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378B1 -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 - Google Patents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378B1
KR102015378B1 KR1020180123975A KR20180123975A KR102015378B1 KR 102015378 B1 KR102015378 B1 KR 102015378B1 KR 1020180123975 A KR1020180123975 A KR 1020180123975A KR 20180123975 A KR20180123975 A KR 20180123975A KR 102015378 B1 KR102015378 B1 KR 102015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ide panel
extension
protrusion
bottom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현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8012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어느 일부 변을 따라 상부로 연장된 연장패널이 형성된 바닥 패널; 상기 연장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장패널에 대해 기립 가능한 제1측면 패널; 상기 바닥 패널로부터 완전히 분리 가능하고, 상기 바닥 패널의 상기 연장패널이 형성되지 않은 변을 따라 기립 가능한 제2측면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2측면 패널을 상기 바닥 패널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 패널의 상기 연장패널이 형성되지 않은 변을 따라 수화물의 적입이 가능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제2측면 패널이 바닥 패널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상자의 측면이 완전히 개방되고 개방된 바닥 패널의 가장자리는 턱이 없이 평평한 상태이므로 상자의 측면을 통한 내용물의 적입이 매우 용이하며, 고중량의 수화물 적입이 가능하고, 수화물을 일일이 작업자가 들어올릴 필요 없이 쉽고 간단한 방법으로 수화물을 적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Box having detachable side panel}
본 발명은 상자의 측면을 통한 내용물의 적입이 매우 용이하도록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이나 부품 등을 각각의 상자에 담아서 보관하거나 운반하여 사용하며, 상자 보관시에는 상자를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절첩식 상자가 두루 사용되고 있다.
나아가, 측벽을 분리하고 조립할 수 있는 상자들도 종래에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분리된 측벽을 조립할 수 있는 상자가, 본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0705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8110호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측면 패널이 바닥 패널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측면 패널을 절첩하는 방식인 경우에, 측면 패널을 절첩하여 오픈한 경우에도 남은 측면 패널의 높이가 높아서 상자의 측면을 통한 내용물의 적입이 어렵다.
또한, 측면 패널이 완전히 분리되는 경우에도 남은 바닥 패널의 높이가 높아서 상자의 측면을 통한 내용물의 적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070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811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2측면 패널이 바닥 패널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상자의 측면이 완전히 개방되고 개방된 바닥 패널의 가장자리는 턱이 없이 평평한 상태이므로 상자의 측면을 통한 내용물의 적입이 매우 용이하며, 고중량의 수화물 적입이 가능하고, 수화물을 일일이 작업자가 들어올릴 필요 없이 쉽고 간단한 방법으로 수화물을 적입할 수 있는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는, 어느 일부 변을 따라 상부로 연장된 연장패널이 형성된 바닥 패널; 상기 연장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장패널에 대해 기립 가능한 제1측면 패널; 상기 바닥 패널로부터 완전히 분리 가능하고, 상기 바닥 패널의 상기 연장패널이 형성되지 않은 변을 따라 기립 가능한 제2측면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2측면 패널을 상기 바닥 패널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 패널의 상기 연장패널이 형성되지 않은 변을 따라 수화물의 적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패널에는, 상기 제2측면 패널과 접하는 부분에 제1걸림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측면 패널에는, 상기 제1측면 패널과 접하는 부분에 제2걸림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가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제1,2측면 패널이 상기 바닥 패널에 대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패널은, 상기 제1측면패널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측면 패널 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측면 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마련된 수직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수직부를 이으며 상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2측면 패널은, 상기 제2측면 패널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의 측면을 이으며 하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패널의 외면에는, 상기 제2측면 패널을 상기 바닥 패널로부터 분리할 때 상부로 들어올리기 편리하도록 핸들링용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패널의 상단에는, 일단이 상기 제2측면 패널의 측면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잠금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측면 패널의 상단에는, 돌출된 상기 잠금핀의 일단이 삽입되는 핀 삽입홈이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패널의 외면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한 쌍 이상의 걸림부가 마련되어 있고, 양단이 상기 걸림부에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되고, 탄성이 있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밴드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측면 패널의 외면에 고정 가능하며, 내부에 네임카드와 같은 내용물이 삽입되는 포켓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는, 바닥 패널; 및 상기 바닥 패널로부터 기립 가능하고, 측면이 서로 접하는 제1,2측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제1측면 패널은, 상기 제1측면 패널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측면 패널 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측면 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마련된 수직부와,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수직부를 이으며 상측 방향으로 개방된 제1걸림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측면 패널은, 상기 제2측면 패널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의 측면을 이으며 하측 방향으로 개방된 제2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가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제1,2측면 패널이 상기 바닥 패널에 대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패널은,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수직부를 이으며 마련되되, 상기 제1연장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측면 패널은, 상기 제2걸림부와 상기 제2연장부를 이으며 마련되되, 상기 제2측면 패널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가 서로 맞물릴 때, 상기 제1돌기부는, 상기 제2측면 패널과 상기 제2돌기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1돌기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2측면 패널이 바닥 패널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상자의 측면이 완전히 개방되고 개방된 바닥 패널의 가장자리는 턱이 없이 평평한 상태이므로 상자의 측면을 통한 내용물의 적입이 매우 용이하다.
따라서, 고중량의 수화물 적입이 가능하고, 특히, 고중량 수화물을 지게차 포크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지게차 포크를 바닥 패널의 상면에 접촉되게 걸쳐 놓은 다음, 수화물을 상자의 측방향으로 밀어서 적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화물을 일일이 작업자가 들어올릴 필요 없이 쉽고 간단한 방법으로 수화물을 적입할 수 있다.
한편,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에 의해 제2측면 패널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에 의해 제1측면 패널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화물의 적입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조립성을 갖는 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바닥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가 접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1측면 패널이 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제2측면 패널을 바닥 패널로부터 꺼내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2측면 패널을 바닥 패널로부터 완전히 꺼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1측면 패널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1측면 패널과 제2측면 패널이 맞물리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제2측면 패널이 바닥 패널과 제1측면 패널에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제1측면 패널과 제2측면 패널이 맞물리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잠금핀의 작용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의 외관을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는 바닥 패널(100)과, 한 쌍의 제1측면 패널(200)과, 한 쌍의 제2측면 패널(300)을 포함한다.
바닥 패널(100)은 본 실시예에서 직사각형 형태이고, 바닥 패널(100)에는 지게차 포크를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공간(101)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바닥 패널(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10)와, 지지대(120)와, 이음판(130)을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대(120)는 베이스(110)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이음판(1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대(120)는 베이스(110)의 네 개의 모서리와, 각 모서리에 배치된 두 개의 지지대(120) 사이 사이와, 베이스(110)의 정중앙에 각각 마련되어 있어, 총 9개로 마련되어 있다.
이음판(130)은 각각의 지지대(120)의 하면을 이으며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110)와 지지대(120)는 하나의 부재로 마련되고, 이음판(130)은 이들과 다른 부재로 마련되어 있다. 즉, 하나로 구성된 베이스(110)와 지지대(120)에, 이음판(130)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베이스(110)와 이음판(130)의 사이에는 공간(101)이 형성되므로 이 공간(101)에 지게차의 포크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렇게, 지게차 포크가 삽입될 때 지게차 포크의 미끌림을 방지하도록 베이스(110) 하면에는 다수 개의 미끄럼 방지부재(14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방지부재(140)는 지게차 포크에 마찰력을 부가할 수 있는 부재이면 되고, 예컨대 고무와 같은 재질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110)에 도 3과 같이 총 16개의 미끄럼 방지부재(140)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바닥 패널(10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일부 변을 따라 상부로 연장된 연장패널(15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 패널(100)이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바닥 패널(100)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길이가 짧은 한 쌍의 변을 따라 연장패널(150)이 상부로 연장되어 있다. 연장패널(150)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제1측면 패널(200)의 힌지부(210)가 결합되는 힌지부 결합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장패널(150)의 상부에는 제1측면 패널(200)이 기립되고, 연장패널(15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길이가 긴 한 쌍의 변에는 제2측면 패널(300)이 기립된다. 제2측면 패널(300)의 기립을 위하여, 바닥 패널(100)의 길이가 긴 한 쌍의 변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돌기 삽입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장패널(150)의 양측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측면 패널(300)이 기립되는 측으로 연장된 연장면(15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면(153)의 상부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제1측면 패널(200)의 제1연장부(250)가 기립되고, 각 연장면(153)에는 제2측면 패널(300)의 내면을 지지하는 내면 지지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장패널(150)의 외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식코드 플레이트(190)가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식코드 플레이트(190)는 연장패널(150)의 중앙에 부착되어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되어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의 인식코드가 각인됨으로써, 기존에 스티커 방식으로 부착되는 경우 종종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인식코드가 각인된 인식코드 플레이트(190)는 리벳 등의 체결수단으로 연장패널(150)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측면 패널(20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패널(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장패널(150)에 대해 기립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 패널(100)이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제1측면 패널(200)은 바닥 패널(100)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길이가 짧은 한 쌍의 변을 따라 배치되므로 이하에서는 제1측면 패널(200)을 단측면 패널(200)이라고 하기로 한다.
단측면 패널(200)의 하단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패널(150)에 형성된 힌지부 결합부(151)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21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부(210)는 단측면 패널(200)의 하단에 서로 간격을 두고 3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힌지부(210)에 의해 단측면 패널(200)은, 도 5와 같이 바닥 패널(100) 상부에 눕혀지거나 도 6과 같이 바닥 패널(100)로부터 기립 가능하다. 한 쌍의 단측면 패널(200)이 바닥 패널(100)의 상부에 눕혀질 때 도 5와 같이 한 쌍의 단측면 패널(200)은 일부분이 겹쳐지므로 어느 하나의 단측면 패널(200)이 하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단측면 패널(200)은 상부에 배치된다. 이렇게 단측면 패널(200)을 눕히거나 기립하기 편리하도록 단측면 패널(200)의 외면에는 손잡이(152)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단측면 패널(200)의 외면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한 쌍 이상의 걸림부(23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부는 지지리브(22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부에는 밴드부(231)가 걸려 고정된다. 즉, 한 쌍의 걸림부(230 사이에 밴드부(231)의 양단이 걸리며, 밴드부(231)는 투명하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마련된다. 밴드부(231)의 내측에는 포켓부(235)가 배치되고, 밴드부(231)의 탄성에 의해 포켓부(235)는 단측면 패널(200)의 외면에 고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포켓부(235)는 비닐과 같은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고, 포켓부(235)의 내부에는 네임카드와 같은 내용물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투명하고 탄성이 있는 밴드부(231)가 네임카드가 담긴 포켓부(235)를 눌러주는 방식으로 포켓부(235)를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측면 패널(200)의 외면 양측에 두 개의 포켓부(235)가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단측면 패널(200)은 제2측면 패널(300)과 접하는 면이 서로 맞물리면서 바닥 패널(100)에 대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측면 패널(200)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연장부(250)와 수직부(260)와 제1걸림부(270)와 제1돌기부(280)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250)는 단측면 패널(200)의 측면으로부터 제2측면 패널(300) 측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즉, 제1연장부(250)는 제2측면 패널(300)이 기립되는 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단측면 패널(200)이 연장패널(150) 상부에 기립될 때 제1연장부(250)는 연장면(153)의 상부에 기립된다.
수직부(260)는 제1연장부(250)로부터 제1측면 패널(200)의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마련된다. 즉, 수직부(260)는 제1연장부(250)와 수직하게 마련된다.
제1걸림부(270)는 제1연장부(250)와 수직부(260)를 이으며 상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걸림부(270)는 제1바닥면(271)과 제1측벽부(273)를 포함한다. 제1바닥면(271)은 제1연장부(250)와 수직부(260)에 각각 수직하게 마련되어, 제1연장부(250)와 수직부(260)를 이으며 마련되고, 상면이 하방으로 들어가도록 곡면을 가지고 있다. 제1측벽부(273)는 제1바닥면(271)과 제1연장부(250)에 각각 수직하게 마련되어, 제1바닥면(271)과 제1연장부(250)를 이으며 마련된다. 특히, 제1측벽부(273)는 수직부(260)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1측벽부(273)와 수직부(260)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바닥면(271)과 제1측벽부(273)에 의해 제1걸림부(270)는 대략 '니은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돌기부(280)는 제1걸림부(270)와 수직부(260)를 이으며 마련된다. 특히, 제1걸림부(270)의 제1바닥면(271)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치되되, 수직부(260)와 이어져 있으며, 제1연장부(250)와는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돌기부(280)와 제1연장부(250)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걸림부(270)와 제1돌기부(28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연장부(250)와 수직부(260) 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마련되어 있다.
제일 상측에 위치한 제1걸림부(270)에는, 제1걸림부(270)의 상단과 제1연장부(250)를 이으며 수평면(275)이 형성되어 있고, 이때 제1돌기부(280)는 상부로 연장되어 수평면(275)과 이어져 있다. 제일 하측에 위치한 제1걸림부(270)에는 제1돌기부(280)가 생략되어 있다.
한편, 단측면 패널(200)의 상단에는, 제2측면 패널(3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잠금핀(390)의 일단이 삽입되는 핀 삽입홈(251)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연장부(250)의 측면에 홈 형태로 핀 삽입홈(251)이 형성되어 있다.
제2측면 패널(300)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패널(100)로부터 완전히 분리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제2측면 패널(300)을 바닥 패널(100)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바닥 패널(100)의 연장패널(150)이 형성되지 않은 변을 따라 수화물의 적입이 가능한다. 즉, 바닥 패널(100)의 연장패널(15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변에는 턱이 없으므로 지게차 포크로 운반된 수화물을 밀어서 바닥 패널(100) 내로 적입이 가능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 패널(100)이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제2측면 패널(300)은 바닥 패널(100)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길이가 긴 한 쌍의 변을 따라 배치되므로 이하에서는 제2측면 패널(300)을 장측면 패널(300)이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장측면 패널(300)은 바닥 패널(100)의 연장패널(150)이 형성되지 않은 변을 따라 기립 가능하고,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장측면 패널(300)에는 하단 돌기(310)와 제2걸림부(330)와 잠금핀(390)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하단 돌기(31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측면 패널(300)의 하단에 마련되어, 바닥 패널(100)에 형성된 돌기 삽입홈(111)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단 돌기는 장측면 패널(300)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서로 간격을 두고 5개가 형성되어 있다.
장측면 패널(300)은 단측면 패널(200)과 접하는 면이 서로 맞물리면서 바닥 패널(100)에 대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장측면 패널(300)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연장부(320)와 제2걸림부(330)와 제2돌기부(350)를 포함한다.
제2연장부(320)는 장측면 패널(30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제2걸림부(330)는 제2연장부(320)와 장측면 패널(300)의 측면을 이으며 하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걸림부(330)는 제2바닥면(331)과 제2측벽부(333)를 포함한다.
제2바닥면(331)은 제2연장부(320)와 장측면 패널 측면(300a)에 각각 수직하게 마련되어, 제2연장부(320)와 장측면 패널 측면(300a)을 이으며 마련되고, 하면이 상방으로 들어가도록 곡면을 가지고 있다. 제2측벽부(333)는 제2바닥면(331)과 장측면 패널 측면(300a)에 각각 수직하게 마련되어, 제2바닥면(331)과 장측면 패널 측면(300a)을 이으며 마련된다. 특히, 제2측벽부(333)는 제2연장부(320)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 제2측벽부(333)와 제2연장부(320)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2바닥면(331)과 제2측벽부(333)에 의해 제2걸림부(330)는 대략 '니은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돌기부(350)는 제2걸림부(330)와 제2연장부(320)를 이으며 마련된다. 특히, 제2걸림부(330)의 제2바닥면(331)으로부터 상방으로 배치되되, 제2연장부(320)와 이어져 있으며, 장측면 패널 측면(300a)과는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돌기부(350)와 장측면 패널 측면(300a)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걸림부(330)와 제2돌기부(35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연장부(320)와 장측면 패널 측면(300a) 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2걸림부(330)는 제1걸림부(270)와 도 13과 같이 서로 맞물린다. 즉, 제1걸림부(270)의 내측으로 제2걸림부(330)의 제2측벽부(333)가 삽입되고, 제2걸림부(330)의 내측으로 제1걸림부(270)의 제1측벽부(273)가 삽입되면서, 제1걸림부(270)와 제2걸림부(330)가 서로 맞물리는 것이다. 제1걸림부(270)와 제2걸림부(330)의 작용은 장측면 패널(300)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렇게, 제1걸림부(270)와 제2걸림부(330)가 서로 맞물릴 때, 도 14와 같이 제1돌기부(280)는 장측면 패널 측면(300a)과 제2돌기부(350) 사이에 배치되고, 제2돌기부(350)는 제1연장부(250)와 제1돌기부(280)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2돌기부(350)와 장측면 패널 측면(300a) 사이에 제1돌기부(280)가 삽입되고, 제1돌기부(280)와 제1연장부(250) 사이에 제2돌기부(350)가 삽입된다. 제1돌기부(280)와 제2돌기부(350)의 작용은 단측면 패널(200)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장측면 패널(300)과 단측면 패널(200)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인 제1걸림부(270) 및 제1돌기부(280)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제2걸림부(330) 및 제2돌기부(350)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다.
장측면 패널(300)을 분리할 때에는 장측면 패널(300)을 상부로 들어올린후 외측으로 당기면 바닥 패널(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이렇게, 장측면 패널(300)을 바닥 패널(100)로부터 분리할 때 상부로 들어올리기 편리하도록 장측면 패널(300)의 외면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링용 손잡이(360)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핸들링용 손잡이(360)는 장측면 패널(300)의 탈거 및 접철 과정의 용이성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핸들링용 손잡이(360)는 장측면 패널(300) 외면에 4개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핸들링용 손잡이(360) 이외에 장측면 패널(30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운반용 손잡이(370)가 마련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운반용 손잡이(370)는 장측면 패널(300)의 외면에 1개로 마련되어 있다.
잠금핀(390)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측면 패널(300)의 상단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장측면 패널(300)의 측면으로 돌출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잠금핀(390)에 외력을 가해 잠금핀(390)을 작동할 수 있도록, 도 15와 같이 잠금핀(390)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장측면 패널(300)의 외면에는 잠금핀 노출홀(380)이 형성되어 있으며, 잠금핀 노출홀(380)을 통하여 잠금핀(390)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이다.
이렇게 잠금핀(390)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는,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잠금핀(390)에 외력을 가하기 용이하도록, 도 15의 (a)와 같이 손가락 삽입홈(39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측면 패널(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잠금핀(390)의 일단이 핀 삽입홈(251)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일 경우 육안으로 쉽게 잠금상태를 알아보기 용이하도록, 도 15의 (b)와 같이 잠금핀(390)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는 잠금상태 표시면(393)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상태 표시면(393)은 한눈에 알아보기 용이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붉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잠금상태 표시면(393)은 도 15의 (a)와 같이 잠금핀(390)의 잠금 상태가 아닐 경우(잠금핀(390)의 일단이 핀 삽입홈(251)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잠금핀 노출홀(380) 상에서 보이지 않으며, 도 15의 (b)와 같이 잠금핀(390)의 잠금 상태일 경우(잠금핀(390)의 일단이 핀 삽입홈(251)에 삽입된 경우)에만 잠금핀 노출홀(380) 상에서 보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장측면 패널(300)은, 상단에 마련된 잠금핀(390), 측면에 마련된 제2걸림부(330), 하단에 마련된 하단 돌기(310)에 의해 바닥 패널(100)로부터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패널(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의 한 쌍의 장측면 패널(300)은 서로 겹쳐져 바닥 패널(100)의 상면에 적층되어 있고, 한 쌍의 단측면 패널(200)은 바닥 패널(100)로부터 절첩되어 장측면 패널(300)의 상면에 적층되어 있다.
절첩되어 있는 한 쌍의 단측면 패널(200)을 차례로 세운다. 즉, 단측면 패널(200)은 힌지부(210)에 의해 바닥 패널(100)에 결합되어 있어, 절첩되어 있는 단측면 패널(200)은 용이하게 바닥 패널(100)로부터 기립될 수 있다.
한 쌍의 단측면 패널(200)이 도 6과 같이 바닥 패널(100)로부터 기립되도록 한 다음, 바닥 패널(100) 상에 놓여져 있는 장측면 패널(300)을 세운 후 도 7과 같이 비스듬하게 기울여서 바닥 패널(100)로부터 꺼낸다. 나머지 장측면 패널(300)도 동일하게 바닥 패널(100)로부터 꺼낸다. (도 8 참조)
도 9와 같이, 한 쌍의 장측면 패널(300)을 모두 꺼낸 상태에서 상자 내부에 자동차 부품과 같은 수화물을 적입할 수 있다.
수화물 적입후 도 12와 같이 장측면 패널(300)을 조립한다. 이때, 장측면 패널(300)은, 상단에 마련된 잠금핀(390), 측면에 마련된 제2걸림부(330), 하단에 마련된 하단 돌기(310)에 의해 바닥 패널(100)로부터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장측면 패널(300)을 상자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움직이면서, 측면의 제2걸림부(330)가 단측면 패널(200)의 제1걸림부(270)와 맞물리도록 하고, 하단의 하단 돌기(310)가 바닥 패널(100)에 형성된 돌기 삽입홈(111)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단의 잠금핀(390)이 장측면 패널(300)로부터 돌출되도록 하여, 돌출된 잠금핀(390)의 일단이 단측면 패널(200)의 핀 삽입홈(251)에 삽입되도록 한다.
반대측의 장측면 패널(300)도 상기와 같이 동일하게 조립하면, 도 1과 같은 상자가 조립된다.
장측면 패널(300)을 탈거할 때에는 잠금핀(390)의 일단이 핀 삽입홈(251)으로부터 해제되도록 한 다음, 상부로 들어올린 다음 외측으로 당기면, 돌기 삽입홈(111)으로부터 하단 돌기(310)가 이탈되고, 제2걸림부(330)와 제1걸림부(270)의 맞물림이 해제되면서 장측면 패널(300)의 분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측면 패널이 바닥 패널(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상자의 측면이 완전히 개방되고 개방된 바닥 패널(100)의 가장자리는 턱이 없이 평평한 상태이므로 상자의 측면을 통한 내용물의 적입이 매우 용이하다.
따라서, 고중량의 수화물 적입이 가능하고, 특히, 고중량 수화물을 지게차 포크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지게차 포크를 바닥 패널(100)의 상면에 접촉되게 걸쳐 놓은 다음, 수화물을 상자의 측방향으로 밀어서 적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화물을 일일이 작업자가 들어올릴 필요 없이 쉽고 간단한 방법으로 수화물을 적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바닥 패널
150 : 연장패널
200 : 단측면 패널
250 : 제1연장부
260 : 수직부
270 : 제1걸림부
280 : 제1돌기부
300 : 장측면 패널
320 : 제2연장부
330 : 제2걸림부
350 : 제2돌기부
390 : 잠금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바닥 패널; 및
    상기 바닥 패널로부터 기립 가능하고, 측면이 서로 접하는 제1,2측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제1측면 패널은,
    상기 제1측면 패널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측면 패널 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측면 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마련된 수직부와,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수직부를 이으며 상측 방향으로 개방된 제1걸림부와,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수직부를 이으며 상기 제1연장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돌기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측면 패널은,
    상기 제2측면 패널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측면 패널의 측면을 이으며 하측 방향으로 개방된 제2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와 상기 제2연장부를 이으며 상기 제2측면 패널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가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제1,2측면 패널이 상기 바닥 패널에 대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가 서로 맞물릴 때,
    상기 제1돌기부는, 상기 제2측면 패널과 상기 제2돌기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1돌기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
  8. 삭제
KR1020180123975A 2018-10-17 2018-10-17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 KR102015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975A KR102015378B1 (ko) 2018-10-17 2018-10-17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975A KR102015378B1 (ko) 2018-10-17 2018-10-17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378B1 true KR102015378B1 (ko) 2019-08-28

Family

ID=6777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975A KR102015378B1 (ko) 2018-10-17 2018-10-17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3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217A (ko) * 2019-08-29 2021-03-10 (주)램코 물류박스
KR20210074566A (ko) * 2019-12-12 2021-06-22 한국프라스틱 주식회사 대형 접이식 물류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705B1 (ko) 2010-05-13 2011-01-24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상자형 파렛트
KR101028110B1 (ko) 2010-10-26 2011-04-08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무빙가드
JP2012224345A (ja) * 2011-04-15 2012-11-15 Sanko Co Ltd ボックスパレット及びボックスパレット側壁
KR20160057826A (ko) * 2014-11-14 2016-05-24 엔피씨(주) 절첩식 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705B1 (ko) 2010-05-13 2011-01-24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상자형 파렛트
KR101028110B1 (ko) 2010-10-26 2011-04-08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무빙가드
JP2012224345A (ja) * 2011-04-15 2012-11-15 Sanko Co Ltd ボックスパレット及びボックスパレット側壁
KR20160057826A (ko) * 2014-11-14 2016-05-24 엔피씨(주) 절첩식 상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217A (ko) * 2019-08-29 2021-03-10 (주)램코 물류박스
KR102240264B1 (ko) * 2019-08-29 2021-04-14 (주)램코 물류박스
KR20210074566A (ko) * 2019-12-12 2021-06-22 한국프라스틱 주식회사 대형 접이식 물류박스
KR102283520B1 (ko) 2019-12-12 2021-07-29 한국프라스틱 주식회사 대형 접이식 물류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376B2 (en) Folding container
US20120168434A1 (en) Container with foldable load platform
KR102015378B1 (ko) 측벽 분리가 가능한 상자
EP3162724A1 (en) Assembly box for transportation
US20140291196A1 (en) Logistics crate module and method of transporting goods
US5680948A (en) Receptacle having a collapsible sidewall structure
KR200399805Y1 (ko) 절첩과 분리가 가능한 파레트
EP4014791A1 (en) Display tray, stack of display trays and method therefor
JP3805462B2 (ja) 展開可能な組立容器及び組立容器の係止構造
US6926153B2 (en) Shipping box for retail products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20160257446A1 (en) Four-Way Upright Pallet Device
JP4400813B2 (ja) 組立式合成樹脂製容器
KR102682386B1 (ko) 상자형 파렛트
WO2017086502A1 (ko) 프레임 포장상자
EP3994073B1 (en) A case for storing articles and carrying articles by hand
CN215649635U (zh) 防盗水饺餐盒
JP7499012B2 (ja) 梱包箱構造
JP4117826B2 (ja) 荷役用パレット
KR200298028Y1 (ko) 포장 박스 내부에 들어가는 골판지를 이용한 적층 포장체
KR200461898Y1 (ko) 컨테이너 파렛트
WO2023112825A1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7214184B2 (ja) 容器
US11643288B2 (en) Integrated shipping ramp for multi-package unit loads
WO2023112827A1 (ja) 折り畳みコンテナ
KR200367497Y1 (ko) 파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