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924Y1 -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 - Google Patents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924Y1
KR200219924Y1 KR2020000028667U KR20000028667U KR200219924Y1 KR 200219924 Y1 KR200219924 Y1 KR 200219924Y1 KR 2020000028667 U KR2020000028667 U KR 2020000028667U KR 20000028667 U KR20000028667 U KR 20000028667U KR 200219924 Y1 KR200219924 Y1 KR 200219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ing
frame
ironing frame
coupled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제일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제일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제일금속
Priority to KR2020000028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9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924Y1/ko

Links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닫이 서랍을 갖는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은 다수 개의 여닫이서랍을 가지며 하부에는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수납보관함; 수납공간부의 양 측벽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고정편; 가이드레일의 양 단부에 결합되어 수납공간부에 인입·인출 되는 제1 다림질틀; 제1 다림질틀의 일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들어올림에 의해 제1 다림질틀에 대해 접혀지고 펼쳐지는 제2 다림질틀; 제1, 제2 다림질틀의 접힘과 펼침이 되도록 두 다림질틀의 맞닿는 양 단부를 결합하여 주는 회동결합수단; 회동브라킷트에 의해 제1 다림질틀의 단부 양측벽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수납공간부를 밀폐 및 개방하며 제2 다림질틀이 접혀짐과 펼쳐짐을 할 때, 지면에 대해 세워짐과 눕혀짐 동작을 하는 회동여닫이판; 및 제2 다림질틀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지면에 대해 제2 다림질틀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주는 회동지지봉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다림질대를 수납보관함으로부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인출 또는 절첩하여 수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Foldable Ironing Stand for Withdraw}
본 고안은 절첩식 다림질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여닫이 서랍을 갖는 수납보관함에 절첩식 다림질대를 설치하여 그 여닫이 서랍의 보관 위치로부터 신속하게 인출하여 펼쳐 사용하고 또 절첩식 다림질대의 사용 후에는 수납보관함의 여닫이 서랍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절첩하여 수납시킬 수 있는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림질대는 섬유재질의 시이트 커버가 입혀진 다림질판과, 이 다림질판을 일정 높이로 지지하여 주는 한 쌍의 다리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다림질대는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의복을 다릴 수가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의 다림질대는 사용 후에 다리의 절첩이 불가능하여 이동이 어렵고, 또 다림질대 자체의 부피가 커져 보관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기 다림질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다리의 작동상태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1990-792호에서와 같이, 금속재질의 기판 저면바닥에 기판자체를 보강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로 된 보강겸용 안내레일을, 그리고 보강겸용 안내레일의 중간부 밑면에는 작동봉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편, 스프링을 받쳐주는 스프링받침대, 미끄럼이동봉 등을 갖춘 베이스판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판에는 다리를 부착한 L자형의 경첩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보강겸용 안내레일 한쪽에는 상기 다리를 갖춘 미끄럼 이동판이 부착되어 이에 상기 다리가 경첩등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미끄럼이동판의 내측에는 상기 미끄럼이동봉의 일단이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림질대는 작동봉의 조작에 따라 미끄럼 이동봉이 작동편과 스프링받침대에서 미끄럼이동 하게 되며 미끄럼 이동봉이 계속 이동하면 미끄럼 이동판도 동시에 보강겸용 안내레일에서 이동되면서 미끄럼이동판에 부착된 두개의 다리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베이스판의 저면으로 접혀지고 또 그 반대로 베이스판의 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펴져 보관 및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1990-792호의 다림질대에 의하면, 힌지축에 대해 X자형을 이루고 있는 두개의 다리만이 베이스판의 저면에 대해 펴지거나 접혀질 뿐 다림질대의 자체가 절첩되지 않아 용적을 너무 만이 차지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 보관하기가 어렵고, 또 보관된 다림질대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손으로 그 보관장소로부터 꺼내서 일정한 장소로 운반한 후에 그 다림질대를 붙들고서 다리 등을 세워야 하는 운반 및 사용상의 불편이 있으며, 또 운반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방안, 거실 등의 물체에 대하여 또는 다림질대의 전 표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위치시키기가 곤란할 뿐 아니라 밀폐되지 않은 일정한 장소, 예컨대 거실, 주방 또는 방안의 한 구석에 방치해 두었을 경우에 미관상 좋지 않다.
또한, 구조의 복잡성에 비해서 다림질대의 기능으로만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치유하면서도 사용용도 면에 있어서는 다림질 용도 이외에 소품 등을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수납형 절첩식 다림질대를, 그리고 신뢰성 면에서 사용의 편리함과 다림질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는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림질대를 수납보관함의 보관 위치로부터, 그리고 그 반대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인출 또는 절첩·수납하여 다람질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절첩식 다림질대는, 다수 개의 여닫이 서랍을 갖는 수납보관함에 설치되어 필요 시에는 서랍을 열어서 펼쳐 사용토록 하고, 필요치 않을 시에는 상기 서랍을 닫아 수납보관함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림질 용도 이외에 주방용 소품 또는 의류 등을 정리정돈하여 보관할 수 있는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은 상기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가 수용된 수납보관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수납보관함에 수용된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가 접혀진 상태로 수납보관함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인출된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를 펼쳐 사용하기 위해 수납보관함의 여닫이 서랍을 재취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이고,
도 5는 도 4에서 두 개로 분할된 다림질틀이 서로 접혀졌을 때의 A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어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수납보관함으로부터 인출된 절첩식 다림질대를 펼쳐서 보인 사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림질대 11 : 수납보관함
12, 13 : 여닫이서랍 14 : 회동여닫이판
15 : 가이드레일고정편 15b : 가이드레일
16 : 제1 다림질틀 17 : 제2 다림질틀
18 : 회동지지봉 19 : 어깨다림질판
20 : 다리미받침대 22 : 회동결합부
상기와 같은 목적들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에 의하면, 다림질판, 스폰지 및 시이트 커버가 차례로 덮어져 결합되는 다림질틀과, 이 다림질틀의 일 측벽에 고정되어 다리미를 받쳐주는 다리미받침대와, 상기 다림질틀의 타 측벽에 고정되어 어깨부위를 다림질할 수 있는 어깨다림질판을 구비한 다림질대에 있어서: (1) 적어도 3개 이상의 여닫이서랍을 가지며 상기 최하층 여닫이서랍의 하부에 전(前)방향이 트인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수납보관함; (2) 길이방향으로 각각 이동편과 가이드레일이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순차적으로 밀착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부의 양 측벽에 대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고정편; (3) 상기 수납공간부에 충분히 수납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그의 양단부의 양측 벽에는 수평하향으로 한 쌍의 제1, 제2 결합돌출편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의 양 단부에 수평하도록 결합된 후 상기 수납공간부에 수평인입·수평인출 되는 제1 다림질틀; (4) 상기 제1 다림질틀의 일 단부를 중심으로 180도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들어올림에 의해서 상기 제1 다림질틀에 대하여 접혀지고 그로부터 펼쳐져 수평 위치하는 제2 다림질틀; (5) 상기 제2 다림질틀이 상기 제1 다림질틀에 대해 접혀짐과 펼쳐짐이 되도록 상기 두 다림질틀의 맞닿는 양 단부를 결합하여 주는 회동결합수단; (6) 양측단부의 면에 결합된 한 쌍의 회동브라킷트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2 결합돌출편에 90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부의 전(前)방을 밀폐 및 개방하며 상기 제2 다림질틀이 접혀짐과 펼쳐짐을 할 때, 지면에 대하여 세워짐과 눕혀짐 동작을 하는 회동여닫이판; 및 (7) 상기 제2 다림질틀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2 다림질틀이 상기 제1 다림질틀에 대하여 펼쳐졌을 때, 상기 지면에 대해 상기 제2 다림질틀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주는 회동지지봉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회동결합수단은 상기 제1, 제2 다림질틀의 맞닿는 양 단부에 상호 대향방향으로 형성된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 제1, 제2 결속편; 및 상기 제1, 제2 다림질틀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 제2 결속편에 끼워져 축볼트로 결합되는 링크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하면, 수납보관함의 수납공간부에 제1, 제2 다림질틀이 접혀져 수납된 상태에서 다림질대를 사용하고자 회동여닫이판을 잡아당기면 가이드레일에 결합된 제1 다림질틀이 가이드레일고정편을 중심으로 수평이동하여 상기 수납공간부로부터 인출되며, 이때 상기 제2 다림질틀의 일 단부를 들어올려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동시키면 상기 제2 다림질틀이 상기 제1 다림질틀로부터 펼쳐져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다림질대를 보관하고자 상기 인출동작의 역동작을 수행하면 제1, 제2 다림질틀이 접혀짐과 아울러 원위치로 수평 이동하여 상기 수납공간부에 수납되고, 또 회동여닫이판에 의해서 수납공간부의 전방이 밀폐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다림질대를 수납보관함으로부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인출 또는 절첩·수납하여 줌으로써, 다림질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다수의 여닫이서랍에 주방용 소품 또는 의류 등을 정리정돈하여 보관할 수 있음으로 해서 주방, 거실 및 방안의 소품 보관용 테이블로도 활용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할 목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고안에 의한 실시 예를 가지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가 수용된 수납보관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수납보관함에 수용된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가 접혀진 상태로 수납보관함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10)는 도 1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좌우 측벽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여닫이서랍(12)(13)을 가지며 상기 최하층 여닫이서랍(13)의 하부에는 전(前)방향이 트인 수납공간부(11a)가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수납보관함(11)과, 길이방향으로 각각 이동편(15a)과 가이드레일(15b)이 순차적으로 밀착 결합되어 그 이동편(15a) 및 가이드레일(15b)이 수납공간부(11a)에 대해 수평이동하여 인입 및 인출되도록 수납보관함(11)의 양 측벽에 대향하게 수개의 나사로 고정되는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지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고정편(15)과, 수납보관함(11)의 수납공간부(11a)에 충분히 수납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또한 그의 양단부의 양측벽에는 수평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제2 결합돌출편(16a)(16b)을 가지고 가이드레일(15b)의 양 단부에 고정볼트(27)로 수평 결합되어 수납공간부(11a)에 대해서 수평 인출 및 인입되는 제1 다림질틀(16)과, 제1 다림질틀(16)의 일 단부를 중심으로 180도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또 제1 다림질틀(16)이 수납보관함(11)의 수납공간부(11a)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들어올림에 의해서 제1 다림질틀(16)의 상부로 접혀지고 그로부터 펼쳐져 수평하게 위치하는 일단부의 저면에 한 쌍의 결합공(17a)이, 그리고 타단부의 일측에는 회동결합편(21)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다림질틀(17)과, 제2 다림질틀(17)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다림질틀(16)에 대해 펼쳐짐과 접혀짐이 되도록 제1, 제2 다림질틀(16)(17)의 맞닿는 양 단부를 결합하여 주는 회동결합부(22)와, 양측 단부의 배면 중앙에 나사로 결합된 한 쌍의 회동브라킷트(23)를 통해서 제1 다림질틀(16)의 제2 결합돌출편(16b)에 제2 축볼트(28)로 90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제2 다림질틀(17)이 제1 다림질틀(16)에 대해 접혀짐과 펼쳐짐을 할 때, 제2 결합돌출편(16b)을 중심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짐과 지면에 대하여 눕혀짐의 동작을 하면서 수납보관함(11)의 수납공간부(11a) 전(前) 방향을 폐쇄 또는 개방하여 주는 회동여닫이판(14)과, 일단부가 외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제2 다림질틀(17)의 한 쌍의 결합공(17a)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고 타단부가 지면에 안정되게 접촉되도록 소정각으로 절곡되어 제2 다림질틀(17)이 제1 다림질틀(16)에 대하여 펼쳐졌을 때, 상기 지면에 대하여 제2 다림질틀(17)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주는 회동지지봉(18)과, 제2 다림질틀(17)의 회동결합편(21)에 회동 가능하도록 축핀(29)으로 결합되어 제2 다림질틀(17)의 저면에 수평 및 수직 위치하는 다림질판, 스폰지, 시이트커버(도면에 미도시)가 순서적으로 덮어져 결합된 어깨다림질판(19)과, 어깨다림질판(19)과 대향하게 제1 다림질틀(16)의 저면에 인출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1 다림질틀(16)에 대해 수직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다리미받침대(20)와,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제1, 제2 다림질틀(16)(17)의 상부면에 각각 결합되는 다림질판(25)과, 제1, 제2 다림질틀(16)(17), 다림질판(25)의 테두리 및 상부면에 둘러 쌓여져 보강시키는 스폰지(도면에 미도시), 불연성 재질의 시이트커버(26)와, 가이드레일(15b)의 선단부에 돌출 고정되어 제1, 제2 다림질틀(16)(17)이 접혀져 수납보관함(11)의 수납공간부(11a)로 인입될 때, 회동여닫이판(14)과 수납보관함(11)과의 충격을 완화시켜 충격소음을 방지해 주는 고무스토퍼(24)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회동결합부(2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2 다림질틀(16)(17)의 맞닿는 양 단부에 상호 대향으로 형성된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 제1, 제2 결속편(22b)(22c)과, 제1, 제2 다림질틀(16)(17)이 회동가능하도록 제1, 제2 결속편(22b)(22c)에 끼워져 제1 축볼트(22d)로 결합되는 링크편(22a)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수납형 절첩식 다림질대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형 절첩식 다림질대(10)는, 먼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닫이서랍(12)(13)을 갖는 직사각 형상의 수납보관함(11)의 수납공간부(11a) 내에 이후에 설명될 제1, 제2 다림질틀(16)(17)이 접혀져 수납되어 있고 또한 회동여닫이판(14)이 수납보관함(11)의 전면에 밀착되어 수납공간부(11a)의 전방을 밀폐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림질을 하기 위해 회동여닫이판(14)의 손잡이부를 잡아당기면, 이때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다림질틀(16)의 한 쌍의 제1, 제2 결합돌출편(16a)(16b)이 가이드레일고정편(15)의 가이드레일(15b)에 결합되어 있고, 또한 회동여닫이판(14)의 한 쌍의 회동브라킷트(23)가 한 쌍의 제2 축볼트(28)에 의해서 제1 다림질틀(16)의 제2 결합돌출편(16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것들에 의해서 제2 다림질틀(17)과 접혀져 있는 제1 다림질틀(16)이 가이드레일(15b) 및 이동편(15a)과 함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고정편(15)을 중심하여 수납보관함(11)의 수납공간부(11a)로부터 인출이 된다. 이와 같이 제1, 제2 다림질틀(16)(17)이 수납공간부(11a)로부터 완전하게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잡고있던 회동여닫이판(14)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주면 그 회동여닫이판(14)은 한 쌍의 제2 축볼트(28)와 제2 결합돌출편(16b)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눕혀져 놓이게 된다.
이후, 제1 다림질틀(16)로부터 제2 다림질틀(17)을 수평하게 펼쳐주기 위해 제2 다림질틀(17)의 선단부를 잡고 도 4를 기준하여 우측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들어올려 회동시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2 다림질틀(16)(17)의 제1, 제2 결속편(22b),(22c)에 회동결합부(22)의 링크편(22a) 및 제1 축볼트(22d)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다림질틀(17)이 회동결합부(22)의 제1 축볼트(22d)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다림질틀(16)에 대해 수평하게 펼쳐지게 된다. 이때 제2 다림질틀(17)은 도 6에서와 같이, 그의 일 단부만이 회동결합부(22)에 의해 제1 다림질틀(16)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또 펼쳐진 상태에서 지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떠있는 상태로 놓여지게 되므로, 이것에 의해 다리미를 압착하여 의복을 다림질할 때 제2 다림질틀(17)의 지지가 불안정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다림질틀(17)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2 다림질틀(17)의 선단부에 회동지지봉(18)을 설치하여 지지하여 주게 되는 데, 이때 회동지지봉(18)은 제2 다림질틀(17)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펼쳐질 때, 자중에 의해서 제2 다림질틀(17)의 결합공(17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세워지고, 이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다림질틀(17)이 회동지지봉(18)에 의해 지면에 대하여 안정되게 지지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제2 다림질틀(16)(17)이 지면에 대해 완전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의복을 다림질하기 위해 제1, 제2 다림질틀(16)(17)을 위에서 누르더라도 제1, 제2 다림질틀(16)(17)의 무게 중심이 가이드레일(15b)과 회동지지봉(18)에 있음으로 인해서 어느 한 쪽방향으로 기울지 않고 안정되게 지지가 되며, 그 결과 제1, 제2 다림질틀(16)(17)과 다림질판(25)의 테두리 및 상부면에 둘러쌓여진 스폰지, 불연성 재질의 시이트커버(26) 위에 다림질하고자 하는 의복을 올려놓고 다림질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다리미를 받쳐주기 위한 다리미받침대(20)가 제1 다림질틀(16)의 저면에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필요 때마다 다리미를 다리미받침대(20)에 올려 놓고 사용할 수가 있으며, 필요치 않을 시에는 다리미받침대(20)를 제1 다림질틀(16)의 저면으로 인입시켜 놓을 수가 있다.
한편, 윗저고리의 어깨부위 등의 곡면부위를 다림질 하고자 할 때에는 제2 다림질틀(17)의 회동결합편(21)에 축핀(29)으로 결합되어 접혀진 어깨다림질판(19)을 잡고 시계 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어깨다림질판(19)이 축핀(29)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되고 제2 결합돌출편(16b)에 맞닿아 정지되며,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원상태로 위치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다림질 작업을 끝내고 제1, 제2 다림질틀(16)(17)을 접어서 수납보관함(11)의 수납공간부(11a)에 수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도 6과 같이 제1, 제2 다림질틀(16)(17)이 완전하게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 다리미받침대(20)와 어깨다림질판(19)을 제1, 제2 다림질틀(21)의 저면으로 집어 넣은 다음 제2 다림질틀(17)의 선단부를 잡고 들어올리면 제2 다림질틀(17)이 제1 다림질틀(16)을 중심으로 좌측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다림질틀(16)에 완전하게 접혀지게 된다. 이때, 회동지지봉(18)은 상기와는 반대로 제2 다림질틀(17)의 결합공(17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 다림질틀(17)의 저면에 접혀져 놓이게 된다.
이후 회동여닫이판(14)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도 3과 같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운 다음 회동여닫이판(14)을 밀면, 상기 접혀져 있는 제1, 제2 다림질틀(16)(17)이 이동편(15a)과 가이드레일(15b)에 의해서 가이드레일고정편(15)을 따라 수납보관함(11)의 수납공간부(11a)로 인입되고, 또 회동여닫이판(14)은 수납공간부(11a)의 전방향을 도 1과 같이 밀폐하여 주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레일(15b)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고무스토퍼(24)는 회동여닫이판(14)이 수납보관함(11)쪽으로 수평이동하여 그 수납보관함(11)과 부디칠 때, 충격을 최대한 완화시켜 충격소음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힌지축에 대해 두개의 다리가 X자형을 이루는 다림질대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보관장소로부터 꺼내어 운반한 후에 그 다림질대를 붙들고서 다리 등을 세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회동여닫이판의 열고 닫음에 의해 제1, 제2 다림질틀이 수납보관함의 수납공간부로부터 빠져나오면서 펼쳐지고 또한 접혀져서 수납공간부에 간편하게 수납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다림질대를 수납보관함으로부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인출 또는 절첩·수납할 수 있어 다림질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다수의 여닫이서랍에 주방용 소품 또는 의류 등을 정리정돈 하여 보관할 수 있음으로 주방, 거실 및 방안의 소품 보관용 테이블로도 활용할 수가 있는 편리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에 의하면, 다림질대를 수납보관함으로부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인출 또는 절첩·수납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다림질 기능 외에 주방, 거실 및 방안의 소품 보관용 테이블로도 활용할 수가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다림질판, 스폰지 및 시이트 커버가 덮어져 결합되는 다림질틀과, 이 다림질틀의 측벽에 고정되어 다리미를 받쳐주는 다리미 받침대와, 상기 다림질틀의 타측벽에 고정되어 어깨부위를 다림질할 수 있는 어깨다림질판을 구비한 다림질대에 있어서:
    (1) 적어도 3개 이상의 여닫이서랍을 가지며 상기 최하층 여닫이서랍의 하부에 전(前)방향이 트인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수납보관함;
    (2) 길이방향으로 각각 이동편과 가이드레일이 순차적으로 밀착 결합되며 상기 수납공간부의 양 측벽에 대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편 및 가이드레일이 수평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고정편;
    (3) 상기 수납공간부에 충분히 수납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그의 양단부의 양측 벽에는 수평 하향으로 한 쌍의 제1, 제2 결합돌출편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의 양 단부에 수평하도록 결합된 후 상기 수납공간부에 대하여 수평인입·수평인출 되는 제1 다림질틀;
    (4) 상기 제1 다림질틀의 일 단부를 중심으로 180도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다림질틀이 상기 수납공간부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들어올림에 의해 상기 제1 다림질틀에 대하여 접혀지고 그로부터 펼쳐져 수평하게 위치하는 제2 다림질틀;
    (5) 상기 제2 다림질틀이 상기 제1 다림질틀에 대하여 접혀짐과 펼쳐짐이 되도록 상기 두 다림질틀의 맞닿는 양 단부를 결합하여 주는 회동결합수단;
    (6) 양측단부의 면에 결합된 한 쌍의 회동브라킷트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2 결합돌출편에 90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부의 전(前)방을 밀폐 및 개방하며 상기 제2 다림질틀이 접혀짐과 펼쳐짐을 할 때, 지면에 대하여 세워짐과 눕혀짐 동작을 하는 회동여닫이판; 및
    (7) 상기 제2 다림질틀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2 다림질틀이 상기 제1 다림질틀에 대하여 펼쳐졌을 때, 상기 지면에 대해 상기 제2 다림질틀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주는 회동지지봉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결합수단은
    (1) 상기 제1, 제2 다림질틀의 맞닿는 양 단부에 상호 대향방향으로 형성된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 제1, 제2 결속편; 및
    (2) 상기 제2 다림질틀이 상기 제1 다림질틀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 제2 결속편에 끼워져 축볼트로 결합되는 링크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
KR2020000028667U 2000-10-14 2000-10-14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 KR200219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667U KR200219924Y1 (ko) 2000-10-14 2000-10-14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667U KR200219924Y1 (ko) 2000-10-14 2000-10-14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924Y1 true KR200219924Y1 (ko) 2001-04-16

Family

ID=7305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667U KR200219924Y1 (ko) 2000-10-14 2000-10-14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92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544B1 (ko) * 2002-10-31 2004-12-08 주식회사 맥시멈 좌식 이동 다리미판
KR20110021167A (ko) * 2009-08-25 201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 시스템
KR20110021169A (ko) * 2009-08-25 201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RU2800998C1 (ru) * 2023-01-20 2023-08-01 Денис Юрьевич Матвиенко Трансформируемый рабочий стол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544B1 (ko) * 2002-10-31 2004-12-08 주식회사 맥시멈 좌식 이동 다리미판
KR20110021167A (ko) * 2009-08-25 201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 시스템
KR20110021169A (ko) * 2009-08-25 201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1708694B1 (ko) * 2009-08-25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1708693B1 (ko) * 2009-08-25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 시스템
RU2800998C1 (ru) * 2023-01-20 2023-08-01 Денис Юрьевич Матвиенко Трансформируемый рабочий стол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3481B1 (en) Collapsible movable cart
US6039419A (en) Foldable ready-to-use entertainment stand
US2523425A (en) Folding cabinet type ironing board
US20060086151A1 (en) Drum washing machine having foldable door
KR960003181B1 (ko) 도어 장착형 다리미판 조립체
KR200219924Y1 (ko) 수납용 절첩식 다림질대
US4253715A (en) Sewing machine console having a lowering device
US5040468A (en) Door mounted ironing board assembly
KR100634787B1 (ko) 다림질 받침대
KR101761519B1 (ko) 밀고 당기는 건조대
JP3500955B2 (ja) 吊戸棚
KR200216879Y1 (ko) 이동 테이블용 절첩식 다림질대
KR101777081B1 (ko) 요통 예방 건조대
KR100633800B1 (ko) 다목적 수납장
CN218635778U (zh) 一种翻转折叠架、置物板
KR200337575Y1 (ko) 보조 테이블이 갖추어진 수납장
KR200340591Y1 (ko) 가구용 수납함
CN213128677U (zh) 一种可伸缩吧台
CN111286952A (zh) 一种可收折式衣篓及其收折方法
CN217149657U (zh) 一种折叠熨烫板组件以及隐藏收纳式熨烫机
CN215561362U (zh) 一种折叠晾衣架
JPH0636767Y2 (ja) 収納家具
KR100356561B1 (ko) 장롱의 상부 수납장치
KR200438650Y1 (ko) 식탁장
KR200168321Y1 (ko) 보조테이블이 설치된 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