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180B1 - 다양한 서가 배열이 가능한 확장형 서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양한 서가 배열이 가능한 확장형 서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180B1
KR102124180B1 KR1020190055065A KR20190055065A KR102124180B1 KR 102124180 B1 KR102124180 B1 KR 102124180B1 KR 1020190055065 A KR1020190055065 A KR 1020190055065A KR 20190055065 A KR20190055065 A KR 20190055065A KR 102124180 B1 KR102124180 B1 KR 102124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shelf
storage depth
unit
adjustment unit
depth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춘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Priority to KR1020190055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76Stackable modular units, each consisting of a closed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서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서가 시스템은, 단면 또는 양면으로 형성되되 책이 수납되는 복수의 단위 서가; 상기 복수의 단위 서가의 사이드에 배치되는 복수의 사이드 장; 상기 복수의 단위 서가 및 사이드 장을 상부에서 연결하되 선택적으로 조명(light)을 제공하는 복수의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 및 상기 복수의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와 함께 상기 복수의 단위 서가 및 사이드 장을 일체로 지지하는 복수의 서가 지지용 비조명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양한 서가 배열이 가능한 확장형 서가 시스템{System bookshelf}
본 발명은, 서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스템 구조가 효율적이라서 단위 공간에 많은 양의 서가를 배치할 수 있기에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설치 또는 재배치 작업이 쉬울뿐더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서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서관 등에서 다양한 종류 및 많은 양의 일반 서적, 정기간행물, 잡지 등과 같은 도서류나 비디오/오디오 테이프, CD, DVD 등의 멀티미디어 등 진열물을 주제별, 분류별로 정리하여 진열 및 보관하기 위하여 목재나 철재 등으로 만들어진 서가(書架)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서가는 사용 면이나 서가 단위, 선반 개수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서가는 사용 면에 따라 도서류를 일면에만 진열 및 보관하도록 주로 벽면에 붙여 설치하는 단식 서가와, 양면 모두에 진열 및 보관하는 복식 서가로 구분된다. 또한, 서가는 그 단위에 따라서는 1련, 2련 등, 선반의 개수에 따라서는 1단, 2단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어떠한 형태일지라도 서가는 도서관의 규모나 보유하고 있는 도서 또는 매체의 양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서가를 조합해서 사용할 경우, 다시 말해, 서가 시스템을 구현하려 하는 경우, 시스템 구조가 효율적이지 않다면 단위 공간에 많은 양의 서가를 배치하기고 곤란할뿐더러 설치 또는 재배치 작업이 어려우며, 설사 배치하더라도 동선이 불합리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서가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8-001167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1-001298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3-008586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07314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구조가 효율적이라서 단위 공간에 많은 양의 서가를 배치할 수 있기에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설치 또는 재배치 작업이 쉬울뿐더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서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단면 또는 양면으로 형성되되 책이 수납되는 복수의 단위 서가; 상기 복수의 단위 서가의 사이드에 배치되는 복수의 사이드 장; 상기 복수의 단위 서가 및 사이드 장을 상부에서 연결하되 선택적으로 조명(light)을 제공하는 복수의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 및 상기 복수의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와 함께 상기 복수의 단위 서가 및 사이드 장을 일체로 지지하는 복수의 서가 지지용 비조명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가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복수의 단위 서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 또는 상기 서가 지지용 비조명커버에 연결되며, 이웃한 복수의 단위 서가를 지지하여 전도를 방지하는 서가 전도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가 전도 방지부에 도서 분류 표시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 및 상기 서가 지지용 비조명커버를 상부에서 투시할 때,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이드 장의 코너(corner)에 배치되는 복수의 코너 장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코너 장, 상기 복수의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 및 상기 서가 지지용 비조명커버를 상부에서 투시할 때,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위 서가는, 중심 골조를 형성하는 한 쌍의 서가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서가 프레임의 양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책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선반; 및 상기 한 쌍의 서가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선반에 지지되는 상기 책의 수납깊이를 조절하는 수납깊이 조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깊이 조절유닛은, 상기 한 쌍의 서가 프레임에 양 단부가 결합하며 상기 제1 선반 상에 지지되는 책의 수납깊이를 조절하는 제1 수납깊이 조절부; 상기 한 쌍의 서가 프레임에 양 단부가 결합하며 상기 제2 선반 상에 지지되는 책의 수납깊이를 조절하는 제2 수납깊이 조절부; 및 상기 제1 수납깊이 조절부와 상기 제2 수납깊이 조절부에 공용으로 결합하며, 상기 제1 수납깊이 조절부와 상기 제2 수납깊이 조절부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공용 회전 구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납깊이 조절부와 상기 제2 수납깊이 조절부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되 상기 제1 수납깊이 조절부와 상기 제2 수납깊이 조절부는 모두, 양 사이드를 형성하는 한 쌍의 단부 플랜지; 및 상기 한 쌍의 단부 플랜지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책을 지지하는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공용 회전 구속부재는 상기 제1 수납깊이 조절부와 상기 제2 수납깊이 조절부의 단부 플랜지에 공용으로 결합하며, 상기 공용 회전 구속부재는, 단부에 드라이버 홈이 형성되고 사이드에 미끄러짐 방지패턴이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납깊이 조절부와 상기 제2 수납깊이 조절부의 단부 플랜지에는 상기 축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축부는 상기 서가 프레임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수납깊이 조절부와 상기 제2 수납깊이 조절부의 단부 플랜지 사이에는 복수의 와셔가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 구조가 효율적이라서 단위 공간에 많은 양의 서가를 배치할 수 있기에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설치 또는 재배치 작업이 쉬울뿐더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가 시스템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단위 서가의 변형예이다.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수납깊이 조절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요부 확대 분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수납깊이 조절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가 시스템의 평면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서가 시스템은 시스템 구조가 효율적이라서 단위 공간에 많은 양의 서가(100), 즉 단위 서가(100)를 배치할 수 있기에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설치 또는 재배치 작업이 쉬울뿐더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가 시스템은 단위 서가(100), 사이드 장(110),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120), 그리고, 서가 지지용 비조명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 서가(100)는 책이 수납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단위 서가(100)는 단면 또는 양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면이 경우, 단위 서가(100)를 일측 벽면에 배치하면 된다.
도서관 등에는 책이 많아서 많은 단위 서가(100)가 사용된다. 모든 단위 서가(100)의 구성은 같을 수 있다.
이러한 단위 서가(100)는 서가 프레임(101)과, 서가 프레임(101)에 높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의 선반(103)을 포함한다.
서가 프레임(101)은 단위 서가(100)의 중심 골조를 형성한다. 서가 프레임(101)은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로 배치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선반(103)은 책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한 쌍의 서가 프레임(101)에 결합한다. 선반(103)들은 서가 프레임(10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층별로 배열된다.
선반(103)의 배치 방향에 따라 양쪽에서 책을 꽂을 수도 있고, 혹은 한쪽에서 책을 꽂을 수도 있다. 선반(103)이 서가 프레임(10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서가 프레임(101)에 복수의 걸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선반(103)은 2단으로부터 십수 단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사이드 장(110)은 복수의 단위 서가(100)의 사이드에 배치되는 캐비닛이다. 사이드 장(110)에 도서 검색을 위한 PC가 탑재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사이드 장(110)에 추천 도서, 베스트 도서, 신간 도서를 비롯해서 신문이나 잡지 등이 진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장(110)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120)는 복수의 단위 서가(100) 및 사이드 장(110)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120)는 내장되는 램프(lamp)의 기능을 통해 하방으로 선택적인 조명(light)을 제공한다.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120)는 단위 서가(100)의 선반(103) 쪽으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책을 쉽게 관찰할 수 있음은 물론 은은하게 제공되는 조명으로 인하여 차분하고 안락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120)는 위치별로 복수 개가 적용된다.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120)에는 램프를 교체하기 위한 커버가 탈부착될 수 있다.
서가 지지용 비조명커버(130)는 복수의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120)와 함께 복수의 단위 서가(100) 및 사이드 장(110)을 일체로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120)와 유사한 기능의 구조물이나 조명이 없다는 점에서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120)와 차이가 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서가 시스템에는 서가 전도 방지부(140)가 마련된다. 서가 전도 방지부(140)는 일종의 고정 브래킷이다.
서가 전도 방지부(140)는 복수의 단위 서가(1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120) 또는 서가 지지용 비조명커버(130)에 연결되며, 이웃한 복수의 단위 서가(100)를 지지하여 전도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서가 전도 방지부(140)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해당 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서가 전도 방지부(140)에는 도서 분류 표시패턴(141)이 형성된다. 따라서, 많은 단위 서가(100)에 보관되는 책의 위치를 쉽게 찾아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처럼 복수의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120) 및 서가 지지용 비조명커버(130)를 상부에서 투시할 때, 사각 형태를 갖는다. 이럴 경우, 한정된 공간에 컴팩트하면서 효율적으로 단위 서가(100)를 배치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구조가 효율적이라서 단위 공간에 많은 양의 단위 서가(100)를 배치할 수 있기에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설치 또는 재배치 작업이 쉬울뿐더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가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서가 시스템 역시, 단위 서가(100), 사이드 장(110),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120), 그리고, 서가 지지용 비조명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좀 더 많은 개수의 단위 서가(100)가 배치되고, 이러한 단위 서가(100)들과 함께 사이드 장(110)이 배치되어 하나의 서가 시스템을 구성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보다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사이드 장(110)들 사이에 별도의 보조 사이드 장(210)이 추가된다. 보조 사이드 장(210)과 사이드 장(110) 사이는 출입구가 된다.
이러한 보조 사이드 장(210)은 사이드 장(110)과 동일할 수도 있으나 사이드 장(110)과는 약간 다른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래야만 좀 더 다양한 형태의 물품이나 신문, 잡지 등을 배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시스템 구조가 효율적이라서 단위 공간에 많은 양의 단위 서가(100)를 배치할 수 있기에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설치 또는 재배치 작업이 쉬울뿐더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 역시, 복수의 단위 서가(100)를 통한 사각 배치 구조를 통해 서가 시스템을 구현한 경우에 해당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서가 시스템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코너(corner)에 배치되는 복수의 코너 장(3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가 시스템이 평면에서 볼 때, 사각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코너 장(350)는 각 코너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코너 장(350)은 외관 인테리어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신간, 신문, 잡지 등을 진열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시스템 구조가 효율적이라서 단위 공간에 많은 양의 단위 서가(100)를 배치할 수 있기에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설치 또는 재배치 작업이 쉬울뿐더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단위 서가(400)를 통한 사각 배치 구조를 통해 서가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때의 단위 서가(40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원목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시스템 구조가 효율적이라서 단위 공간에 많은 양의 단위 서가(100)를 배치할 수 있기에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설치 또는 재배치 작업이 쉬울뿐더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단위 서가 변형예)
도 7은 단위 서가의 변형예,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도 7의 부분 확대도, 도 10은 수납깊이 조절유닛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 확대 분해도, 그리고, 도 12 및 도 13은 수납깊이 조절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한편, 단위 서가(500)는 본 실시예와 같이 기능성이 부가된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만약, 본 실시예와 같은 기능성, 즉 수납깊이 조절기능이 부가된 단위 서가(500)가 적용되면 책을 가지런히 혹은 꺼내기 쉽게 보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단위 서가(500)는 서가 프레임(510), 제1 및 제2 선반(521,522), 그리고 수납깊이 조절유닛(530)을 포함할 수 있다.
서가 프레임(5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 서가(500)의 중심 골조를 형성한다. 서가 프레임(510)은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되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서가 프레임(510)들의 하부에는 지지대(501)가 형성된다. 지지대(501)는 제1 및 제2 선반(521,522)을 비롯해서 제1 및 제2 선반(521,522)에 지지되는 책의 하중을 지지한다.
단위 서가(500)가 임의로 흔들리거나 이동되지 않게끔 지지대(501)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푸트부재(503)가 마련된다. 푸트부재(503)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서가 프레임(510)들의 상부에는 덮개판(502)이 결합한다. 덮개판(502)은 외관의 미를 제공하는 한편 최상단의 제1 및 제2 선반(521,522) 상에 놓이는 책을 보호한다.
제1 및 제2 선반(521,522)은 책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한 쌍의 서가 프레임(510)에 결합한다. 제1 및 제2 선반(521,522)들은 서가 프레임(5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층별로 배열된다. 그리고, 서가 프레임(510)을 기준으로 해서 제1 및 제2 선반(521,522)이 앞뒤로 배치되는데, 이는 도서관 등에 배치되는 서가(500)의 특성상 양쪽에서 책을 꽂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및 제2 선반(521,522)이 서가 프레임(5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서가 프레임(510)에는 복수의 걸이홈(51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선반(521,522)에는 후크(미도시)가 형성된다. 이에, 후크가 원하는 위치의 걸이홈(511)에 걸리도록 하면서 제1 및 제2 선반(521,522)을 서가 프레임(5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수납깊이 조절유닛(530)은 한 쌍의 서가 프레임(5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제1 및 제2 선반(521,522)에 지지되는 책의 수납깊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에는 편의상 몇몇 제1 및 제2 선반(521,522)에만 수납깊이 조절유닛(530)을 적용하였는데, 수납깊이 조절유닛(530)은 제1 및 제2 선반(521,522)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수납깊이 조절유닛(530)은 제1 수납깊이 조절부(540), 제2 수납깊이 조절부(550), 그리고 공용 회전 구속부재(560)를 포함한다.
제1 수납깊이 조절부(540)는 한 쌍의 서가 프레임(510)에 양 단부가 결합하며, 제1 선반(521) 상에 지지되는 책의 수납깊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제2 수납깊이 조절부(550)는 역시, 한 쌍의 서가 프레임(510)에 양 단부가 결합하며, 제2 선반(522) 상에 지지되는 책의 수납깊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수납깊이 조절부(540)와 제2 수납깊이 조절부(550)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제1 수납깊이 조절부(540)와 제2 수납깊이 조절부(550)는 모두, 양 사이드를 형성하는 한 쌍의 단부 플랜지(531)와, 한 쌍의 단부 플랜지(531)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책을 지지하는 지지봉(532)을 포함한다. 단부 플랜지(531)에는 통공(533)이 형성된다.
공용 회전 구속부재(560)는 제1 수납깊이 조절부(540)와 제2 수납깊이 조절부(550)에 공용으로 결합하며, 제1 수납깊이 조절부(540)와 제2 수납깊이 조절부(550)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공용 회전 구속부재(560)는 제1 수납깊이 조절부(540)와 제2 수납깊이 조절부(550)의 단부 플랜지(531)에 공용으로 결합하며, 해당 위치에서 제1 수납깊이 조절부(540)와 제2 수납깊이 조절부(55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혹은 제1 수납깊이 조절부(540)와 제2 수납깊이 조절부(550)의 회전이 구속되게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공용 회전 구속부재(560)는 단부에 드라이버 홈(562)이 형성되고 사이드에 미끄러짐 방지패턴(563)이 형성되는 손잡이부(561)와, 손잡이부(561)에 연결되고 외면에 나사산(565)이 형성되는 축부(564)를 포함한다.
손잡이부(561)의 단부에 드라이버 홈(562)이 형성되기 때문에 드라이버를 이용해서 공용 회전 구속부재(560)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손잡이부(561)의 외면에 나사산(565)이 형성되기 때문에 드라이버 없이도 공용 회전 구속부재(560)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십자형의 드라이버 홈(562)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자형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수납깊이 조절부(540)와 제2 수납깊이 조절부(550)의 단부 플랜지(531)에는 통공(533)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통공(533)에 축부(564)가 삽입되어 서가 프레임(5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납깊이 조절부(540)와 제2 수납깊이 조절부(550)의 단부 플랜지(531) 사이에는 복수의 와셔(567)가 개재됨으로써 견고한 결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납깊이 조절유닛(53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도 12에서 도 13처럼 공용 회전 구속부재(560)를 풀고 제1 수납깊이 조절부(540)를 화살표처럼 내린 후, 다시 공용 회전 구속부재(560)를 조이면, 제1 선반(521)에 안착되는 책을 화살표 L 거리만큼 좀 더 깊숙하게 넣을 수 있다.
물론, 도 13에서 도 12처럼 제1 수납깊이 조절부(540)를 반대로 조작하면 사이즈가 다른 책, 예컨대 사이즈가 작은 책을 제1 선반(521)에 안착시키기에 유리할 것이다. 반대편의 제2 수납깊이 조절부(550) 역시, 동일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단위 서가(500)가 시스템에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단위 서가 101 : 서가 프레임
103 : 선반 110 : 사이드 장
120 :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 130 : 서가 지지용 비조명커버
140 : 서가 전도 방지부 141 : 도서 분류 표시패턴

Claims (5)

  1. 단면 또는 양면으로 형성되되 책이 수납되는 복수의 단위 서가;
    상기 복수의 단위 서가의 사이드에 배치되는 복수의 사이드 장;
    상기 복수의 단위 서가 및 사이드 장을 상부에서 연결하되 선택적으로 조명(light)을 제공하는 복수의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 및
    상기 복수의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와 함께 상기 복수의 단위 서가 및 사이드 장을 일체로 지지하는 복수의 서가 지지용 비조명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단위 서가 각각은, 중심 골조를 형성하는 한 쌍의 서가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서가 프레임의 양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책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선반; 및 상기 한 쌍의 서가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선반에 지지되는 상기 책의 수납깊이를 조절하는 수납깊이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서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 또는 상기 서가 지지용 비조명커버에 연결되며, 이웃한 복수의 단위 서가를 지지하여 전도를 방지하는 서가 전도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깊이 조절유닛은,
    상기 제1 선반 상에 지지되는 책의 수납깊이를 조절하는 제1 수납깊이 조절부; 상기 한 쌍의 서가 프레임에 양 단부가 결합하며 상기 제2 선반 상에 지지되는 책의 수납깊이를 조절하는 제2 수납깊이 조절부; 및 상기 제1 수납깊이 조절부와 상기 제2 수납깊이 조절부에 공용으로 결합하며, 상기 제1 수납깊이 조절부와 상기 제2 수납깊이 조절부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공용 회전 구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납깊이 조절부와 상기 제2 수납깊이 조절부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되 상기 제1 수납깊이 조절부와 상기 제2 수납깊이 조절부는 모두, 양 사이드를 형성하는 한 쌍의 단부 플랜지; 및 상기 한 쌍의 단부 플랜지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책을 지지하는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공용 회전 구속부재는 상기 제1 수납깊이 조절부와 상기 제2 수납깊이 조절부의 단부 플랜지에 공용으로 결합하며, 상기 공용 회전 구속부재는, 단부에 드라이버 홈이 형성되고 사이드에 미끄러짐 방지패턴이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납깊이 조절부와 상기 제2 수납깊이 조절부의 단부 플랜지에는 상기 축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축부는 상기 서가 프레임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수납깊이 조절부와 상기 제2 수납깊이 조절부의 단부 플랜지 사이에는 복수의 와셔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가 전도 방지부에 도서 분류 표시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 및 상기 서가 지지용 비조명커버를 상부에서 투시할 때, 사각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이드 장의 코너(corner)에 배치되는 복수의 코너 장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코너 장, 상기 복수의 서가 지지용 조명커버 및 상기 서가 지지용 비조명커버를 상부에서 투시할 때, 사각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가 시스템.
KR1020190055065A 2019-05-10 2019-05-10 다양한 서가 배열이 가능한 확장형 서가 시스템 KR102124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065A KR102124180B1 (ko) 2019-05-10 2019-05-10 다양한 서가 배열이 가능한 확장형 서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065A KR102124180B1 (ko) 2019-05-10 2019-05-10 다양한 서가 배열이 가능한 확장형 서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180B1 true KR102124180B1 (ko) 2020-06-17

Family

ID=7140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065A KR102124180B1 (ko) 2019-05-10 2019-05-10 다양한 서가 배열이 가능한 확장형 서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1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665Y1 (ko) 2022-02-11 2022-07-21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확장용 서가
KR102619795B1 (ko) 2023-07-17 2024-01-03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1677A (ko) 1996-07-31 1998-04-30 문정환 반도체 소자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20010012986A (ko) 1998-04-10 2001-02-26 게스레이 마크 형상 전자 빔 칼럼 및 그 생산방법
KR20030085865A (ko) 2002-05-02 2003-11-07 동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JP2015134050A (ja) * 2014-01-17 2015-07-27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多連式書架
KR20170073148A (ko) 2015-12-18 2017-06-28 주식회사 네오썬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긴급구조 단말기와 정보처리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1677A (ko) 1996-07-31 1998-04-30 문정환 반도체 소자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20010012986A (ko) 1998-04-10 2001-02-26 게스레이 마크 형상 전자 빔 칼럼 및 그 생산방법
KR20030085865A (ko) 2002-05-02 2003-11-07 동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JP2015134050A (ja) * 2014-01-17 2015-07-27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多連式書架
KR20170073148A (ko) 2015-12-18 2017-06-28 주식회사 네오썬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긴급구조 단말기와 정보처리장치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디자인공보 제30-0772647호(2014.11.2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665Y1 (ko) 2022-02-11 2022-07-21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확장용 서가
KR102619795B1 (ko) 2023-07-17 2024-01-03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180B1 (ko) 다양한 서가 배열이 가능한 확장형 서가 시스템
KR101988838B1 (ko) 수납깊이 조절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수납깊이 조절형 서가
JP5948163B2 (ja) デスクサイド書棚
US8066340B2 (en) Organizer/storage system that mounts on top of a computer workstation
KR20120126713A (ko) 책장 쓰러짐 방지용 기능성 보조 책꽂이
KR20130027619A (ko) 슬라이드 패널과 상부 패널을 구비한 책장 쓰러짐 방지용 기능성 보조 책꽂이
US20110198305A1 (en) Angled Rolled Plan Rack
JP2000060647A (ja) 書棚付き机
JP4987320B2 (ja) 机上用書棚装置
JP4765603B2 (ja) 学習机の机上棚
KR200495665Y1 (ko) 확장용 서가
CN217743511U (zh) 一种具有收纳的办公桌桌屏
KR200394811Y1 (ko) 칸막이와 수납장 기능을 가진 책상
JP2018000588A (ja) 組み合わせデスク
US20240164516A1 (en) Storage system
JP3732222B1 (ja) 書棚付き机
JP2007236431A (ja) 机上用書棚装置
JP5784934B2 (ja) トレー支持什器
JP7116535B2 (ja)
JPH0615709Y2 (ja) 状差し
JP3134667U (ja) 本立て
KR200380813Y1 (ko) 다용도 수납장
AU706892B1 (en) Improvements in shelving
KR200227748Y1 (ko) 다용도 수납장
KR20070063072A (ko) 다용도 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