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310B1 -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 - Google Patents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310B1
KR101134310B1 KR1020110125662A KR20110125662A KR101134310B1 KR 101134310 B1 KR101134310 B1 KR 101134310B1 KR 1020110125662 A KR1020110125662 A KR 1020110125662A KR 20110125662 A KR20110125662 A KR 20110125662A KR 101134310 B1 KR101134310 B1 KR 101134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me card
card holder
plate
wafer
waf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이택
우병찬
Original Assignee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아프론테크 filed Critical (주)상아프론테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79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coupling elements, kinematic members, handles or elements to be externally gripp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86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close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는, 배면(12) 중앙부에 네임카드홀더(4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웨이퍼 박스(10)를 포함하는 웨이퍼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네임카드홀더(40)는,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볼록한 외형에 상응하게 만곡된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각 모서리의 외향에 상기 웨이퍼 박스(10)를 눕혔을 때 웨이퍼 박스를 수평상태로 받쳐주기 위한 레그부(460)가 형성되고, 상기 각 모서리의 내향에는 상기 레그부(460)와 일체로 되며,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과 점 접촉되는 받침부(470)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Name card holder equipped with a wafer carrier}
본 발명은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웨이퍼 캐리어의 곡 배면 상에 탈착 가능한 네임카드홀더가 설치되되, 이 네임카드홀더는 웨이퍼 박스의 배면이 바닥을 향하도록 눕혔을 때 웨이퍼 박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수단의 역할을 병행할 수 있다는 점, 네임카드홀더와 웨이퍼 박스의 배면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웨이퍼 박스의 스크레치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물질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 곡면형인 웨이퍼 캐리어의 배면 형태에 맞게 형합되도록 유연 구조를 갖는 점, 원재료를 최소한으로 사용하면서도 적정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율적 구조를 갖는 점, 응력집중 부위에 응력 분산을 위한 블랭크부를 형성함으로써 파단 문제를 해소한 점 등에 특징을 갖는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웨이퍼가 최종 전자 부품으로 처리되기 위해서는 많은 처리 단계가 요구된다. 웨이퍼는 고가이며, 매우 섬세하여 물리적인 충격 및 전기적인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성공적인 처리를 위해 극도의 청결함이 요구되며 미립자들 및 다른 오염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
그 결과, 웨이퍼의 처리, 취급 및 이송 중 사용하기 위한 특화된 용기 또는 캐리어가 웨이퍼의 처리, 취급 및 운송 중 사용을 위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캐리어는 그 내부에 수납되는 웨이퍼를 물리적 및 전기적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밀봉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 웨이퍼 캐리어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의하면, 종래 웨이퍼 캐리어는, 내부에 수 매의 웨이퍼(W)를 수납할 수 있도록 리테이너(11)가 설치된 전면 개방형의 웨이퍼 박스(10),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지지를 위해 웨이퍼 박스(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텀 플레이트(20) 및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전면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도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웨이퍼 캐리어의 일 표면에는, 웨이퍼 캐리어의 모델명, 사양 등 웨이퍼 캐리어의 기본정보를 기록한 네임카드(name card)가 부착될 수 있다.
통상, 네임카드를 부착할 때는 네임카드를 스티커 형태로 하여 부착하게 되는데, 네임카드를 일일이 부착하는 과정으로 인해 웨이퍼 캐리어의 공급작업이 지연될 수 있고, 네임카드를 새로이 부착하는 경우에는 먼저 부착되어 있던 네임카드를 뜯어내고 붙여야 하나 단단히 부착된 네임카드를 완전하게 뜯어내기 어렵고 뜯어내더라도 잔재가 남아서 외관이 지저분해지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일본특허공개 제2008-068888호(식별부품의 보관유지부재)에서는 ㄴ자형태의 네임카드홀더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위의 일본특허에서 제시된 네임카드홀더는 본 발명과는 달리 웨이퍼 박스의 배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눕혔을 때 받침대 기능을 할 수 있는 구조가 없으며, 이를 무시한 채 눕히게 되면 네임카드홀더가 웨이퍼 박스의 하부에 치우쳐 있는 관계로 기우뚱하게 눕혀져서 안정성이 떨어진다.
아울러, 일본특허는 네임카드홀더의 수직한 부분의 내면이 웨이퍼 박스의 배면에 면접되어 있어서 그 사이의 미세한 틈새로 이물질이 끼일 우려가 있고, 이로 인해 공정진행 중에 이물질이 탈락하여 청정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웨이퍼 제조공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일본특허는 네임카드홀더의 내면이 웨이퍼 박스의 배면과 면접촉되어 있어서 마찰면적이 크다. 따라서 이들의 마찰로 인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약한 부분이 갈려지면서 분말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분말은 이물질화되어 웨이퍼 제조공정에 악영향을 가져오게 됨은 물론 웨이퍼 박스의 배면이 갈리게 되면 스크레칭되므로 웨이퍼 박스에 흠집으로 남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네임카드홀더의 구조 개선을 통해서 웨이퍼 박스의 배면이 바닥을 향하도록 눕혔을 때 웨이퍼 박스를 안정적으로 받침할 수 있는 받침대 역할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부수적인 목적은, 네임카드홀더를 곡면형인 웨이퍼 캐리어의 배면 형태에 맞게 형합되도록 유연구조를 갖도록 한 점, 원재료를 최소화하면서도 적정의 강도를 가지는 점, 응력집중 부위에 응력 분산을 위한 블랭크부를 형성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시 네임카드홀더가 파단되는 문제를 해소한 점 등에 특징을 갖는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는, 배면(12) 중앙부에 네임카드홀더(4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웨이퍼 박스(10)를 포함하는 웨이퍼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네임카드홀더(40)는,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볼록한 외형에 상응하게 만곡된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각 모서리의 외향에 상기 웨이퍼 박스(10)를 눕혔을 때 웨이퍼 박스를 수평상태로 받쳐주기 위한 레그부(460)가 형성되고, 상기 각 모서리의 내향에는 상기 레그부(460)와 일체로 되며,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과 점 접촉되는 받침부(470)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각 받침부(470)는,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볼록한 배면(12)에 상응하도록 경사진 받침단면(471)을 가지며, 상기 받침단면(471) 상에는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과 점접촉되는 다수의 지지돌기(472)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임카드홀더(40)는,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과 나사(S) 체결할 수 있도록 외면 중앙부에 제1 체결리브(401)가 일체로 형성된 좌측면판(400); 상기 좌측면판(400)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과 나사(S) 체결할 수 있도록 외면 중앙부에 제2 체결리브(411)가 일체로 형성된 우측면판(410); 상기 좌측면판(400) 및 우측면판(410)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게 형성되며,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과 동일 곡률로 외향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되는 만곡면(421), 상기 만곡면(421)의 좌측단과 상기 좌측면판(400)의 내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1 평면(422), 상기 만곡면(421)의 우측단과 상기 우측면판(410)의 내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2 평면(422)으로 이루어져 네임카드(C)의 뒷면을 지지하는 후면판(420); 상기 만곡면(421)의 하단에 만곡면(421)과 동일 곡률로 만곡되게 형성된 만곡저면(431), 상기 만곡저면(431)의 좌측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좌측면판(400)의 하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좌측저면(432), 상기 만곡저면(431)의 우측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우측면판(410)의 하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우측저면(433)으로 이루어진 저면판(430); 상기 후면판(420)의 좌측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전방에 배치되며, 좌측단은 상기 좌측면판(400)과 일체로 되고 하단은 상기 저면판(430)의 좌측저면(432)과 일체로 되어 네임카드(C)의 전면 좌측을 지지하는 좌 전면판(440); 및 상기 후면판(420)의 우측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전방에 배치되며, 우측단은 상기 우측면판(410)과 일체로 되고 하단은 상기 저면판(430)의 우측저면(433)과 일체로 되어 네임카드(C)의 전면 우측을 지지하는 우 전면판(4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면판(420)의 만곡면(421) 중앙부에는 상부 개구형의 중앙 블랭크부(4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평면(422)의 상기 좌 전면판(440)과 대응하는 위치에 좌 블랭크부(425)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평면(423)의 상기 우 전면판(450)과 대응하는 위치에 우 블랭크부(4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좌측면판(400) 및 우측면판(410)에 각각 형성된 제1, 2 체결리브(401,411)의 중앙에는 전방삽입부(402,412)와 후방삽입부(403,413)가 격막(404,414)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되, 상기 격막(404,414)에는 나사(S)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404a,41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 좌측에는 상기 제1 체결리브(401)의 후방삽입부(403)에 삽입되며, 중앙에 암나사공(101)이 형성된 제1 체결돌부(100)가 형성되며;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 우측에는 상기 제2 체결리브(411)의 후방삽입부(413)에 삽입되며, 중앙에 암나사공(111)이 형성된 제2 체결돌부(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체결돌부(100) 및 제2 체결돌부(110)의 각 외곽에는, 제1, 2 체결돌부(100,110)의 각 외주면 일부를 둘러싸고 있는 반원통형상의 제1, 2 가이드부(120,1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네임카드홀더의 구조 개선을 통해 그 기능을 다양화 함으로써, 웨이퍼 박스의 배면이 바닥을 향하도록 눕혔을 때 웨이퍼 박스를 안정적으로 받침할 수 있는 받침대 역할을 병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며은 네임카드홀더의 본래 기능인 카드수납과 웨이퍼 박스를 지지하는 레그의 역할을 병행할 수 있어서 다양한 기능의 네임카드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임카드홀더와 웨이퍼 프레임 배면을 점 접촉되게 함으로써 이물질 끼임을 방지할 수 있고, 설사 이물질이 끼게 되더라도 지지돌기로 인해 네임카드홀더와 웨이퍼 프레임 배면과의 사이에 적정의 틈새를 가짐에 따라 세척수가 원활히 통과할 수 있어서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다. 즉, 세정성이 용이하다.
또한, 네임카드홀더와 웨이퍼 프레임의 접촉면이 축소됨에 따라 접촉마찰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어서 웨이퍼 박스에 스크레치가 발생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네임카드홀더는 곡면형인 웨이퍼 캐리어의 배면 형태에 맞는 형합 설치가 가능하도록 유연구조를 가짐에 따라, 다른 모델의 웨이퍼 캐리어의 배면에도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며, 유연구조를 가짐에 따라 쉽게 파단되지 않으므로 수명 연장에도 기여된다.
또한, 본 발명의 네임카드홀더는 최소한의 원재료로 최대 강도를 가짐으로써 원가절감에 따른 비용감쇠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네임카드홀더는 응력집중부위에 응력분산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응력집중으로 인한 파손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된다.
도 1은 종래 웨이퍼 캐리어의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임카드홀더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임카드홀더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캐리어는 다수의 웨이퍼(도 2에는 미도시)가 수납되는 전면 개방형의 웨이퍼 박스(10),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지지를 위해 웨이퍼 박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텀 플레이트(20) 및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전면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도어(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기존과 동일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웨이퍼 캐리어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네임카드홀더(40)를 더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두고 있으며, 상기 네임카드홀더(40)의 상세 구성 및 결합구조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명확하게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임카드홀더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임카드홀더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네임카드홀더(40)는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볼록한 외형에 상응하게 만곡된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좌측면판(400), 우측면판(410), 후면판(420), 저면판(430), 좌 전면판(440) 및 우 전면판(450)으로 구성된다.
좌측면판(400)은 네임카드홀더(40)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과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외면(外面) 중앙부에 제1 체결리브(401)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체결리브(401)는 중앙에 전방 삽입부(402)와 후방 삽입부(403)가 격막(404)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상기 격막(404)의 중앙에는 나사(S)가 관통할 수 있게 관통공(404a)이 형성된다.
우측면판(410)은 네임카드홀더(40)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판으로서, 상기 좌측면판(410)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우측면판(410)은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과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외면(外面) 중앙부에 제2 체결리브(411)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체결리브(411)는 중앙에 전방 삽입부(412)와 후방 삽입부(413)가 격막(414)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며, 상기 격막(414)의 중앙에는 나사(S)가 관통할 수 있게 관통공(414a)이 형성된다.
후면판(420)은 좌측면판(400)과 우측면판(410) 사이를 연결하게 형성되어 네임카드(C)의 뒷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후면판(420)은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과 동일 곡률로 외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만곡면(421)과, 상기 만곡면(421)의 좌측단과 상기 좌측면판(400)의 내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1 평면(422)과, 상기 만곡면(421)의 우측단과 상기 우측면판(410)의 내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2 평면(42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만곡면(421)의 중앙부에는 상부 개구형의 중앙 블랭크부(4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만곡면(421)은 중앙 블랭크부(424)가 형성됨이 없이 전면이 채워질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필요량 이상의 원재료가 소요되고, 유연구조를 가질 수 없게 되어 크기가 다른 여러 종류의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 형태에 맞게 밀착 설치가 어렵게 될 수 있으며, 무리하게 밀착 설치를 시행하다가 파단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중앙 블랭크부(424)가 형성될 경우 유연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밀착설치가 가능하므로 파단의 우려가 적다.
그리고, 상기 중앙 블랭크부(424)의 내측 좌,우 단부는 요철구조로 하여 강도 약화를 방지하였고, 이 요철구조들의 각 경계부위는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라운드 또는 모따기 처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면판(420)에서 제1 평면(422)의 상기 좌 전면판(440)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좌 블랭크부(425)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평면(423)의 상기 우 전면판(450)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우 블랭크부(4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 블랭크부(425,426)는 원소재 절감의 효과와, 상기 제1, 2 체결리브(401,411)를 나사조임에 의해 웨이퍼 박스(10)에 조립할 때 제1, 2 체결리브(401,411)의 주변부에서 발생되는 응력집중을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저면판(430)은 네임카드홀더(40)의 저면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저면판(430)은 상기 만곡면(421)의 하단에 만곡면과 동일 곡률로 만곡되게 형성된 만곡저면(431)과, 상기 만곡저면(431)의 좌측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좌측면판(400)의 하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좌측저면(432)과, 상기 만곡저면(431)의 우측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우측면판(410)의 하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우측저면(433)으로 이루어진다.
좌 전면판(440)은 네임카드홀더(40)의 전면 일부를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좌 전면판(440)은 상기 후면판(420)의 좌측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전방에 배치되며, 좌측단은 상기 좌측면판(400)과 일체로 되고 하단은 상기 저면판(430)의 좌측저면(432)과 일체로 되어, 좌 전면판(440)과 후면판(420)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SL)을 통해 삽입되는 네임카드(C)의 전면 좌측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좌 전면판(440)은 네임카드(C)의 전면 우측을 지지하면 족하므로 필요 이상 크게 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기 후면판(420)의 도면상 좌측면적보다 작게 하여도 큰 문제가 없으며, 오히려 소재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 전면판(450)은 네임카드홀더(40)의 전면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우 전면판(450)은 상기 후면판(420)의 우측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전방에 배치되며, 우측단은 상기 우측면판(410)과 일체로 되고 하단은 상기 저면판(430)의 우측저면(433)과 일체로 되어, 우 전면판(450)과 후면판(420)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SL)을 통해 삽입되는 네임카드(C)의 전면 우측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우 전면판(450)은 네임카드(C)의 전면 우측을 지지하면 족하므로 필요 이상 크게 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기 후면판(420)의 도면상 우측면적보다 작게 하여도 큰 문제가 없으며, 오히려 소재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네임카드홀더(40)는 각 모서리의 외향에 상기 웨이퍼 박스(10)를 눕혔을 때 웨이퍼 박스(10)를 수평상태로 받쳐주기 위한 레그부(460)가 형성된다. 따라서,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웨이퍼 박스(10)를 눕혀 놓았을 때 레그부(460)에 의해 수평상태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네임카드홀더(40)는 상기 각 모서리의 내향에 상기 레그부(460)와 일체로 되며,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과 점 접촉되는 받침부(47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 받침부(47)는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볼록한 배면(12)에 상응하도록 경사진 받침단면(471)을 가지며, 상기 받침단면(471) 상에는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과 점접촉되는 다수의 지지돌기(472)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따라서, 네임카드홀더(40)와 웨이퍼 박스(10)의 접촉면적의 축소로 접촉마찰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어서 웨이퍼 박스에 스크레치가 발생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지지돌기(472)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에는 네임카드홀더(40)를 체결하기 위한 상대 체결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즉,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 좌측에는 상기 제1 체결리브(401)의 후방삽입부(403)에 삽입되며, 중앙에 암나사공(101)이 형성된 제1 체결돌부(100)가 형성된다.
또한,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 우측에는 상기 제2 체결리브(411)의 후방삽입부(413)에 삽입되며, 중앙에 암나사공(111)이 형성된 제2 체결돌부(110)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체결돌부(100)의 외곽에는 제1 체결돌부(100)의 외주면 일부를 둘러싸고 있는 반원통형상의 제1 가이드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체결돌부(110)의 외곽에는 제2 체결돌부(110)의 외주면 일부를 둘러싸고 있는 반원통형상의 제2 가이드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2 가이드부(120,130)는 네임카드홀더(40)를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에 장착하고자 할 때 네임카드홀더(40)의 제1 체결리브(401) 및 제2 체결리브(411)를 가이드 해 줌으로써 이들이 결합될 위치를 결정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웨이퍼 박스 12 : 배면
40 : 네임카드홀더 100 : 제1 체결돌부
101 : 암나사공 110 : 제2 체결돌부
111 : 암나사공 120 : 제1 가이드부
130 : 제2 가이드부 400 : 좌측면판
401 : 제1 체결리브 402 : 전방 삽입부
403 : 후방 삽입부 404 : 격막
404a : 관통공 410 : 우측면판
411 : 제2 체결리브 412 : 전방 삽입부
413 : 후방 삽입부 414 : 격막
414a : 관통공 420 : 후면판
421 : 만곡면 422 : 제1 평면
423 : 제2 평면 424 : 중앙 블랭크부
425 : 좌 블랭크부 426 : 우 블랭크부
430 : 저면판 431 : 만곡저면
432 : 좌측저면 433 : 우측저면
440 : 좌 전면판 450 : 우 전면판
460 : 레그부 470 : 받침부
471 : 받침단면 472 : 지지돌기
C : 네임카드 S : 나사
SL : 슬롯

Claims (8)

  1. 배면(12) 중앙부에 네임카드홀더(4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웨이퍼 박스(10)를 포함하는 웨이퍼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네임카드홀더(40)는,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볼록한 외형에 상응하게 만곡된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각 모서리의 외향에 상기 웨이퍼 박스(10)를 눕혔을 때 웨이퍼 박스를 수평상태로 받쳐주기 위한 레그부(460)가 형성되고, 상기 각 모서리의 내향에는 상기 레그부(460)와 일체로 되며,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과 점 접촉되는 받침부(470)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받침부(470)는,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볼록한 배면(12)에 상응하도록 경사진 받침단면(471)을 가지며, 상기 받침단면(471) 상에는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과 점접촉되는 다수의 지지돌기(472)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임카드홀더(40)는,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과 나사(S) 체결할 수 있도록 외면 중앙부에 제1 체결리브(401)가 일체로 형성된 좌측면판(400);
    상기 좌측면판(400)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과 나사(S) 체결할 수 있도록 외면 중앙부에 제2 체결리브(411)가 일체로 형성된 우측면판(410);
    상기 좌측면판(400) 및 우측면판(410)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게 형성되며,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과 동일 곡률로 외향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되는 만곡면(421), 상기 만곡면(421)의 좌측단과 상기 좌측면판(400)의 내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1 평면(422), 상기 만곡면(421)의 우측단과 상기 우측면판(410)의 내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2 평면(422)으로 이루어져 네임카드(C)의 뒷면을 지지하는 후면판(420);
    상기 만곡면(421)의 하단에 만곡면(421)과 동일 곡률로 만곡되게 형성된 만곡저면(431), 상기 만곡저면(431)의 좌측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좌측면판(400)의 하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좌측저면(432), 상기 만곡저면(431)의 우측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우측면판(410)의 하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우측저면(433)으로 이루어진 저면판(430);
    상기 후면판(420)의 좌측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전방에 배치되며, 좌측단은 상기 좌측면판(400)과 일체로 되고 하단은 상기 저면판(430)의 좌측저면(432)과 일체로 되어 네임카드(C)의 전면 좌측을 지지하는 좌 전면판(440); 및
    상기 후면판(420)의 우측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전방에 배치되며, 우측단은 상기 우측면판(410)과 일체로 되고 하단은 상기 저면판(430)의 우측저면(433)과 일체로 되어 네임카드(C)의 전면 우측을 지지하는 우 전면판(4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420)의 만곡면(421) 중앙부에는 상부 개구형의 중앙 블랭크부(4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422)의 상기 좌 전면판(440)과 대응하는 위치에 좌 블랭크부(425)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평면(423)의 상기 우 전면판(450)과 대응하는 위치에 우 블랭크부(4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면판(400) 및 우측면판(410)에 각각 형성된 제1, 2 체결리브(401,411)의 중앙에는 전방삽입부(402,412)와 후방삽입부(403,413)가 격막(404,414)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되, 상기 격막(404,414)에는 나사(S)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404a,41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 좌측에는 상기 제1 체결리브(401)의 후방삽입부(403)에 삽입되며, 중앙에 암나사공(101)이 형성된 제1 체결돌부(100)가 형성되며;
    상기 웨이퍼 박스(10)의 배면(12) 우측에는 상기 제2 체결리브(411)의 후방삽입부(413)에 삽입되며, 중앙에 암나사공(111)이 형성된 제2 체결돌부(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돌부(100) 및 제2 체결돌부(110)의 각 외곽에는, 제1, 2 체결돌부(100,110)의 각 외주면 일부를 둘러싸고 있는 반원통형상의 제1, 2 가이드부(120,1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
KR1020110125662A 2011-05-11 2011-11-29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 KR101134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741 2011-05-11
KR20110043741 2011-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310B1 true KR101134310B1 (ko) 2012-04-13

Family

ID=4614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662A KR101134310B1 (ko) 2011-05-11 2011-11-29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051B1 (ko) * 2014-09-26 2016-05-27 엔피씨(주)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781U (ko) * 1990-06-20 1992-02-27
KR20050109529A (ko) * 2003-03-04 2005-11-21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정밀 기판 수납 용기
JP2008068888A (ja) 2006-09-13 2008-03-27 Shin Etsu Polymer Co Ltd 識別部品の保持部材及び基板収納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781U (ko) * 1990-06-20 1992-02-27
KR20050109529A (ko) * 2003-03-04 2005-11-21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정밀 기판 수납 용기
JP2008068888A (ja) 2006-09-13 2008-03-27 Shin Etsu Polymer Co Ltd 識別部品の保持部材及び基板収納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051B1 (ko) * 2014-09-26 2016-05-27 엔피씨(주) 네임카드꽂이를 구비한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076B1 (ko) 허용오차증가 적은 웨이퍼 캐리어
US20060285287A1 (en) Protecting apparatus for storage device
US20150180168A1 (en) Connector Assembly
KR20120006428A (ko) 기판수납용기
US20150201505A1 (en) Cover removal fixture
US10475680B2 (en) Wafer shipping box and a lower retaining member thereof
KR100731364B1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KR101134310B1 (ko) 네임카드홀더가 구비된 웨이퍼 캐리어
EP1043758A2 (en) Thin-plate accommodating and/or transporting container
TWI634062B (zh) Substrate storage container
KR101162034B1 (ko) 웨이퍼 캐리어
KR20130143192A (ko) 시트 걸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블록을 이용한 백라이트 장치 조립구조
US5583587A (en) Glasses with easily attachable nose pad device
CN103018960A (zh) 显示模组
KR102400758B1 (ko) 어패류용 상자
CN217946045U (zh) 晶圆包装盒及晶圆储运结构
US20110095664A1 (en) Computer enclosure with frame for disk drive
CN106847106B (zh) Led显示屏箱体模组灯板的护角装置
US8604344B2 (en) Cable clamp
KR101198025B1 (ko) 웨이퍼 캐리어
KR20100122257A (ko) 박스의 결합장치
US10317053B2 (en) Clamp for holding a flexible lighting unit
KR20160138732A (ko) 엘리베이터 도어판의 보호판 체결장치
JP7032784B2 (ja) 搬送器具
CN214986739U (zh) 一种简易式运输框架的顶杆端部卡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