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731Y1 - 포장 및 전시용 박스 - Google Patents

포장 및 전시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731Y1
KR200491731Y1 KR2020180006049U KR20180006049U KR200491731Y1 KR 200491731 Y1 KR200491731 Y1 KR 200491731Y1 KR 2020180006049 U KR2020180006049 U KR 2020180006049U KR 20180006049 U KR20180006049 U KR 20180006049U KR 200491731 Y1 KR200491731 Y1 KR 200491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ver
packaging
box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6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익
최동환
Original Assignee
권오익
최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익, 최동환 filed Critical 권오익
Priority to KR2020180006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7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7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8Drawer-and-shell 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06External stands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in display position, e.g. easels, covers forming a support for the containers in the display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 및 전시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물품을 수용하여 포장상태 또는 개봉상태 또는 전시상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지는 포장 및 전시용 박스에 있어서, 상면을 개방하는 사각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물품을 수용하는 케이스부(110); 케이스부(110)의 외형에 상응하는 내형을 형성하여 케이스부(110)의 일측을 부분 수용하는 제1커버부(120); 케이스부(110)의 외형에 상응하는 내형을 형성하여 제1커버부(120)에 의해 수용된 케이스부(110)의 일측을 제외한 타측을 수용하는 제2커버부(130); 및 케이스부(110)의 하측에서 제1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30)를 일체로 연결하고 포장상태 또는 전시상태에 따라 제2커버부(130)를 제1커버부(120) 또는 케이스부(110)의 하면에 선택적으로 당접하도록 절첩하는 작동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포장 및 개봉, 전시 기능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포장 및 전시용 박스{BOX FOR PACKING AND EXHIBITION}
본 고안은 포장 및 전시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을 내부에 수용하여 포장하는 기능과 함께 간편한 작동에 의해 내부를 개봉하면서 전시 기능을 구현하도록 고안된 박스에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판매용 물건이나 제품은 취급상의 안전 및 용이성을 위해 소정의 박스에 의해 포장된다.
포장용 박스는 주로 두꺼운 종이나 합성수지 등의 소재를 상자 형태로 마련하여 내부공간에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비한다. 유통 및 보관상의 편의를 위해 포장용 박스는 대부분 종이 재질의 판지를 절첩한 사각형 상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폐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한다.
포장용 박스는 일반적으로 KS규격에 정해진 A타입, B타입 등의 6가지 타입 외에도 물품의 종류나 활용 방식, 디자인 등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포장용 박스에 물품을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 구조를 탑재하여 박스 자체 만으로 포장 및 전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관련 기술이 고안된바, 공지된 기술을 통해 그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례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5 - 0068204 호에는 상품수용홈을 형성하고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전단과 양측단 및 후단에 각각 직각으로 형성된 전단벽과, 측단벽과, 후단벽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후단벽을 덮는 제1덮개판과, 본체부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제2덮개판과, 제2덮개판의 끝단에 연장하여 전단벽 내측으로 끼워지는 제1끼움판과, 제2덮개판의 양측단에 연장되어 후단벽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제2끼움판으로 구성된 커버부를 포함하고, 커버부는 전시상태로 변환될 경우 제1덮개판이 후단벽에서 베이스판의 배면측으로 꺾여 지면에 지지되고, 제2끼움판의 측단이 지면에 지지되어 제2덮개판이 제1덮개판에 대해 꺾여 세워진 상태가 되며, 본체부는 세워진 제2덮개판에 지지되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지는 포장박스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659308 호에는 상부가 개방된 외측하부케이스와, 외측하부케이스를 덮을 수 있게 되는 덮개와, 상품을 끼워넣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서 바닥판이 외측하부케이스에 연결되는 내부케이스와, 일단이 내부케이스의 뒷판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덮개의 저면에 연결되는 연결대를 포함하고, 덮개를 열면 연결대가 내부케이스의 상단을 들어 올림으로써 외측하부케이스에서 소정 각도로 들려지도록 하며, 덮개를 닫으면 연결대가 내부케이스를 하방향으로 밀어 외측하부케이스 내부에 장입되도록 하는 진열기능을 가지는 포장상자를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20 - 1998 - 0025808 호에는 상부가 커버로 개폐되는 박스를 개폐시키는 커버의 저면에 90도 절첩 되는 받침부재를 구비하고, 받침부재는 커버의 저면에 수용되는 판지의 중심 양측에 고정편이 중앙으로 돌출되도록 수평으로 절개된 제1절개선을 형성하고, 제1절개선의 외측단에서 직각을 이루어 수직으로 연장된 절첩선을 형성하며, 절첩선의 상단과 하측절개선의 내측단을 이어 절개한 제2절개선을 형성하고, 그 외측의 소정위치에 삽입공을 통공시키고, 제1절첩선과 동일선상의 하부 양측에 고정편을 수용하는 고정홀을 형성하며, 제1절개선의 동일선상 전폭에 제2절첩선을 형성하는 포장용 박스의 물품 전시장치를 구성한다.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5 - 0068204 호 (2015.06.19) 한국등록특허 제 10 - 1659308 호 (2016.09.23)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20 - 1998 - 0025808 호 (1998.08.05)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065753 호 (1992.03.23)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포장박스에는 다양한 형태의 지지구조를 탑재하여 물품을 정면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들어올리는 형태로 전시 상태를 구현하도록 구성한다.
일례로든 종래 기술의 포장박스는 커버부를 본체부의 저면을 향해 반대로 꺾어 지면에 경사지게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시 상태를 구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커버부 구조는 본체부의 후단벽 높이에 상응하는 제1덮개판의 높이에 의해 지지각도가 한정될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포장된 물품의 중량이 작용시 베이스판과 제1덮개판 및 제2덮개판이 삼각형 형태로 지지각도를 유지하기가 어려워 지지구조가 매우 빈약한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든 종래 기술이 적용된 진열기능을 가지는 포장상자는 외측하부케이스 내측에 내부케이스를 수용하고 연결대를 이용해 덮개를 연결하여 덮개를 일측으로 개방시 내부케이스의 일측이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진열기능을 구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기본적으로 하부케이스를 이중으로 탑재하고, 덮개 내측에 상판을 연결대와 연동하는 일련의 작동관계를 구현해야 하므로 포장박스의 내부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고 물품에 비해 박스의 규격이 과대화되어 비용 상승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또 다른 예로든 종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박스의 물품 전시장치는 박스를 개폐시키는 커버의 저면에 절첩선 및 절개선을 구비하는 판지를 탑재하여 90도 절첩 되는 받침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커버를 개방 후 박스의 하측에 위치하고 받침부재로 지지하여 전시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받침부재의 각 판을 세워 조립하는 일련의 작동이 요구되어 사용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박스가 받침부재의 상단 모서리에만 지지되는 구조로 인해 지지구조가 빈약하며, 특히 물품이 수용된 박스의 무게중심이 받침부재보다 상위에 조성될 경우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도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물품을 수용하여 포장상태 또는 개봉상태 또는 전시상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지는 포장 및 전시용 박스에 있어서,
상면을 개방하는 사각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물품을 수용하는 케이스부(110);
상기 케이스부(110)의 외형에 상응하는 내형을 형성하여 케이스부(110)의 일측을 부분 수용하는 제1커버부(120);
상기 케이스부(110)의 외형에 상응하는 내형을 형성하여 제1커버부(120)에 의해 수용된 케이스부(110)의 일측을 제외한 타측을 수용하는 제2커버부(130); 및
상기 케이스부(110)의 하측에서 제1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30)를 일체로 연결하고 포장상태 또는 전시상태에 따라 제2커버부(130)를 제1커버부(120) 또는 케이스부(110)의 하면에 선택적으로 당접하도록 절첩하는 작동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포장 및 개봉, 전시 기능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박스를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풀 아웃 방식의 포장 박스를 구성하되 물품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커버하는 커버부의 구조를 종래 기술과 차별하여 풀 아웃 상태에 따라서 포장 및 전시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포장 박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 비해 매우 간소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생산성 및 사용성이 우수하면서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전시 기능을 구현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1,2커버부의 위치에 따라서 케이스부의 개봉 상태 및 전시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물품의 종류 및 전시 조건에 따라 다양한 활용례를 비교적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및 전시용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및 전시용 박스의 평면도(a) 및 측면도(b).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 및 전시용 박스의 케이스부(a) 및 제1,2커버부(b)의 전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및 전시용 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및 전시용 박스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및 전시용 박스의 사시도(a) 및 측면도(b).
도 9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및 전시용 박스의 사용 상태 예시도.
이하, 본 고안의 포장 및 전시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및 전시용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및 전시용 박스의 평면도(a) 및 측면도(b),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 및 전시용 박스의 케이스부(a) 및 제1,2커버부(b)의 전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및 전시용 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및 전시용 박스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및 전시용 박스의 사시도(a) 및 측면도(b), 도 9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및 전시용 박스의 사용 상태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포장 및 전시용 박스는 물품을 풀 아웃 방식으로 물품이 수용된 내부를 개봉하는 포장 박스에 있어서 물품을 포장하는 기능과 함께 간편한 작동에 의해 전시 기능을 구현하도록 이루어진 포장 및 전시용 박스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포장 및 전시용 박스는 물품을 수용하여 포장상태 또는 개봉상태 또는 전시상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지는 포장 및 전시용 박스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부(110)와, 제1커버부(120) 및 제2커버부(130)와, 작동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케이스부(110)는 상면을 개방하는 사각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비한다.
본 고안의 박스는 풀 아웃 방식의 포장 박스를 구성하는바, 상기 케이스부(11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하여 제1커버부(120) 및 제2커버부(130)로부터 당겨 개봉하도록 구성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110)에는, 일 측면에서 연장하여 상면을 부분 폐쇄하고 제1커버부(120)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11)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부(111)는 본 고안의 박스가 전시상태에서 케이스부(110)에 수용된 물품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후술하게 될 제2커버부(130)로부터 제1커버부(120)에 전달되는 지지하중을 케이스로 분산하여 안정적인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111)의 상, 하 폭은 제1커버부(120)와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굳이 그 길이를 한정한 필요는 없다.
상기 지지부(111)의 내측면과 해당 면에 대향하는 케이스부(110)의 내측면 각각에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수용홀(112)을 형성하여 케이스부(110)에 수용되는 물품의 상, 하단을 수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수용홀(112)의 형상은 물품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지부(111)의 내측면에 대향하는 케이스부(110)의 외측면에는 보조홀(113)을 마련한다. 상기 보조홀(113)은 수용홀(112)과 같은 통공형태와 달리 복수의 칼집구를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절개한 형태로 구성한다. 상기 보조홀(113)은 물품의 길이가 양측 수용홀(120)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경우 수용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물품에 의해 케이스부(110)의 일측을 밀어내는 기능을 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커버부(120)는 상기 케이스부(110)의 외형에 상응하는 내형을 형성하여 케이스부(110)의 일측을 부분 수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커버부(120)는 케이스부(110)의 상, 하, 좌, 우측면을 커버하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1커버부(120)에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측면에서 케이스부(110)를 출몰하는 제1작동홀(123) 및 제2작동홀(124)을 형성하여 케이스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제1작동홀(123) 및 제2작동홀(124)을 통해 케이스부(110)를 제1커버부(120)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여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부(120)의 상, 하면에는 물품의 명칭이나 각종 문구 및 디자인을 인쇄하여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제1커버부(120)의 상면 및 하면의 일측 단부에는, 지지부(111)의 상면 및 케이스부(110)의 하면을 부분 노출하는 제1파지홀(121) 및 제2파지홀(122)을 통공하여 구비한다.
상기 제2커버부(130)는 상기 케이스부(110)의 외형에 상응하는 내형을 형성하여 제1커버부(120)에 의해 수용된 케이스부(110)의 일측을 제외한 타측을 수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커버부(130)는 케이스부(110)의 상, 하, 좌, 우측, 및 타측 면을 커버하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2커버부(130)의 양 측단 사이의 길이는 제1커버부(120)에 비해 길게 형성한다. 이는 본 고안의 박스를 전시상태로 작동 시 필요에 따라 케이스부(110)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와 같은 작동상태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2커버부(13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작동홀(124)에 대향하는 일 측면에서 케이스부(110)를 출몰하는 제3작동홀(131)을 형성하여 케이스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제3작동홀(131)을 통해 케이스부(110)를 취출한 후 제3작동홀(131)을 케이스부(110)의 하면에 접촉시켜 전시상태에서 지지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커버부(130)의 상, 하면에는 물품의 명칭이나 각종 문구 및 디자인을 인쇄하여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커버부(120)의 제2작동홀(124)과 제2커버부(130)의 제3작동홀(131)은, 제1커버부(120) 및 제2커버부(130)의 상, 하면에 대해 상호 직각 또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작동홀(124)의 상, 하단 모서리와 제3작동홀(131)의 상, 하단 모서리를 제1커버부(120) 및 제2커버부(130)의 하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하면 제2작동홀(124)과 제2작동홀(124)은 전시상태에서 어떠한 위치에서도 상호 직각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제2작동홀(124)의 상, 하단 모서리와 제3작동홀(131)의 상, 하단 모서리를 제1커버부(120) 및 제2커버부(130)의 하면에 대해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하면 제2작동홀(124)과 제2작동홀(124)은 전시상태에서 상호 둔각 또는 예각을 이루어 조성된다. 이에 대한 작동상태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작동부(140)는 상기 케이스부(110)의 하측에서 제1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30)를 일체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박스가 포장상태 또는 전시상태에 따라 제2커버부(130)를 제1커버부(120) 또는 케이스부(110)의 하면에 선택적으로 당접하도록 절첩한다.
상기 작동부(140)는 도 3의 (b)에 도시한 전개도에서와 같이 제1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30)의 하면을 상호 일체로 구비하고 제2작동홀(124) 및 제3작동홀(131)의 하단 모서리부를 절첩용 궤선으로 마련하여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 및 전시용 박스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고안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의 포장 및 전시용 박스는 물품을 완전히 포장하는 포장상태와, 박스 일부를 개봉하여 물품을 관람자에게 전시하는 전시상태와, 박스를 완전히 개봉한 개봉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8에서와 같은 포장상태에서는 상기 제1커버부(120) 및 제2커버부(130)가 물품을 수용하는 케이스의 하면을 제외한 5측면을 커버한 상태로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포장상태에서 전시상태를 구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제1파지홀(121) 및 제2파지홀(122)을 통해 지지부(111)의 상면 및 케이스부(110)의 하면을 파지한 상태에서 제1작동홀(123)을 통해 케이스부(110)를 잡아당겨 제2커버부(130)로부터 인출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110)가 제2커버부(130)의 제2작동홀(124)로부터 이탈하여 인출되면 사용자는 제2커버부(130)를 작동부(140)를 기점으로 케이스부(110)의 하면을 향해 절첩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커버부(120)를 케이스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여 케이스부(110)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한다. 예컨대,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커버부(120)를 케이스부(110)의 일단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면 제1커버부(120)의 단부가 지면에 접촉하여 케이스부(110)는 지면으로부터 세워지고, 반대로 제1커버부(120)를 케이스부(110)의 타단을 향해 근접할 수록 케이스부(110)의 단부가 지면에 접촉하게 되어 눕혀지는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박스는 도 2에서와 같이 같이 제1커버부(120)의 제2작동홀(124)과 제2커버부(130)의 제3작동홀(131)이 제1커버부(120) 및 제2커버부(130)의 상, 하면에 대해 상호 직각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하거나, 도 8에서와 같은 경사각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하여 전시상태에서 물품을 수용하는 케이스부(110)의 각도를 다양하게 가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도를 조절 한 후 도 7의 (b)에서와 같이 제3작동홀(131)의 4측 모서리를 케이스부(110)의 하면에 당접시켜 지지함으로써 전시상태를 조성한다.
상기와 같은 포장상태, 혹은 전시상태에서 케이스부(110)를 제1작동홀(123) 또는 제2작동홀(124)로 완전히 인출하여 개봉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 및 전시용 박스는 물품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커버하는 커버부의 구조를 종래 기술과 차별하여 풀 아웃 상태에 따라서 포장상태, 전시상태, 및 개봉상태를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는 포장 박스를 제공한다.
특히, 본 고안은 종래 기술과 같이 박스의 내, 외부에 별도의 추가 구성을 탑재하거나 복잡한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서도 사용성이 용이하면서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전시 기능을 구현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하는 등의 다양한 이점을 가진다.
110: 케이스부
111: 지지부
112: 수용홀
113: 보조홀
120: 제1커버부
121,122: 제1,2파지홀
123,124: 제1,2작동홀
130: 제2커버부
131: 제3작동홀
140: 작동부

Claims (3)

  1. 상면을 개방하는 사각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물품을 수용하는 케이스부(110), 케이스부(110)의 외형에 상응하는 내형을 형성하여 케이스부(110)의 일측을 부분 수용하는 제1커버부(120), 케이스부(110)의 외형에 상응하는 내형을 형성하여 제1커버부(120)에 의해 수용된 케이스부(110)의 일측을 제외한 타측을 수용하는 제2커버부(130), 케이스부(110)의 하측에서 제1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30)를 일체로 연결하고 포장상태 또는 전시상태에 따라 제2커버부(130)를 제1커버부(120) 또는 케이스부(110)의 하면에 선택적으로 당접하도록 절첩하는 작동부(140)를 포함하여 물품을 수용하여 포장 또는 개봉 또는 전시상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지는 포장 및 전시용 박스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120)는 양 측면에서 케이스부(110)를 출몰하는 제1작동홀(123) 및 제2작동홀(124)을 형성하여 케이스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제2커버부(130)는 상기 제2작동홀(124)에 대향하는 일 측면에서 케이스부(110)를 출몰하는 제3작동홀(131)을 형성하여 케이스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케이스부(110)에는,
    일 측면에서 연장하여 상면을 부분 폐쇄하고 제1커버부(120)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11)를 형성하여 물품의 이탈을 방지하고 제2커버부(130)로부터 제1커버부(120)에 전달되는 지지하중을 케이스로 분산하여 지지시키고,
    상기 지지부(111)의 내측면과 해당 면에 대향하는 케이스부(110)의 내측면 각각에는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수용홀(112)을 형성하여 케이스부(110)에 수용되는 물품의 상, 하단을 수용하고,
    상기 지지부(111)의 내측면에 대향하는 케이스부(110)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칼집구를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절개하는 보조홀(113)을 마련하여 길이가 긴 물품을 수용 시 일시적으로 물품에 의해 케이스부(110)의 일측을 밀어내도록 구비하고,
    상기 제2작동홀(124)과 제3작동홀(131)은,
    제1커버부(120) 및 제2커버부(130)의 상, 하면에 대해 상호 직각 또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케이스부(110)에 수용되는 물품의 전시 각도를 가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및 전시용 박스.
  2. 삭제
  3. 삭제
KR2020180006049U 2018-12-24 2018-12-24 포장 및 전시용 박스 KR2004917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6049U KR200491731Y1 (ko) 2018-12-24 2018-12-24 포장 및 전시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6049U KR200491731Y1 (ko) 2018-12-24 2018-12-24 포장 및 전시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731Y1 true KR200491731Y1 (ko) 2020-05-26

Family

ID=7086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6049U KR200491731Y1 (ko) 2018-12-24 2018-12-24 포장 및 전시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731Y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808U (ko) 1996-11-06 1998-08-05 정도언 포장용 박스의 물품 전시장치
JP2006315751A (ja) * 2005-05-16 2006-11-24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容器
US20080230425A1 (en) * 2007-03-21 2008-09-25 Norell Gregory B Package for Containing and Displaying Elongate Articles
KR20110002481A (ko) * 2008-06-06 2011-01-07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슬라이드 작용형 힌지 리드 패키지
KR20110006414U (ko) * 2009-12-18 2011-06-24 정현학 손잡이끈이 달린 포장박스
JP2012051625A (ja) * 2010-09-01 2012-03-15 Kyodo Printing Co Ltd スライド式スリーブカートンブランク
JP2012086850A (ja) * 2010-10-15 2012-05-10 Toppan Printing Co Ltd 包装容器
KR20150068204A (ko) 2013-12-11 2015-06-19 이호식 포장박스
KR101659308B1 (ko) 2015-06-15 2016-09-23 (주)창조프린팩 상품 진열기능을 가지는 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808U (ko) 1996-11-06 1998-08-05 정도언 포장용 박스의 물품 전시장치
JP2006315751A (ja) * 2005-05-16 2006-11-24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容器
US20080230425A1 (en) * 2007-03-21 2008-09-25 Norell Gregory B Package for Containing and Displaying Elongate Articles
KR20110002481A (ko) * 2008-06-06 2011-01-07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슬라이드 작용형 힌지 리드 패키지
KR20110006414U (ko) * 2009-12-18 2011-06-24 정현학 손잡이끈이 달린 포장박스
JP2012051625A (ja) * 2010-09-01 2012-03-15 Kyodo Printing Co Ltd スライド式スリーブカートンブランク
JP2012086850A (ja) * 2010-10-15 2012-05-10 Toppan Printing Co Ltd 包装容器
KR20150068204A (ko) 2013-12-11 2015-06-19 이호식 포장박스
KR101659308B1 (ko) 2015-06-15 2016-09-23 (주)창조프린팩 상품 진열기능을 가지는 포장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8803B1 (en) Packaging system
US2522049A (en) Carton
US9278774B2 (en) Clamshell carton with locking tab
EP3445666B1 (en) A display package having two modes
KR20140004471U (ko) 포장상자
US8789704B2 (en)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US3999657A (en) Garment shipping carton
KR200491731Y1 (ko) 포장 및 전시용 박스
KR101508732B1 (ko) 포장용 상자
KR20170018730A (ko) 포장용 상자
US11932464B2 (en) Box with interior lift mechanism
JP3158505U (ja) 簡易キャリーケース
KR200367545Y1 (ko) 소형 물품용 종이 박스
KR200462914Y1 (ko) 포장용 상자
JP3222801U (ja) 仕切体
JPH0415621Y2 (ko)
KR102244462B1 (ko) 식품 포장상자
JP6857020B2 (ja) 物品収容体
JPS6221543Y2 (ko)
KR200382455Y1 (ko) 포장박스
KR200236863Y1 (ko) 다용도 박스
JP3851698B2 (ja) 二重壁構造を備えた折畳式梱包箱
GB2397057A (en) Container for items of apparel
JP2023084961A (ja) 包装箱
JP2534135Y2 (ja) 梱包箱用底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