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109Y1 -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 - Google Patents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109Y1
KR200281109Y1 KR2020020009447U KR20020009447U KR200281109Y1 KR 200281109 Y1 KR200281109 Y1 KR 200281109Y1 KR 2020020009447 U KR2020020009447 U KR 2020020009447U KR 20020009447 U KR20020009447 U KR 20020009447U KR 200281109 Y1 KR200281109 Y1 KR 200281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binet
connection
opening
handl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퍼니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퍼니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퍼니처
Priority to KR2020020009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1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109Y1/ko

Link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체 또는 일부분만의 개방을 취할 수 있는 여닫이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장롱을 제작하여 주어, 장롱 내에 수용된 물품을 인출시 여닫이 도어 전체를 개방할 필요가 없이 인출시킬 물품이 위치된 일부위만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어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내,외부로 부터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 및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청결성 향상과, 획일적인 형태의 여닫이 도어를 적용한 기존의 장롱에 비해 외관미 및 상품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적어도 상,하 이등분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되, 수개의 경첩을 통해 각각 장롱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고, 일측 모서리 상,하부에는 내측에 보강부재가 삽입 구비된 가이드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여닫이 도어와;
상기, 하부 여닫이 도어의 연결 절개부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도록 일측면과 하부에는 연결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선단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되, 괘해지구의 외주연에 일체로 구비된 걸림돌기가 회동 출몰을 이룰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으며, 정면에는 힌지회동을 취할 수 있는 손잡이 레버가 구비되어 있고, 내측에는 정면에 위치된 손잡이 레버와 연동을 취할 수 있되, 외주에 회동저지돌기를 일체로 구비한 괘해지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괘해지구가 위치한 내측의 일정 부위에는 이 케이스와 일정 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회동저지돌기와 연계하여 손잡이 레버의 역턴을 방지토록 하는 역턴방지구가 연결 구비되어 있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여닫이 도어의 연결 절개부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도록 일측면과 상부에는 연결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되, 하부에는 상기 괘해지구의 걸림돌기가 괘지를 취할 수 있도록 괘지구멍이 구비되어 있는 상부 케이스를 일체로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DRESSER HAVING SLIDE DOOR FOR PARTIAL OPENING AND SHUTTING}
본 고안은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체 또는 일부분만의 개방을 취할 수 있는 여닫이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장롱을 제작하여 주어, 장롱 내에 수용된 물품을 인출시 여닫이 도어 전체를 개방할 필요가 없이 인출시킬 물품이 위치된 일부위만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어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내,외부로 부터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 및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청결성 향상과, 획일적인 형태의 여닫이 도어를 적용한 기존의 장롱에 비해 외관미 및 상품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가정에는 침구 및 의류를 보관하기 위해 일반적인 형태의 장롱(欌籠) 또는 맞춤형 붙박이장과 같은 가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구에는 물품의 수납 및 인출을 편리하게 취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쌍으로 이루어진 여닫이 도어가 전면에 채용되어 있고, 이 내부에는 옷을 걸어 놓거나, 이불 및 옷을 접어 수납시켜 놓을 수 있는 수납 공간부 등이 분할 구성되어 있다.
참고로 상술한 바와 같이 장롱 또는 맞춤형 붙박이장 내에 분할 구성되어 있는 수납 공간은 통상적으로 옷을 걸어 놓을 수 있는 수납 공간부는 상부에 위치되고, 이불 및 옷을 접어 수납시켜 놓을 수 있는 수납 공간부는 하부에 위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내부 수납 공간부가 분할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장롱 또는 붙박이장에 채용된 여닫이 도어는 개폐시 전체의 수납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 실사용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순서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나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부위에 위치된 수납물품을 인출시에도 도어 전체의 개방을 취하여야만 함에 따른 내부 수납공간 전체의 노출이 초래되므로 물품이 인출되는 공간 이외의 공간에 위치된 수납물품에 위치된 먼지까지 실내로 다량 유출되는 현상과, 외부의 공기 중에 위치한 먼지가 장롱 전체로 다량 유입되는 현상이 초래되어 장롱 내부의 보관물 및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장롱 내에 마련된 서랍과 같은 수납시설에 보관된 물품을 인출시에는 부득이 도어 전체를 완전 개방한 후 인출을 취하여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이에 따라 상부에는 여닫이 도어를 채용하고, 하부에는 외부로 노출된 형태의 수납서랍을 채용한 장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는 있으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수납서랍에 자주 하자가 발생하는 문제로 제품 생산이 소량에 미치고 있는실정이다.
셋째, 장롱의 외관미에 가장 큰 영향을 제공하는 구성물이라 할 수 있는 도어를 아무런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획일적인 형태의 여닫이식 도어로 채용하고 있어 장롱을 생산하는 동업체간에 유사성의 논란을 빚는 시비가 자주 발생하였다.
넷째, 서술한 바와 같이 형태나 구조상으로 기존의 장롱은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어 날로 다양한 제품을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체 또는 일부분만의 개방을 취할 수 있는 여닫이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장롱을 제작하여 주어, 장롱 내에 수납된 물품을 인출시 여닫이 도어 전체를 개방할 필요가 없이 인출시킬 물품이 위치된 일부위만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어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내,외부로 부터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 및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청결성과, 획일적인 형태의 여닫이 도어를 적용한 기존의 장롱에 비해 외관미 및 상품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제공하는 달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적어도 상,하 이등분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되, 수개의 경첩을 통해 각각 장롱 본체부에 연결되어 있고, 일측 모서리 상,하부에는 내측에 보강부재가 삽입 구비된가이드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여닫이 도어와;
상기, 하부 여닫이 도어의 연결 절개부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도록 일측면과 하부에는 연결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선단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되, 괘해지구의 외주연에 일체로 구비된 걸림돌기가 회동 출몰을 이룰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으며, 정면에는 힌지회동을 취할 수 있는 손잡이 레버가 구비되어 있고, 내측에는 정면에 위치된 손잡이 레버와 연동을 취할 수 있되, 외주에 회동저지돌기를 일체로 구비한 괘해지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괘해지구가 위치한 내측의 일정 부위에는 이 괘해지구가 일정 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회동저지돌기와 연계하여 손잡이 레버의 역턴을 방지토록 하는 역턴방지구가 연결 구비되어 있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여닫이 도어의 연결 절개부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도록 일측면과 상부에는 연결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되, 하부에는 상기 괘해지구의 걸림돌기가 괘지를 취할 수 있도록 괘지구멍이 구비되어 있는 상부 케이스를 일체로 구비하여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의 외관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의 요부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의 요부 구성상태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장롱 본체부 11a,11b : 상,하부 여닫이 도어
12 : 경첩 14 : 보강부재
16 : 가이드 고정홈 18a,18b : 연결 절개부
20 : 하부 케이스 22 : 연결 돌기부
24 : 괘해지구 26 : 걸림돌기
28 : 손잡이 레버 30 : 회동저지돌기
32 : 탄성스프링 34 : 역턴방지구
40 : 상부 케이스 42 : 연결 돌기부
44 : 괘지구멍
50 : 회동부재 52 : 힌지돌기
54 :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의 외관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의 요부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따른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의 요부 구성상태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상,하 이등분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되, 수개의 경첩(12)을 통해 각각 장롱 본체부(10)에 연결되어 있고, 일측 모서리 상,하부에는 내측에 보강부재(14)가 삽입 구비된 가이드 고정홈(16)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 절개부(18a),(18b)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여닫이 도어(11a),(11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 여닫이 도어(11b)의 연결 절개부(18b)에는 일측면과 하부에는 연결 돌기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선단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되, 괘해지구(24)의 외주연에 일체로 구비된 걸림돌기(26)가 회동 출몰을 이룰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으며, 정면에는 힌지회동을 취할 수 있는 손잡이 레버(28)가 구비되어 있고, 내측에는 정면에 위치된 손잡이 레버(28)와 연동을 취할 수 있되, 외주에 회동저지돌기(30)를 일체로 구비한 괘해지구(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괘해지구(24)가 위치한 내측의 일정 부위에는 이 괘해지구(24)가 일정 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32)과 상기 회동저지돌기(30)와 연계하여 손잡이 레버(28)의 역턴을 방지토록 하는 역턴방지구(34)가 연결 구비되어 있는 하부 케이스(20)가 삽입 체결되어 있다.
상기, 상부 여닫이 도어(11a)의 연결 절개부(18a)에는 일측면과 상부에는 연결 돌기부(42)가 형성되어 있되, 하부에는 상기 괘해지구(24)의 걸림돌기(26)가 괘지를 취할 수 있도록 괘지구멍(44)이 구비되어 있는 상부 케이스(40)가 삽입 체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40)의 정면 일정부위에는 하부 여닫이 도어(11b)를 부분적으로 개폐하는 과정에서 이 하부 여닫이 도어(11b)에 설치된 괘해지구(24)의 걸림돌기(26)를 하부 케이스(20) 내부로 취부하지 않은 상태로 하부 여닫이 도어(11b)를 닫는 경우가 발생시 괘해지구(24)와 상부 케이스(40)가 상호간에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괘해지구(24)의 걸림돌기(26)에 의해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을 취할 수 있는 회동부재(50)가 설치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인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의 사용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장롱 내에 물품을 수납 및 이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인출시 수납시킬 물품 및 인출시킬 물품의 위치에 맞게 여닫이 도어의 부분적인 개방을 선택적으로취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즉, 사용자가 취하게 되는 손잡이 레버(28)의 회동 위치에 따라 상,하부 여닫이 도어(11a),(11b)가 선택적으로 동시에 개패 동작을 취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부분적으로 하부 여닫이 도어(11b)가 선택적으로 개폐 동작을 취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평상시 하부 케이스(20) 상에 구비된 손잡이 레버(28)는 자중과 탄성스프링(3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일정 형태 즉, 수직 상태를 취하고 있게 된다.
참고로, 이와 같이 자체의 자중과 탄성스프링(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직 상태를 취하게 되는 손잡이 레버(28)는 이와 연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하부 케이스(20) 내에 위치된 괘해지구(24)에 일체로 형성된 회동저지돌기(30)가 하부 케이스(20) 내의 역턴방지구(34)에 저지되어 수직 이상의 상태로 역턴할 수 없도록 저지된다.
이러한 수직 상태는 상부 여닫이 도어(11a)의 모서리 부위에 고정 설치된 상부 케이스(40)의 괘지구멍(44) 내로 이와 접하게 되는 하부 여닫이 도어(11b)의 모서리 부위에 고정 설치된 하부 케이스(20)의 괘해지구(24)가 괘지된 상태를 취하고 있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잡아당길 경우에는 상,하부 여닫이 도어(11a),(11b)가 동시에 개방을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 여닫이 도어(11b)만을 부분적으로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 레버(28)를 일측으로 회동시킨 후 잡아당기면 된다.
이때, 이와 같이 하부 여닫이 도어(11b)만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이유는 손잡이 레버(28)의 회동과 함께 이와 연동을 취하도록 하부 케이스(20) 내에 위치된 괘해지구(24)의 걸림돌기(26)가 상부 케이스(40)의 괘지구멍(44) 내에서 회동 이탈을 동시에 취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40)의 정면 일정 부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부재(40)가 설치되어 있어 하부 여닫이 도어(11b)를 부분적으로 개폐하는 과정에서 이 하부 여닫이 도어(11b)에 설치된 괘해지구(24)의 걸림돌기(26)를 하부 케이스(20) 내부로 취부하지 않은 상태로 하부 여닫이 도어(11b)를 닫더라도 괘해지(24)구의 걸림돌기(26)와 상부 케이스(30) 간에 파손현상이 발생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괘해지구(24)의 걸림돌기(26)를 하부 케이스(20)의 내부로 취부하지 않고 하부 여닫이 도어(11b)를 닫을 경우 이 걸림돌기(26) 선단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부위가 상부 케이스(40)의 정면 일정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부재(50)를 강제 회동시키며 괘지구멍(44) 내부로 진입하기 때문이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걸림돌기(26)의 선단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부위가 회동부재(40)의 하단을 밀게 되면 이 회동부재(40)는 걸림돌기(26)의 경사 부위에 위해 밀려 내측으로 회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때 내측으로 회동을 취하는 회동부재(50)는 걸림돌기(26)의 진입이 완료되면 회동부재(50)에 연결 설치된 스프링(5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장롱의 일부위 내에 물품을 수납 및 인출시 여닫이 도어 전체의 개방을 취하지 않아도 되므로 물품이 인출되는 공간 이외의 공간에 위치된 수납물품에 위치된 먼지까지 실내로 다량 유출되는 현상과, 외부의 공기 중에 위치한 먼지가 장롱 전체로 다량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장롱 내부의 보관물 및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장롱 내에 마련된 수납서랍에 물품을 보관 및 인출시 여닫이 도어 전체의 개방을 취할 필요가 없이 수납서랍 정면부위에 위치한 도어 즉, 통상적으로 하부 여닫이 도어(11b)만을 부분적으로 개방한 후 수납 및 인출을 취할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 및 인출이 행해지는 공간 이외의 공간에 위치된 수납물품에 위치된 먼지까지 실내로 다량 유출되는 현상과, 외부의 공기 중에 위치한 먼지가 장롱 전체로 다량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장롱 내부의 보관물 및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작용과 더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장롱의 외관미에 가장 큰 영향을 제공하는 구성물이라 할 수 있는 여닫이 도어에 기능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외관미를 향상시켜 줄 수 있는 구성물을 접목함에 따라 획일적인 형태의 여닫이식 도어로 채용하고 있는 기존 장롱을 생산하는 동업체와 외관 유사성의 논란을 빚는 시비를 근본적으로 회피할 수 있고, 더욱이 외관미 향상에 따른 상품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기존 장롱의 구조와는 달리 부분적인 노출을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분할된 상,하부 여닫이 도어(11a),(11b)를 설치하였고, 이러한 상,하부 여닫이 도어(11a),(11b)의 선택 개폐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상,하부 케이스(40),(20)가 시각적으로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날로 다양한 제품을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하부 케이스(40),(20)가 연결 설치되는 상,하부 여닫이 도어(11a),(11b)의 연결 절개부(18a),(18b)의 가이드 고정홈(16) 내에는 보강부재(14)가 삽입 위치되어 있어 연결 설치되는 상,하부 케이스(40),(20)를 견고히 고정토록 함은 물론이고, 이를 연결 고정토록 하는 상,하부 케이스(40),(2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체 또는 일부분만의 개방을 취할 수 있는 여닫이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장롱을 제작하여 주어, 장롱 내에 수용된 물품을 인출시 여닫이 도어 전체를 개방할 필요가 없이 인출시킬 물품이 위치된 일부위만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어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내,외부로 부터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 및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청결성 향상과, 획일적인 형태의 여닫이 도어를 적용한 기존의 장롱에 비해 외관미 및 상품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적어도 상,하 이등분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되, 수개의 경첩(12)을 통해 각각 장롱 본체부(10)에 연결되어 있고, 일측 모서리 상,하부에는 내측에 보강부재(14)가 삽입 구비된 가이드 고정홈(16)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 절개부(18a),(18b)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여닫이 도어(11a),(11b)와;
    상기, 하부 여닫이 도어(11b)의 연결 절개부(18b)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도록 일측면과 하부에는 연결 돌기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선단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되, 괘해지구(24)의 외주연에 일체로 구비된 걸림돌기(26)가 회동 출몰을 이룰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으며, 정면에는 힌지회동을 취할 수 있는 손잡이 레버(28)가 구비되어 있고, 내측에는 정면에 위치된 손잡이 레버(28)와 연동을 취할 수 있되, 외주에 회동저지돌기(30)를 일체로 구비한 괘해지구(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괘해지구(24)가 위치한 내측의 일정 부위에는 이 괘해지구(24)가 일정 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32)과 상기 회동저지돌기(30)와 연계하여 손잡이 레버(28)의 역턴을 방지토록 하는 역턴방지구(34)가 연결 구비되어 있는 하부 케이스(20)와;
    상기, 상부 여닫이 도어(11a)의 연결 절개부(18a)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도록 일측면과 상부에는 연결 돌기부(42)가 형성되어 있되, 하부에는 상기 괘해지구(24)의 걸림돌기가 괘지를 취할 수 있도록 괘지구멍(44)이 구비되어 있는 상부 케이스(40)를 일체로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도어를 구비한 장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40)의 정면 일정부위에는 하부 여닫이 도어(11b)를 부분적으로 개폐하는 과정에서 이 하부 여닫이 도어(11b)에 설치된 괘해지구(24)의 걸림돌기(26)를 하부 케이스(20) 내부로 취부하지 않은 상태로 하부 여닫이 도어(11b)를 닫는 경우가 발생시 괘해지구(24)와 상부 케이스(40)가 상호간에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괘해지구(24)의 걸림돌기(26)에 의해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을 취할 수 있는 회동부재(50)가 설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
KR2020020009447U 2002-03-29 2002-03-29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 KR200281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47U KR200281109Y1 (ko) 2002-03-29 2002-03-29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47U KR200281109Y1 (ko) 2002-03-29 2002-03-29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109Y1 true KR200281109Y1 (ko) 2002-07-13

Family

ID=7312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447U KR200281109Y1 (ko) 2002-03-29 2002-03-29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1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26751A1 (en) Refrigerator
JP2018525038A (ja) 折り畳み式宅配ボックス
KR101732274B1 (ko)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200281109Y1 (ko) 부분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도어를 구비한 장롱
KR100734472B1 (ko) 서랍식 저장실을 갖는 제품에서 손잡이가 숨겨진서랍식도어의 개폐구조
KR20130000299U (ko) 사물함 경첩
JPH1162370A (ja) 戸開閉装置
US2892209A (en) Combined hinge and hold-open device for closure members
KR200449166Y1 (ko) 거울이 회전되는 색조 화장품 용기
JP2002191452A (ja) キャビネット構造
KR200369903Y1 (ko) 화장품 용기
KR200168321Y1 (ko) 보조테이블이 설치된 수납장
US1590416A (en) Lid-prop-locking hinge
KR200172798Y1 (ko) 슬라이딩 도어 수납함
KR20010009547A (ko) 냉장고용 도어힌지
JP2001049971A (ja) 物置用ドア
KR100461528B1 (ko) 수납장 문의 슬라이딩 로울러 구조
KR102440955B1 (ko) 화장품 용기
JPS6241643Y2 (ko)
KR200144963Y1 (ko) 쇼케이스의 개폐장치
KR19980041659U (ko) 냉장고의 야채박스 복귀장치
KR20130013865A (ko) 이동식 수납가구
KR200327552Y1 (ko) 주방가구의 여닫이 겸용 미닫이 도어
KR200167921Y1 (ko) 수납장 겸용 쌀통
KR200283539Y1 (ko) 가구용 문짝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