부(230)와 제1 걸림부(210)가 서로 끼워 맞춰지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좌벽(23)이 상자 내부공간의 외측으로 회동되지 않고, 뒷벽(21)과 좌벽(23)이 수직을 이루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3 체결홈(231)은 우벽(22)의 타측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 체결홈(231)은 앞벽(24)에 설치되는 고정부(30)와 동일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우벽(22)과 앞벽(24)이 수직으로 맞닿았을 때, 앞벽(24)에 설치된 고정부(30)가 제3 체결홈(231)에 설치되어, 제3 체결홈(231)과 제4 체결홈(241)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제3 가이드부(232) 및 제3 스토퍼(233)는 좌벽(23)에 설치되는 고정부(30)를 가이드 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3 가이드부(232) 및 제3 스토퍼(233)는 후술할 제4 가이드부(242) 및 제4 스토퍼(243)와 동일한 형상, 구조 및 기능을 수행하므로, 도 7 및 도 8에서 제4 가이드부(242) 및 제4 스토퍼(243)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고 생략하도록 한다.
앞벽(24)은 제4 연결부(1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4 벽부(20)의 양 측은 우벽(22) 및 좌벽(23)과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앞벽(24)의 일 측은 우벽(22)의 타 측과 연결되고, 앞벽(24)의 타 측은 좌벽(23)의 일 측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앞벽(24)은 제4 가이드부(242) 및 제4 스토퍼(2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부(30)는 적어도 2개의 벽부(20) 외측면에 설치되어 인접한 벽부(20)들이 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30)는 우벽(22) 및 좌벽(23)의 일 측에 각각 설치되어, 우벽(22)이 뒷벽(21)과 고정되도록 하고, 좌벽(23)이 뒷벽(21)과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고정부(30)에 의해 우벽(22)과 뒷벽(21)이 중첩된 상태로 고정되고, 좌벽(23)과 뒷벽(21)이 중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가 앞벽(24)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30)에 의해, 앞벽(24)의 일 측은 우벽(22)의 타 측과 중첩된 상태로 고정되고, 앞벽(24)의 타 측은 좌벽(23)의 일 측과 중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접이식 상자(1)가 접히는 과정에서 각 구성들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뒷벽(21) 내지 앞벽(24)은 각각 제1 연결부(11) 내지 제4 연결부(14)에 연결되어 바닥플레이트(1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은 내부공간에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뒷벽(21) 내지 앞벽(24)이 서로 체결 고정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뒷벽(21)의 양 측 단부에 형성된 제1 체결홈(211)에 우벽(22)에 설치된 고정부(30)와 좌벽(23)에 설치된 고정부(3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우벽(22)의 일 측에 설치된 고정부(30)는 뒷벽(21)의 타 측에 형성된 제1 체결홈(211)에 삽입되고, 좌벽(23)의 타 측에 설치된 고정부(30)는 우벽(22)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체결홈(211)에 삽입되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벽(24)이 외측으로 회동하여, 내부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앞벽(24)에 설치된 고정부(30)가 우벽(22) 및 좌벽(23)에 형성된 제2 체결홈(221) 및 제3 체결홈(231)에서 이탈되어, 앞벽(24)과 우벽(22) 및 좌벽(23)의 고정력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제4 연결부(14)에 연결된 앞벽(24)이 외측으로 회동하여 내부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내부공간의 물건을 확인하거나 꺼내기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내부공간으로 물건을 인입시키도 용이하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내부공간에 물건이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이식 상자(1)를 접어서 부피를 줄임으로써, 접이식 상자(1)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벽(24)이 외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좌벽(23)을 내부공간 내측으로 회동시켜서, 좌벽(23)과 바닥플레이트(10)가 수평이되도록 좌벽(23)을 접을 수 있다. 이때, 좌벽(23)에 설치된 고정부(30)는 제1 체결홈(211)에서 이탈된 상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벽(23)이 접힌 상태에서, 우벽(22)을 내측으로 바닥플레이트(10)와 수평이되도록 좌벽(23)의 상측까지 접을 수 있다. 이때, 우벽(22)에 설치된 고정부(30)는 제1 체결홈(211)에서 이탈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벽(21)을 내부공간 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그 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벽(24)을 뒷벽(21) 상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좌벽(23), 우벽(22), 뒷벽(21), 앞벽(24)이 순차적으로 내측으로 접힘으로써, 접이식 상자(1)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접이식 상자(1)의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좌벽(23), 우벽(22), 뒷벽(21) 및 앞벽(24)이 순차적으로 내측으로 접히기 위해서, 제3 연결부(13)가 가장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제2 연결부(12)는 적어도 좌벽(23)이 접힌 상태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고, 그 다음으로 뒷벽(21)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11)는 우벽(22)이 접혀진 상태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고, 마지막으로 앞벽(24)이 연결되는 제4 연결부(14)는 뒷벽(21)이 접혀진 상태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의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부(30)는 뒷벽(21), 우벽(22), 좌벽(23), 앞벽(24) 중 어느 벽부(20)에 설치되어, 고정부(30)가 설치된 벽부(20)과 인접한 벽부(20)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인접한 두 개의 벽부(20)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30)는 우벽(22), 좌벽(23) 및 앞벽(24)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30)는 고정막대부(31), 파지부(32) 및 날개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막대부(31)는 벽부(20)의 체결홈(미도시)을 관통하며 설치될 수 있다. 고정막대부(31)는 설치된 벽부(20)의 외측면 상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고정막대부(31)의 단부는 설치된 벽부(20)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인접한 벽부(20)의 체결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막대부(31)의 단부는 체결홈에 삽입되는 삽입부(311)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막대부(31)의 삽입부(311)가 체결홈에 삽입되어 인접한 벽부(20)들이 고정될 수 있고, 삽입부(311)가 체결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인접한 벽부(20)들의 고정력이 해제될 수 있다.
파지부(32)는 고정막대부(31)에서 삽입부(311)의 반대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파지부(32)를 통해 사용자가 고정막대부(31)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파지부(32)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고정막대부(31)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을 참조하면, 뒷벽(21)에 설치된 파지부(32)는 단턱부(321) 및 돌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지부(32)에서 고정막대부(31)가 연결되는 반대측인 일 단에 단턱부(321) 및 돌출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321)는 파지부(32)의 일 단에서 소정의 폭으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22)는 단턱부(321)에서 타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322)는 단턱부(321)와 수직을 이루도록 고정막대부(31)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돌출부(322)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파지부(3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돌출부(322)를 파지하여 벽부(2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파지부(32)에 고정막대부(31)가 연결된 측의 반대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뒷벽(21)에 설치되는 파지부(32)에는 단턱부(321) 및 돌출부(322)가 형성되고, 우벽(22) 및 좌벽(23)에 설치되는 파지부(32)에는 단턱부(321) 및 돌출부(322)가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우벽(22) 및 좌벽(23)에 설치되는 파지부(32)에도 단턱부(321) 및 돌출부(32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돌출부(322)에는 홀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홀에 손가락을 끼워서 파지부(32)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홀이 돌출부(322)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지부(32)에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33)는 고정막대부(31)의 상측 및 하측에서 소정 각도를 가지고 연장될 수 있다. 날개부(33)는 후술할 가이드부(242)에 의해 탄성 변형되고, 탄성력에 따라 고정부(30)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앞벽(24)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고정부(30)는 파지부(32)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앞벽(24)의 일 측에 배치된 고정부(30)는 파지부(32)가 타 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체결홈(221)에 삽입되어 있던 고정막대부(31)의 삽입부(311)가 이탈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앞벽(24)의 타 측에 배치된 고정부(30)는 파지부(32)가 일 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3 체결홈(231)에 삽입되어 있던 고정막대부(31)의 삽입부(311)가 이탈될 수 있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벽(24)에는 제4 가이드부(242) 및 제4 스토퍼(243)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가이드부(242)는 앞벽(24)에 설치된 고정부(30)의 날개부(33)를 가이드하며 탄성 변형 시킬 수 있다. 제4 가이드부(242)는 고정막대부(3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되, 파지부(32)에서 삽입부(311)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이격되도록 소정 각도를 가지고 절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가이드부(242)는 직선부(2421), 돌기부(2422), 절곡부(2423)를 포함할 수 있다.
직선부(2421)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막대부(31)의 상측 및 하측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돌기부(2422)는 직선부(2421)에서 고정막대부(31) 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막대부(31)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절곡부(2423)는 직선부(2421)의 단부에 연결되되 고정막대부(31)의 삽입부(311) 측으로 갈수록 고정막대부(31)의 점점 멀어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막대부(31)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절곡부(2423) 내측으로 고정부(30)의 날개부(33)가 인입될 수 있다.
제4 스토퍼(243)는 파지부(32)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4 스토퍼(243)는 슬라이딩 이동되는 고정부(3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고정부(30)와 가이드부(242)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9는 앞벽(24)의 일 측에 설치된 고정부(30)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7은 고정부(30)가 슬라이딩 이동되기 전의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고정부(3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도 8과 같이 파지부(32)가 제4 스토퍼(243)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33)가 가이드부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가이드부의 절곡부(2423)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후, 파지부(32)에 가해지는 힘이 중단되면, 날개부(33)가 원상태로 돌아가려는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30)가 다시 도 7과 같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에 따른 부분 A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0에 따른 부분 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좌벽(23)의 체결홈(231)에 앞벽(24)의 타 측에 설치된 고정부(30)의 삽입부(311)가 삽입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고정부(30)가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벽(23)의 체결홈(231)에서 삽입부(311)가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좌벽(23)과 앞벽(24)의 고정력이 해제될 수 있다.
도 14는 뒷벽(21)의 체결홈(211)에 좌벽(23)의 타 측에 설치된 고정부(30)의 삽입부(311)가 삽입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고정부(30)가 좌벽(23)의 일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벽(21)의 체결홈에서 삽입부(311)가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뒷벽(21)과 좌벽(23)의 고정력이 해제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고정부(30)가 우벽(22) 및 좌벽(23)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우벽(22) 및 좌벽(23)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설치되어, 뒷벽(21) 및 앞벽(24)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30)가 설치되는 벽부(20)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고정부(30)가 설치되는 벽부(20)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를 접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여, 뒷벽(21), 우벽(22), 좌벽(23) 및 앞벽(24)이 바닥플레이트(10)와 수직을 이루도록 고정부(30)에 의해 고정되어, 내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된 상태의 접이식 상자를 접는 방법(S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뒷벽(21), 우벽(22), 좌벽(23) 및 앞벽(24)이 바닥플레이트(10)와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 도 2와 같이, 앞벽 개방 단계(S110)에서는 앞벽(24)이 외측으로 회동되어 내부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앞벽(24)은 바닥플레이트(10)와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 외측으로 최대 90도까지 회동이 가능하고, 내측으로 최대 90도까지 회동이 가능하다. 즉, 앞벽(24)은 외측에서 내측까지 180도 내에서 회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앞벽(24)이 외측으로 회동이 가능함으로 인해, 앞벽 개방 단계(S110)에서는 내부 공간이 개방되어, 사용자가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물품을 밖으로 꺼내기 용이하다.
이때, 앞벽(24)의 양 측에 설치된 고정부(30)는 우벽(22) 및 좌벽(23) 각각의 체결홈(221, 231)에서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앞벽(24)과 우벽 및 좌벽(23)의 고정이 해지될 수 있다.
이후, 접이식 상자(1)를 접을 경우에도, 앞벽 개방 단계(S110) 이후에 우벽 폴딩 단계(S120) 또는 좌벽 폴딩 단계(S130)가 수행될 수 있다.
우벽 폴딩 단계(S120)는 우벽(22)이 내측으로(즉, 내부공간 측으로) 회동되어 바닥플레이트(10)와 평행하게 폴딩될 수 있다. 좌벽 폴딩 단계(S130)는 좌벽(23)이 내측으로 회동되어 바닥플레이트(10)와 평행하게 폴딩될 수 있다.
이때, 우벽 폴딩 단계(S120)와 좌벽 폴딩 단계(S130)는 임의의 순서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우벽 폴딩 단계(S120)가 먼저 수행된 후에, 좌벽 폴딩 단계(S130)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좌벽 폴딩 단계(S130)가 수행된 후에, 우벽 폴딩 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우벽(22)의 일 측에 설치된 고정부(30)와 좌벽(23)의 일 측에 설치된 고정부(30) 각각은 뒷벽(21)에 형성된 체결홈(221)에서 이탈되어, 뒷벽(21)과 우벽(22) 및 좌벽(23)의 고정이 해지될 수 있다.
이후, 뒷벽(21)이 내측으로 회동되어 내부공간으로 폴딩되는 뒷벽 폴딩 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앞벽(24)이 내측으로 회동하여 내부 공간으로 폴딩되는 앞벽 폴딩 단계(S150)가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뒷벽 폴딩 단계(S140)와 앞벽 폴딩 단계(S150)는 임의의 순서로 폴딩될 수 있다. 즉, 뒷벽 폴딩 단계(S140)가 먼저 수행된 후에 앞벽 폴딩 단계(S150)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앞벽 폴딩 단계(S150)가 수행된 후에 뒷벽 폴딩 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상자를 펼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여, 접힌 상태의 접이식 상자(1)가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펼쳐지는 접이식 상자의 펼치는 방법(S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앞벽(24)이 외측으로 회동되어 내부공간이 개방되는 앞벽 개방 단계(S110)가 수행된다.
다음, 뒷벽(21)이 바닥플레이트(10)와 수직이 되도록 외측으로 회동되는 뒷벽 오픈 단계(S210)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접이식 상자의 접는 방법(S100)에서 우벽(22)과 좌벽(23)이 폴딩된 임의의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우벽(22)과 좌벽(23)이 오픈될 수 있다.
일 예로, 접이식 상자의 접는 방법(S100)에서 우벽 폴딩 단계(S120) 이후에 좌벽 폴딩 단계(S130)가 수행된 경우, 접이식 상자의 펼치는 방법(S200)에서는 좌벽 오픈 단계(S220)가 먼저 수행되고, 이후에 우벽 오픈 단계(S23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뒷벽(21)의 양 측 각각에 형성된 제1 체결홈(211)에 우벽(22) 및 좌벽(23) 각각의 일 측에 설치된 고정부(30)가 삽입되어, 뒷벽(21)과 우벽(22) 및 좌벽(23)이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앞벽(24)이 바닥플레이트(10)와 수직을 이루도록 내측으로 회동되는 앞벽 오픈 단계(S24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앞벽(24)의 양 측에 설치된 고정부(30) 각각은 우벽(22)의 타 측에 형성된 제2 체결홈(221)과 좌벽(23)의 타 측에 형성된 제3 체결홈(231) 각각에 삽입되어, 앞벽(24)이 우벽(22) 및 좌벽(23)과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벽들이 고정되는 구성이 고정부(30) 및 체결홈(211, 221, 23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고정 장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순서를 통해, 접이식 상자(1)는 사용자의 앞벽(24)을 개방하여 수용된 물품을 꺼내기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접이식 상자(1)를 접어서 작은 부피로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접이식 상자 10: 바닥플레이트
11: 제1 연결부 12: 제2 연결부
13: 제3 연결부 14: 제4 연결부
20: 벽부 21: 뒷벽
210: 제1 걸림부 211: 제1 체결홈
22: 우벽 220: 제2 걸림부
221: 제2 체결홈 222: 제2 가이드부
223: 제2 스토퍼 23: 좌벽
230: 제3 걸림부 231: 제3 체결홈
232: 제3 가이드부 233: 제3 스토퍼
24: 앞벽 240: 제4 걸림부
241: 제4 체결홈 242: 제4 가이드부
2421: 직선부 2422: 돌기부
2423: 절곡부 243: 제4 스토퍼
30: 고정부 31: 고정막대부
311: 삽입부 32: 파지부
33: 날개부 S100: 접이식 상자의 접는 방법
S110: 앞벽 개방 단계 S120: 우벽 폴딩 단계
S130: 좌벽 폴딩 단계 S140: 뒷벽 폴딩 단계
S150: 앞벽 폴딩 단계 S200: 접이식 상자를 펼치는 단계
S210: 뒷벽 오픈 단계 S220: 좌벽 오픈 단계
S230: 우벽 오픈 단계 S240: 앞벽 오픈 단계

Claims (7)

  1. 사각형 형상의 바닥플레이트;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각 모서리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뒷벽, 우벽, 좌벽 및 앞벽을 포함하는 벽부; 상기 앞벽, 우벽 및 좌벽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벽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부; 상기 우벽 및 좌벽에 형성되는 고정부가 체결되도록 상기 뒷벽 양 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홈; 및 상기 앞벽에 형성되는 고정부가 체결되도록 상기 우벽 및 좌벽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체결홈 및 제3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뒷벽, 우벽 및 좌벽은 내측방향으로 만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앞벽은 내측 및 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상태의 접이식 상자를 접는 방법은,
    상기 앞벽의 고정부를 제2 체결홈 및 제3 체결홈으로부터 해제하여 상기 앞
    벽을 외측으로 회동시키는 앞벽 개방 단계;
    상기 앞벽 개방 단계 이후,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의 고정부를 제1 체결홈으로부터 해제하여 상기 우벽 및 좌벽을 임의의 순서에 따라 내측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평행하게 폴딩하는 우벽 폴딩 단계 및 좌벽 폴딩 단계;
    상기 우벽 폴딩 단계 및 좌벽 폴딩 단계 이후, 상기 뒷벽을 내측방향으로 회
    동시켜 상기 내부공간으로 폴딩시키는 뒷벽 폴딩 단계; 및
    외측으로 회동되어 있던 상기 앞벽을 내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내부공간으로 폴딩시키는 앞벽 폴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중심부에 구멍이 형성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로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고정막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고정막대부의 연장방향과 반대측 방향의 파지부 둘레에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단턱부; 및 상기 단턱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뒷벽은 양 측에서 우벽 및 좌벽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하는 제1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벽은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1 걸림부와 맞닿도록 돌출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벽은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1 걸림부와 맞닿도록 돌출하는 제3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인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상자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펼치는 방법은,
    상기 앞벽이 내측으로 회동되어 내부공간을 오픈하는 앞벽 개방 단계;
    상기 뒷벽이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수직이 되도록 외측으로 회동되는 뒷벽 오픈 단계;
    상기 우벽과 상기 좌벽이 폴딩된 임의의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수직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우벽의 일 측 및 상기 좌벽의 일 측이 상기 뒷벽과 접촉되는 우벽 오픈 단계 및 좌벽 오픈 단계; 및
    상기 앞벽이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수직이 되도록 외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 각각의 타 측에 접촉되는 앞벽 오픈 단계;를 포함하는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앞벽이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과 각각 고정되도록, 상기 앞벽의 양 측에 설치되고,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 각각이 상기 뒷벽과 고정되도록,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의 일 측에 설치되는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뒷벽,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은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벽을 고정시키는 체결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뒷벽에는,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과 각각 접촉되는 양 측에 상기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에는,
    각각이 상기 앞벽과 접촉되는 타 측에 상기 체결홈이 형성되는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 각각의 일 측에 설치된 상기 고정부 각각이 상기 뒷벽의 양 측에 형성된 상기 체결홈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뒷벽과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이 고정되고,
    상기 앞벽의 양 측에 설치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 각각의 타 측에 형성된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앞벽이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과 고정되는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앞벽은,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 내측 및 상기 내부공간 외측으로 회동이 가능한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뒷벽, 상기 우벽 및 상기 좌벽은,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수직하기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 내측으로 회동이 가능한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
KR1020190091247A 2019-07-26 2019-07-26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 KR102080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247A KR102080325B1 (ko) 2019-07-26 2019-07-26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247A KR102080325B1 (ko) 2019-07-26 2019-07-26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325B1 true KR102080325B1 (ko) 2020-02-21

Family

ID=6967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247A KR102080325B1 (ko) 2019-07-26 2019-07-26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3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648B1 (ko) 2021-10-22 2022-03-24 주식회사 레마 양측 개별 확장구조를 갖는 수납용 폴딩박스
KR20230095232A (ko)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레마 폴딩박스에 대한 사용성 확장유닛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197B1 (ko) * 2002-07-12 2005-03-31 주식회사골드라인 접철식 운반상자
KR200449031Y1 (ko) 2010-02-27 2010-06-09 범진산업(주) 포장운반상자의 고정장치
KR20170057817A (ko) * 2015-11-17 2017-05-25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접이식 상자
KR20180053920A (ko) * 2016-11-14 2018-05-24 박성락 절첩식 상자
KR20180109007A (ko) * 2017-03-24 2018-10-05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접이식 상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197B1 (ko) * 2002-07-12 2005-03-31 주식회사골드라인 접철식 운반상자
KR200449031Y1 (ko) 2010-02-27 2010-06-09 범진산업(주) 포장운반상자의 고정장치
KR20170057817A (ko) * 2015-11-17 2017-05-25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접이식 상자
KR20180053920A (ko) * 2016-11-14 2018-05-24 박성락 절첩식 상자
KR20180109007A (ko) * 2017-03-24 2018-10-05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접이식 상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648B1 (ko) 2021-10-22 2022-03-24 주식회사 레마 양측 개별 확장구조를 갖는 수납용 폴딩박스
KR20230095232A (ko)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레마 폴딩박스에 대한 사용성 확장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096E1 (en) Reusable box blank
US7556165B2 (en) Collapsible box
JP6416395B2 (ja) 運搬用組立箱
KR102080325B1 (ko)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
WO2007034901A1 (ja) 組立て式箱状体と板材連結構造
US11548682B2 (en) Folding box
KR100480197B1 (ko) 접철식 운반상자
KR20200133542A (ko) 접이식 상자
KR20140091370A (ko) 조립식 컨테이너박스의 접힘장치
KR101358789B1 (ko) 절첩식 운반 상자
JP2002240867A (ja) 保温ボックス
JP2002068187A (ja) ボックスパレット
JP6535155B2 (ja) 運搬用容器
JPH10297630A (ja) 折畳み式収納箱
KR20090007636U (ko)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접철식 바구니
JP2002321734A (ja) 折畳み式収納箱
JP2006321521A (ja) リターナブルラック
KR101427699B1 (ko) 화물 운송용 접이식 포장박스
JP2005126076A (ja) 通箱
JP4164221B2 (ja) 輸送用コンテナ
KR102274266B1 (ko) 접이식 케이스
JP3140959B2 (ja) パレット容器
KR102664073B1 (ko) 롤테이너
KR101989590B1 (ko) 접이식 컨테이너용 체결장치
KR100553103B1 (ko) 접철식 팔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