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482B1 -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 Google Patents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482B1
KR101885482B1 KR1020170092519A KR20170092519A KR101885482B1 KR 101885482 B1 KR101885482 B1 KR 101885482B1 KR 1020170092519 A KR1020170092519 A KR 1020170092519A KR 20170092519 A KR20170092519 A KR 20170092519A KR 101885482 B1 KR101885482 B1 KR 10188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se
lock
toile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빛나
Original Assignee
조빛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빛나 filed Critical 조빛나
Priority to KR1020170092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2Single-corner shelves; Bracke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00Weighing apparatus involving the use of a counterweight or other counterbalancing 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장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작동홈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와 일치되어 상호 조합되는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며, 하부케이스의 저부에 고정쇠의 부착으로 화장실 부스의 내부 측벽에 횡으로 부착되는 코너선반과;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안착되는 소지품의 무게에 따라 상하 작동되는 무게감지부재와; 상기 코너선반이 설치된 측벽과 직각되는 고정패널 측에 설치되어 무게감지부재의 하강동작에 따라 화장실 여닫이 도어측 도어 록의 잠금 상태인 잠금쇠를 걸어 언록킹 동작을 방지하고, 고정패널측으로부터 여닫이 도어의 전후 유동을 방지하는 잠금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화장실 부스 내부로 들어간 이용자가 도어 록을 통해 여닫이 도어를 잠금위치로 두고, 측벽 측에 구비된 코너선반 상에 소지품을 임시로 올려놓을 경우, 소지품 무게에 따라 코너선반측의 무게감지부재, 무게감지부재의 작동과 연계되어 잠금레버를 동작시켜 도어 록의 잠금쇠를 언록킹 방지되게 함으로써, 이용자는 용변을 마치고, 소지품을 반드시 챙겨야지만 잠금쇠를 해제하여 여닫이 도어를 개방하고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소지품 분실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지품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잠금쇠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잠금부재의 걸이부측 도어받침부는 고정패널에 대해 여닫이 도어를 안정적으로 받쳐줌과 동시에 기울어진 빗장형태로 걸어줌으로써, 외부에서 여닫이 도어를 두드리는 경우 도어의 덜컹거림을 해소할 수 있어 불필요한 소음 및 내부 이용자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Corner shelves for public restrooms}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변기가 있는 화장실 부스 내에 구비되어 각종 소지품을 임시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고정식 코너선반을 개선하여 선반에 소지품을 올려둔 상태에서는 소지품의 무게로 화장실 여닫이 도어를 잠근 잠금쇠를 걸어 록킹이 이루어지고, 소지품을 챙긴 상태에서는 잠금쇠의 록킹을 해제시켜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여 소지품을 잊지 않고 반드시 챙겨 지갑이나 핸드폰 등의 소지품 분실을 방지하며, 잠금쇠의 록킹시 화장실 도어를 이중으로 잠금 기능을 갖도록 하여 도어의 덜컹거림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공중화장실은 부스 내부에 옷 걸이대, 두루마리 휴지 걸이대 및 코너선반을 부착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코너선반은 이용자가 가지고 있던 핸드폰, 손지갑, 핸드백 등을 임시로 올려놓을 수 있게 하는 편의를 제공하는바, 통상 코너선반은 여닫이 도어와 함께 부스를 구성하는 구획 측면패널, 혹은 벽면에 직접 횡으로 이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는 공간에 수평으로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단순 코너선반은 이용자의 편의목적취지에서 시설투자가 이루어진 것이나 이용자가 코너선반에 올려둔 소지품을 잊고 그대로 부스 내부를 나가버리는 경우가 종종있어, 소지품의 분실사례가 적지않게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8030호(명칭: 화장실용 선반, 등록일자 2013년 12월 27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 1'이라 칭함) 및 등록실용 제20-0481074호(명칭: 받침구 겸용 걸이구가 구비된 공중화장실용 전용 선반, 등록일자: 2016년 08월 03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 2'라 칭함)가 선원기술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화장실 도어를 잠그고 해제하는 시건수단과 연동되도록 설치하여 화장실 도어을 닫은 후 시건수단을 단속하여야 선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장실 사용이 끝난 후에는 선반을 이용하여 시건수단을 해제하여야 하므로 선반에 보관한 물품을 필수적으로 회수하여 분실우려를 배제하도록 도어의 시건수단 위치에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선반과, 상기 고정선반에 대하여 전방으로 출입하여 이용자의 물건을 안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동선반과, 상기 고정선반에 내장되어 가동선반의 출입과 연동하여 고정선반의 측방으로 출입하여 벽체에 구비되는 암시건자와 잠금과 해제작동하는 수시건자로 구성한 것이다.
이는 화장실을 이용할 때 핸드폰, 지갑, 핸드백 등의 각종 개인 소지품을 화장실 내부에 개인이 휴대한 물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선반을 도어의 시건과 해제를 담당하는 도어 록과 연동하여 작동하게 함으로써, 화장실 이용이 끝난 후 도어 해제를 위하여 선반을 조작하여야 하므로 선반에 보관한 물품의 회수하지 않아 분실하게 되는 부려를 배제하고, 화장실 외부에서 획책하는 도난으로부터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용자들의 편의성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2는, 선반을 벽체에 나사못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조립구멍이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과 직각으로 받침판이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받침판과 고정편의 양쪽 하단부에는 받침판이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사이드 보강리브가 구성되며, 받침판의 전방 끝단에는 소지품이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게 하고,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봉형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환봉형 보강부의 하부에는 판형 걸이구가 시작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부로 절곡되어 구성되며, 받침판의 전방 양쪽 코너에는 다양한 크기의 핸드백, 노트북, 책의 하부를 받쳐주거나 또는 외투나 멜빵이 있는 가방, 우산을 걸어둘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의 걸이구가 입설되고, 상기 원기둥 형상의 걸이구의 내구성을 증강시킬 수 있게 환봉형 보강부의 양단과 받침판의 상부 양쪽에 형성된 보강리브가 연결되어 구성된 받침구 겸용 걸이구가 구비된 공중화장실 전용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외투나 멜방이 있는 가방, 우산 등 많은 소지품을 걸어둘 수 있고, 멜방이 없는 다양한 크기의 핸드백, 노트북, 책의 하부를 원기둥 형상의 걸이구에 받쳐서 놓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소지품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공중화장실의 도어에 적용된 선반은, 이용자의 소지품 분실방지, 소지품을 용이하게 임시로 보관하기 좋은 용도로서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특허문헌 1은 선반을 도어에 직 부착한 구성으로 도어를 통해 드나드는 이용자와의 간섭이 크고, 도어의 잠금시 외부에서 문을 두드리거나 당기거나 할 때 통상적으로 잠금쇠의 잠금 부분 유격에 의해 도어의 전후 덜컹거림 현상이 나타나 내부 이용자에게 부담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는 선반에 각종 소지품 등을 올려놓도록 하여 임시로 소지품보관이 가능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에 직부착한 제품으로 이는 도어를 여닫고 통행하는데 있어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며,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와 같이 도어의 잠금시 외부에서 문을 두드리거나 당기거나 할 때 통상적으로 잠금쇠의 잠금 부분 유격에 의해 도어의 덜컹거림 현상이 나타나 내부 이용자에게 부담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고정식 코너선반을 개선하여 선반에 소지품을 올려둔 상태에서는 소지품의 무게로 화장실 여닫이 도어를 잠근 잠금쇠를 걸어 록킹이 이루어지고, 소지품을 챙긴 상태에서는 잠금쇠의 록킹을 해제시켜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여 소지품을 잊지 않고 반드시 챙겨 지갑이나 핸드폰 등의 소지품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는 도어측 잠금쇠의 록킹시 화장실 도어를 이중으로 잠금 기능을 갖도록 하여 도어의 덜컹거림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는,
상면에 장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작동홈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와 일치되어 상호 조합되는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며, 하부케이스의 저부에 고정쇠의 부착으로 화장실 부스의 내부 측벽에 횡으로 부착되는 코너선반과;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안착되는 소지품의 무게에 따라 상하 작동되는 무게감지부재와; 상기 코너선반이 설치된 측벽과 직각되는 고정패널 측에 설치되어 무게감지부재의 하강동작에 따라 화장실 여닫이 도어측 도어 록의 잠금 상태인 잠금쇠를 걸어 언록킹 동작을 방지하고, 고정패널측으로부터 여닫이 도어의 전후 유동을 방지하는 잠금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무게감지부재가 설치된 코너선반은,
잠금부재로부터 고정패널의 폭에 따라 화장실 부스의 내부 측벽과 고정패널에 대해 횡방향으로 조정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무게감지부재는,
상부케이스의 장공 내측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장공의 저면에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저부 일측에는 상부케이스의 작동홈 외측으로 노출되는 누름부가 형성되며, 누름부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저면 일측에 스프링고정부가 형성된 누름대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누름대의 힌지부에 힌지축으로 연결 설치되는 힌지대와, 상기 누름대의 스프링고정부에 일측이 안내되고 타측은 하부케이스의 상면에 지지되어 누름대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잠금부재는,
화장실 부스를 이루는 고정패널측 내측 면에 부착되며, 상호 조합되는 가장자리 중 하부에 제1인출홈 및 제1인출홈이 형성된 하부와 이웃하는 측면에 제2인출홈이 형성된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와,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 내에 축핀에 의해 일측이 회동되게 설치되며, 단부로부터 받침턱이 돌출 형성된 레버부, 레버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며 일측에 축공 및 스프링걸이공이 형성된 수평부, 수평부로부터 레버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측에는 고정패널로부터 여닫이 도어의 전후유동을 방지하는 걸이부, 수평부와 걸이부가 직각으로 이웃하는 외측에 상향 돌출되어 잠금쇠를 걸기 위한 스톱퍼가 일체로 형성된 잠금레버와, 상기 잠금레버의 스프링걸이공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 내에 지지되어 잠금레버에 탄성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과, 상기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의 길이변에 삽입 고정되어 도어 록의 잠금쇠를 안내 지지하는 걸이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어 록의 잠금쇠는 잠금레버의 회전시 스톱퍼가 안내되어 언록킹이 방지되는 걸림홈이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잠금레버의 걸이부는 측면 상에 여닫이 도어의 내측 면에 밀착되어 유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도어받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는, 화장실 부스 내부로 들어간 이용자가 도어 록을 통해 여닫이 도어를 잠금위치로 두고, 측벽 측에 구비된 코너선반 상에 소지품을 임시로 올려놓을 경우, 소지품 무게에 따라 코너선반측의 무게감지부재, 무게감지부재의 작동과 연계되어 잠금레버를 동작시켜 도어 록의 잠금쇠를 언록킹 방지되게 함으로써, 이용자는 용변을 마치고, 소지품을 반드시 챙겨야지만 잠금쇠를 해제하여 여닫이 도어를 개방하고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소지품 분실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지품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잠금쇠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잠금부재의 걸이부측 도어받침부는 고정패널에 대해 여닫이 도어를 안정적으로 받쳐줌과 동시에 기울어진 빗장형태로 걸어줌으로써, 외부에서 여닫이 도어를 두드리는 경우 도어의 덜컹거림을 해소할 수 있어 불필요한 소음 및 내부 이용자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코너선반장치를 화장실 부스 내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선반장치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코너선반장치의 잠금레버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선반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도 4에서 코너선반장치의 잠금레버와 도어 록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코너선반의 상부에 소지품을 올려놓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선반장치의 또 다른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코너선반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코너선반장치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코너선반장치(100)는, 코너선반(110), 무게감지부재(120), 잠금부재(130)로 크게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코너선반(110)은 상면에 장공(112a)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작동홈(112b)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12) 및 상부케이스와 일치되어 상호 조합되는 하부케이스(114)로 이루어지며, 하부케이스의 저부에 고정쇠(113)의 부착으로 화장실 부스의 내부 측벽(1)에 횡으로 부착된다.
상기 장공(112a)은 복수개 형성되며, 상부케이스(112)에 올려지는 소지품(A)이 장공(112a)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무게감지부재(120)는, 상부케이스(112)와 하부케이스(114) 내에 설치되어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안착되는 소지품(A)의 무게에 따라 상하 작동되도록 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부케이스(112)의 장공(112a) 내측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21a) 및 장공의 저면에 걸려지는 걸림턱(121b)이 형성되고, 저부 일측에는 상부케이스의 작동홈(112b) 외측으로 노출되는 누름부(121c)가 형성되며, 누름부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힌지부(121d)가 형성되고, 저면 일측에 스프링고정부(121e)가 형성된 누름대(121)와, 상기 하부케이스(114)의 상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누름대(121)의 힌지부(121d)에 힌지축(H)으로 연결 설치되는 힌지대(122)와, 상기 누름대(121)의 스프링고정부(121e)에 일측이 안내되고 타측은 하부케이스(114)의 상면에 지지되어 누름대(121)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축스프링(123)은 누름대(121)의 상부에 안착되는 소지품(예를 들면, 핸드폰 또는 손지갑 등)의 무게에 대해 충분히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갖는 정도이면 된다.
상기 잠금부재(130)는, 코너선반(110)이 설치된 측벽(1)과 직각되는 고정패널(2) 측에 설치되어 무게감지부재(120)의 하강동작에 따라 화장실 여닫이 도어(D)측 도어 록(10)의 잠금 상태인 잠금쇠(12)를 걸어 언록킹 동작을 방지하고, 고정패널(2)측으로부터 여닫이 도어(D)의 전후 유동(덜컹거림)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잠금부재(130)의 구성을 좀더 자세히 살피면, 화장실 부스를 이루는 고정패널(2)측 내측 면에 부착되며, 상호 조합되는 가장자리 중 하부에 제1인출홈(131a,132a) 및 제1인출홈이 형성된 하부와 이웃하는 측면에 제2인출홈(131b,132b)이 형성된 전면케이스(131) 및 후면케이스(132)와,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 내에 축핀(P)에 의해 일측이 회동되게 설치되며, 단부로부터 받침턱(133a)이 돌출 형성된 레버부(133-1), 레버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며 일측에 축공(133b) 및 스프링걸이공(133c)이 형성된 수평부(133-2), 수평부로부터 레버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측에는 고정패널(2)로부터 여닫이 도어(D)의 전후 유동을 방지하는 걸이부(133-3), 수평부와 걸이부가 직각으로 이웃하는 외측에 상향 돌출되어 잠금쇠(12)를 걸기 위한 스톱퍼(133-4)가 일체로 형성된 잠금레버(133)와, 상기 잠금레버의 스프링걸이공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 내에 지지되어 잠금레버에 탄성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134)과, 상기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의 길이 변에 삽입 고정되어 도어 록(10)의 잠금쇠(12)를 안내 지지하는 걸이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이대(135)는 상, 하부 및 측면이 트인 ㄷ자 형의 단면을 갖는 형태로 잠금쇠의 진입과 상기 잠금레버의 회동시 스톱퍼가 잠금쇠측으로 안내되어 걸려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 록(10)의 잠금쇠(12)는 잠금레버(133)의 회전시 스톱퍼(133-4)가 안내되어 언록킹이 방지되는 걸림홈(12a)이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12a)의 상,하부측 형성이유는 화장실 부스에 있어, 여닫이 도어(D)가 반대방향으로 여닫히는 타입시 도어 록의 위치를 180도 바꾸어 동시에 사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잠금레버(133)의 걸이부(133-3)는 측면 상에 여닫이 도어(D)의 내측 면에 밀착되어 유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도어받침부(133-5)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선반(110)은 잠금부재(130)로부터 고정패널(2)의 폭에 따라 화장실 부스의 내부 측벽(1)과 고정패널(2)에 대해 횡방향으로 조정되어 부착되도록 한다.
참고로 통상적인 공중화장실의 화장실 부스는 고정패널(2)의 경우, 150~250mm의 폭으로 시공되며, 이에 따른 코너선반(110)은 고정패널(2)의 길이 변에 가장 근접하여 고정된 위치로부터 상기 화장실 부스의 내부 측벽(1)과 직각되는 고정패널(2)에 2면 측이 부착된 상태에서 코너선반(110) 측의 무게감지부재(120)가 잠금레버(133)의 레버부(133-1)측 받침턱(133a)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의 설치 및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공중화장실의 부스는 여닫이 도어(D)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가 패널을 이용하여 시설되는바, 여닫이 도어(D)측과 동일선상에 위치한 고정패널(2)의 폭은 화잘신 칸이 나누어지는 폭에 따라 최소한 150~250mm의 폭으로 구획되어 칸막이 역할을 하는 측벽(1)과 직각되어 구획된다.
한편, 고정패널(2)측에 대해 도어 록(10)은 통상적으로 여닫이 도어(D)에 고정설치되어 도어 록의 노브를 90도 회전,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원위치시킴으로써, 잠금쇠의 돌출로서 여닫이 도어(D)를 고정패널(2)과 동일선상에 위치시킨 상태 닫은 상태에서 잠금쇠(12)를 이용한 여닫이 도어(D)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잠금쇠(12)가 횡으로 슬라이드되어 노출되는 위치의 고정패널(2) 내측 면에는 잠금부재(130)를 고정 설치하여 잠금부재의 전면케이스(131)와 후면케이스(132)의 가장자리 측에 위치되어 고정된 걸이대(135)에 상기 잠금쇠(12)가 안내되도록 하여 잠금쇠를 전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잠금부재(130)에 대한 코너선반(110)은 상기 측벽(1)과 직각되는 고정패널(2)에 부착하되, 그 위치는 상기 측(1)벽으로부터 직각되는 고정패널(2)의 폭에 맞추어 상기 코너선반(110)의 하부케이스(114)측 고정쇠(113)를 상기 측벽과 고정패널에 밀착시켜 체결나사로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코너선반은 첨부된 도 1, 도 4 및 도 8, 도 9와 같이 상기 고정패널(2)의 폭에 대해 잠금부재(130)측의 잠금레버(133)를 구성하는 레버부(133-1)의 받침턱(133a)이 상기 코너선반(110) 내에 설치된 무게감지부재(120)의 누름대(121) 저부에 위치하는 범위 내에서 이동 설치가 가능하다. 즉, 코너선반(110)은 측벽(1)과 고정패널(2)의 직각되는 면에 최대한 밀착시켜 고정쇠(113)을 통해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코너선반(110)을 구성하는 상부케이스(112)의 상면에 소지품(A)을 올려놓지 않은 상태에서는 통상적인 도어 록(10)의 잠금 또는 해제로써 여닫이 도어(D)의 통상적인 개폐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코너선반(110)의 상부케이스(112) 상면에 소지하고 있던 지갑, 핸드폰 등을 임시로 올려놓게 될 경우, 상부케이스(112)의 장공(112a)으로부터 돌출된 무게감지부재(120)의 돌출부(121a)는 소지품(A)의 무게에 따라 장공(112a)을 통해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가" 방향으로 눌러지고, 돌출부의 하부측에 형성된 걸림턱(121b)는 상기 장공(112a)의 저면에서 하강하여 이격된다.
이는 상기 코너선반(110)의 하부케이스(114)측 힌지대(122)에 누름대(121)의 힌지부(121d)가 힌지축(H)에 의해 회동 가능한 구조로서 하강되며, 이때 누름대(121)의 저부측과 하부케이스(114)의 상면에 양단이 위치된 압축스프링(123)은 가압상태가 되고, 누름대(121)의 누름부(121c)는 상기 상부케이스(112)의 작동홈(112b)으로부터 회동되어 하강한다.
상기 누름부(121c)의 하강은 첨부된 도 6 및 도 7에서 확대하여 발췌된 부분과 같이 상기 잠금부재(130)를 구성하는 잠금레버(133)의 레버부(133-1)측 받침턱(133a)을 하부로 가압한다.
상기 받침턱(133a)의 가압에 따라 받침턱의 위치는 전면케이스(131) 및 후면케이스(132)의 하부측 제1인출홈(131a,132a)를 통해 회동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부(133-1)는 축핀(P)을 기점으로 회동되어 수평부(133-2)는 경사지고, 상기 걸이부(133-3)는 전면케이스(131)와 후면케이스(132)측에 형성된 제2인출홈(131b,132b)를 통해 회동되며, 이때 수평부(133-2)측의 스프링걸이공(133c)을 걸고 있는 인장스프링(134)은 인장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잠금레버(133)의 동작은 상기 수평부(133-2)와 걸이부(133-3)가 직각되는 외부에 마련된 스톱퍼(133-4)는 상기 잠금쇠(12)가 위치한 걸이대(135)의 하부측을 통해 잠금쇠(12)의 하부측 걸림홈(12a)에 안내된다.
상기 스톱퍼(133-4)가 걸림홈(12a)에 위치됨에 따라 도어 록(10)을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노브를 회전시키더라도 잠금쇠(12)가 스톱퍼(133-4)의 걸림으로 인해 후퇴되지 않는 언록킹을 방지하게 한다.
결국, 이용자는 코너선반(110) 상부에 얹혀진 소지품(A)을 회수하면, 무게감지부재(120)의 복원, 잠금레버(133)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잠금쇠(12)의 걸림홈(12a)으로부터 스톱퍼(133-4)가 해제되기 때문에 반드시 소지품(A)을 챙겨야지만 화장실의 여닫이 도어(D)를 개방하고 나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이용자는 잊은 소지품을 잊은 상태라 할지라도 도어 록의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여 소지품이 아직 코너선반 상에 위치되어 있음을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소중한 소지품 분실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인지시켜 준다.
한편, 상기와 같이 소지품(A)을 코너선반에 올려놓았을 때, 잠금쇠(12)의 걸림홈(12a)에 스톱퍼(133-4)가 안내된 상태에서의 걸이부(133-3)측 도어받침부(133-5)는 고정패널(2)과 일직선상으로 위치한 여닫이 도어의 내측 면에 빗장형태로 걸어 이중으로 잠금 역할을 해줌과 동시에, 상기 도어받침부(133-5)의 절곡된 두께는 잠김 상태의 여닫이 도어(D)를 밀착시켜 전후 유동되지 않게 줌으로써, 외부에서 여닫이 도어를 당기거나 노크시 전후 덜컹거림을 해소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여닫이 도어(D)의 덜컹거림 방지는 통상 도어 록(10)의 잠금쇠(12) 걸림부분 또는 화장실의 이용시 옆 칸에서 도어를 닫고 들어올 시 고정패널(2)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이 전달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주변 이용자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측벽 2: 고정패널
10: 도어 록 11: 잠금쇠
11a: 걸림홈 100: 코너선반장치
110: 코너선반 112: 상부케이스
112a: 장공 112b: 작동홈
113: 고정쇠 114: 하부케이스
120: 무게감지부재 121: 누름대
121a: 돌출부 121b: 걸림턱
121c: 누름부 121d: 힌지부
121e: 스프링고정부 122: 힌지대
123: 압축스프링 130: 잠금부재
131: 전면케이스 132: 후면케이스
131a,132a: 제1인출홈 131b, 132b: 제2인출홈
133: 잠금레버 133-1: 레버부
133-2: 수평부 133-3: 걸이부
133-4: 스톱퍼 133-5: 도어받침부
133a: 받침턱 133b: 축공
133c: 스프링걸이공 134: 인장스프링
135: 걸이대 A: 소지품
D: 여닫이 도어 H: 힌지축
P: 축핀

Claims (6)

  1. 상면에 장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작동홈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와 일치되어 상호 조합되는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며, 하부케이스의 저부에 고정쇠의 부착으로 화장실 부스의 내부 측벽에 횡으로 부착되는 코너선반과;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안착되는 소지품의 무게에 따라 상하 작동되는 무게감지부재와;
    상기 코너선반이 설치된 측벽과 직각되는 고정패널 측에 설치되어 무게감지부재의 하강동작에 따라 화장실 여닫이 도어측 도어 록의 잠금 상태인 잠금쇠를 걸어 언록킹 동작을 방지하고, 고정패널측으로부터 여닫이 도어의 전후 유동을 방지하는 잠금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감지부재가 설치된 코너선반은 잠금부재로부터 고정패널의 폭에 따라 화장실 부스의 내부 측벽과 고정패널에 대해 횡방향으로 조정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감지부재는,
    상부케이스의 장공 내측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장공의 저면에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저부 일측에는 상부케이스의 작동홈 외측으로 노출되는 누름부가 형성되며, 누름부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저면 일측에 스프링고정부가 형성된 누름대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누름대의 힌지부에 힌지축으로 연결 설치되는 힌지대와,
    상기 누름대의 스프링고정부에 일측이 안내되고 타측은 하부케이스의 상면에 지지되어 누름대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화장실 부스를 이루는 고정패널측 내측 면에 부착되며, 상호 조합되는 가장자리 중 하부에 제1인출홈 및 제1인출홈이 형성된 하부와 이웃하는 측면에 제2인출홈이 형성된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와,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 내에 축핀에 의해 일측이 회동되게 설치되며, 단부로부터 받침턱이 돌출 형성된 레버부, 레버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며 일측에 축공 및 스프링걸이공이 형성된 수평부, 수평부로부터 레버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측에는 고정패널로부터 여닫이 도어의 전후 유동을 방지하는 걸이부, 수평부와 걸이부가 직각으로 이웃하는 외측에 상향 돌출되어 잠금쇠를 걸기 위한 스톱퍼가 일체로 형성된 잠금레버와,
    상기 잠금레버의 스프링걸이공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 내에 지지되어 잠금레버에 탄성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과,
    상기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의 길이 변에 삽입 고정되어 도어 록의 잠금쇠를 안내 지지하는 걸이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록의 잠금쇠는 잠금레버의 회전시 스톱퍼가 안내되어 언록킹이 방지되는 걸림홈이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의 걸이부는 측면 상에 여닫이 도어의 내측 면에 밀착되어 유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도어받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1020170092519A 2017-07-20 2017-07-20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101885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519A KR101885482B1 (ko) 2017-07-20 2017-07-20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519A KR101885482B1 (ko) 2017-07-20 2017-07-20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482B1 true KR101885482B1 (ko) 2018-08-03

Family

ID=6325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519A KR101885482B1 (ko) 2017-07-20 2017-07-20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4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401A (ko) 2019-05-09 2019-05-29 김쌍환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102078927B1 (ko) * 2018-10-05 2020-04-07 조빛나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483A (ko) * 2000-08-22 2002-02-28 김한석 출입문의 잠금 장치
KR200365489Y1 (ko) * 2004-08-03 2004-10-22 곽노희 무게감지센서를 이용한 분실 방지용 거치대
KR20150063992A (ko) * 2015-05-19 2015-06-10 신동열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483A (ko) * 2000-08-22 2002-02-28 김한석 출입문의 잠금 장치
KR200365489Y1 (ko) * 2004-08-03 2004-10-22 곽노희 무게감지센서를 이용한 분실 방지용 거치대
KR20150063992A (ko) * 2015-05-19 2015-06-10 신동열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927B1 (ko) * 2018-10-05 2020-04-07 조빛나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20190058401A (ko) 2019-05-09 2019-05-29 김쌍환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17684B2 (ja) 補助バッグ担持機構を有するホイール付きかばん
US7311177B2 (en) Step stool, hinge and method
US7866505B2 (en) Portable and lockable storage container
US20100122963A1 (en) Sliding Closet Rack
KR101404581B1 (ko) 선반을 겸비한 공중 화장실용 잠금장치
KR101885482B1 (ko)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US10641011B2 (en) Bag and bracket assembly for a bag
KR101732274B1 (ko)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US20180142497A1 (en) Door lock
US4098199A (en) Portable safe
KR20040065599A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JP2613791B2 (ja) ハンガー支持トロリー装置
KR101895970B1 (ko) 책상용 보조서랍장
KR200437756Y1 (ko)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20140060992A (ko)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101337669B1 (ko) 공중화장실용 도어록
JP2000350632A (ja) 床頭台
KR200316736Y1 (ko) 잠금 기능을 겸비한 공중 화장실 문에 부착된 선반
KR102659785B1 (ko) 도어 닫힘유지와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다이얼식 키박스가 적용된 수납가구
KR200343167Y1 (ko) 사물함
US20100171399A1 (en) Card lock mechanism and uses
KR100557298B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KR200387006Y1 (ko) 로커
JPH0734579Y2 (ja) 保形強度に富む鞄
KR102078927B1 (ko)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