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342Y1 - 사물함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사물함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342Y1
KR200462342Y1 KR2020120000281U KR20120000281U KR200462342Y1 KR 200462342 Y1 KR200462342 Y1 KR 200462342Y1 KR 2020120000281 U KR2020120000281 U KR 2020120000281U KR 20120000281 U KR20120000281 U KR 20120000281U KR 200462342 Y1 KR200462342 Y1 KR 2004623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locker
inner case
lock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주식회사 이노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주식회사 이노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Priority to KR2020120000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3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3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3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물함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동편 하우징이 형성되며 사물함 도어에 고정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의 개방된 단부를 덮도록 체결되며 상기 사물함 도어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에 설치되는 자물쇠 고리; 상기 내,외부 케이스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자물쇠 고리가 관통하는 고리관통공이 형성되는 버튼부; 상기 작동편 하우징에 수용되며 삽입홈이 형성된 작동편; 상기 내부케이스와 버튼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의 작동과 연동하여 상기 작동편의 이동을 제한하는 작동편 고정부; 및 상기 내부 케이스와 작동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작동편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편 고정부는, 상기 버튼부의 이면에 돌출 형성되며, 이동 방향쪽의 이면에 후방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연동부; 상기 연동부와 상호 작용하도록 상기 경사면과 맞닿는 대응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진 이동제한부; 및, 상기 경사부와 작동편 사이에서 상기 삽입부의 둘레를 감싸는 제2탄성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물함용 잠금장치{DOOR LOCKING DEVICE FOR CABINET}
본 고안은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함의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는 사물함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학교나 사무실, 헬스클럽, 지하철 등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장소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소지하는 물품을 일정한 기간 동안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사물함(10)은, 전면이 개구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본체(11)에 힌지 결합된 도어(12)와, 상기 본체(11)와 도어(12)에 각각 형성된 자물쇠 고리(13) 및 상기 본체(11)와 도어(12)의 자물쇠 고리(13)를 관통하여 잠금하는 자물쇠(1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자물쇠(14)는 열쇠로 잠금 상태를 유지 및 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11)의 개구된 전면을 상기 도어(12)로 닫은 후, 상기 본체(11)와 도어(12)의 자물쇠 고리(13)를 자물쇠(14)로 관통하여 잠그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사물함(10)은 잠금 상태 및 해제상태에서 자물쇠 고리(13)가 본체(11)와 도어(1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사용자의 보행 중에 자물쇠 고리에 부딪혀 상해를 입을 수 있었다.
이에 더해, 돌출된 자물쇠 고리(13)로 인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옷 등이 걸려 손상을 입을 수 있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된 자물쇠 고리(13)를 간단히 파손시켜 도어(12)를 개방할 수도 있어 안전성이 떨어졌다. 즉, 사물함에 보관된 보관물의 도난이 쉽게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물쇠 고리가 버튼부 및 외부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행 중에 상기 자물쇠 고리에 부딪혀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는, 작동편 하우징이 형성되며 사물함 도어에 고정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의 개방된 단부를 덮어 체결되며 상기 사물함 도어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에 설치되는 자물쇠 고리; 상기 내,외부 케이스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자물쇠 고리가 관통하는 고리관통공이 형성되는 버튼부; 상기 작동편 하우징에 수용되며 삽입홈이 형성된 작동편; 상기 내부케이스와 버튼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의 작동과 연동하여 상기 작동편의 이동을 제한하는 작동편 고정부; 및, 상기 내부 케이스와 작동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작동편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편 고정부는, 상기 버튼부의 이면에 돌출 형성되며, 이동 방향쪽의 이면에 후방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연동부; 상기 연동부와 상호 작용하도록 상기 경사면과 맞닿는 대응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진 이동제한부; 및, 상기 경사부와 작동편 사이에서 상기 삽입부의 둘레를 감싸는 제2탄성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케이스에는 상기 작동편 고정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편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슬릿공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편 하우징에는 상기 슬릿공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편이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편과 걸림 고정부의 서로 맞닿는 부위에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에 의하면, 자물쇠 고리가 버튼부 및 외부케이스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보행 중에 자물쇠 고리에 부딪혀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물쇠 고리를 버튼부 및 외부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어 사물함의 미관이 향상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옷, 가방 등이 자물쇠 고리에 부딪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물쇠 고리가 노출되지 않아 고의적인 파손에 대해 예방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물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가 적용된 사물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작동편 고정부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작동편 고정부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가 적용된 사물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작동편 고정부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C)은, 전방이 개구된 사물함 본체(100)와, 상기 사물함 본체(100)의 개구된 전방을 개폐하도록 힌지 결합된 사물함 도어(200)와, 상기 사물함 본체(100)에 대해 사물함 도어(2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장치(300)를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300)는, 상기 사물함 도어(200)에 고정되는 내부 케이스(310)와, 상기 내부 케이스(310)의 개방된 단부를 덮어 체결되는 외부 케이스(320)와, 상기 내부 케이스(310)에 고정되는 자물쇠 고리(330)와, 상기 내,외부 케이스(310,320)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340)와, 상기 내부 케이스(310)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별도의 걸림 고정부(390)에 잠금 또는 해제되는 작동편(350)과, 상기 버튼부(340)의 작동과 연동하여 상기 작동편(35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연동부(361) 및 이동제한부(362)로 이루어진 작동편 고정부(360)를 포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케이스(310)에는 상기 작동편(350)이 수용되는 작동편 하우징(311)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작동편 하우징(311)에는 상기 작동편(350)이 수용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작동편(350)과 작동편 하우징(311) 사이에는 제1탄성부(370)가 개재된다.
또한, 상기 자물쇠 고리(330)에는 자물쇠(400)가 채워지는 자물쇠 관통공(331)이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340)에는 상기 자물쇠 고리(330)가 관통하는 고리 관통공(341)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편(350)은 그 후방에 상기 작동편 고정부(360)의 이동제한부(362)가 삽입되는 삽입홈(351)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상기 걸림 고정부(390)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352)가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작동편(350)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슬릿공(353)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편 하우징(311)에는 상기 슬릿공(353)이 삽입되어 상기 작동편(350)이 일정 구간만큼 안내되도록 가이드 돌기(3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편 고정부(360)는, 상기 버튼부(340)의 동작과 연동하는 연동부(361)와, 상기 연동부(361)의 동작에 의해 하방으로 연동하여 상기 작동편(351)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362)로 이루어져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동부(361)는 상기 버튼부(340)의 이면에 돌출 형성되며, 이동 방향쪽의 이면에 후방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면(361a)을 갖는 구성으로서, 상기 경사면(361a)과 맞닿는 대응 경사면(363a)을 갖는 이동제한부(362)와 상호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제한부(362)는 상기 경사면(363a)을 갖는 경사부(363)와, 상기 경사부(363)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편(350)의 삽입홈(351)에 삽입되는 삽입부(364)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340)를 내부 케이스(310)를 향해 눌러 주게 되면, 상기 버튼부(340)의 동작과 연동하는 작동편 고정부(360)의 연동부(361)가 내부 케이스(310)를 향해 평행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이와 상호 작용하는 이동제한부(362)의 대응 경사면(363a)은 상기 연동부(361)의 경사면(361a)을 따라서 하강하게 되며, 상기 삽입부(364)는 상기 작동편(350)의 삽입홈(351)에 삽입되어 작동편(350)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결국,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물쇠 고리(330)는 버튼부(340)의 고리 관통공(341)으로 노출되고, 노출된 자물쇠 고리(330)의 자물쇠 관통공(331)에 자물쇠(400)를 채워 사물함 도어(200)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경사부(363)와 작동편(350) 사이의 삽입부(364)에는 그 둘레를 감싸는 제2탄성부(380)가 개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2탄성부(38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버튼부(340)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다시 말해 상기 버튼부(34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상기 이동제한부(362)는 작동편(350)의 삽입홈(351)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310)의 작동편 하우징(311)에는 작동편 고정부(36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313)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홈(313)에 의해 작동편 고정부(36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홈(313)은 작동편 고정부(360)의 좌,우 측면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물함 본체(100)에는 상기 작동편(350)의 걸림부(352)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부(390)가 더 구비되어 사물함 도어(200)를 사물함 본체(100)로부터 쉽게 열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편(350)의 걸림부(352)와 걸림 고정부(390)의 서로 맞닿는 부위에는 경사면(301,39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이 서로 맞닿는 상태로 체결되어 사물함(C)을 잠그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작동편 고정부(36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지 않은 작동편(350)의 걸림부(352)에 형성된 경사면(301)은 걸림 고정부(390)의 경사면(391)을 타고 넘으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작동편(350)은 제1탄성부(370)를 압축하며 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320)에는 상기 버튼부(340)가 수용되는 수용홈(321)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340)가 상기 수용홈(321) 내에서 내부 케이스(310)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자물쇠 고리(330)가 고리 관통공(34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버튼부(340)가 제2탄성부(38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상기 자물쇠 고리(33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물쇠 고리(330)가 버튼부(340) 및 상기 외부 케이스(320)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보행 중에 자물쇠 고리(330)에 부딪혀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자물쇠 고리(3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사물함(C)의 미관이 향상됨은 물론, 사용자의 옷, 가방 등이 자물쇠 고리(330)에 걸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자물쇠 고리(330)가 노출되지 않아 고의적인 파손에 대해 예방할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된다. 즉, 사물함(C)에 보관된 보관물의 도난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사물함용 잠금장치(300)의 잠금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사물함 본체(100) 내에 보관물을 수납한 다음 사물함(C)의 사물함 도어(200)를 닫으면, 상기 작동편(350)은 제1탄성부(370)를 압축하며 걸림부(352)는 걸림 고정부(390)의 경사면(391)을 타고 넘어가 걸림 고정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버튼부(340)를 누르게 되면, 상기 버튼부(340)는 외부 케이스(320)의 수용홈(321)을 따라 후방 이동하고, 상기 버튼부(340)와 연동되는 작동편 고정부(360)의 연동부(361)가 평행 이동하면 상기 연동부(361)와 연동하는 작동편 고정부(360)의 이동제한부(362)가 하방 이동하면서 그 삽입부(364)가 작동편(350)의 삽입홈(351)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편(350)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사물함 도어(20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제2탄성부(380)는 작동편 고정부(360)의 이동에 의해 압축되고, 사물함 도어(200)의 개방전까지 압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자물쇠 고리(330)는 버튼부(340)의 고리관통홀(341)을 관통하여 버튼부(340)의 전방으로 노출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물쇠 고리(330)의 자물쇠 관통공(331)에 자물쇠(400)를 채워 사물함(C)의 잠금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자물쇠(400)의 잠금을 해제하면 제2탄성부(380)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편(350)의 삽입홈(351)으로부터 작동편 고정부(360)의 삽입부(364)가 인출되면서 작동편(350)의 이동 제한이 해제되므로 사물함(C)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C : 사물함 100 : 사물함 본체
200 : 사물함 도어 300 : 잠금장치
310 : 내부 케이스 320 : 외부 케이스
330 : 자물쇠고리 340 : 버튼부
350 : 작동편 360 : 작동편 고정부
370 : 제1탄성부 380 : 제2탄성부
390 : 걸림 고정부 400 : 자물쇠

Claims (5)

  1. 작동편 하우징이 형성되며 사물함 도어에 고정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의 개방된 단부를 덮어 체결되며 상기 사물함 도어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에 설치되는 자물쇠 고리;
    상기 내,외부 케이스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자물쇠 고리가 관통하는 고리관통공이 형성되는 버튼부;
    상기 작동편 하우징에 수용되며 삽입홈이 형성된 작동편;
    상기 내부케이스와 버튼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의 작동과 연동하여 상기 작동편의 이동을 제한하는 작동편 고정부; 및
    상기 내부 케이스와 작동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작동편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편 고정부는,
    상기 버튼부의 이면에 돌출 형성되며, 이동 방향쪽의 이면에 후방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연동부;
    상기 연동부와 상호 작용하도록 상기 경사면과 맞닿는 대응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진 이동제한부; 및,
    상기 경사부와 작동편 사이에서 상기 삽입부의 둘레를 감싸는 제2탄성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 케이스에는 상기 작동편 고정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잠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슬릿공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편 하우징에는 상기 슬릿공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잠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이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잠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과 걸림 고정부의 서로 맞닿는 부위에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20120000281U 2012-01-11 2012-01-11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04623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281U KR200462342Y1 (ko) 2012-01-11 2012-01-11 사물함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281U KR200462342Y1 (ko) 2012-01-11 2012-01-11 사물함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342Y1 true KR200462342Y1 (ko) 2012-09-06

Family

ID=4707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281U KR200462342Y1 (ko) 2012-01-11 2012-01-11 사물함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34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486B1 (ko) * 2017-04-18 2017-08-08 주식회사 퍼맥스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781593B1 (ko) 2017-07-28 2017-09-25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자물쇠 고리가 자동으로 돌출하는 잠금장치
KR102001252B1 (ko) * 2018-01-12 2019-07-18 (주)동화엠피에스 도어용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2112574B1 (ko) 2019-12-09 2020-05-19 (주)야흥금속 사물함 도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899B1 (ko)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899B1 (ko)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486B1 (ko) * 2017-04-18 2017-08-08 주식회사 퍼맥스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781593B1 (ko) 2017-07-28 2017-09-25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자물쇠 고리가 자동으로 돌출하는 잠금장치
KR102001252B1 (ko) * 2018-01-12 2019-07-18 (주)동화엠피에스 도어용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2112574B1 (ko) 2019-12-09 2020-05-19 (주)야흥금속 사물함 도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863Y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US10301850B2 (en) Multiple lock system for a luggage case
KR200462342Y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RU2521289C2 (ru) Запираемый контейнер
KR200442887Y1 (ko) 압축 파우더 용기
KR200448297Y1 (ko) 사물함용 손잡이형 잠금장치
KR101450037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GB2587455A (en) A lock with a rotatable auxiliary member assembly
KR101476333B1 (ko) 잠금장치
KR101958223B1 (ko)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KR101168070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2133350B1 (ko) 돌출형 손잡이가 구비된 디지털 잠금장치
KR101359303B1 (ko) 박스용 록커
KR100981646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101856336B1 (ko) 차량용 트레이 장치
KR200445240Y1 (ko) 잠금보조장치
KR101395941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182458B1 (ko) 사물함 손잡이
KR101086300B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1289321B1 (ko) 서랍장
KR101326441B1 (ko) 잠금 기능을 갖는 사물함 손잡이
KR101338363B1 (ko) 원터치 사물함 손잡이
TWM479969U (zh) 箱用拉鍊鎖裝置
KR102616868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101338364B1 (ko) 원터치 사물함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