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204A -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204A
KR20150068204A KR1020130154138A KR20130154138A KR20150068204A KR 20150068204 A KR20150068204 A KR 20150068204A KR 1020130154138 A KR1020130154138 A KR 1020130154138A KR 20130154138 A KR20130154138 A KR 20130154138A KR 20150068204 A KR20150068204 A KR 20150068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wall
rear end
plate
cover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식
박형섭
Original Assignee
이호식
박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식, 박형섭 filed Critical 이호식
Priority to KR102013015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8204A/ko
Priority to PCT/KR2013/011551 priority patent/WO2015088077A1/ko
Publication of KR20150068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 B65D5/200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all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held erect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sides being doubled-over to enclose extensions of adjacent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opposite sides mutually interlocking to lie against othe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56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made of co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26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 B65D5/66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or tabs
    • B65D5/6661Flaps provided over the total length of the lid edge opposite to the hinge
    • B65D5/6664Flaps provided over the total length of the lid edge opposite to the hinge combined with flaps or tabs provided at the side edges of the lid

Abstract

포장박스가 개시된다. 개시된 포장박스는 상품수용홈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전단에 직각으로 형성된 전단벽,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단에 직각으로 형성된 측단벽, 상기 베이스판의 후단에 직각으로 형성된 후단벽을 구비하며, 상기 전단벽의 상면은 소정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광고문구가 표시되는 광고면 역할을 하는 본체부; 상기 후단벽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후단벽을 덮는 제 1 덮개판과, 상기 제 1 덮개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제 2 덮개판과, 상기 제 2 덮개판의 끝단에 연장되어 상기 전단벽 내측으로 끼워지는 제 1 끼움판과, 상기 제 2 덮개판의 양측단에 연장되어 상기 후단벽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제 2 끼움판으로 구성된 커버부; 상기 베이스판 및 상기 제 2 덮개판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박스{PACKING BOX}
본 발명은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품을 운반하거나 전시할 때 사용하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물세트와 같이 다양한 상품(캔류, 비누, 치약, 샴푸, 주류, 과일 등)을 포장하여 보관 및 유통시키는데 사용되는 포장박스를 사용한다.
종래의 포장박스는 다양한 형태의 포장박스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포장박스는 제품의 특성이나 사용의 편의성에 따라 덮개가 본체와 분리되거나, 덮개가 본체의 측면에 일체로 연결된 형태가 있다.
덮개와 본체가 분리된 포장박스의 경우, 전시하기 위해 본체에서 덮개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도 1과 같이, 커버(15)가 상품수용홈(12)을 구비한 본체(11)의 일측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포장박스(10)일 경우, 전시를 위해, 커버(15)를 본체(11)에서 열어 놓으면, 커버(15)가 본체(11)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서 전시공간을 지저분하게 할 뿐 아니라, 전시공간을 많이 차지해서 한정된 전시공간에 다수의 포장박수를 전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1과 같은 종래의 포장박스(10)는 커버(15)의 전단 및 측면에 끼움부(16a,16b)가 형성되고, 전단 끼움부(16a)의 측면과 전단에도 각각 보조 끼움부(16aa,16ab)가 형성되며, 본체(11)의 전단벽(11a) 양측과 하단 중앙에 측단 슬릿(14)과 중앙 슬릿(13)이 형성되어 있어, 지저분하게 보여 전시효과가 감소하는 문제도 있었다. 아울러, 도 1과 같은 포장박스(10)는 상품이 판매된 경우, 별도의 가방에 넣어서 이동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도 1과 같은 포장박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포장박스가 개발되어 사용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포장박스는 전시성과 운반성을 동시에 만족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5574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3048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종래의 포장박스에 비해, 전시성과 운반성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포장박스는 상품수용홈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전단에 직각으로 형성된 전단벽,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단에 직각으로 형성된 측단벽, 상기 베이스판의 후단에 직각으로 형성된 후단벽을 구비하며, 상기 전단벽의 상면은 소정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광고문구가 표시되는 광고면 역할을 하는 본체부; 상기 후단벽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후단벽을 덮는 제 1 덮개판과, 상기 제 1 덮개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제 2 덮개판과, 상기 제 2 덮개판의 끝단에 연장되어 상기 전단벽 내측으로 끼워지는 제 1 끼움판과, 상기 제 2 덮개판의 양측단에 연장되어 상기 후단벽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제 2 끼움판으로 구성된 커버부; 상기 베이스판 및 상기 제 2 덮개판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단벽과 상기 측단벽과 상기 후단벽은 상면이 소정 폭을 갖고, 내부가 빈 이중벽 형태를 갖는 "
Figure pat00001
"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전시상태로 변환될 경우, 상기 제 1 덮개판이 후단벽에서 베이스판의 배면측으로 꺾여, 지면에 지지되고, 제 2 끼움판의 측단이 지면에 지지되어, 제 2 덮개판이 제 1 덮개판에 대해 꺾여 세워진 상태가 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세워진 제 2 덮개판에 지지되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포장박스는 전시상태로 변환하여 사용할 경우, 전단벽 상면이 광고문구가 표시된 광고면 역할을 해줄 뿐 아니라, 커버부가 본체부에 대해 돌출되지 않아 깔끔하고, 아울러, 상품을 수용하는 상품수용홈이 전방을 향해 소정각도로 세워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품의 전시효과가 기존의 포장박스에 비해 상당히 향상되어, 상품의 판매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박스는 한 쌍의 손잡이끈을 잡아 쉽게 운반할 수 있으므로, 상품 구매자가 상품구매시 본 발명의 포장박스에 담긴 상품을 선호함으로써, 상품의 판매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포장박스는 전시성과 운반성을 기존의 포장박스에 비해 향상시켰기 때문에, 기존의 포장박스 사용시 보다 상품판매가 월등히 촉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포장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포장박스가 열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포장박스에서 커버부가 본체부에 대해 180도 열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포장박스에서 커버부가 본체부에 대해 90도 정도 열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전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전개도와 같은 판재를 이용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가 전시하기위한 형태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포장박스를 후방 측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포장박스(A)는 본체부(100), 커버부(200), 손잡이끈(300)을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품을 수용하는 상품수용홈(s)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0)는 베이스판(110), 전단벽(120), 측단벽(130), 후단벽(140)으로 구성된다.
베이스판(110)의 사각형의 판으로 형성되며, 베이스판(110)에 대해 직각되게 전단벽(120), 측단벽(130), 후단벽(140)이 형성된다.
전단벽(120)은 베이스판(110)의 전단에, 측단벽(130)은 베이스판(110)의 양측단 각각에, 후단벽(140)은 베이스판(110)의 후단에 상방향으로 직각되게 형성되며, 전단벽(120), 측단벽(130) 및, 후단벽(140)의 양단은 각각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을 이룬다.
전단벽(120), 측단벽(130) 및 후단벽(140)은 모두 동일한 높이로 구성되며, 또한, 전단벽(120), 측단벽(130) 및, 후단벽(140)은 상면이 소정 폭을 갖고, 내부가 빈 이중벽 형태로 구성되도록 단면이 "
Figure pat00002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전단벽(120)의 상면은 측단벽(130) 및 후단벽(140)의 상면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이 전단벽(120)의 상면은 상품의 명칭, 상품을 광고글, 브랜드 명칭 등 상품을 홍보하는 광고문구가 인쇄되거나 광고문구가 표시된 스티커가 부착되는 광고판(128) 역할을 한다.
커버부(200)는 제 1 덮개판(201), 제 2 덮개판(205), 제 1 끼움판(206), 제 2 끼움판(209)을 포함한다.
제 1 덮개판(201)은 후단벽(14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후단벽(140)의 높이와 동일한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제 1 덮개판(201)은 후단벽(140)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후단벽(140)을 덮거나, 후단벽(140)에 대해 펼쳐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제 2 덮개판(205)은 제 1 덮개판(201)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제 1 덮개판(201)에 대해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며, 또한, 제 2 덮개판(205)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부(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본체부(100)의 전면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제 1 끼움판(206)은 제 2 덮개판(205)의 끝단에 연장형성되어 전단벽(120)의 내측으로 끼워지게 되며, 제 2 끼움판(209)은 제 2 덮개판(205)의 양측단에 연장형성되어, 후단벽(130)의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손잡이 끈(301,302)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손잡이 끈(301) 각각의 양단(301a,302a)을 관통하여 매듭지어짐으로써, 제 2 덮개판(205)과 베이스판(110)에 각각 고정설치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포장박스(A)는 후단벽(14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구성하도록 하나의 종이판재(P)를 도 6에 도시된 전개도와 형성하고, 이 종이판재(P)를 접어서 후단벽(14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먼저 조립한 후, 마지막에 후단벽(140)을 접착하여 포장박스(A)이 제작완성될 수 있다.
이때, 펼쳐진 종이판재(P)에서 측단벽(130)을 이루는 부분의 양단에는 전단벽(120)과 후단벽(140)의 내부를 지지하여 전단벽(120)과 후단벽(1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제 1 지지대(135)와 제 2 지지대(138)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종이판재(P)를 접어 포장박스(A)를 조립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6에 도시된 상태의 종이판재(P)에는 조립하기 전에 종이판(P)의 해당위치에 한 쌍의 손잡이 끈(301,302)이 설치된 상태이다.
도 6에 도시된 상태의 종이판재(P)에서 도 7과 같이, 측단벽(130)를 "
Figure pat00003
"형상으로 접고, 측단벽(130)으로부터 한 쌍의 제 1 지지대(135)를 꺽어 서로 끝단을 교차 결합시켜 전단벽(120)의 뼈대를 만들고, 측단벽(130)으로부터 한 쌍의 제 2 지지대(138)를 꺽어 서로 끝단을 교차 결합시켜 후단벽(140)의 뼈대를 만든다.
이후, 도 8과 같이, 전단벽(110)을 내측방향으로 직사각형이 되도록 말아 한 쌍의 제 1 지지대(135)를 감싸도록 접어 준 다음, 도 9와 같이, 별도 조각으로 형성된 후단벽(140)을 "
Figure pat00004
"형상으로 접어, 한 쌍의 제 2 지지대(138)를 감싸도록 접착테이프로 제 2 지지대(138)에 붙여준다.
이후, 제 1 끼움판(206), 제 2 끼움판(209)을 제 2 덮개판(205)에 직각되게 접은 후, 제 1 덮개판(201)으로 후단벽(140)과 덮고, 제 2 덮개판(205)이 본체부(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은 후, 제 1 끼움판(206)과 제 2 끼움판(209)을 던단벽(120)과 측단벽(130) 내측으로 끼워넣어 줌으로써, 도 3과 같이 포장박스(A)의 조립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포장박스(A)는 상품수용홈(s)에 상품이 들어있는 상태로, 백화점이나 마트에서 전시를 할 경우,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전시상태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제 1 덮개판(201)이 후단벽(140)에서 베이스판(110)의 배면측으로 껄여 지면에 지지되고, 제 2 끼움판(209)의 측단이 지면에 지지되어 제 2 덮개판(205)이 제 1 덮개판(201)에 대해 꺾여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아울러, 세워진 상태의 제 2 덮개판(205)에 본체부(100)가 지지되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지게 함으로써, 본체부(100)의 상품수용홈(s)이 소정각도로 세워진 상태로 전방을 향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박스(A)는 전시상태로 변환하여 사용할 경우, 별다른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품수용홈(s)이 전방을 향해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직립 상태가 되어, 상품수용홈(s)에 수용된 상품이 고객들의 눈에 확실히 띠게 되어 전시효과가 향상될 뿐 아니라, 특히, 기존과는 다르게 커버부(200)가 본체부(100)의 측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본체부(100)의 배면측에 접힌 상태로 본체부(100)를 지지하여 직립시키는 거치대 역할을 해줌으로써, 지저분하게 보이지 않고 깔끔하하여 전시효과를 더욱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품이 판매되어 본 발명의 포장박스(A)를 운반할 경우, 커버부(200)와 본체부(100)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손잡이 끈(301,302)을 잡고, 운반하면 되기 때문에, 운반이 기존의 포장박스에 비해 보다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한 쌍의 손잡이 끈(301,302)이 제 2 덮개판(205)과 베이스판(110)에 각각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한 쌍의 손잡이 끈(301,302)을 모아서 잡아, 본체부(100)와 커버부(200)를 들어 올리면, 본체부(100)와 커버부(200)가 서로 열리지 않도록 본체부(100)와 커버부(200)를 서로 가압해 주는 힘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커버부(200)가 본체부(100)로부터 벌어져서 상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본체부
110...베이스판
120...전단벽
130...측단벽
130...후단벽
200...커버부
201...제 1 덮개판
205...제 2 덮개판
206...제 1 끼움판
209...제 2 끼움판
301,302...손잡이 끈

Claims (3)

  1. 상품수용홈(s)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베이스판(110), 상기 베이스판(110)의 전단에 직각으로 형성된 전단벽(120), 상기 베이스판(110)의 양측단에 직각으로 형성된 측단벽(130), 상기 베이스판(100)의 후단에 직각으로 형성된 후단벽(140)을 구비하며, 상기 전단벽(120)의 상면은 소정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광고문구가 표시되는 광고면(128) 역할을 하는 본체부(100);
    상기 후단벽(14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후단벽(140)을 덮는 제 1 덮개판(201)과, 상기 제 1 덮개판(20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제 2 덮개판(205)과, 상기 제 2 덮개판(205)의 끝단에 연장되어 상기 전단벽(120) 내측으로 끼워지는 제 1 끼움판(206)과, 상기 제 2 덮개판(205)의 양측단에 연장되어 상기 후단벽(130)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제 2 끼움판(209)으로 구성된 커버부(200);
    상기 베이스판(100) 및 상기 제 2 덮개판(205)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끈(301,3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벽(120)과 상기 측단벽(130)과 상기 후단벽(140)은 상면이 소정 폭을 갖고, 내부가 빈 이중벽 형태를 갖는 "
    Figure pat00005
    "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200)는 전시상태로 변환될 경우,
    상기 제 1 덮개판(201)이 후단벽(140)에서 베이스판(110)의 배면측으로 꺾여, 지면에 지지되고, 제 2 끼움판(209)의 측단이 지면에 지지되어, 제 2 덮개판(205)이 제 1 덮개판(201)에 대해 꺾여 세워진 상태가 되며,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세워진 제 2 덮개판(205)에 지지되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KR1020130154138A 2013-12-11 2013-12-11 포장박스 KR20150068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138A KR20150068204A (ko) 2013-12-11 2013-12-11 포장박스
PCT/KR2013/011551 WO2015088077A1 (ko) 2013-12-11 2013-12-12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138A KR20150068204A (ko) 2013-12-11 2013-12-11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204A true KR20150068204A (ko) 2015-06-19

Family

ID=5337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138A KR20150068204A (ko) 2013-12-11 2013-12-11 포장박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68204A (ko)
WO (1) WO20150880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731Y1 (ko) 2018-12-24 2020-05-26 권오익 포장 및 전시용 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35983S1 (en) * 2016-05-19 2018-12-18 Sabrina Cacciatore 3D gift card box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2630A (ja) * 2000-05-16 2001-11-20 Lotte Co Ltd 包装展示兼用箱
US20090314661A1 (en) * 2008-06-24 2009-12-24 Thad Joseph Fisher Convertible display carton
KR20100012777U (ko) * 2009-06-16 2010-12-24 정진환 과일 포장용 박스
KR200470084Y1 (ko) * 2011-12-23 2013-11-26 도재호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
KR101339438B1 (ko) * 2012-05-03 2013-12-10 김용진 보강 프레임 구조를 갖는 포장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731Y1 (ko) 2018-12-24 2020-05-26 권오익 포장 및 전시용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8077A1 (ko)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8803B1 (en) Packaging system
US6244501B1 (en) Multi-purpose package assembly
US2026525A (en) Bottle carrier
US20070187264A1 (en) Display package
US5509532A (en) Foldable display card for butterfly-molded item
KR101218035B1 (ko) 거치대겸용 다용도 포장용 박스
KR20150068204A (ko) 포장박스
KR101282603B1 (ko) 포장용 봉투
US9809363B2 (en) Presentation packaging
KR200432462Y1 (ko) 서랍형 포장박스
CN210654016U (zh) 一种对称盖式一体两箱盒
US20090310891A1 (en) Food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320551Y1 (ko) 상품 진열 상자
KR200484728Y1 (ko) 상품 진열 케이스
AU2006202240B2 (en) Enclosure assembly and method
JP2000072133A (ja) 飛び出し表示板付き箱
CN110254885B (zh) 一种翻盖式一体两箱盒
CN216003384U (zh) 一种展开展示包装盒
CN216070889U (zh) 一种可用于展示陈列的方形盒
JPH1024926A (ja) 物品の包装用箱にも兼用可能な物品展示用具
TWI722837B (zh) 具有可站立資訊顯示蓋板之可攜式盒體結構
CN110254884B (zh) 一种漩涡盖式一体两箱盒
CN210213054U (zh) 多面可视瓦楞纸包装盒
JP3213444U (ja) 筐体
JP4266253B2 (ja) ダンボール製組立ワゴン用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