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298B1 -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298B1
KR100557298B1 KR1020020077373A KR20020077373A KR100557298B1 KR 100557298 B1 KR100557298 B1 KR 100557298B1 KR 1020020077373 A KR1020020077373 A KR 1020020077373A KR 20020077373 A KR20020077373 A KR 20020077373A KR 100557298 B1 KR100557298 B1 KR 100557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door
furniture
opening
slid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9557A (ko
Inventor
황현아
Original Assignee
황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현아 filed Critical 황현아
Priority to KR1020020077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298B1/ko
Publication of KR2004004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09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necessarily performed simultaneously
    • E06B3/5018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necessarily performed simultaneously where the pivot axis slides during pivoting of the w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47B88/477Buffers; End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05D2015/58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with travelling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됨과 더불어 개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함은 물론, 도어 전방의 실내 공간을 차단하지 않아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도록 된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에 개방부(11)가 형성되어 이 개방부(11)에 상하로 회동 개폐되는 도어(17)가 설치된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10)의 양측 내벽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만곡 형성된 제1가이드홈(14)과, 상기 양측 내벽면(16)에 상하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길게 연장 형성된 제2가이드홈(15)과, 양단부에 상기 제1가이드홈(14)과 제2가이드홈(15)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이드돌기(24) 및 제2가이드돌기(25)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일면에는 상기 도어(17)가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딩브래킷(20)과, 이 슬라이딩브래킷(20)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브래킷(20)이 제1가이드홈(14)과 제2가이드홈(15)을 따라 후방 상부로 이송되도록 가압하는 실린더(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홈(14)은 그 전방구간에 형성되며 곡률반경 중심이 제2가이드홈(15)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만곡된 닫힘구간(12)과, 이 닫힘구간(12)의 후방에 형성되며 곡률반경의 중심이 제2가이드홈(15)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만곡된 열림구간(13)으로 구분되어 서로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door open and clos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가 개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구 12 : 닫힘구간
13 : 열림구간 14 : 제1가이드홈
15 : 제2가이드홈 17 : 도어
20 : 슬라이딩브래킷 24 : 제1가이드돌기
25 : 제2가이드돌기 30 : 실린더
40 : 트레이
본 발명은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됨과 더불어 개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함은 물론, 도어가 가구 내부로 수납되면서 개방되므로 도어 전방의 실내 공간을 차단하지 않아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도록 된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용 도어는 그 일측에 힌지가 설치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동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도어는 사용자가 일일이 도어를 원하는 정도로 회동시켜 개방하여야 하므로, 적어도 한 손은 도어를 개방하는데 사용하여야 하며,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에는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하로 개폐되는 도어의 경우에는 도어의 무게를 이기고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하여야 하므로, 노약자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도어 개방에 부담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는 힌지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면서 개폐되기 때문에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그대로 유지하기 어려움이 있다. 특히, 상하로 회동 개폐되는 도어의 경우에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그 무게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혀지기 때문에 한 손으로는 도어를 받치고 다른 손으로는 물건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등 필요한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어의 락킹을 해제하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도어용 힌지가 개발되어 넓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 개방식 힌지는 그 내부구조가 복잡하고, 이를 사용하는 도어에는 별도의 락킹 장치가 부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품의 코스트가 증가됨은 물론, 도어의 락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정확히 락킹 해제버튼을 눌러야 하기 때문에, 양손으로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에는 그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자동 개방식 힌지를 사용하는 도어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개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도어가 완전 개방되기 위해서는 도어의 전방에 도어와 간섭되는 다른 가구 등을 배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외에도 도어 개방시 이 도어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만큼 통로가 차단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됨과 더불어 개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함은 물론, 도어가 가구 내부로 수납되면서 개방되므로 도어 전방의 실내 공간을 차단하지 않아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도록 된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에 개방부(11)가 형성되어 이 개방부(11)에 상하로 회동 개폐되는 도어(17)가 설치된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10)의 양측 내벽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만곡 형성된 제1가이드홈(14)과, 상기 양측 내벽면(16)에 상하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길게 연장 형성된 제2가이드홈(15)과, 양단부에 상기 제1가이드홈(14)과 제2가이드홈(15)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이드돌기(24) 및 제2가이드돌기(25)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일면에는 상기 도어(17)가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딩브래킷(20)과, 이 슬라이딩브래킷(20)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브래킷(20)이 제1가이드홈(14)과 제2가이드홈(15)을 따라 후방 상부로 이송되도록 가압하는 실린더(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홈(14)은 그 전방구간에 형성되며 곡률반경 중심이 제2가이드홈(15)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만곡된 닫힘구간(12)과, 이 닫힘구간(12)의 후방에 형성되며 곡률반경의 중심이 제2가이드홈(15)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만곡된 열림구간(13)으로 구분되어 서로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구(10)의 내부에는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트레이(40)가 도어(17) 하측에 외부로 노출 설치되며, 이 트레이(40)의 적어도 일측에는 트래이(40)를 전방으로 인출함에 따라 상기 도어(17)의 하단부 내측면에 걸려져 도어(17)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걸림턱(4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방에 개방부(11)가 형성되어 이 개방부(11)에 수평으로 회동 개폐되는 도어(17)가 설치된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10)의 천정면(18) 및 바닥면(19)의 양측단부에 전후방으로 길게 만곡 형성된 제1가이드홈(14)과, 상기 천정면(18) 및 바닥면(19)의 양측단부에 좌우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길게 연장 형성된 제2가이드홈(15)과, 양단부에 상기 제1가이드홈(14)과 제2가이드홈(15)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이드돌기(24) 및 제2가이드돌기(25)가 상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일면에는 상기 도어(17)가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딩브래킷(20)과, 이 슬라이딩브래킷(20)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브래킷(20)이 제1가이드홈(14)과 제2가이드홈(15)을 따라 양측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가압하는 실린더(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홈(14)은 그 전방구간에 형성되며 곡률반경 중심이 제2가이드홈(15)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만곡된 닫힘구간(12)과, 이 닫힘구간(12)의 후방에 형성되며 곡률반경의 중심이 제2가이드홈(15)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만곡된 열림구간(13)으로 구분되어 서로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 개폐장치의 제1실시예는 전방의 도어(17)를 조금만 회동시키면 자동적으로 상향 회동되면서 개방되도록 구성된 식기 건조기 등의 가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가구(10)의 양측 내벽면(16)에는 한쌍의 가이드패널(16a)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며, 이 가이드패널(16a) 에는 전후방으로 길게 만곡 형성된 제1가이드홈(14)과, 상하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길게 연장 형성된 제2가이드홈(15)이 각각 형성되고, 이 제1가이드홈(14)과 제2가이드홈(15)에는 도어(17)를 장착한 슬라이딩브래킷(20)이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슬라이딩브래킷(20)에는 실린더(30)가 연결 설치되어 도어(17)를 조금만 회동시키면 이 도어(17)가 실린더(30)의 신장력에 의해 가압되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1가이드홈(14)은 전후방으로 길게 만곡 형성되되, 그 전방구간에는 곡률반경의 중심이 제2가이드홈(15)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만곡된 닫힘구간(12)이 짧게 형성되고, 이 닫힘구간(12)의 후방에는 곡률반경의 중심이 제2가이드홈(15)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만곡된 열림구간(13)이 길게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홈(15)은 양측 내벽면(16)에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가구의 미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가구의 양측벽 내측에 별도의 가이드패널(16a)을 구비하여 이 가이드패널(16a)에 제1 및 제2가이드홈(14,15)을 형성하였으나, 별도의 가이드패널(16a)을 구비하지 않고 가구의 양측벽에 직접 제1 및 제2가이드홈(14,15)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구(10)의 개방부(11)에는 도어(17)가 구비되는데, 이 도어(17)의 배면 좌우 양단부에는 한쌍의 슬라이딩브래킷(20)이 장착된다. 이 슬라이딩브래킷(20)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홈(14,15)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는데, 이 슬라이딩브래킷(20)의 외측 양단부에는 제1 및 제2가이드홈(14,15)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가이드돌기(24,25)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돌기(24,25)에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슬라이딩브래킷(20)이 제1 및 제2가이드홈(14,15)을 따라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구름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브래킷(20)이 제1,2가이드홈(14,15)을 따라 슬라이딩됨에 따라 도어(17)가 개방부(11)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30)는 가구의 내벽면(16)과 가이드패널(16a) 사이 또는 가이드패널(16a) 내측에 근접되게 설치되는데, 실린더(30)의 하단은 가구(10)의 내부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슬라이딩브래킷(20)의 제2가이드돌기(25)에 연결된다. 이러한 실린더(30)에는 항상 신장력이 작용되어 상기 슬라이딩브래킷(20)을 제1가이드홈(14)과 제2가이드홈(15)을 따라 후방 상부로 이송되도록 밀어준다. 경우에 따라서는 실린더(30)의 상단이 제2가이드돌기(25)에 연결되지 않고, 제1가이드돌기(24) 또는 슬라이딩브래킷(20)의 다른 부분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구(10)의 내부에는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트레이(40)가 도어(17) 하측에 외부로 노출 설치되며, 이 트레이(40)의 양단부에는 트래이(40)를 전방으로 인출함에 따라 상기 도어(17)의 하단부 내측면에 걸려져 도어(17)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걸림턱(47)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는 사용자가 도어(17)의 상측을 후방으로 조금만 밀거나 가구(10) 하측의 트레이(40)를 전방으로 조금만 당겨주면, 상기 도어(17)에 고정된 슬라이딩브래킷(20)의 제1가이드돌기(24)가 닫힘구간(12)을 지나 열림구간(13)으로 진입되면서 도어(17)가 실린더(30)의 신장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는데,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가이드홈(14)은 그 전방의 닫힘구간(12)의 곡률반경 중심이 제2가이드홈(15)의 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7)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2가이드돌기(24)가 닫힘구간(12)에 위치되므로, 제1가이드돌기(25)가 실린더(30)의 신장력에 의해 상향으로 가압되어도 제2가이드돌기(24)는 후방으로 밀리지 않으므로 도어(17)의 닫혀진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사용자가 도어(17)의 상측을 조금만 후방으로 밀어 회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딩브래킷(20)의 제1가이드돌기(24)가 제1가이드홈(14)을 따라 열림구간(13)으로 진입되는데, 이 열림구간(13)은 곡률반경의 중심이 제2가이드홈(15)의 후방에 위치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돌기(25)가 실린더(30)의 신장력에 의해 상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제2가이드돌기(24)는 열림구간(13)을 따라 후방으로 밀려서 슬라이딩브래킷(20)에 장착된 도어(17)가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도어(17)를 전방 하측으로 당겨 닫게되면, 상기 도어(17)에 연결 설치된 슬라이딩브래킷(20)이 제1 및 제2가이드홈(14,15)을 따라 이송되면서 이 슬라이딩브래킷(20)에 연결된 실린더(30)를 수축시켜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도어(17)가 닫혀지면, 슬라이딩브래킷(20)의 제1가이드돌기(24)는 전술한 제1가이드홈(14)의 닫힘구간(12)에 위치되므로 닫혀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롤 보여주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실발장 등의 가구에 적용된 것을 보인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달리 도어(17)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제1가이드홈(14)과 제2가이드홈(15)이 가구(10)의 천정면과 바닥면(19)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17)의 배면 상하단부에 슬라이딩브래킷(20)이 장착되며, 상기 실리더(30)가 가구(10)의 천정면과 바닥면(19)에 근접되게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만 다를 뿐, 그 구성이나 작동관계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17)를 조금만 회동시키면, 상기 도어(17)가 실린더(30)의 신장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므로, 사용자가 양손으로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는 물론, 도어(17)가 무거운 경우, 노약자나 어린이 등도 부담 없이 편리하게 도어(17)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일단 개방된 도어(17)는 실린더(30)의 신장력에 의해 열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하로 회동되면서 개폐되는 도어(17)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도어(17)를 한손으로 들고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물건의 수납 및 인출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그 외에도, 상기 도어(17)는 가구(10) 내측으로 수납되면서 개방되므로, 도어(17) 개방시에도 이 도어(17)가 가구(10)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도 열려진 도어(17)에 의해 통행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전방에 개방부(11)가 형성되어 이 개방부(11)에 상하로 회동 개폐되는 도어(17)가 설치된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10)의 양측 내벽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만곡 형성된 제1가이드홈(14)과, 상기 양측 내벽면(16)에 상하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길게 연장 형성된 제2가이드홈(15)과, 양단부에 상기 제1가이드홈(14)과 제2가이드홈(15)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이드돌기(24) 및 제2가이드돌기(25)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일면에는 상기 도어(17)가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딩브래킷(20)과, 이 슬라이딩브래킷(20)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브래킷(20)이 제1가이드홈(14)과 제2가이드홈(15)을 따라 후방 상부로 이송되도록 가압하는 실린더(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홈(14)은 그 전방구간에 형성되며 곡률반경 중심이 제2가이드홈(15)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만곡된 닫힘구간(12)과, 이 닫힘구간(12)의 후방에 형성되며 곡률반경의 중심이 제2가이드홈(15)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만곡된 열림구간(13)으로 구분되어 서로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10)의 내부에는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트레이(40)가 도어(17) 하측에 외부로 노출 설치되며, 이 트레이(40)의 적어도 일측에는 트래이(40)를 전방으로 인출함에 따라 상기 도어(17)의 하단부 내측면에 걸 려져 도어(17)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걸림턱(4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3. 전방에 개방부(11)가 형성되어 이 개방부(11)에 수평으로 회동 개폐되는 도어(17)가 설치된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10)의 천정면(18) 및 바닥면(19)의 양측단부에 전후방으로 길게 만곡 형성된 제1가이드홈(14)과, 상기 천정면(18) 및 바닥면(19)의 양측단부에 좌우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길게 연장 형성된 제2가이드홈(15)과, 양단부에 상기 제1가이드홈(14)과 제2가이드홈(15)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이드돌기(24) 및 제2가이드돌기(25)가 상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일면에는 상기 도어(17)가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딩브래킷(20)과, 이 슬라이딩브래킷(20)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브래킷(20)이 제1가이드홈(14)과 제2가이드홈(15)을 따라 양측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가압하는 실린더(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홈(14)은 그 전방구간에 형성되며 곡률반경 중심이 제2가이드홈(15)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만곡된 닫힘구간(12)과, 이 닫힘구간(12)의 후방에 형성되며 곡률반경의 중심이 제2가이드홈(15)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만곡된 열림구간(13)으로 구분되어 서로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Figure 112005042110197-pat00004
KR1020020077373A 2002-12-06 2002-12-06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KR100557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373A KR100557298B1 (ko) 2002-12-06 2002-12-06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373A KR100557298B1 (ko) 2002-12-06 2002-12-06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557A KR20040049557A (ko) 2004-06-12
KR100557298B1 true KR100557298B1 (ko) 2006-03-10

Family

ID=3734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373A KR100557298B1 (ko) 2002-12-06 2002-12-06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29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233Y1 (ko) * 1979-03-29 1980-03-08 장성구 차고문의 개폐장치
JPS62146869U (ko) * 1986-03-11 1987-09-17
JPH0354578A (ja) * 1989-07-24 1991-03-08 Ricoh Co Ltd 複写機の両面給紙制御装置
JPH0726521U (ja) * 1993-10-27 1995-05-19 株式会社淀川製鋼所 跳ね上げドアを有する組立家屋
JPH07310472A (ja) * 1994-05-16 1995-11-28 Fuji Hensokuki Kk パネル体の開閉装置
US5799368A (en) * 1996-06-03 1998-09-01 Young; James Richard Roller bracket apparatus for an overhead door
KR200165637Y1 (ko) * 1999-08-16 2000-02-15 홍기성 여닫이 겸용 미닫이 창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233Y1 (ko) * 1979-03-29 1980-03-08 장성구 차고문의 개폐장치
JPS62146869U (ko) * 1986-03-11 1987-09-17
JPH0354578A (ja) * 1989-07-24 1991-03-08 Ricoh Co Ltd 複写機の両面給紙制御装置
JPH0726521U (ja) * 1993-10-27 1995-05-19 株式会社淀川製鋼所 跳ね上げドアを有する組立家屋
JPH07310472A (ja) * 1994-05-16 1995-11-28 Fuji Hensokuki Kk パネル体の開閉装置
US5799368A (en) * 1996-06-03 1998-09-01 Young; James Richard Roller bracket apparatus for an overhead door
KR200165637Y1 (ko) * 1999-08-16 2000-02-15 홍기성 여닫이 겸용 미닫이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557A (ko) 200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17684B2 (ja) 補助バッグ担持機構を有するホイール付きかばん
US6305513B1 (en) Mechanism for supporting expandable pouch of luggage
US20070295570A1 (en) Collapsible Suitcase
KR101732274B1 (ko)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101404581B1 (ko) 선반을 겸비한 공중 화장실용 잠금장치
TWI780536B (zh) 用於可釋放地鎖定兩個相對於彼此可移動家具部件的閉鎖設備
JP2008092984A (ja) 抽斗のロック用ラッチ装置
KR100557298B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JP2613791B2 (ja) ハンガー支持トロリー装置
KR101885482B1 (ko)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200492419Y1 (ko) 수납장치
JPH05193417A (ja) コップホルダ−付コンソ−ルボックス
JP2000350630A (ja) 床頭台
KR200392377Y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KR200384308Y1 (ko) 화장대 전용거울
JPH10137106A (ja) 簡易型宅配箱
US6658695B1 (en) Door securing device
KR102078927B1 (ko)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200288889Y1 (ko) 싱크대용 수납선반 인출장치
JP3226019U (ja) 宅配ボックス
KR100356561B1 (ko) 장롱의 상부 수납장치
KR200219924Y1 (ko)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
KR200496543Y1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를 갖는 스틸 책장용 스틸 캐비넷
KR200429637Y1 (ko) 싱크대용 보조수납함
KR102197734B1 (ko)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