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957B1 -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 - Google Patents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957B1
KR101250957B1 KR1020110131875A KR20110131875A KR101250957B1 KR 101250957 B1 KR101250957 B1 KR 101250957B1 KR 1020110131875 A KR1020110131875 A KR 1020110131875A KR 20110131875 A KR20110131875 A KR 20110131875A KR 101250957 B1 KR101250957 B1 KR 101250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pin
cover
pin
upper frame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배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10131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3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65D7/2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with all parts hing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조는, 틀 형태의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힌지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을 개폐하는 한 쌍의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각 커버간 서로 접하는 부분에 요부와 철부가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 폐쇄시 어느 일측 커버의 철부가 타측 커버의 요부 위에 겹쳐지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각 커버의 일측 모서리에는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락핀이 삽입되어 있는 락핀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핀 삽입부의 전면이 개방되어 있어, 상기 전면을 통하여 상기 락핀이 돌출 가능하며, 상기 락핀 삽입부에는 상기 락핀의 외측면이 노출되도록 조작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락핀 삽입부의 전면을 통하여 돌출된 상기 락핀이 삽입되는 락킹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구조에 따르면, 반영구적으로 커버의 잠금 또는 해제가 가능하고, 커버의 잠금 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Cover structure for a fold down box}
본 발명은 반영구적인 커버의 잠금 또는 해제가 가능하고, 커버의 잠금 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힌지수단의 조립부품이 간소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조립과정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이나 부품 등을 각각의 상자에 담아서 보관하거나 운반하여 사용하며, 상자 보관시에서 상자를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접철식 상자가 두루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철식 상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65587(2004.10.12,'접철식 상자')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철식 상자(100)는 크게 직사각형 형태의 바닥판(110)과, 이 바닥판(110)의 장변측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측판(120a,120b)과, 상기 바닥판(110)의 단변측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상의 제2측판(130a,130b)로 구성된다.
펼쳐진 상태의 상자(100)를 접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자(100)의 단변측 프레임(140a,140b) 및 손잡이부(170)를 손으로 잡은 다음 양측에 있는 제2측판(130a,130b)을 밀어주어 내측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1측판(120a,120b)은 중앙절개라인을 중심으로 상자의 내측방향으로 접혀지게 되어 상자의 접철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접철식 상자(100)는 커버를 라인 이동 및 차량적재 운송중 충격이나 전도 등에 의해 커버가 열려 내용물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와 프레임을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고, 여기에 일회용 씰링을 삽입하여 열리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일회용 씰링으로 커버를 고정함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이 어렵고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자를 적재하면, 외부에서 커버의 락킹 여부를 판단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커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구조는 조립 부품의 수량이 많아서 조립과정이 매우 번거로우며, 조립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힌지로 인하여 외관이 불량하며, 힌지의 유격이 심하고 연결부위가 매우 약하여 파손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반영구적인 커버의 잠금 또는 해제가 가능하고, 커버의 잠금 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힌지수단의 조립부품이 간소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조립과정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한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틀 형태의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힌지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을 개폐하는 한 쌍의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각 커버간 서로 접하는 부분에 요부와 철부가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 폐쇄시 어느 일측 커버의 철부가 타측 커버의 요부 위에 겹쳐지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각 커버의 일측 모서리에는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락핀이 삽입되어 있는 락핀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핀 삽입부의 전면이 개방되어 있어, 상기 전면을 통하여 상기 락핀이 돌출 가능하며, 상기 락핀 삽입부에는 상기 락핀의 외측면이 노출되도록 조작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락핀 삽입부의 전면을 통하여 돌출된 상기 락핀이 삽입되는 락킹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측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락핀 삽입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락킹홀은 상기 안착홈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락핀의 바닥면 외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핀 삽입부에는 상기 돌기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홀은 상기 락핀 삽입부의 외측면에서 상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손가락 삽입홈도 상기 조작홀을 따라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은, 상부핀과 하부핀이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 상부핀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버에 형성된 상측 쐐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측 쐐기부와, 상기 하부핀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형성된 하측 쐐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하측 쐐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측 쐐기 삽입부의 바닥면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측 쐐기 삽입부의 바닥면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락핀 삽입부에 삽입된 락핀의 돌출부가 돌출되어 락킹홀에 삽입됨으로써, 커버가 상부 프레임에 용이하게 결속되어 자동화 라인의 이동 및 차량적재시 운송중 충격이나 전도 등에 의해 커버가 열려 내용물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접철식 상자가 다단으로 적재되어 있을 경우에도 외부에서 커버의 잠금 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셋째, 조작홀이 외측면에서 상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손가락 삽입홈도 이에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어, 어느 방향에서나 용이하게 손가락 삽입홈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락핀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커버의 잠금 또는 해제가 더욱 편리하다.
넷째, 일회용이 아닌 반영구적으로 커버의 잠금 또는 해제가 가능하므로 편리하며,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다.
다섯째, 커버와 상부 프레임에 결합된 힌지수단의 외관이 우수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능성을 높일 수 있다.
여섯째, 힌지수단이 연결부와 상,하측 쐐기부의 두 종류의 부품만 사용되므로 조립부품이 간소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립과정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므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일곱째, 상측 쐐기부의 제1절개부에 의해 제1삽입부가 오므라 들면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여덟째, 제1삽입부의 개방된 하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부핀의 하부가 제1지지리브에 의해 지지되므로 조립성을 높이기 위한 유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상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상부 프레임 및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락핀 삽입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락핀 삽입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일측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도 1의 힌지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도 1의 힌지수단을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힌지수단이 커버 및 상부 프레임에 분해 또는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의 단측면 패널이 베이스 패널에 탈착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종래 접철식 상자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상자는 직사각형의 틀 형태인 상부 프레임(100)과, 상부 프레임(100)의 상면을 개폐하는 한 쌍의 커버(200a,200b)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장측면 패널(300)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단측면 패널(400)과, 바닥면을 이루는 직사각형의 판 형태인 베이스 패널(5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부 프레임(100)은 직사각형의 틀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에 배치되며, 한 쌍의 커버(200a,200b)와 한 쌍의 장측면 패널(300)과 한 쌍의 단측면 패널(400)이 힌지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커버(200a,200b)는 상부 프레임(100)에 힌지수단(2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상부 프레임(100)의 상면을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프레임(100)의 상면을 가로로 길게 두 부분으로 나누도록 전측 커버(200a)와 후측 커버(200b)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커버(200a,200b) 간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요부(201)와 철부(202)가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있어, 상부 프레임(100)의 상면 폐쇄시 어느 일측 커버(200a)의 철부(202)가 타측 커버(200b)의 요부(201) 위에 겹쳐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요부(201)는 커버(200a,200b)가 접하는 부분의 상면 내측으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철부(202)는 커버(200a,200b)가 접하는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어느 일측 커버(200a)의 돌출된 철부(202)가 타측 커버(200b)의 요부(201) 위에 안착된다.
이때, 철부(202)에는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체결돌기(203)가 형성되어 있고, 요부(201)에는 홈 형상의 체결홈(204)이 형성되어 있어, 철부(202)가 요부(201) 위에 안착될 때, 체결돌기(203)가 체결홈(204)에 삽입된다.
이러한 커버(200a,200b)의 어느 일측 모서리에는 락핀 삽입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프레임(100)에는 락핀 삽입부(210)가 안착되는 안착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핀 삽입부(21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이 내부 공간 내에는 락핀(220)이 일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락핀 삽입부(210)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어,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내부 공간 내에 마련된 락핀(220)이 돌출 가능하다.
이때, 안착홈(110)의 측벽에는 락킹홀(111)이 형성되어 있어, 돌출된 락핀(220)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락핀 삽입부(210)에는 락핀(220)의 외측면이 노출되도록 조작홀(211)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홀(211)이 안착홈(110)에 배치된 외측면에서 상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락핀 삽입부(210)에 삽입된 락핀(22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221)와 돌출부(22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221)는 조작홀(21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손가락 삽입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홀(211)이 외측면에서 상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 삽입홈(222)도 조작홀(211)을 따라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221) 바닥면의 외측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락핀 삽입부(210) 내에는 걸림돌기(223)가 수용되어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의 걸림홈(212)이 형성되어 있어, 락핀(220)의 돌출부(225)가 락핀 삽입부(210) 내에 삽입될 때는 어느 하나의 걸림홈(212)에 걸려 고정되고, 돌출부(225)가 돌출되어 락킹홀(111)에 삽입될 때는 나머지 하나의 걸림홈(212)에 걸려 고정된다.
돌출부(225)는 조작부(221)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부(221)의 일측 하부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하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225)는 락핀 삽입부(2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돌출되며, 락킹홀(111)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락핀 삽입부(210)는 커버(200a,200b)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 커버(200a)와 우측 커버(200b)의 서로 반대측에 락핀 삽입부(2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200a,200b)에 장착된 락핀(22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홀(21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손가락 삽입홈(222)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락핀(220)을 이동시킨다.
이렇게 락핀(220)을 이동시키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핀(220)의 돌출부(225)가 락핀 삽입부(2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돌출되어 락킹홀(111)에 삽입되어, 커버(200a,200b)가 상부 프레임(100)에 결속되는 커버 잠금 상태가 된다.
즉, 도 6의 (a)가 커버(200a,200b)의 잠금 해제 상태이며, 도 6의 (b)가 커버(200a,200b)의 잠금 상태이다.
이와 같이, 락핀 삽입부(210)에 삽입된 락핀(220)의 돌출부(225)가 돌출되어 락킹홀(111)에 삽입됨으로써, 커버(200a,200b)가 상부 프레임(100)에 용이하게 결속되어 자동화 라인의 이동 및 차량적재시 운송중 충격이나 전도 등에 의해 커버(200a,200b)가 열려 내용물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핀 삽입부(2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조작홀(211)을 통하여 노출되어 있는 락핀(220)의 손가락 삽입홈(222)이 어디에 배치되어 있는지 알 수 있으므로 접철식 상자가 다단으로 적재되어 있을 경우에도 외부에서 커버(200a,200b)의 잠금 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작홀(211)이 외측면에서 상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손가락 삽입홈(222)도 이에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어, 어느 방향에서나 용이하게 손가락 삽입홈(222)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락핀(220)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커버(200a,200b)의 잠금 또는 해제가 더욱 편리하다.
나아가, 일회용이 아닌 반영구적으로 커버(200a,200b)의 잠금 또는 해제가 가능하므로 편리하며,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다.
한편, 커버(200)가 상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수단(250)을 도 7 및 도 8에 도시하였다.
힌지수단(250)은 연결부(260)와 상측 쐐기부(270)와 하측 쐐기부(28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260)는 상부핀(262)과 하부핀(264)이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핀 형성부(261)와 하부핀 형성부(263)와 연결부(26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핀 형성부(261)는 상부핀(262)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핀 형성부(263)는 하부핀(264)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연결대(265)는 상부핀 형성부(261)와 하부핀 형성부(263)를 일자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대(265)의 내측에는 홈(265a)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대(265)를 경량화할 수 있고, 제조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부핀(26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 쐐기부(270)는 제1리브부(271)와 제1삽입부(272)와 제1절개부(27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리브부(271)는 상부핀 형성부(2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과,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제1삽입부(272)는 제1리브부(271)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부핀(26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면을 관통하며 제1핀 삽입공(27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삽입부(272)의 상,하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돌기(27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절개부(275)는 제1핀 삽입공(273)의 후방이 절개되어 형성된 부분이다.
하부핀(264)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 쐐기부(280)는 제2리브부(281)와 제2삽입부(282)와 제2절개부(28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리브부(281)는 하부핀 형성부(26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과,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제2삽입부(282)는 제2리브부(281)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하부핀(26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면을 관통하며 제2핀 삽입공(28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삽입부(282)의 상,하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기(28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285)절개부는 제2핀 삽입공(283)의 후방이 절개되어 형성된 부분이다.
이와 같이, 상측 쐐기부(270)와 하측 쐐기부(280)는 동일한 형상이며, 본 실시예에서 힌지수단(250)은 연결부(260)와 상,하측 쐐기부(270,280) 두 종류의 부품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힌지수단(25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부(260)의 상부핀 형성부(261)를 상측 쐐기부(270)의 제1삽입부(272)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삽입하면, 상부핀(262)이 제1핀 삽입공(273)에 삽입된다.
또한, 연결부(260)의 하부핀 형성부(263)를 하측 쐐기부(280)의 제2삽입부(282)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삽입하면, 하부핀(264)이 제2핀 삽입공(283)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부핀(262)은 상측 쐐기부(27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핀(264)은 하측 쐐기부(28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힌지수단(250)이 커버(200)와 상부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였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200)에는 상측 쐐기부(270)가 삽입되는 상측 쐐기 삽입부(290)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프레임(100)에는 상측 쐐기 삽입부(290)가 안착되는 삽입부 안착홈(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부 안착홈(130)의 하부에는 하측 쐐기부(280)가 삽입되는 하측 쐐기 삽입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쐐기 삽입부(290)에는 상측 쐐기부(270)의 제1고정돌기(274)가 삽입되는 제1고정홀(29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쐐기 삽입부(290)의 바닥면에는 상부로 돌출된 제1지지리브(292)가 형성되어 있다. 제1지지리브(292)는 상측 쐐기부(270)의 하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부핀(262)의 하부를 지지한다. 양측의 상부핀(262)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지지리브(292)는 상측 쐐기 삽입부(290) 바닥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측 쐐기 삽입부(120)에는 하측 쐐기부(280)의 제2고정돌기(284)가 삽입되는 제2고정홀(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 쐐기 삽입부(120)의 바닥면에는 상부로 돌출된 제2지지리브(122)가 형성되어 있다. 제2지지리브(122)는 하측 쐐기부(280)의 하부로 노출되어 있는 하부핀(264)의 하부를 지지한다. 양측의 하부핀(264)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2지지리브(122)는 하측 쐐기 삽입부(120) 바닥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측 쐐기 삽입부(290)에 상측 쐐기부(270)가 삽입되며, 하측 쐐기 삽입부(120)에 하측 쐐기부(280)가 삽입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쐐기부(270)의 제1절개부(275)에 의해 제1삽입부(272)가 오므라 들면서 커버(200)의 상측 쐐기 삽입부(290)에 삽입된다. 이때, 제1삽입부(272)의 상, 하면에 형성된 제1고정돌기(274)가 제1고정홀(291)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측 쐐기부(270)가 상측 쐐기 삽입부(290)에 결합된다. 이때,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삽입부(272)의 개방된 하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부핀(262)의 하부가 제1지지리브(292)에 의해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쐐기부(280)의 제2절개부(285)에 의해 제2삽입부(282)가 오므라 들면서 상부 프레임(100)의 하측 쐐기 삽입부(120)에 삽입된다. 이때, 제2삽입부(282)의 상, 하면에 형성된 제2고정돌기(284)가 제2고정홀(121)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하측 쐐기부(280)가 하측 쐐기 삽입부(120)에 결합된다. 이때,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삽입부(282)의 개방된 하부로 노출되어 있는 하부핀(264)의 하부가 제2지지리브(122)에 의해 지지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200)와 상부 프레임(100)에 결합된 힌지수단(25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의 상면 페쇄시에는 커버(200)의 상측 쐐기 안착부(290)가 상부 프레임(100)의 삽입부 안착홈(130)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커버(200)를 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쐐기 안착부(290)가 삽입부 안착홈(130)으로부터 이탈하면서, 상부핀(262)이 상측 쐐기부(270)의 제1삽입부(272) 내에서 회전하고, 하부핀(264)이 하측 쐐기부(280)의 제2삽입부(282) 내에서 회전하므로 커버(200)는 완전히 젖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힌지수단(250)이 연결부(260)와 상,하측 쐐기부(270,280)의 두 종류의 부품만 사용되므로 조립부품이 간소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립과정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므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힌지수단(250)의 외관이 우수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능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상측 쐐기부(270)의 제1절개부(275)에 의해 제1삽입부(272)가 오므라 들면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삽입부(272)의 개방된 하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부핀(262)의 하부가 제1지지리브(292)에 의해 지지되므로 조립성을 높이기 위한 유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단측면 패널(4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이 상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하단은 베이스 패널(50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단측면 패널(400)이 베이스 패널(500)에 탈착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 패널(500)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기에서 설명할 락킹부(452)가 고정될 수 있도록 락킹홈(510)이 형성되어 있다.
락킹홈(510)의 일측에는 락킹부(452)를 락킹홈(510)으로 가이드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된 가이드편(520)이 베이스 패널(5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패널(500)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단턱(530)이 형성되어 있고, 단턱(530)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유격방지 돌기(531)가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편(520)은 두 개의 돌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단측면 패널(400)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개방홀(410)이 형성되어 있다.
단측면 패널(400)의 내부에는 보조 패널(450)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측면 패널(400)의 내부에는 양측면을 가로지르며 지지대(420)가 마련되어 있고, 지지대(420)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의 연결대(421)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보조 패널(450)에는 텐션부(451)가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텐션부(451)는 양측에 두 개가 형성되어 있다.
텐션부(451)의 일단은 보조 패널(450)의 상면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이루고, 굴곡되어 타단은 자유단을 이룬다. 이 자유단은 연결대(421)에 고정되어 있다. 즉, 연결대(421)의 일단은 지지대(420)에 고정되고, 연결대(421)의 타단은 텐션부(451)의 자유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측면 패널(400)의 내부에서 보조 패널(450)이 상부로 이동하면, 텐션부(451)가 연결대(421)에 의해 눌러진다.
이러한 보조 패널(450)의 하부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측면 패널(400)의 개방홀(410)을 통하여 단측면 패널(400)의 하부로 돌출 가능하며 텐션을 가지는 락킹부(4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락킹부(452)는 경사지게 마련된 가이드편(520)에 의해 가이드되기 용이하도록 가이드편(520)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측면 패널(400)의 외측면에는 손잡이 노출홀(440)이 형성되어 있고, 보조 패널(450)에는 손잡이 노출홀(44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453)가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453)의 상단에는 보조 패널(450)의 상부 이동시 손잡이 노출홀(440)의 상측벽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454)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단측면 패널(400)의 외측면 하부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격방지 돌기(531)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홈(430)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측면 패널(400)의 탈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철식 상자의 사용시 베이스 패널(500)의 내측으로 접혀진 단측면 패널(400)을 외측으로 펼치면,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패널(450)의 락킹부(452)가 가이드편(520)을 따라 부드럽게 올라가며 락킹부(452)가 오므라지다가,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킹부(452)가 락킹홈(510)에 걸려 고정된다.
이때, 단측면 패널(400)의 외측면 하부는 베이스 패널(500)의 단턱(530)과 맞닿으며,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측면 패널(400)의 돌기 수용홈(430)에 유격방지 돌기(531)가 수용됨으로써, 베이스 패널(500)과 단측면 패널(400)이 상하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접철식 상자의 보관시 단측면 패널(400)을 베이스 패널(500)의 내측으로 접을 경우에는 단측면 패널(400)의 손잡이 노출홀(440)을 통하여 노출되어 있는 보조 패널(450)의 손잡이부(453)를 상부로 잡아당기면, 락킹홈(510)에 수용되어 있던 락킹부(452)가 결합 해제되면서 가이드편(520)을 따라 내려오므로 단측면 패널(400)을 베이스 패널(50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락킹부(452)와 락킹홈(510)의 결합 해제시 한손으로 손잡이부(453)를 상부로 잡아당겨 단측면 패널(400)을 내측으로 접기만 하면 되므로 결합 해제가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락킹부(452)와 락킹홈(510)의 결합에 의해 단측면 패널(400)을 베이스 패널(50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므로 충격을 가하지 않은 결합으로 인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증대되어 경제적이다.
나아가, 단측면 패널(400)과 베이스 패널(500)의 결합시 단측면 패널(400)의 돌기 수용홈(430)에 베이스 패널(500)의 유격방지 돌기(531)가 수용됨으로써, 단측면 패널(400)과 베이스 패널(500)이 상하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장측면 패널(3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패널(300a,300b)로 나누어져 서로 힌지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베이스 패널(500)의 내측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부 패널(300a)과 하부 패널(300a)는 펴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수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접철식 상자의 보관시에는 한 쌍의 단측면 패널(400)을 베이스 패널(500)으로부터 결합 해제하여 각각 내측으로 접고, 장측면 패널(300)의 상,하부 패널(300a,300b)을 접철시키면, 수평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베이스 패널(500)과 상부 프레임(100)이 맞닿게 되고, 베이스 패널(500)과 상부 프레임(100) 내에 단측면 패널(400)과 장측면 패널(300)이 모두 접혀 접철식 상자가 수평한 상태가 되므로 접철식 상자는 최소한의 공간만 차지하여 보관이 용이한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접철식 상자의 사용시에 상부 프레임(100)을 들어 올리면, 장측면 패널(300)의 상,하부 패널(300a,300b)이 상부 프레임(100)을 따라 올라가면서 펴지고, 결국 베이스 패널(500)에 수직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단측면 패널(400)을 외측으로 밀면 락킹부(452)가 락킹홈(510)에 걸려 고정되고, 이에 단측면 패널(400)이 베이스 패널(500)에 결합되어 수직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매우 간편하게 접철식 상자의 조립이 완료되어 내부에 물품이나 부품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조립된 접철식 상자를 들어 이동시키는 경우 단측면 패널(400)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홈(460)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용이하게 들어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상부 프레임 110 : 안착홈
111 : 락킹홀 120 : 하측 쐐기 삽입부
121 : 제2고정홀 122 : 제2지지리브
130 : 삽입부 안착홈 200, 200a, 200b : 커버
201 : 요부 202 : 철부
203 : 체결돌기 204 : 체결홈
210 : 락핀 삽입부 211 : 조작홀
212 : 걸림홈 220 : 락핀
221 : 조작부 222 : 손가락 삽입홈
223 : 걸림돌기 225 : 돌출부
250 : 힌지수단 260 : 연결부
261 : 상부핀 형성부 262 : 상부핀
263 : 하부핀 형성부 264 : 하부핀
265 : 연결대 270 : 상측 쐐기부
271 : 제1리브부 272 : 제1삽입부
273 : 제1핀 삽입공 274 : 제1고정돌기
275 : 제1절개부 280 : 하측 쐐기부
281 : 제2리브부 282 : 제2삽입부
283 : 제2핀 삽입공 284 : 제2고정돌기
285 : 제2절개부 290 : 상측 쐐기 삽입부
291 : 제1고정홀 292 : 제1지지리브
300, 300a, 300b : 장측면 패널 400 : 단측면 패널
410 : 개방홀 420 : 지지대
421 : 연결대 430 : 돌기 수용홈
440 : 손잡이 노출홀 450 : 보조 패널
451 : 텐션부 453 : 손잡이부
454 : 걸림턱 452 : 락킹부
500 : 베이스 패널 510 : 락킹홈
520 : 가이드편 530 : 단턱
531 : 유격방지 돌기

Claims (6)

  1. 틀 형태의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힌지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을 개폐하는 한 쌍의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각 커버간 서로 접하는 부분에 요부와 철부가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 폐쇄시 어느 일측 커버의 철부가 타측 커버의 요부 위에 겹쳐지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각 커버의 일측 모서리에는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락핀이 삽입되어 있는 락핀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핀 삽입부의 전면이 개방되어 있어, 상기 전면을 통하여 상기 락핀이 돌출 가능하며,
    상기 락핀 삽입부에는 상기 락핀의 외측면이 노출되도록 조작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락핀 삽입부의 전면을 통하여 돌출된 상기 락핀이 삽입되는 락킹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락핀 삽입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락킹홀은 상기 안착홈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핀의 바닥면 외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핀 삽입부에는 상기 돌기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홀은 상기 락핀 삽입부의 외측면에서 상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락핀에 형성되는 손가락 삽입홈이 상기 조작홀을 따라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은,
    상부핀과 하부핀이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 상부핀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버에 형성된 상측 쐐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측 쐐기부와,
    상기 하부핀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형성된 하측 쐐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하측 쐐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쐐기 삽입부의 바닥면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측 쐐기 삽입부의 바닥면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
KR1020110131875A 2011-12-09 2011-12-09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 KR101250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875A KR101250957B1 (ko) 2011-12-09 2011-12-09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875A KR101250957B1 (ko) 2011-12-09 2011-12-09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319A Division KR101698127B1 (ko) 2012-02-09 2012-02-09 절첩식 상자의 커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957B1 true KR101250957B1 (ko) 2013-04-04

Family

ID=4844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875A KR101250957B1 (ko) 2011-12-09 2011-12-09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9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055B1 (ko) * 2014-11-14 2016-05-27 엔피씨(주) 절첩식 상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8773A (ja) 1998-12-07 2000-06-20 Gifu Plast Ind Co Ltd 蓋付き折り畳みコンテナ
JP2006160315A (ja) 2004-12-08 2006-06-22 Sanko Co Ltd 蓋付き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2009090988A (ja) 2007-10-04 2009-04-30 Sanko Co Ltd 折り畳みコンテナ
KR200452223Y1 (ko) 2008-11-28 2011-02-14 주식회사골드라인 접이형 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8773A (ja) 1998-12-07 2000-06-20 Gifu Plast Ind Co Ltd 蓋付き折り畳みコンテナ
JP2006160315A (ja) 2004-12-08 2006-06-22 Sanko Co Ltd 蓋付き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2009090988A (ja) 2007-10-04 2009-04-30 Sanko Co Ltd 折り畳みコンテナ
KR200452223Y1 (ko) 2008-11-28 2011-02-14 주식회사골드라인 접이형 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055B1 (ko) * 2014-11-14 2016-05-27 엔피씨(주) 절첩식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9617B2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
JP5317189B2 (ja) フラップ付きコンテナ
KR101250958B1 (ko)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
KR101250957B1 (ko)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
KR20130065563A (ko) 절첩식 상자의 커버 구조
KR20130091947A (ko) 절첩식 운반 상자
KR101358789B1 (ko) 절첩식 운반 상자
JP2000255563A (ja) 折り畳み式運搬用容器
JP2002068187A (ja) ボックスパレット
JP5291580B2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
JP6258153B2 (ja) 折畳み容器
CN210634917U (zh) 折叠箱
JP2008074496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3766606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H11147526A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5711053B2 (ja) 箱型容器
JP3206309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JP6258152B2 (ja) 折畳み容器
CN219668751U (zh) 储物盒用锁扣机构及储物盒组合
JP2007076656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KR200378562Y1 (ko) 뚜껑이 구비된 절첩식 상자
JP6266470B2 (ja) 折畳み容器
JP2019123520A (ja) 折畳コンテナ
KR20030039399A (ko) 파렛트용 지지틀
KR102161496B1 (ko) 접이식 다용도 수납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