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055B1 - 절첩식 상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055B1
KR101625055B1 KR1020140158927A KR20140158927A KR101625055B1 KR 101625055 B1 KR101625055 B1 KR 101625055B1 KR 1020140158927 A KR1020140158927 A KR 1020140158927A KR 20140158927 A KR20140158927 A KR 20140158927A KR 101625055 B1 KR101625055 B1 KR 101625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anel
panel
moving member
wall
down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7826A (ko
Inventor
최대현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4015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055B1/ko
Publication of KR2016005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14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 B65D19/16Collapsible pal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기립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제1측면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나머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기립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제2측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제2측면 패널에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2측면 패널을 지지하는 상하 이동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제2측면 패널에 상하 이동부재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2측면 패널을 지지함으로써, 크기가 작은 통상적인 상자 다수 개가 본 발명과 같은 절첩식 운반 상자의 상부에 올려지더라도 길이가 긴 제2측면 패널이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측면 패널의 상부 중앙에 올려지는 통상적인 상자에 높은 하중이 가해져 제2측면 패널의 중앙부가 벌어지면서 상부에 위치한 상자가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첩식 상자{Folding type carry box}
본 발명은 길이가 긴 제2측면 패널이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측면 패널의 중앙부가 벌어지면서 상부에 위치한 상자가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절첩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이나 부품 등을 각각의 상자에 담아서 보관하거나 운반하여 사용하며, 상자 보관시에는 상자를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절첩식 상자가 두루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절첩식 상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69031호(1999.11.16,'조립이 간편한 절첩식 상자')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판(10)의 단측 가장자리 상단에 측벽 두께의 낮은 돌출단(11)을 형성시키고, 장측 가장자리 상단에는 측벽 2배 두께의 높은 돌출단(12)을 형성시키며, 각 돌출단의 상면과 그 내측면에 하향 확대된 ㄱ형 통공(11a),(12a)을 수개씩 형성시켜서, 이와 대응지게 장,단측벽(20),(30)의 하부에 돌출된 연결핀(21),(31)의 양측 돌기(21a),(31a)로서 ㄱ형 통공(12a),(11a)의 하향확대부분으로 압입하여 ㄱ형 통공 내에 양측 돌기가 걸리도록 삽입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단측벽의 양쪽 선단통공(32) 외부로 돌출되어 있던 외측 걸림돌기(43)가 통공 내부로 매몰되었다가 양 장측벽 가장자리 양 내측의 보호판(22)의 내측단 상부에 천공된 걸림통공(23) 내에서 당기고 있던 양 손가락을 놓아 외측 걸림돌기가 걸림통공 내로 삽입되어 걸리면 양 단측벽은 양 장측벽의 양 내측 보호판에 지지되고 또한 걸림통공에 걸림돌기가 걸림으로써, 양 단측벽과 양 장측벽은 견고한 사각형 테두리로 유지가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절첩식 상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장측벽의 길이가 단측벽의 세 배 정도 긴 절첩식 상자의 경우 장측벽의 길이가 긴 절첩식 상자의 상부에 일반적인 크기의 상자가 다수개 적재되는데, 이 경우 장측벽의 중앙에 올려지는 상자의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면서 높은 하중이 가해지면, 아래에 위치한 장측벽의 길이가 긴 상자의 장측벽 상단이 좌,우로 벌어지면서 위에 위치한 상자가 아래쪽으로 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측벽의 길이가 긴 절첩식 상자 다수개가 적층된 상태로 파렛트에 올려진 후 밴딩끈으로 적층된 상태의 절첩식 상자와 파렛트를 밴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최상단에 위치한 절첩식 상자가 밴딩끈이 조여지면서 발생하는 압력 때문에 장측벽이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적층된 절첩식 상자 다수개를 파렛트와 함께 밴딩하여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크기가 작은 통상적인 상자 다수 개가 길이가 긴 제2측면 패널을 가지는 절첩식 운반 상자의 상부에 올려지더라도 제2측면 패널이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측면 패널의 중앙부가 벌어지면서 상부에 위치한 상자가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기립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제1측면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나머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기립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제2측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제2측면 패널에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2측면 패널을 지지하는 상하 이동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부재는 상기 제2측면 패널의 외벽과 내벽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패널의 외벽은 일부분이 절개되어 있고, 상기 상하 이동부재는 상기 외벽의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에는 상기 제2측면 패널이 배치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연장 형성된 연장패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측면 패널은 상기 연장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이동부재가 하방으로 이동시 상기 상하 이동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연장패널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부재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측면 패널의 내벽에는, 상기 상하 이동부재가 상방으로 이동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상부 돌기 삽입부와, 상기 상하 이동부재가 하방으로 이동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하부 돌기 삽입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절첩식 상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2측면 패널에 상하 이동부재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2측면 패널을 지지함으로써, 크기가 작은 통상적인 상자 다수 개가 본 발명과 같은 절첩식 운반 상자의 상부에 올려지더라도 길이가 긴 제2측면 패널이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2측면 패널의 중앙측에 상하 이동부재가 마련됨으로써, 제2측면 패널의 상부 중앙에 올려지는 통상적인 상자에 높은 하중이 가해져 제2측면 패널의 중앙부가 벌어지면서 상부에 위치한 상자가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절첩식 운반 상자 다수개를 적층하여 파렛트에 올린 후 밴딩하는 경우 최상단에 배치된 절첩식 운반 상자가 밴딩끈에 의해 조여지면서 발생하는 압력 때문에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제2측면 패널에 마련된 상하 이동부재가 제2측면 패널을 지지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절첩식 운반 상자 다수개를 적층하여 파렛트와 같이 밴딩하여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다.
한편, 절첩식 운반 상자를 사용하지 않고 회수하여 이동하거나 보관할 시에는 제2측면 패널에 마련된 상하 이동부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상하 이동부재의 연장부는 연장패널의 내부로부터 삽입 해제된 상태가 되므로 기립되어 있는 제2측면 패널을 연장패널로부터 용이하게 절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절첩식 상자의 상부에 다수의 상자가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상하 이동부재가 마련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상하 이동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상하 이동부재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종래 절첩식 상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상자(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패널(110)과, 베이스 패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기립 가능한 측면 패널(130, 150)을 포함한다.
베이스 패널(110)은 운반 상자(100)의 바닥을 구성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형태이다.
측면 패널(130, 150)은 베이스 패널(110)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양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기립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제1측면 패널(130)과, 베이스 패널(110)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나머지 양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기립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제2측면 패널(15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패널(110)이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제1측면 패널은 베이스 패널(110)의 길이가 짧은 양변에 각각 기립되는 단측면 패널(130)이 되고, 제2측면 패널은 베이스 패널(110)의 길이가 긴 양변에 각각 기립되는 장측면 패널(150)이 되며, 특히 장측면 패널(150)의 가로길이가 단측면 패널(130)의 가로길이에 비해 약 세 배 정도로 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운반 상자(100)의 상부에 통상적인 크기의 상자(300) 여러 개가 올려질 수 있다.
단측면 패널(130)과 장측면 패널(150)의 하단은 베이스 패널(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 패널(110)로부터 절첩이 가능하다.
베이스 패널(110)에는, 장측면 패널(150)이 배치되는 가장자리인 길이가 긴 양측변을 따라 상부로 연장된 연장패널(11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연장패널(111)에 장측면 패널(15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패널(110)에는, 단측면 패널(130)이 배치되는 가장자리인 길이가 짧은 양측변을 따라 상부로 돌출된 단턱(1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단턱(113)에 단측면 패널(1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단측면 패널(130)과 장측면 패널(150)에는 상단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상단 돌출리브(131a, 151a)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단측면 패널(130)과 장측면 패널(150)의 하단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하단 돌출리브(131b, 151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측면 패널(130)과 장측면 패널(150)에 각각 형성된 상단 돌출리브(131a, 151a)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제1돌출리브(131c, 151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단측면 패널(130)과 장측면 패널(150)의 양측을 따라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양측 돌출리브(132a, 15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측면 패널(130)과 장측면 패널(150)에 각각 형성된 양측 돌출리브(132a, 152a)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제2돌출리브(132b, 15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특히, 장측면 패널(150)에 형성된 제2돌출리브(152b)는 장측면 패널(150)의 중앙측에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양측의 제2돌출리브(152b) 사이의 공간이 하기에서 설명할 상하 이동부재(160)가 장착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돌출리브들은 대표적인 돌출리브만 설명하였으며, 돌출리브들 사이 사이에 돌출리브를 연결하는 돌출리브들이 추가적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돌출리브는 실시예에 따라 가감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장측면 패널(150)의 최하단을 따라 형성된 하단 돌출리브(151b)는 기립 시 연장패널(111)의 상면에 얹혀지고, 장측면 패널(150)은 연장패널(111)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단측면 패널(130)의 최하단을 따라 형성된 하단 돌출리브(131b)는 기립 시 단턱(113)에 얹혀지고, 단측면 패널(130)은 단턱(113)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단측면 패널(130)에 형성된 상단 돌출리브(131a)와 제1돌출리브(131c) 사이의 공간은 락킹수단(170)이 장착되는 락킹수단 장착부(133)가 된다.
단측면 패널(130)의 기립 시 단측면 패널(130)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락킹수단(170)은 핀부재(171)와 누름판부재(17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부재(171)의 끝단은 단측면 패널(130)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단측면 패널(1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핀부재(171)의 끝단은 삽입이 용이하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적어지도록 단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핀부재(171)는 단측면 패널(1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핀부재(171)는 단측면 패널(130)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 가능하도록 두 개의 핀부재(171)가 단측면 패널(13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누름판부재(175)는 락킹수단 장착부(133)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누름판부재(175)는 단측면 패널(130)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어, 단측면 패널(130)의 중앙에 배치된 누름판부재(175)를 누르면,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핀부재(171)가 동시에 단측면 패널(130)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단측면 패널(130)에 형성된 제1돌출리브(131c)와 하단 돌출리브(131b)와 양측의 제2돌출리브(132b)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가로바(200)가 장착되는 가로바 장착부(135)가 되며, 가로바 장착부(135)에 장착되는 가로바(200)와 가로바 장착부(135) 사이에 네임카드 등이 삽입될 수 있다.
장측면 패널(150)의 최하단에 형성된 하단 돌출리브(151b)는 장측면 패널(150)의 기립시 연장패널(111)의 상면에 얹혀진다.
장측면 패널(15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베이스 패널(110)의 모서리를 지나서 단측면 패널(130)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15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부(156)에는 단측면 패널(130)의 외측으로 돌출된 핀부재(171)의 끝단이 삽입된다.
장측면 패널(150)의 중앙측에 평팽하게 마련된 제2돌출리브(152b) 사이의 공간은 상하 이동부재(160)가 장착되는 상하 이동부재 장착부(152)가 된다. 즉, 상하 이동부재(160)는 장측면 패널(150)의 중앙측에 마련된다.
이러한 상하 이동부재 장착부(152)에는,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측면 패널(150) 외면을 형성하는 외벽(153a)과, 장측면 패널(150) 외면을 형성하는 내벽(153b)이 마련되어 있고, 외벽(153a)과 내벽(153b)의 사이 공간에 상하 이동부재(160)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내벽(153b)은 상하 이동부재 장착부(152)의 전체에 형성되어 있고, 외벽(153a)은 일부분이 절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벽(153a)이 상하 이동부재 장착부(152)의 하측에만 형성되어 있어, 상하 이동부재 장착부(152)의 상측을 통하여 상하 이동부재(160)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벽(153a)의 절개된 면의 중앙은 아래쪽으로 함몰되어 있는 함몰부(153a-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외벽(153a)의 양측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긴 가이드 홀(153a-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내벽(153b)의 양측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긴 가이드 홀(153b-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장측면 패널(150)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장측면 패널(150)을 지지하는 상하 이동부재(160)는 상하 이동부재 장착부(152)에 마련되고, 특히 외벽(153a)과 내벽(153b)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하 이동부재(16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61)와 연장부(163)와 손잡이부(165)를 포함한다.
본체부(161)는, 도 6과 같이 상하 이동부재(160)가 최하방으로 이동시하였을 때 외벽(153a)과 내벽(153b)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본체부(161)의 상면은 외벽(153a)의 절개된 면과 동일한 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체부(161)의 전면에는 도 3과 같이 외벽(153a)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홀(153a-1)에 각각 삽입되는 가이드축(161b)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161)의 후면에는 도 1과 같이 내벽(153b)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홀(153b-1)에 각각 삽입되는 가이드축(161c)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가이드 홀(153a-1, 153b-1)에 가이드축(161b, 161c)이 삽입되고, 상하 이동부재(160)의 상하 이동시 가이드축(161b, 161c)이 가이드 홀(153a-1, 153b-1)을 따라 이동한다.
연장부(163)는 본체부(16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도 6과 같이 상하 이동부재(160)가 최하방으로 이동시하였을 때 연장패널(111)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연장부(163)가 서로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본체부(161)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두 개의 연장부(163)가 각각 삽입되는 연장부 삽입홈(111a)이 연장패널(111)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165)는 본체부(16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홀(165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65)는 외벽(153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하 이동부재 장착부(152)의 상측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손잡이부(165)의 손잡이홀(165a)을 통하여 손으로 파지하여 상하 이동부재(160)를 상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기 구성되는 상하 이동부재(160)에는 고정돌기(16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하 이동부재(160)의 본체부(161) 후면에 고정돌기(1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장측면 패널(150)과 맞닿는 본체부(161) 후면의 양측에 각각 고정돌기(16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돌기(16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장측면 패널(150)의 내벽(153b)에 돌기 삽입부(153b-2, 153b-3)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이동부재(160)가 상방으로 이동시 고정돌기(162)가 삽입되는 상부 돌기 삽입부(153b-2)가 장측면 패널(150)의 내벽(153b)에 형성되어 있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이동부재(160)가 하방으로 이동시 고정돌기(162)가 삽입되는 하부 돌기 삽입부(153b-3)가 장측면 패널(150)의 내벽(153b)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61)의 양측에 고정돌기(162)가 각각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도 1과 같이 장측면 패널(150)의 상하 이동부재 장착부(152)가 형성된 내벽(153b)의 양측에 각각 상부 돌기 삽입부(153b-2)와 하부 돌기 삽입부(153b-3)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운반 상자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절첩식 운반 상자(100)의 내부에 물품이나 부품 등을 수용하여 사용할 시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측면 패널(150)과 단측면 패널(130)이 모두 기립된 상태에서 내부에 물품이나 부품을 담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장측면 패널(150)에 마련된 상하 이동부재(160)를 도 6과 같이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상하 이동부재(160) 후면의 고정돌기(162)가 하부 돌기 삽입부(153b-3)에 삽입됨으로써 상하 이동부재(160)는 고정된다. 이때, 상하 이동부재(160)의 연장부(163)는 연장패널(111)에 형성된 연장부 삽입홈(111a)에 삽입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장측면 패널(150)에 상하 이동부재(16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장측면 패널(150)을 지지함으로써, 도 2와 같이 통상적인 크기의 상자(300) 다수개가 절첩식 운반 상자(100)의 상부에 올려지더라도 길이가 긴 장측면 패널(150)이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장측면 패널(150)의 중앙측에 상하 이동부재(160)가 마련됨으로써, 장측면 패널(150)의 상부 중앙에 올려지는 상자(300)에 높은 하중이 가해져 장측면 패널(150)의 중앙부가 벌어지면서 상자(300)가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절첩식 운반 상자(100) 다수개를 적층하여 파렛트에 올린 후 밴딩하는 경우 최상단에 배치된 절첩식 운반 상자(100)가 밴딩끈에 의해 조여지면서 발생하는 압력 때문에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장측면 패널(150)에 마련된 상하 이동부재(160)가 장측면 패널(15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절첩식 운반 상자(100) 다수개를 적층하여 파렛트와 같이 밴딩하여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절첩식 운반 상자(100)를 사용하지 않고 회수하여 이동하거나 보관할 시에는 장측면 패널(150)에 마련된 상하 이동부재(160)를 도 7과 같이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상하 이동부재(160) 후면의 고정돌기(162)가 상부 돌기 삽입부(153b-2)에 삽입됨으로써, 상하 이동부재(160)는 하방으로 내려가지 않고 고정된다. 이때, 상하 이동부재(160)의 연장부(163)는 연장패널(111)에 형성된 연장부 삽입홈(111a)으로부터 삽입 해제된 상태이다.
따라서, 기립되어 있는 장측면 패널(150)을 연장패널(111)로부터 용이하게 절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 베이스 패널 111 : 연장패널
130 : 제1측면 패널 150 : 제2측면 패널
153b-2 : 상부 돌기 삽입부 153b-3 : 하부 돌기 삽입부
160 : 상하 이동부재 161 : 본체부
162 : 고정돌기 163 : 연장부
165 : 손잡이부

Claims (5)

  1.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어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기립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제1측면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나머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기립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제2측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패널에는 상기 제2측면 패널이 배치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연장 형성된 연장패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측면 패널은 상기 연장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측면 패널에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2측면 패널을 지지하는 상하 이동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하 이동부재가 하방으로 이동시 상기 상하 이동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연장패널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부재는 상기 제2측면 패널의 외벽과 내벽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패널의 외벽은 일부분이 절개되어 있고,
    상기 상하 이동부재는 상기 외벽의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부재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측면 패널의 내벽에는,
    상기 상하 이동부재가 상방으로 이동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상부 돌기 삽입부와, 상기 상하 이동부재가 하방으로 이동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하부 돌기 삽입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KR1020140158927A 2014-11-14 2014-11-14 절첩식 상자 KR101625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927A KR101625055B1 (ko) 2014-11-14 2014-11-14 절첩식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927A KR101625055B1 (ko) 2014-11-14 2014-11-14 절첩식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826A KR20160057826A (ko) 2016-05-24
KR101625055B1 true KR101625055B1 (ko) 2016-05-27

Family

ID=5610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927A KR101625055B1 (ko) 2014-11-14 2014-11-14 절첩식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378B1 (ko) * 2018-10-17 2019-08-28 엔피씨(주)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563A (ja) 1999-03-12 2000-09-19 Gifu Plast Ind Co Ltd 折り畳み式運搬用容器
KR101250957B1 (ko) * 2011-12-09 2013-04-04 엔피씨(주)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
KR101358789B1 (ko) 2012-05-23 2014-02-05 엔피씨(주) 절첩식 운반 상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563A (ja) 1999-03-12 2000-09-19 Gifu Plast Ind Co Ltd 折り畳み式運搬用容器
KR101250957B1 (ko) * 2011-12-09 2013-04-04 엔피씨(주)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
KR101358789B1 (ko) 2012-05-23 2014-02-05 엔피씨(주) 절첩식 운반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826A (ko)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9509B2 (en) Assembly box for transportation
KR101611095B1 (ko) 접철식 파레트의 적층 연결유닛
KR101288947B1 (ko) 절첩 및 포개짐이 가능한 운반 상자
KR101625055B1 (ko) 절첩식 상자
KR101436565B1 (ko) 절첩식 운반 상자
KR101358789B1 (ko) 절첩식 운반 상자
KR20150002616U (ko) 완충재가 구비된 포장상자
US10926915B2 (en) Collapsible container
JP5935608B2 (ja) 積み重ね可能なキャリーカートン
KR20090022919A (ko) 포장용 상자
JP2007204119A (ja) パレット用梱包箱及び梱包箱付きパレット
KR101458096B1 (ko) 철재상자
KR101010705B1 (ko) 상자형 파렛트
JP4651299B2 (ja) 仕切板
JP2011121713A (ja) パレットラック、パレットラックユニット及びパレットラックを備えたコンテナ
JP6786417B2 (ja) トレイ台車
KR101579751B1 (ko) 절첩식 골판지 상자
JP2016199296A (ja) 折畳み容器
KR101465840B1 (ko) 중량물 포장박스의 조립식 커버
CN216360077U (zh) 一种带有内侧缓冲结构的堆码辅助箱裁片
JP5840977B2 (ja) 上下段連結可能トレー
KR101331145B1 (ko) 손잡이 수용홈이 구비된 포장박스
KR101625051B1 (ko)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
KR200491731Y1 (ko) 포장 및 전시용 박스
KR200267868Y1 (ko) 상부에 절첩식 상자를 설치시킨 패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