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051B1 -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 - Google Patents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051B1
KR101625051B1 KR1020140129058A KR20140129058A KR101625051B1 KR 101625051 B1 KR101625051 B1 KR 101625051B1 KR 1020140129058 A KR1020140129058 A KR 1020140129058A KR 20140129058 A KR20140129058 A KR 20140129058A KR 101625051 B1 KR101625051 B1 KR 101625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me card
side panel
horizontal bar
pane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879A (ko
Inventor
최대현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40129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05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4Open-ended containers shaped to be nested when empty and to be superposed when full

Abstract

본 발명은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측면 패널;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면에 가로로 길게 배치되는 가로바;를 포함하여,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면과 상기 가로바 사이에 네임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네임카드를 한 손으로 잡아서 측면 패널의 외측면과 가로바 사이의 공간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쉽고 간단하게 네임카드를 고정할 수 있고, 가로바는 측면 패널에 가로로 길게 배치되어 있어, 네임카드의 크기에 상관없이 큰 사이즈의 네임카드도 삽입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네임카드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Box having name card holder}
본 발명은 네임카드를 한 손으로 잡아서 측면 패널의 외측면과 가로바 사이의 공간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쉽고 간단하게 네임카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상면이 개방된 플라스틱 상자에 물품 또는 부품을 담아 여러 개 상하로 적재하여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포개어서 보관하는 상하 적재용 운반상자가 두루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자에는 홀더가 구비되어, 화물의 종류, 수량 등의 정보를 기입한 네임카드를 상자에 구비된 홀더에 끼워 사용하는 것이 종래에 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6876호(2003. 9. 4, '메모홀더가 구비된 물품적재용 펠릿박스')에 따르면, 한 손으로 메모홀더의 탄성편을 바깥쪽으로 잡아당겨서 벌려준 다음, 다른 한 손으로 네임카드를 삽입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메모홀더가 구비된 상자는 네임카드를 홀더에 삽입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양손을 사용하여야 하여 매우 번거로우며, 작업속도가 떨어져 작업능률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메모홀더는 메모홀더의 사이즈에 맞는 네임카드 만을 사용해야 하고, 메모홀더보다 큰 사이즈의 네임카드를 수용하기 어려우며, 큰 사이즈의 네임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큰 사이즈가 수용될 수 있는 메모홀더를 별도로 제작하여 부착하여야 하므로 사용 및 제조 상의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네임카드를 한 손으로 잡아서 측면 패널의 외측면과 가로바 사이의 공간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쉽고 간단하게 네임카드를 고정할 수 있고, 네임카드의 크기에 상관없이 큰 사이즈의 네임카드도 삽입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네임카드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측면 패널;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면에 가로로 길게 배치되는 가로바;를 포함하여,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면과 상기 가로바 사이에 네임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가 배치된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로바가 배치되는 부분을 따라 제1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굴곡부는 상기 제1굴곡부의 양단보다 중앙부가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곡면의 형태로 되어 있어, 상기 제1굴곡부의 외측면이 상기 가로바를 외측으로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가 배치된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로바가 배치되는 부분을 따라 제1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로바에는 상기 제1굴곡부와 대응하는 제2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굴곡부의 종단면은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이고, 상기 제2굴곡부의 종단면은 상기 제1굴곡부와 대응하도록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에는, 상기 제2굴곡부의 상단과 하단을 따라 상기 제2굴곡부로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면과 멀어지도록 경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에는,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면과 상기 가로바 사이에 삽입된 네임카드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네임카드를 한 손으로 잡아서 측면 패널의 외측면과 가로바 사이의 공간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쉽고 간단하게 네임카드를 고정할 수 있다.
둘째, 가로바는 측면 패널에 가로로 길게 배치되어 있어, 네임카드의 크기에 상관없이 큰 사이즈의 네임카드도 삽입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네임카드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측면 패널의 외측면이 중앙부가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의 형태로 되어 있어, 가로바가 측면 패널의 외측면에 밀착되므로 측면 패널의 외측면과 가로바 사이에 네임카드가 삽입될 때 네임카드는 쉽게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넷째, 네임카드는 측면 패널에 형성된 제1굴곡부의 곡면을 타고 삽입되며, 제1굴곡부와 제2굴곡부 부분에 찝혀지는 형태로 고정되므로 쉽게 빠지지 않고 고정이 이루어진다.
다섯째, 측면 패널의 하단을 따라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어, 측면 패널의 외측면과 가로바 사이에 삽입된 네임카드의 하단이 휘어지면서 아래방향으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로바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측면 패널과 가로바의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가로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은 도 1의 가로바의 장착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도 1의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에 네임카드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의 가로바가 일반적인 상자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를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도시한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는 측면 패널을 절첩할 수 있는 절첩식 상자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13과 같이 일반적인 상자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를 절첩식 상자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는 베이스 패널(110)과, 베이스 패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측면 패널(130,150)을 포함한다.
베이스 패널(110)은 운반 상자(100)의 바닥을 구성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형태이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패널(110)은 정사각형 형태도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측면 패널(130,150)은 베이스 패널(110)의 일단에 서로 마주보며 기립되는 제1패널과, 제1패널에 직각으로 이웃하며 기립되는 제2패널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패널(110)이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제1패널은 베이스 패널(110)의 길이가 짧은 양변에 기립되는 단측면 패널(130)이 되고, 제2패널은 베이스 패널(110)의 길이가 긴 양변이 기립되는 장측면 패널(150)이 되며, 실시예에 따라 제1패널이 장측면 패널(150)이 되고, 제2패널이 단측면 패널(130)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측면 패널(130)과 장측면 패널(150)의 하단은 베이스 패널(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절첩이 가능하다.
베이스 패널(110)에는, 길이가 긴 변을 따라 상부로 연장된 연장패널(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패널(111)에 장측면 패널(15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장측면 패널(150)은 양측면이 베이스 패널(110)의 모서리를 지나서 단측면 패널(130)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부(151)의 측면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핀부재(171)의 돌출된 일단이 삽입되는 락킹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단측면 패널(130)과 장측면 패널(150)의 상단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상단 돌출리브(131a, 151a)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단측면 패널(130)과 장측면 패널(150)의 하단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하단 돌출리브(131b, 151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측면 패널(130)과 장측면 패널(150)에 각각 형성된 상단 돌출리브(131a, 151a)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제1돌출리브(131c, 151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단측면 패널(130)과 장측면 패널(150)의 양측을 따라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양측 돌출리브(132a, 15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측면 패널(130)과 장측면 패널(150)에 각각 형성된 양측 돌출리브(132a, 152a)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제2돌출리브(132b, 15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돌출리브들은 대표적인 돌출리브만 설명하였으며, 돌출리브들 사이 사이에 돌출리브를 연결하는 돌출리브들이 추가적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돌출리브는 실시예에 따라 가감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장측면 패널(150)의 최하단을 따라 형성된 하단 돌출리브(151b)는 기립 시 연장패널(111)의 상면에 얹혀지고, 장측면 패널(150)은 연장패널(111)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단측면 패널(130)의 최하단을 따라 형성된 하단 돌출리브(131b)는 기립 시 베이스 패널(110)의 가장자리에 얹혀지고, 단측면 패널(130)은 베이스 패널(110)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단측면 패널(130)에 형성된 상단 돌출리브(131a)와 제1돌출리브(131c) 사이의 공간은 락킹수단이 장착되는 락킹수단 장착부(133)가 된다.
단측면 패널(130)의 기립 시 단측면 패널(130)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락킹수단은 핀부재(171)와 누름판부재(17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부재(171)의 끝단은 단측면 패널(130)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고, 돌출되어 장측면 패널(150)의 연장부(151)의 측면에 형성된 락킹홈에 삽입된다.
누름판부재(175)는 락킹수단 장착부(133)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누름판부재(175)를 눌러주면, 핀부재(171)의 끝단이 단측면 패널(13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락킹홈에서 삽입해제된다.
즉, 단측면 패널(130)이 기립 시 핀부재(171)는 탄성수단에 의해 끝단이 단측면 패널(1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락킹홈에 삽입되어 있고, 누름판부재(175)는 상부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단측면 패널(130)의 중앙에 위치한 누름판부재(175)를 눌러주면, 누름판부재(175)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핀부재(171)의 끝단이 단측면 패널(130)의 내측으로 동시에 이동하여 락킹홈에서 삽입해제된다.
단측면 패널(130)에 형성된 제1돌출리브(131c)와 하단 돌출리브(131b)와 양측의 제2돌출리브(132b)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가로바(200)가 장착되는 가로바 장착부(135)가 된다.
그리고 장측면 패널(150)에 형성된 제1돌출리브(151c)와 하단 돌출리브(151b)와 양측의 제2돌출리브(152b)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가로바(200)가 장착되는 가로바 장착부(155)가 된다.
한편, 가로바(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패널(130, 150)의 외측면에 가로로 길게 배치되고, 측면 패널(130, 150)에 형성된 가로바 장착부(135, 155)에 장착된다.
가로바 장착부(135, 155)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바(200)가 배치되는 부분을 따라 제1굴곡부(136, 156)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굴곡부(136, 156)의 세로로 자른 면인 종단면은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이고, 제1굴곡부(136, 156)의 중앙에서 양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굴곡부(136, 156)가 형성된 부분의 내측에는 홈(136a, 156a)이 형성되어 있어 제1굴곡부(136, 156)의 단면 두께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패널(130, 150)의 다른 부분의 단면 두께와 동일하다.
이러한 제1굴곡부(136, 156)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양단보다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곡면의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굴곡부(136, 156)의 가로로 자른 면인 횡단면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의 형태이다. 이러한 곡면은 곡률반경이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굴곡부(136, 156)의 양단보다 중앙부가 외측으로 더 볼록한 곡면의 형태로 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굴곡부(136, 156)가 가로바(200)를 외측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탄성을 가지는 가로바(200)가 제1굴곡부(136, 156)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1굴곡부(136, 156)와 가로바(200) 사이에 네임카드가 삽입될 때 가로바(200)가 제1굴곡부(136, 156)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있어 네임카드는 쉽게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측면 패널에는, 도 1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패널의 외측면과 가로바(200) 사이에 삽입된 네임카드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턱(137, 157)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돌출턱(137, 157)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바 장착부(135, 155)의 하단을 따라 네임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137a)을 두고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턱(137, 157)은 단측면 패널(130)과 장측면 패널(150)의 하단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하단 돌출리브(131b, 151b)로부터 네임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137a)만큼 거리를 두고 하단 돌출리브(131b, 151b)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돌출턱(137, 157)의 양측은, 도 1과 같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경사진 테이퍼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턱(137, 157)은 하단 돌출리브(131b, 151b)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가로바 장착부(135, 155)에 장착되는 가로바(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가로바(200)를 도 4 및 도 5에 도시하였다.
가로바(20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가로바(200)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되면, 네임카드에 표기된 정보를 가로바(200) 내에 네임카드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바(200)에는 제1굴곡부(136, 156)와 대응하는 제2굴곡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2굴곡부(210)의 세로로 자른 면인 종단면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이다. 이렇게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2굴곡부(210)의 내측면이 제1굴곡부(136, 156)의 외측면과 맞닿는다.
제2굴곡부(210)의 상단과 하단에는,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굴곡부(210)의 상단과 하단을 따라 제2굴곡부(210)로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측면 패널의 외측면과 멀어지도록 경사부(23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제2굴곡부(2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경사부(230)는 제2굴곡부(210)를 기준으로 서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제2굴곡부(210)와 상,하단의 경사부(230) 사이에는 제2굴곡부(210)와 경사부(230)를 부드럽게 이어주도록 라운드진 라운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2굴곡부(210)와, 제2굴곡부(210)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경사부(230)로 구성된 가로바(200)의 양측에는 측면 패널(130, 150)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25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장착부(25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장착부(251)와 제2장착부(255)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장착부(251)는 가로바(200)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로바(200)에 연결된 제1장착부(251)의 내측끝단에서 제1장착부(251)의 중앙까지는 제1장착부(251)의 중앙이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고, 제1장착부(251)의 중앙에서 제1장착부(251)의 외측 끝단까지는 측면 패널(130, 150)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장착부(255)는 제1장착부(251)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제2장착부(255)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단과 하단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된 연장리브(256)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리브(256)는 제2장착부(255)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있어, 연장리브(256)의 외측면은 제2장착부(255)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는 형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장착부(255)와 인접한 제1장착부(251)의 끝단에는 제1돌기 수용부(252)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돌기 수용부(252)는 제1장착부(251)의 측면으로 개방된 형상이다.
제1장착부(251)와 인접한 제2장착부(255)의 전방측에는, 제1돌기 수용부(252)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돌기 수용부(257)가 형성되어 있다. 제2돌기 수용부(257)는 제2장착부(255)의 전방으로 개방된 형상이다.
이러한 제1돌기 수용부(252)와 제2돌기 수용부(257)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서로 연통한다.
상기와 같이 제1장착부(251)와 제2장착부(255)를 포함하는 장착부(250)가 장착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패널(130)에는 제2돌출리브(132b)와 근접하도록 가로바 고정돌기(138)가 형성되어 있다. 가로바(200)의 양측을 고정하기 위한 가로바 고정돌기(138)는 측면 패널(13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가로바 고정돌기(138)는 고정부(138a)와 고정턱(138b)과 리브부(138c)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38a)는 측면 패널(130)에 고정되어 있는데 가로바(200)를 장착하고자 하는 위치의 높이에 고정되어 있고, 제2돌출리브(132b, 152b)와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턱(138b)은 고정부(138a)의 제2돌출리브(132b)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면에 돌출 형성되는데, 도 9와 같이 고정부(138a)의 전방측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부(138c)는 고정부(138a)의 고정턱(138b)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 면에 형성되고, 고정부(138a)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리브부(138c)의 외측면은 고정부(138a)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는 형태이다.
상기에서는 단측면 패널(130)에 가로바 고정돌기(138)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여지만, 장측면 패널(150)에도 가로바 고정돌기(138)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가로바(200)가 가로바 고정돌기(138)에 장착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로바(200)의 제2장착부(255)를 가로바 고정돌기(138)와 제2돌출리브(132b, 152b)의 사이의 공간에 밀어넣으면, 제2장착부(255)가 외측으로 볼록해지면서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끝까지 밀어넣으면 제2장착부(255)가 본연의 탄성 복원력을 통하여 제자리로 돌아오게 된다.
이때, 도 9와 같이 제2장착부(255)의 제2돌기 수용부(257)에는 고정턱(138b)이 수용되고, 제1장착부(251)의 제2돌기 수용부(257)에는 고정부(138a)의 일부분과 리브부(138c)의 일부분이 수용된다.
이렇게 가로바(200)가 가로바 고정돌기(138)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는 도 8과 같으며, 이때 제2장착부(255)의 연장리브(256)가 제2돌출리브(132b, 152b)와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리브(256)는 제2장착부(255)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있어, 제2장착부(255)의 전방측이 제2돌출리브(132b, 152b)와 맞닿은 상태이다.
이와 같이, 제2돌출리브(132b, 152b)와 맞닿은 연장리브(256)에 의해 가로바(200)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에 네임카드가 삽입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패널(130, 150)의 외측면과 가로바(200) 사이에는 네임카드(300)가 삽입된다.
이때, 측면 패널(130, 150)의 가로바(200)가 장착되는 가로바 장착부(135, 155)에 형성된 제1굴곡부(136, 156)의 횡단면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의 형태로 되어 있어, 가로바(200)가 제1굴곡부(136, 156)에 밀착되므로 네임카드(300)는 쉽게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종이 또는 스티커 재질로 된 네임카드(300)는 측면 패널(130, 150)에 형성된 제1굴곡부(136, 156)의 곡면을 타고 삽입되며, 제1굴곡부(136, 156)와 제2굴곡부(210) 부분에 찝혀지는 형태로 고정되므로 쉽게 빠지지 않고 고정이 이루어진다. 나아가, 측면 패널(130, 150)의 하단을 따라 돌출턱(137, 157)이 형성되어 있어, 측면 패널(130, 150)의 외측면과 가로바(200) 사이에 삽입된 네임카드(300)의 하단이 휘어지면서 아래방향으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네임카드(300)를 한 손으로 잡아서 측면 패널(130, 150)의 외측면과 가로바(200) 사이의 공간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쉽고 간단하게 네임카드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가로바(200)는 측면 패널(130, 150)에 가로로 길게 배치되어 있어, 네임카드의 크기에 상관없이 도 12와 같이 큰 사이즈의 네임카드(300a)도 삽입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네임카드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네임카드로 설명하였지만, 네임카드는 메모지, 명함, 라벨 등으로 종이, 스티커, 플라스틱 등 얇은 재질로 되어 정보가 표기된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로바(200)는 단측면 패널(130)과 장측면 패널(150)에 모두 장착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단측면 패널(130)과 장측면 패널(150) 중 어느 하나의 패널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네 개의 측면 패널 중 선택한 패널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 베이스 패널
130, 150 : 측면 패널
136, 156 : 제1굴곡부
137, 157 :돌출턱
200 : 가로바
210 : 제2굴곡부
230 : 경사부

Claims (6)

  1.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측면 패널;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면에 가로로 길게 배치되는 가로바;를 포함하되,
    상기 가로바가 배치된 상기 측면 패널에는,
    외측면에 상기 가로바가 배치되는 부분을 따라 제1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을 따라 상부로 돌출되어 네임카드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바에는,
    상기 제1굴곡부와 대응하는 제2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굴곡부의 상단과 하단을 따라 상기 제2굴곡부로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면과 멀어지도록 경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면과 상기 가로바 사이에 네임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29058A 2014-09-26 2014-09-26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 KR101625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058A KR101625051B1 (ko) 2014-09-26 2014-09-26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058A KR101625051B1 (ko) 2014-09-26 2014-09-26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879A KR20160036879A (ko) 2016-04-05
KR101625051B1 true KR101625051B1 (ko) 2016-05-27

Family

ID=5580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058A KR101625051B1 (ko) 2014-09-26 2014-09-26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0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7525A (ja) * 2003-07-31 2005-02-24 Dainippon Ink & Chem Inc カードホルダ付コンテナ
JP2005343514A (ja) * 2004-06-02 2005-12-15 Sanko Co Ltd スタッキングおよびネスティングが可能な容器のカード差し取付構造
KR101134310B1 (ko) * 2011-05-11 2012-04-13 (주)상아프론테크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7525A (ja) * 2003-07-31 2005-02-24 Dainippon Ink & Chem Inc カードホルダ付コンテナ
JP2005343514A (ja) * 2004-06-02 2005-12-15 Sanko Co Ltd スタッキングおよびネスティングが可能な容器のカード差し取付構造
KR101134310B1 (ko) * 2011-05-11 2012-04-13 (주)상아프론테크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879A (ko) 201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9697U (ja) 可変容積型コンテナ
TW201410493A (zh) 裝訂夾
KR101625051B1 (ko)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
KR200475185Y1 (ko) 파티션용 수납 걸이대
WO2017062880A1 (en) Broom holder
KR20110096657A (ko) 와인 포장용 케이스
KR101319158B1 (ko) 플라스틱 골판지 박스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라스틱 골판지 박스
JP5637814B2 (ja) 包装箱
KR101115577B1 (ko) 광고판 스탠드
KR200465430Y1 (ko) 수납형 상자 손잡이
TWM503147U (zh) 置物箱之結構改良(二)
KR101625055B1 (ko) 절첩식 상자
JP6156766B1 (ja) 物品スタンドになる箱
KR101619907B1 (ko) 종이 저금통
KR101579751B1 (ko) 절첩식 골판지 상자
KR20140132926A (ko) 보강대 일체형 선반
KR200461976Y1 (ko) 명함 수납함
KR102236327B1 (ko) 케이스
JP3118858U (ja) パック収納箱
CN215362301U (zh) 一种折叠式环保纸盒
JP3583316B2 (ja) バスケット
JP2009113829A (ja) ブリスターパック
KR101835972B1 (ko) 접이식 물건 거치대
JP3147809U (ja) 紙製カタログスタンド
KR101160592B1 (ko) 일체형 접이식 용기의 성형 조립방법과 그 접이식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