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795B1 -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 - Google Patents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795B1
KR102619795B1 KR1020230092163A KR20230092163A KR102619795B1 KR 102619795 B1 KR102619795 B1 KR 102619795B1 KR 1020230092163 A KR1020230092163 A KR 1020230092163A KR 20230092163 A KR20230092163 A KR 20230092163A KR 102619795 B1 KR102619795 B1 KR 102619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gazine
bookshelf
magazines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2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춘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Priority to KR1020230092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4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pictures, e.g. in combination with books or seed-bags ; for cards, magazines, newspapers, books or booklike articles, e.g. audio/video cassette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납공간(112)이 형성되는 서가부재(110); 상기 서가부재(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수납된 잡지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도어개방구(133)가 형성된 도어부재(130); 상기 도어부재(130)의 도어개방구(133)의 전면으로 수납된 잡지의 표면이 노출될 수 있게 상기 도어부재(130)의 배면에 설치되는 잡지안치부재(150);를 마련하여 서가부재의 전면에 다수의 잡지를 진열할 수 있고, 진열이 끝난 잡지는 서가부재에 보관할 수 있으며, 서가부재를 이용하여 다수의 잡지를 동시에 진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Shelves displaying magazines}
본 발명은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가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각각 잡지 등을 진열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잡지를 서가 내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가는 문서나 책 따위를 얹어 두거나 꽂아 두도록 만든 것인데, 주간지나 월간지와 같은 잡지류를 진열 및 보관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잡지 서가를 사용하고 있다.
잡지 서가는 통상 과월호(過月號)의 잡지를 수납 보관하기 위한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에 결합되되 수납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해당월호의 잡지를 진열할 수 있도록 진열대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진열대는 수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위쪽으로 열수 있도록 되어 내측에 배치되는 수납부의 개폐기능을 담당하게 됨과 아울러 수납부에 잡지를 보관 및 정리하거나 또는 사용자들이 수납부에 보관된 잡지를 확인 및 열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서관 등에서 다양한 종류 및 많은 양의 일반 서적, 정기간행물, 잡지 등과 같은 도서류나 비디오/오디오 테이프, CD, DVD 등의 멀티미디어 등 진열물을 주제별, 분류별로 정리하여 진열 및 보관하기 위하여 목재나 철재 등으로 만들어진 서가(書架)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서가는 사용 면이나 서가 단위, 선반 개수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서가는 사용 면에 따라 도서류를 일면에만 진열 및 보관하도록 주로 벽면에 붙여 설치하는 단식 서가와, 양면 모두에 진열 및 보관하는 복식 서가로 구분된다.
또한, 서가는 그 단위에 따라서는 1련, 2련 등, 선반의 개수에 따라서는 1단, 2단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어떠한 형태일지라도 서가는 도서관의 규모나 보유하고 있는 도서 또는 매체의 양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서가에 진열 및 보관되는 책 등 복수의 진열물은 선반 끝선에 나란히 정렬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특정 책 등 진열물의 제목 등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시인성이 향상된다.
다시 말해, 책이 제본되어 가지런히 모아진 부분이며 제목, 저자명, 출판사로고 등을 포함하는 책등(spine, 세네카)은 진열된 책에 있어 가장 먼저 보이는 부분이며, 이들이 나란히 정렬되었을 경우 제목 등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시인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종래 도서관 서가는 오랜 시간 책 등 진열물의 수납부는 고정된 깊이를 갖는 보편적인 구조로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특별한 변화 없이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서가는 책을 수납하는 것으로, 도서 분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책을 수납되며, 잡지 등을 진열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잡지를 진열하는 진열대에 꽂아 진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서가는 도서를 수납하고, 잡지는 별도의 진열대를 이용하여 진열함에 따라 서가와 진열대를 별도로 구비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고, 서가와 진열대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다양한 서가 배열이 가능한 확장형 서가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다양한 서가 배열이 가능한 확장형 서가 시스템은 단면 또는 양면으로 형성되되 책이 수납되는 복수의 단위 서가와, 상기 복수의 단위 서가의 사이드에 배치되는 복수의 사이드 장과, 상기 복수의 단위 서가 및 사이드 장을 상부에서 연결하되 선택적으로 조명(light)을 제공하는 복수의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 및 상기 복수의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와 함께 상기 복수의 단위 서가 및 사이드 장을 일체로 지지하는 복수의 서가 지지용 비조명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단위 서가 각각은, 중심 골조를 형성하는 한 쌍의 서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서가 프레임의 양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책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선반 및 상기 한 쌍의 서가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선반에 지지되는 상기 책의 수납깊이를 조절하는 수납깊이 조절유닛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확장형 슬라이딩 서가'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확장형 슬라이딩 서가는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2열 사이드프레임, 양측 상기 2열 사이드프레임을 연결하도록 다단으로 설치되는 2열 선반을 포함하는 2열 서가와, 상기 2열 서가의 전방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2열 사이드프레임 보나 낮은 높이를 이루는 1열 사이드프레임, 양측 상기 1열 사이드프레임을 연결하도록 다단으로 설치되는 1열 선반을 포함하는 1열 서가와, 상기 1열 서가의 슬라이딩 시 하부를 가이드하는 로워 가이드부재 및 상기 1열 서가의 슬라이딩 시 상부를 가이드하는 어퍼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 가이드부재는 상기 1열 서가의 1열 사이드프레임 후방 상부에 구비된 어퍼 슬라이딩휠, 상기 어퍼 슬라이딩휠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상기 2열 서가의 2열 사이드프레임에 고정되는 어퍼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 가이드레일의 후면을 따라 형성된 서포트슬릿, 상기 서포트슬릿에 끼워져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레일서포트, 상기 레일서포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2열 사이드프레임에 고정되는 레일브래킷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124180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318668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00295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가에 도어 형식으로 여닫을 수 있게 하여 정기간행물, 신간도서 등을 꽂아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가의 전면에 잡지 또는 신간도서 등을 전시하고, 서가 내부에는 잡지 등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는 내부에 수납공간(112)이 형성되는 서가부재(110); 상기 서가부재(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수납된 잡지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도어개방구(133)가 형성된 도어부재(130); 상기 도어부재(130)의 도어개방구(133)의 전면으로 수납된 잡지의 표면이 노출될 수 있게 상기 도어부재(130)의 배면에 설치되는 잡지안치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가부재(110)는 분할선반(113)이 설치될 수 있게 프레임(111)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11)과 상기 분할선반(113)에 의해 잡지를 꽂아 보관할 수 있게 수납공간(112)이 형성되며, 상기 잡지를 수직으로 꽂아서 보관할 수 있게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상기 분할선발(11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부재(130)는 상기 서가부재(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도어(131)와 제2 도어(132); 상기 잡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상기 제1 도어(131)와 제2 도어(132)의 전면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도어개방구(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부재(130)는 상기 서가부재(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도어(131)와 제2 도어(132); 상기 잡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상기 제1 도어(131)와 제2 도어(132)의 전면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도어개방구(133); 상기 서가부재(110)에 도어부재(130)를 설치할 수 있게 상기 제1 도어(131)와 제2 도어(132)의 일면에 설치되는 도어고정프레임(134); 상기 도어(131, 13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도어(131, 132)와 상기 도어고정프레임(134)에 설치되는 싱크경첩(135); 상기 도어(131, 132)에 상기 잡지안치부재(150)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못(136,137, 138);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나사못(136)은 상기 잡지안치부재(15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나사못(137)은 상기 잡치안치부재(150)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3 고정나사못(138)은 상기 잡치안치부재(15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잡지안치부재(150)는 상기 도어부재(130)의 후방에 잡치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안치시키도록 형성되는 잡지받침플레이트(151);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의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측판(153)과 제2 측판(154); 상기 잡지를 받치도록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브래킷(1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에는 상기 잡지안치부재(150)를 상기 도어부재(13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에 제1 나사못관통구멍(15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판(153)과 제2 측판(154)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부재(130)에 밀착되게 전면고정판(155)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고정판(155)에는 상기 제1 나사못관통구멍(152)에 대응되게 제2 나사못관통구멍(156)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브래킷(157)에는 상기 잡지안치부재(150)를 상기 도어부재(13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제3 나사못관통구멍(158)이 형성되며,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에는 상기 제3 나사못관통구멍(158)에 대응되는 제4 나사못관통구멍(15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에 의하면, 서가부재의 전면에 다수의 잡지를 진열할 수 있고, 진열이 끝난 잡지는 서가부재에 보관할 수 있으며, 서가부재를 이용하여 다수의 잡지를 동시에 진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가의 도어에 설치되는 잡지안치부재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도시한 배면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도시한 배면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도시한 평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는 내부에 수납공간(112)이 형성되는 서가부재(110)와, 상기 서가부재(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수납된 잡지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도어개방구(133)가 형성된 도어부재(130)와, 상기 도어부재(130)의 도어개방구(133)의 전면으로 수납된 잡지의 표면이 노출될 수 있게 상기 도어부재(130)의 배면에 설치되는 잡지안치부재(15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a)는 서가부재(110)의 정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서가부재(110)에 설치된 도어부재(130) 및 잡지안치부재(150)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서가부재(110)의 정면에는 도어부재(130)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부재(130)의 배면에는 잡지안치부재(150)가 설치된다.
상기 서가부재(110)는 분할선반(113)이 설치될 수 있게 프레임(111)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11)과 상기 분할선반(113)에 의해 잡지를 꽂아 보관할 수 있게 수납공간(112)이 형성되며, 상기 잡지를 수직으로 꽂아서 보관할 수 있게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상기 분할선발(113)이 설치된다.
상기 서가부재(110)에는 수직으로 프레임(111)이 설치되고, 상기 서가부재(110)의 내부에는 책 또는 잡지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12)이 다수의 층으로 형성되며, 각 수납공간(112)에는 분할선반(113)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서가부재(110)의 하단에는 서가부재(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114)가 설치된다.
상기 서가부재(110)의 전면에는 수납공간(112)을 개폐시키는 도어부재(13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부재(130)는 상기 서가부재(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도어(131)와 제2 도어(1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잡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상기 제1 도어(131)와 제2 도어(132)의 전면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도어개방구(133)를 구비한다.
상기 서가부재(110)의 양측에는 개폐 가능한 제1 도어(131)와 제2 도어(132)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131)와 제2 도어(13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도어(131)와 제2 도어(132)에는 전시된 잡지, 도서 등이 전면으로 보일 수 있게 도어개방구(133)가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개방구(133)는 잡지 또는 도서 등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잡지 또는 도서 등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재(130)는 상기 서가부재(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도어(131)와 제2 도어(132)와, 상기 잡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상기 제1 도어(131)와 제2 도어(132)의 전면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도어개방구(133)와, 상기 서가부재(110)에 도어부재(130)를 설치할 수 있게 상기 제1 도어(131)와 제2 도어(132)의 일면에 설치되는 도어고정프레임(134)과, 상기 도어(131, 13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도어(131, 132)와 상기 도어고정프레임(134)에 설치되는 싱크경첩(135)과, 상기 도어(131, 132)에 상기 잡지안치부재(150)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못(136,137, 138)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나사못(136)은 상기 잡지안치부재(15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나사못(137)은 상기 잡치안치부재(150)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3 고정나사못(138)은 상기 잡치안치부재(15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도어(131, 132)의 일측에는 도어고정프레임(134)이 설치되고, 상기 도어고정프레임(134)은 서가부재(11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도어고정프레임(134)과 도어(131, 132)는 싱크경첩(135)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싱크경첩(135)은 통상의 것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도어(131, 132)의 배면에는 잡지안치부재(150)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못(136, 137, 138)이 설치된다.
상기 제1 고정나사못(136)은 잡지안치부재(150)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2 고정나사못(137)은 잡지안치부재(150)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며, 제3 고정나사못(138)은 잡지안치부재(150)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가의 도어에 설치되는 잡지안치부재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도시한 배면 분해 입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잡지안치부재(150)는 상기 도어부재(130)의 후방에 잡치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안치시키도록 형성되는 잡지받침플레이트(151)와,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의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측판(153)과 제2 측판(154)과, 상기 잡지를 받치도록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브래킷(157)을 포함한다.
상기 잡지안치부재(150)는 도어부재(130)의 후방에 잡지 등을 수납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잡지안치부재(150)는 도어(131, 132)에 고정나사못(136, 137, 138)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잡지안치부재(150)는 잡지 등을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수납할 수 있게 잡지받침플레이트(151)가 형성된다.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에는 고정나사못(136~138)이 관통될 수 있게 제1 나사못관통구멍(15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못관통구멍(152)은 제2 고정나사못(137)과 제3 고정나사못(138)이 설치될 수 있게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의 양측에는 각각 제1 측판(153)과 제2 측판(154)이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측판(153, 154)의 전면에는 도어(131, 132)에 밀착되는 전면고정판(155)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고정판(155)에는 제1 나사못관통구멍(152)에 대응되게 제2 나사못관통구멍(15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고정판(155)에는 제2 나사못관통구멍(156)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못관통구멍(156)은 제1 나사못관통구멍(152)과 일직선상으로 일치되게 형성된다.
또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의 하부 전면에는 전면브래킷(157)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브래킷(157)에는 제3 나사못관통구멍(158)이 형성되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에는 제3 나사못관통구멍(158)에 대응되는 제4 나사못관통구멍(159)이 형성된다.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에는 상기 잡지안치부재(150)를 상기 도어부재(13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에 제1 나사못관통구멍(15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판(153)과 제2 측판(154)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부재(130)에 밀착되게 전면고정판(155)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고정판(155)에는 상기 제1 나사못관통구멍(152)에 대응되게 제2 나사못관통구멍(156)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브래킷(157)에는 상기 잡지안치부재(150)를 상기 도어부재(13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제3 나사못관통구멍(158)이 형성되며,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에는 상기 제3 나사못관통구멍(158)에 대응되는 제4 나사못관통구멍(159)이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도시한 배면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131, 132)의 배면에는 잡지안치부재(150)가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개방구(133)의 후방에는 잡치안치부재(150)를 맞댄 상태에서 제1 나사못관통구멍(152)과 제2 나사못관통구멍(156)을 통해 제2 고정나사못(137)과 제3 고정나사못(138)을 도어(131, 132)에 고정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1 고정나사못(136)은 제4 나사못관통구멍(159)과 제3 나사못관통구멍(158)을 통해 제1 고정나사못(136)을 도어(131, 132)에 고정시킨다.
이에 상기 잡지안치부재(150)는 도어(131, 132)의 배면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31, 132)의 배면에는 잡지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수납할 수 있는 잡지안치부재(150)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131, 132)는 싱크경첩(135)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에는 전시하고자 하는 잡지 등을 수납하기 위하여 도어(131, 132)를 개방시키고, 전시하고자 하는 잡지를 잡지받침플레이트(151)에 수납시킨다.
상기 잡지의 수납이 완료된 후 도어(131, 132)를 닫아줌에 따라 잡지는 서가부재(110)의 전면으로 노출된 상태로 전시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도어개방구(133)는 도어(131, 132)의 전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잡지받침플레이트(151)에 수납된 잡지는 도어(131, 132)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한편 잡지 등은 격월간 등으로 출판됨에 따라 전시 기간이 지난 잡지는 서가부재(110)의 수납공간(112)에 보관하게 되며, 지난 과월호 등의 잡지를 보고자 하는 독자는 도어(131, 132)를 개방시켜 수납공간(112) 내에 보관된 과월호 잡지를 꺼내어 구독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서가부재 111: 프레임
112: 수납공간 113: 분할선반
114: 높이조절구
130: 도어부재 131: 제1 도어
132: 제2 도어 133: 도어개방구
134: 도어고정프레임 135: 싱크경첩
136: 제1 고정나사못 137: 제2 고정나사못
138: 제3 고정나사못
150: 잡지안치부재 151: 잡지받침플레이트
152: 제1 나사못관통구멍 153 제1 측판
154 제2 측판 155: 전면고정판
156: 제2 나사못관통구멍 157: 전면브래킷
158: 제3 나사못관통구멍 159: 제4 나사못관통구멍

Claims (5)

  1. 내부에 수납공간(112)이 형성되는 서가부재(110);
    상기 서가부재(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수납된 잡지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도어개방구(133)가 형성된 도어부재(130);
    상기 도어부재(130)의 도어개방구(133)의 전면으로 수납된 잡지의 표면이 노출될 수 있게 상기 도어부재(130)의 배면에 설치되는 잡지안치부재(150);를 포함하되,
    상기 잡지안치부재(150)는 상기 도어부재(130)의 후방에 잡치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안치시키도록 형성되는 잡지받침플레이트(151);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의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측판(153)과 제2 측판(154);
    상기 잡지를 받치도록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브래킷(157);을 포함하고,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에는 상기 잡지안치부재(150)를 상기 도어부재(13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에 제1 나사못관통구멍(15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측판(153)과 제2 측판(154)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부재(130)에 밀착되게 전면고정판(155)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고정판(155)에는 상기 제1 나사못관통구멍(152)에 대응되게 제2 나사못관통구멍(156)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브래킷(157)에는 상기 잡지안치부재(150)를 상기 도어부재(13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제3 나사못관통구멍(158)이 형성되고,
    상기 잡지받침플레이트(151)에는 상기 제3 나사못관통구멍(158)에 대응되는 제4 나사못관통구멍(15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가부재(110)는 분할선반(113)이 설치될 수 있게 프레임(111)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11)과 상기 분할선반(113)에 의해 잡지를 꽂아 보관할 수 있게 수납공간(112)이 형성되며,
    상기 잡지를 수직으로 꽂아서 보관할 수 있게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상기 분할선반(11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재(130)는 상기 서가부재(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도어(131)와 제2 도어(132);
    상기 잡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상기 제1 도어(131)와 제2 도어(132)의 전면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도어개방구(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재(130)는 상기 서가부재(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도어(131)와 제2 도어(132);
    상기 잡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상기 제1 도어(131)와 제2 도어(132)의 전면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도어개방구(133);
    상기 서가부재(110)에 도어부재(130)를 설치할 수 있게 상기 제1 도어(131)와 제2 도어(132)의 일면에 설치되는 도어고정프레임(134);
    상기 도어(131, 13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도어(131, 132)와 상기 도어고정프레임(134)에 설치되는 싱크경첩(135);
    상기 도어(131, 132)에 상기 잡지안치부재(150)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못(136,137, 138);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나사못(136)은 상기 잡지안치부재(15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정나사못(137)은 상기 잡지안치부재(150)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3 고정나사못(138)은 상기 잡지안치부재(15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
  5. 삭제
KR1020230092163A 2023-07-17 2023-07-17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 KR102619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163A KR102619795B1 (ko) 2023-07-17 2023-07-17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163A KR102619795B1 (ko) 2023-07-17 2023-07-17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795B1 true KR102619795B1 (ko) 2024-01-03

Family

ID=8953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2163A KR102619795B1 (ko) 2023-07-17 2023-07-17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79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168Y1 (ko) * 2003-06-04 2003-09-06 주식회사 퍼시스 서적 진열겸용 보관가구
KR200337047Y1 (ko) * 2003-09-09 2004-01-03 주식회사 퍼시스 잡지 진열 및 보관 서가의 진열대 개폐구조
KR200337034Y1 (ko) * 2003-09-06 2004-01-03 주식회사 퍼시스 잡지 진열 및 보관 서가의 진열대 개폐구조
KR20110045116A (ko) * 2009-10-26 2011-05-04 정옥교 도어 결합부의 안전성과 보안성이 보강된 체결부 은폐형 목재 사물함
KR101139350B1 (ko) * 2011-11-17 2012-04-26 주식회사 팀스 서가용 경사선반 구조
KR20140002951A (ko) 2012-06-28 2014-01-09 주식회사 인테그랄퍼니처 도서 또는 잡지 진열 및 보관 겸용 서가
KR20170043072A (ko) * 2015-10-12 2017-04-20 조광일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102124180B1 (ko) 2019-05-10 2020-06-17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다양한 서가 배열이 가능한 확장형 서가 시스템
KR102318668B1 (ko) 2020-12-21 2021-10-29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확장형 슬라이딩 서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168Y1 (ko) * 2003-06-04 2003-09-06 주식회사 퍼시스 서적 진열겸용 보관가구
KR200337034Y1 (ko) * 2003-09-06 2004-01-03 주식회사 퍼시스 잡지 진열 및 보관 서가의 진열대 개폐구조
KR200337047Y1 (ko) * 2003-09-09 2004-01-03 주식회사 퍼시스 잡지 진열 및 보관 서가의 진열대 개폐구조
KR20110045116A (ko) * 2009-10-26 2011-05-04 정옥교 도어 결합부의 안전성과 보안성이 보강된 체결부 은폐형 목재 사물함
KR101139350B1 (ko) * 2011-11-17 2012-04-26 주식회사 팀스 서가용 경사선반 구조
KR20140002951A (ko) 2012-06-28 2014-01-09 주식회사 인테그랄퍼니처 도서 또는 잡지 진열 및 보관 겸용 서가
KR20170043072A (ko) * 2015-10-12 2017-04-20 조광일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102124180B1 (ko) 2019-05-10 2020-06-17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다양한 서가 배열이 가능한 확장형 서가 시스템
KR102318668B1 (ko) 2020-12-21 2021-10-29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확장형 슬라이딩 서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1013877A6 (fr) Meuble de rangement pour dvd/k7/cd simples ou multiples qui permet de presenter de face l'ensemble d'une collection.
US5219216A (en) Hanging diskette storage cabinet
KR200407371Y1 (ko) 슬라이더를 갖는 책꽂이
KR102049054B1 (ko) 전도 및 낙하 방지용 패널을 갖는 서가
KR100767221B1 (ko) 멀티미디어 강의대
KR102619795B1 (ko)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
US6003687A (en) Compact disc storage rack
US6126020A (en) Assemblable storage and display unit
US5226704A (en) Display and storage stand for recording media
US5826730A (en) File folder organizer
US6523700B2 (en) Display and storage receptacle for compact disc cases
US4925255A (en) Furniture constructions including hidden compartments
JPS6213003B2 (ko)
JP2007061455A (ja) 執務システム
JP3133677U (ja) 新聞収納装置
JP6514447B2 (ja) 組み合わせ家具
FR2541878A1 (fr) Meuble tv, hifi, video et bureautique pour grand public
JP4702684B2 (ja) 折りたたみ式本箱
US5090560A (en) Device for accommodating flat blister packs, and blister pack
JP3065797U (ja) 収納棚
US20080168689A1 (en) Information card and holder for refrigerator
KR200337047Y1 (ko) 잡지 진열 및 보관 서가의 진열대 개폐구조
KR200432798Y1 (ko) 잡지 진열 및 보관 서가의 개폐구조
KR200237147Y1 (ko) 컴팩트 디스크꽂이가 장착된 책꽂이
JP4156635B2 (ja) 棚家具及棚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