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958B1 -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 - Google Patents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958B1
KR101250958B1 KR1020110131885A KR20110131885A KR101250958B1 KR 101250958 B1 KR101250958 B1 KR 101250958B1 KR 1020110131885 A KR1020110131885 A KR 1020110131885A KR 20110131885 A KR20110131885 A KR 20110131885A KR 101250958 B1 KR101250958 B1 KR 101250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ide panel
locking
folding box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배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10131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65D7/2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with all parts hing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3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조는, 틀 형태의 상부 프레임; 판 형태의 베이스 패널; 상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 패널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측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측면 패널에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 패널의 내부에는 보조 패널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보조 패널의 하부에는 상기 개방홀을 통하여 상기 측면 패널의 하부로 돌출 가능하며 텐션을 가지는 락킹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패널에는 상기 락킹부가 고정되도록 락킹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구조에 따르면, 충격을 가하지 않은 결합으로 인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증대되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고, 결합 해제가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Replacing structure of side panel for a fold down box}
본 발명은 베이스 패널로부터 측면 패널을 결합 또는 해제하기 위한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이나 부품 등을 각각의 상자에 담아서 보관하거나 운반하여 사용하며, 상자 보관시에서 상자를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접철식 상자가 두루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철식 상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65587(2004.10.12,'접철식 상자')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철식 상자(100)는 크게 직사각형 형태의 바닥판(110)과, 이 바닥판(110)의 장변측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측판(120a,120b)과, 상기 바닥판(110)의 단변측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상의 제2측판(130a,130b)로 구성된다.
펼쳐진 상태의 상자(100)를 접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자(100)의 단변측 프레임(140a,140b) 및 손잡이부(170)를 손으로 잡은 다음 양측에 있는 제2측판(130a,130b)을 밀어주어 내측으로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1측판(120a,120b)은 중앙절개라인을 중심으로 상자의 내측방향으로 접혀지게 되어 상자의 접철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접철식 상자(100)는 제2측판(130a,130b)을 고정시키거나 접철한 경우 고정시키는 부위에 충격을 가해서 변형을 유도해야 하므로 지나친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일어난다.
또한, 한쪽의 제2측판(130a,130b)을 접을 경우에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충격을 가하지 않은 결합으로 인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증대되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고, 결합 해제가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틀 형태의 상부 프레임; 판 형태의 베이스 패널; 상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 패널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측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측면 패널에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 패널의 내부에는 보조 패널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보조 패널의 하부에는 상기 개방홀을 통하여 상기 측면 패널의 하부로 돌출 가능하며 텐션을 가지는 락킹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패널에는 상기 락킹부가 고정되도록 락킹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락킹홈의 일측에는 상기 락킹부를 상기 락킹홈으로 가이드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된 가이드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연장된 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턱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유격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면 하부에는 상기 유격방지 돌기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면에는 손잡이 노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패널에는 상기 손잡이 노출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텐션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텐션부의 일단은 상기 보조 패널의 상면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이루고, 굴곡되어 타단은 자유단을 이루며, 상기 측면 패널의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측면 패널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텐션부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연결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락킹부와 락킹홈의 결합에 의해 단측면 패널을 베이스 패널로부터 탈착 가능하므로 충격을 가하지 않은 결합으로 인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증대되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단측면 패널과 베이스 패널의 결합시 단측면 패널의 돌기 수용홈에 베이스 패널의 유격방지 돌기가 수용됨으로써, 단측면 패널과 베이스 패널이 상하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락킹부와 락킹홈의 결합 해제시 한손으로 손잡이부를 상부로 잡아당겨 단측면 패널을 내측으로 접기만 하면 되므로 결합 해제가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상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상부 프레임 및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락핀 삽입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락핀 삽입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일측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도 1의 힌지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도 1의 힌지수단을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힌지수단이 커버 및 상부 프레임에 분해 또는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의 단측면 패널이 베이스 패널에 탈착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종래 접철식 상자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상자는 직사각형의 틀 형태인 상부 프레임(100)과, 상부 프레임(100)의 상면을 개폐하는 한 쌍의 커버(200a,200b)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장측면 패널(300)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단측면 패널(400)과, 바닥면을 이루는 직사각형의 판 형태인 베이스 패널(5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부 프레임(100)은 직사각형의 틀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에 배치되며, 한 쌍의 커버(200a,200b)와 한 쌍의 장측면 패널(300)과 한 쌍의 단측면 패널(400)이 힌지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커버(200a,200b)는 상부 프레임(100)에 힌지수단(2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상부 프레임(100)의 상면을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프레임(100)의 상면을 가로로 길게 두 부분으로 나누도록 전측 커버(200a)와 후측 커버(200b)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커버(200a,200b) 간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요부(201)와 철부(202)가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있어, 상부 프레임(100)의 상면 폐쇄시 어느 일측 커버(200a)의 철부(202)가 타측 커버(200b)의 요부(201) 위에 겹쳐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요부(201)는 커버(200a,200b)가 접하는 부분의 상면 내측으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철부(202)는 커버(200a,200b)가 접하는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어느 일측 커버(200a)의 돌출된 철부(202)가 타측 커버(200b)의 요부(201) 위에 안착된다.
이때, 철부(202)에는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체결돌기(203)가 형성되어 있고, 요부(201)에는 홈 형상의 체결홈(204)이 형성되어 있어, 철부(202)가 요부(201) 위에 안착될 때, 체결돌기(203)가 체결홈(204)에 삽입된다.
이러한 커버(200a,200b)의 어느 일측 모서리에는 락핀 삽입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프레임(100)에는 락핀 삽입부(210)가 안착되는 안착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핀 삽입부(21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이 내부 공간 내에는 락핀(220)이 일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락핀 삽입부(210)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어,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내부 공간 내에 마련된 락핀(220)이 돌출 가능하다.
이때, 안착홈(110)의 측벽에는 락킹홀(111)이 형성되어 있어, 돌출된 락핀(220)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락핀 삽입부(210)에는 락핀(220)의 외측면이 노출되도록 조작홀(211)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홀(211)이 안착홈(110)에 배치된 외측면에서 상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락핀 삽입부(210)에 삽입된 락핀(22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221)와 돌출부(22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221)는 조작홀(21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손가락 삽입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홀(211)이 외측면에서 상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 삽입홈(222)도 조작홀(211)을 따라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221) 바닥면의 외측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락핀 삽입부(210) 내에는 걸림돌기(223)가 수용되어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의 걸림홈(212)이 형성되어 있어, 락핀(220)의 돌출부(225)가 락핀 삽입부(210) 내에 삽입될 때는 어느 하나의 걸림홈(212)에 걸려 고정되고, 돌출부(225)가 돌출되어 락킹홀(111)에 삽입될 때는 나머지 하나의 걸림홈(212)에 걸려 고정된다.
돌출부(225)는 조작부(221)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부(221)의 일측 하부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하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225)는 락핀 삽입부(2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돌출되며, 락킹홀(111)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락핀 삽입부(210)는 커버(200a,200b)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 커버(200a)와 우측 커버(200b)의 서로 반대측에 락핀 삽입부(2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200a,200b)에 장착된 락핀(22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홀(21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손가락 삽입홈(222)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락핀(220)을 이동시킨다.
이렇게 락핀(220)을 이동시키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핀(220)의 돌출부(225)가 락핀 삽입부(2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돌출되어 락킹홀(111)에 삽입되어, 커버(200a,200b)가 상부 프레임(100)에 결속되는 커버 잠금 상태가 된다.
즉, 도 6의 (a)가 커버(200a,200b)의 잠금 해제 상태이며, 도 6의 (b)가 커버(200a,200b)의 잠금 상태이다.
이와 같이, 락핀 삽입부(210)에 삽입된 락핀(220)의 돌출부(225)가 돌출되어 락킹홀(111)에 삽입됨으로써, 커버(200a,200b)가 상부 프레임(100)에 용이하게 결속되어 자동화 라인의 이동 및 차량적재시 운송중 충격이나 전도 등에 의해 커버(200a,200b)가 열려 내용물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핀 삽입부(2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조작홀(211)을 통하여 노출되어 있는 락핀(220)의 손가락 삽입홈(222)이 어디에 배치되어 있는지 알 수 있으므로 접철식 상자가 다단으로 적재되어 있을 경우에도 외부에서 커버(200a,200b)의 잠금 유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작홀(211)이 외측면에서 상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손가락 삽입홈(222)도 이에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어, 어느 방향에서나 용이하게 손가락 삽입홈(222)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락핀(220)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커버(200a,200b)의 잠금 또는 해제가 더욱 편리하다.
나아가, 일회용이 아닌 반영구적으로 커버(200a,200b)의 잠금 또는 해제가 가능하므로 편리하며,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다.
한편, 커버(200)가 상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수단(250)을 도 7 및 도 8에 도시하였다.
힌지수단(250)은 연결부(260)와 상측 쐐기부(270)와 하측 쐐기부(28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260)는 상부핀(262)과 하부핀(264)이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핀 형성부(261)와 하부핀 형성부(263)와 연결부(26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핀 형성부(261)는 상부핀(262)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핀 형성부(263)는 하부핀(264)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연결대(265)는 상부핀 형성부(261)와 하부핀 형성부(263)를 일자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대(265)의 내측에는 홈(265a)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대(265)를 경량화할 수 있고, 제조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부핀(26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 쐐기부(270)는 제1리브부(271)와 제1삽입부(272)와 제1절개부(27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리브부(271)는 상부핀 형성부(2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과,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제1삽입부(272)는 제1리브부(271)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부핀(26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면을 관통하며 제1핀 삽입공(27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삽입부(272)의 상,하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돌기(27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절개부(275)는 제1핀 삽입공(273)의 후방이 절개되어 형성된 부분이다.
하부핀(264)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 쐐기부(280)는 제2리브부(281)와 제2삽입부(282)와 제2절개부(28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리브부(281)는 하부핀 형성부(26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과,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제2삽입부(282)는 제2리브부(281)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하부핀(26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면을 관통하며 제2핀 삽입공(28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삽입부(282)의 상,하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기(28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285)절개부는 제2핀 삽입공(283)의 후방이 절개되어 형성된 부분이다.
이와 같이, 상측 쐐기부(270)와 하측 쐐기부(280)는 동일한 형상이며, 본 실시예에서 힌지수단(250)은 연결부(260)와 상,하측 쐐기부(270,280) 두 종류의 부품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힌지수단(25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부(260)의 상부핀 형성부(261)를 상측 쐐기부(270)의 제1삽입부(272)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삽입하면, 상부핀(262)이 제1핀 삽입공(273)에 삽입된다.
또한, 연결부(260)의 하부핀 형성부(263)를 하측 쐐기부(280)의 제2삽입부(282)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삽입하면, 하부핀(264)이 제2핀 삽입공(283)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부핀(262)은 상측 쐐기부(27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핀(264)은 하측 쐐기부(28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힌지수단(250)이 커버(200)와 상부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였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200)에는 상측 쐐기부(270)가 삽입되는 상측 쐐기 삽입부(290)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프레임(100)에는 상측 쐐기 삽입부(290)가 안착되는 삽입부 안착홈(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부 안착홈(130)의 하부에는 하측 쐐기부(280)가 삽입되는 하측 쐐기 삽입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쐐기 삽입부(290)에는 상측 쐐기부(270)의 제1고정돌기(274)가 삽입되는 제1고정홀(29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쐐기 삽입부(290)의 바닥면에는 상부로 돌출된 제1지지리브(292)가 형성되어 있다. 제1지지리브(292)는 상측 쐐기부(270)의 하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부핀(262)의 하부를 지지한다. 양측의 상부핀(262)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지지리브(292)는 상측 쐐기 삽입부(290) 바닥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측 쐐기 삽입부(120)에는 하측 쐐기부(280)의 제2고정돌기(284)가 삽입되는 제2고정홀(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 쐐기 삽입부(120)의 바닥면에는 상부로 돌출된 제2지지리브(122)가 형성되어 있다. 제2지지리브(122)는 하측 쐐기부(280)의 하부로 노출되어 있는 하부핀(264)의 하부를 지지한다. 양측의 하부핀(264)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2지지리브(122)는 하측 쐐기 삽입부(120) 바닥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측 쐐기 삽입부(290)에 상측 쐐기부(270)가 삽입되며, 하측 쐐기 삽입부(120)에 하측 쐐기부(280)가 삽입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쐐기부(270)의 제1절개부(275)에 의해 제1삽입부(272)가 오므라 들면서 커버(200)의 상측 쐐기 삽입부(290)에 삽입된다. 이때, 제1삽입부(272)의 상, 하면에 형성된 제1고정돌기(274)가 제1고정홀(291)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측 쐐기부(270)가 상측 쐐기 삽입부(290)에 결합된다. 이때,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삽입부(272)의 개방된 하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부핀(262)의 하부가 제1지지리브(292)에 의해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쐐기부(280)의 제2절개부(285)에 의해 제2삽입부(282)가 오므라 들면서 상부 프레임(100)의 하측 쐐기 삽입부(120)에 삽입된다. 이때, 제2삽입부(282)의 상, 하면에 형성된 제2고정돌기(284)가 제2고정홀(121)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하측 쐐기부(280)가 하측 쐐기 삽입부(120)에 결합된다. 이때,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삽입부(282)의 개방된 하부로 노출되어 있는 하부핀(264)의 하부가 제2지지리브(122)에 의해 지지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200)와 상부 프레임(100)에 결합된 힌지수단(25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의 상면 페쇄시에는 커버(200)의 상측 쐐기 안착부(290)가 상부 프레임(100)의 삽입부 안착홈(130)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커버(200)를 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쐐기 안착부(290)가 삽입부 안착홈(130)으로부터 이탈하면서, 상부핀(262)이 상측 쐐기부(270)의 제1삽입부(272) 내에서 회전하고, 하부핀(264)이 하측 쐐기부(280)의 제2삽입부(282) 내에서 회전하므로 커버(200)는 완전히 젖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힌지수단(250)이 연결부(260)와 상,하측 쐐기부(270,280)의 두 종류의 부품만 사용되므로 조립부품이 간소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립과정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므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힌지수단(250)의 외관이 우수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능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상측 쐐기부(270)의 제1절개부(275)에 의해 제1삽입부(272)가 오므라 들면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삽입부(272)의 개방된 하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부핀(262)의 하부가 제1지지리브(292)에 의해 지지되므로 조립성을 높이기 위한 유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단측면 패널(4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이 상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하단은 베이스 패널(50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단측면 패널(400)이 베이스 패널(500)에 탈착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 패널(500)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기에서 설명할 락킹부(452)가 고정될 수 있도록 락킹홈(510)이 형성되어 있다.
락킹홈(510)의 일측에는 락킹부(452)를 락킹홈(510)으로 가이드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된 가이드편(520)이 베이스 패널(5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패널(500)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단턱(530)이 형성되어 있고, 단턱(530)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유격방지 돌기(531)가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편(520)은 두 개의 돌기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단측면 패널(400)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개방홀(410)이 형성되어 있다.
단측면 패널(400)의 내부에는 보조 패널(450)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측면 패널(400)의 내부에는 양측면을 가로지르며 지지대(420)가 마련되어 있고, 지지대(420)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의 연결대(421)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보조 패널(450)에는 텐션부(451)가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텐션부(451)는 양측에 두 개가 형성되어 있다.
텐션부(451)의 일단은 보조 패널(450)의 상면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이루고, 굴곡되어 타단은 자유단을 이룬다. 이 자유단은 연결대(421)에 고정되어 있다. 즉, 연결대(421)의 일단은 지지대(420)에 고정되고, 연결대(421)의 타단은 텐션부(451)의 자유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측면 패널(400)의 내부에서 보조 패널(450)이 상부로 이동하면, 텐션부(451)가 연결대(421)에 의해 눌러진다.
이러한 보조 패널(450)의 하부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측면 패널(400)의 개방홀(410)을 통하여 단측면 패널(400)의 하부로 돌출 가능하며 텐션을 가지는 락킹부(4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락킹부(452)는 경사지게 마련된 가이드편(520)에 의해 가이드되기 용이하도록 가이드편(520)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측면 패널(400)의 외측면에는 손잡이 노출홀(440)이 형성되어 있고, 보조 패널(450)에는 손잡이 노출홀(44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453)가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453)의 상단에는 보조 패널(450)의 상부 이동시 손잡이 노출홀(440)의 상측벽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454)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단측면 패널(400)의 외측면 하부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격방지 돌기(531)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홈(430)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측면 패널(400)의 탈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철식 상자의 사용시 베이스 패널(500)의 내측으로 접혀진 단측면 패널(400)을 외측으로 펼치면,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패널(450)의 락킹부(452)가 가이드편(520)을 따라 부드럽게 올라가며 락킹부(452)가 오므라지다가,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킹부(452)가 락킹홈(510)에 걸려 고정된다.
이때, 단측면 패널(400)의 외측면 하부는 베이스 패널(500)의 단턱(530)과 맞닿으며,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측면 패널(400)의 돌기 수용홈(430)에 유격방지 돌기(531)가 수용됨으로써, 베이스 패널(500)과 단측면 패널(400)이 상하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접철식 상자의 보관시 단측면 패널(400)을 베이스 패널(500)의 내측으로 접을 경우에는 단측면 패널(400)의 손잡이 노출홀(440)을 통하여 노출되어 있는 보조 패널(450)의 손잡이부(453)를 상부로 잡아당기면, 락킹홈(510)에 수용되어 있던 락킹부(452)가 결합 해제되면서 가이드편(520)을 따라 내려오므로 단측면 패널(400)을 베이스 패널(50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락킹부(452)와 락킹홈(510)의 결합 해제시 한손으로 손잡이부(453)를 상부로 잡아당겨 단측면 패널(400)을 내측으로 접기만 하면 되므로 결합 해제가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락킹부(452)와 락킹홈(510)의 결합에 의해 단측면 패널(400)을 베이스 패널(50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므로 충격을 가하지 않은 결합으로 인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증대되어 경제적이다.
나아가, 단측면 패널(400)과 베이스 패널(500)의 결합시 단측면 패널(400)의 돌기 수용홈(430)에 베이스 패널(500)의 유격방지 돌기(531)가 수용됨으로써, 단측면 패널(400)과 베이스 패널(500)이 상하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장측면 패널(3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패널(300a,300b)로 나누어져 서로 힌지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베이스 패널(500)의 내측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부 패널(300a)과 하부 패널(300a)는 펴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수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접철식 상자의 보관시에는 한 쌍의 단측면 패널(400)을 베이스 패널(500)으로부터 결합 해제하여 각각 내측으로 접고, 장측면 패널(300)의 상,하부 패널(300a,300b)을 접철시키면, 수평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베이스 패널(500)과 상부 프레임(100)이 맞닿게 되고, 베이스 패널(500)과 상부 프레임(100) 내에 단측면 패널(400)과 장측면 패널(300)이 모두 접혀 접철식 상자가 수평한 상태가 되므로 접철식 상자는 최소한의 공간만 차지하여 보관이 용이한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접철식 상자의 사용시에 상부 프레임(100)을 들어 올리면, 장측면 패널(300)의 상,하부 패널(300a,300b)이 상부 프레임(100)을 따라 올라가면서 펴지고, 결국 베이스 패널(500)에 수직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단측면 패널(400)을 외측으로 밀면 락킹부(452)가 락킹홈(510)에 걸려 고정되고, 이에 단측면 패널(400)이 베이스 패널(500)에 결합되어 수직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매우 간편하게 접철식 상자의 조립이 완료되어 내부에 물품이나 부품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조립된 접철식 상자를 들어 이동시키는 경우 단측면 패널(400)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홈(460)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용이하게 들어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상부 프레임 110 : 안착홈
111 : 락킹홀 120 : 하측 쐐기 삽입부
121 : 제2고정홀 122 : 제2지지리브
130 : 삽입부 안착홈 200, 200a, 200b : 커버
201 : 요부 202 : 철부
203 : 체결돌기 204 : 체결홈
210 : 락핀 삽입부 211 : 조작홀
212 : 걸림홈 220 : 락핀
221 : 조작부 222 : 손가락 삽입홈
223 : 걸림돌기 225 : 돌출부
250 : 힌지수단 260 : 연결부
261 : 상부핀 형성부 262 : 상부핀
263 : 하부핀 형성부 264 : 하부핀
265 : 연결대 270 : 상측 쐐기부
271 : 제1리브부 272 : 제1삽입부
273 : 제1핀 삽입공 274 : 제1고정돌기
275 : 제1절개부 280 : 하측 쐐기부
281 : 제2리브부 282 : 제2삽입부
283 : 제2핀 삽입공 284 : 제2고정돌기
285 : 제2절개부 290 : 상측 쐐기 삽입부
291 : 제1고정홀 292 : 제1지지리브
300, 300a, 300b : 장측면 패널 400 : 단측면 패널
410 : 개방홀 420 : 지지대
421 : 연결대 430 : 돌기 수용홈
440 : 손잡이 노출홀 450 : 보조 패널
451 : 텐션부 453 : 손잡이부
454 : 걸림턱 452 : 락킹부
500 : 베이스 패널 510 : 락킹홈
520 : 가이드편 530 : 단턱
531 : 유격방지 돌기

Claims (5)

  1. 틀 형태의 상부 프레임;
    판 형태의 베이스 패널;
    상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 패널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측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측면 패널에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 패널의 내부에는 보조 패널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보조 패널의 하부에는 상기 개방홀을 통하여 상기 측면 패널의 하부로 돌출 가능하며 텐션을 가지는 락킹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패널에는 상기 락킹부가 고정되도록 락킹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홈의 일측에는 상기 락킹부를 상기 락킹홈으로 가이드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된 가이드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연장된 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턱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유격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면 하부에는 상기 유격방지 돌기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면에는 손잡이 노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패널에는 상기 손잡이 노출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텐션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텐션부의 일단은 상기 보조 패널의 상면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이루고, 굴곡되어 타단은 자유단을 이루며,
    상기 측면 패널의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측면 패널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텐션부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연결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
KR1020110131885A 2011-12-09 2011-12-09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 KR101250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885A KR101250958B1 (ko) 2011-12-09 2011-12-09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885A KR101250958B1 (ko) 2011-12-09 2011-12-09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958B1 true KR101250958B1 (ko) 2013-04-04

Family

ID=48442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885A KR101250958B1 (ko) 2011-12-09 2011-12-09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9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651A (ko) * 2017-06-27 2019-01-07 엔피씨(주) 경량 절첩상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92292Y1 (ko) * 2019-09-04 2020-09-11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접이식 상자용 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865A (ja) 2001-05-15 2002-11-27 Kyoraku Co Ltd 折り畳みコンテナ
KR100480197B1 (ko) 2002-07-12 2005-03-31 주식회사골드라인 접철식 운반상자
KR200445098Y1 (ko) 2008-08-13 2009-06-30 주식회사 다진아이앤씨 접철식 상자
US20090272740A1 (en) 2008-05-02 2009-11-05 Venu Samprathi Folding Con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865A (ja) 2001-05-15 2002-11-27 Kyoraku Co Ltd 折り畳みコンテナ
KR100480197B1 (ko) 2002-07-12 2005-03-31 주식회사골드라인 접철식 운반상자
US20090272740A1 (en) 2008-05-02 2009-11-05 Venu Samprathi Folding Container
KR200445098Y1 (ko) 2008-08-13 2009-06-30 주식회사 다진아이앤씨 접철식 상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651A (ko) * 2017-06-27 2019-01-07 엔피씨(주) 경량 절첩상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3161B1 (ko) * 2017-06-27 2019-03-29 엔피씨(주) 경량 절첩상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92292Y1 (ko) * 2019-09-04 2020-09-11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접이식 상자용 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9617B2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
KR101250958B1 (ko) 접철식 상자의 측면 패널 탈착 구조
JP5317189B2 (ja) フラップ付きコンテナ
US20100031712A1 (en) Collapsible Container with Locking Device
KR20130065563A (ko) 절첩식 상자의 커버 구조
KR101373713B1 (ko) 절첩식 운반 상자
US6694964B2 (en) Barbecue grill assembly with a foldable side rack
KR101250957B1 (ko) 접철식 상자의 커버 구조
JP2008013194A (ja) 運搬用容器
JP2007076655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KR20090092093A (ko) 덮개의 개봉이 용이한 다용도 수납박스
JP6206956B2 (ja) コンテナー
JP2000255563A (ja) 折り畳み式運搬用容器
JP5291580B2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
JP3766606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2002068187A (ja) ボックスパレット
JP6258153B2 (ja) 折畳み容器
JP4718941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5711053B2 (ja) 箱型容器
JPH11147526A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3206309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KR200378562Y1 (ko) 뚜껑이 구비된 절첩식 상자
JP2002337863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CN219668751U (zh) 储物盒用锁扣机构及储物盒组合
JP4328038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