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486B1 - 사물함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사물함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486B1
KR101765486B1 KR1020170049557A KR20170049557A KR101765486B1 KR 101765486 B1 KR101765486 B1 KR 101765486B1 KR 1020170049557 A KR1020170049557 A KR 1020170049557A KR 20170049557 A KR20170049557 A KR 20170049557A KR 101765486 B1 KR101765486 B1 KR 101765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ousing
locker
rota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맥스
Priority to KR1020170049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4Casings of cylinder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2009/004Shape of the lock housing
    • E05B2009/006Shape of the lock housing circ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함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물함의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의 설치공에 설치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탄성 지지되어 축 방향으로 전후진되며 본체의 로킹고정부에 로킹 또는 로킹 해제되는 로킹뭉치, 하우징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레버, 및 회전레버가 설정 회전량 이상 회전시에 로킹뭉치가 로킹고정부로부터 이탈되도록 조작 안내하는 회전차개폐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손잡이 겸용 잠금장치의 고정자와 작동자를 비교적 얇은 와이어로 결속할 경우를 대비해서 레버를 설정 회전량 이내로 회전시에 잠금뭉치의 후진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물함의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사물함용 잠금장치{LOCK UNIT FOR CABINET}
본 발명은 사물함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 겸용 잠금장치의 고정자와 작동자를 비교적 얇은 와이어로 결속할 경우를 대비해서 레버를 설정 회전량 이내로 회전시에 잠금뭉치의 후진(로킹 해제)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물함의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사물함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이란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는 함으로서 대중이 모이는 독서실, 학교, 목욕탕, 스포츠센터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함은 문짝에 이름표를 넣을 수 있는 이름표함과 사물함의 문짝을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와 사물함의 문짝하중으로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속과 금속판으로 형성된 고정부와 또한 사물함을 자물쇠를 이용하여 잠글 수 있도록 자물쇠걸편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사물함은 이름표, 손잡이, 고정부, 자물쇠 걸편을 별도의 부품으로 각각 설치해야 함으로써, 사물함을 조립함에 있어 많은 공정이 필요하여 생산성이 저하되었으며, 다양한 부품으로 인하여 사물함의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415061호(등록일:2006.04.28.)를 통해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는 사물함의 함체를 개폐하는 문짝에 매립공을 형성하고 매립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잠금공을 형성한 손잡이부와, 손잡이부를 통하여 자물쇠로 잠글 수 있도록 손잡이부의 잠금공으로 삽입 돌출되도록 형성한 잠금부로 구성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잠금부를 갖는 손잡이는 레버의 작동과 동시에 잠금부의 이동편 및 걸림뭉치가 이동되며 잠금 해제되는데, 자물쇠가 고정편의 관통홀과 이동편의 연통홀 직경보다 작거나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채 관통홀과 연통홀에 삽입되어 고정편과 이동편을 결속한 상태에서, 레버를 통한 이동편이 고정편에 대해 소정 이동시에도 걸림뭉치가 후진되며 잠금 해제 처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보안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잡이 겸용 잠금장치의 고정자와 작동자를 비교적 얇거나 플렉시블한 재질의 와이어로 결속할 경우를 대비해서 레버를 설정 회전량 이내로 회전시에 잠금뭉치의 후진(로킹 해제)을 방지하도록 작동자를 구비함에 따라, 사물함의 보안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사물함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는: 사물함의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의 설치공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탄성 지지되어 축 방향으로 전후진되며 상기 본체의 로킹고정부에 로킹 또는 로킹해제되는 로킹뭉치; 상기 하우징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레버; 및 상기 회전레버가 설정 회전량 이상 회전시에, 상기 로킹뭉치가 상기 로킹고정부로부터 이탈되도록 조작 안내하는 회전차개폐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로킹뭉치의 축 방향 이동을 로킹부재를 통해 제한함으로써 상기 로킹뭉치가 상기 로킹고정부에 로킹된 상태를 유지하는 시건부를 포함한다.
상기 시건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제 1걸림유도구를 형성하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 또는 상기 하우징 내측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로킹뭉치에 교차되게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 2걸림유도구를 형성하며, 상기 로킹부재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걸림유도구와 상기 제 2걸림유도구가 완전히 불일치시에 상기 로킹뭉치가 후진되며 상기 로킹고정부로부터 로킹 해제 허용하는 작동자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차개폐작동부는, 상기 회전레버에 편심 회전되게 돌출 형성되는 편심돌부; 상기 작동자에 형성되어 상기 편심돌부가 편심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작동자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편심돌부를 수용하는 제 1위치이동조작부; 상기 회전레버가 설정량 이내로 회전시에 상기 로킹뭉치가 이동 방지되도록, 상기 제 1위치이동조작부를 통해 상기 작동자를 설정량만큼 위치 이동 후에 연이어 상기 편심돌부를 통해 상기 로킹뭉치를 상기 로킹고정부측 반대방향으로 밀 수 있도록 상기 로킹뭉치에 형성되는 제 2위치이동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탑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탑커버는 상기 제 2걸림유도구를 삽입하여 직진 이송을 안내하기 위해 스트레이트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걸림유도구는 상기 로킹부재를 삽입하기 위해 제 1관통부를 통공하고, 상기 로킹부재에 의한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상기 제 1관통부끼리 일치되는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걸림유도구는 상기 제 1걸림유도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관통부에 대응되게 제 2관통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레버는 상기 작동자에 접하여 지지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를 연장 형성하며, 상기 탑커버는 상기 회전레버를 노출시킨 채 상기 플랜지의 상측에 접하여 상기 회전레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로킹뭉치와 상기 작동자를 수용하는 바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커버는 상기 로킹뭉치의 직진 이송을 안내하기 위해 장착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로킹뭉치는 측면부와 저면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가이드홈부를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부는 이송되는 상기 로킹뭉치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홈부 각각에 수용되는 가이드돌부를 내측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손잡이 겸용 잠금장치의 고정자와 작동자를 비교적 얇거나 플렉시블한 재질의 와이어로 결속할 경우를 대비해서 레버를 설정 회전량 이내로 회전시에 잠금뭉치의 후진(로킹 해제)을 방지하도록 작동자를 구비함에 따라, 사물함의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를 갖는 사물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하우징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시건부와 회전차개폐작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를 갖는 사물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하우징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시건부와 회전차개폐작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10)용 잠금장치(100)는 하우징(200), 로킹뭉치(300), 회전레버(400), 시건부(500) 및 회전차개폐작동부(600)를 포함한다.
특히, 사물함(10)은 수납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20), 및 본체(20)의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4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20)는 개방측 일측 가장자리에 로킹고정부(30)를 형성하고, 도어(40)는 로킹뭉치(3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로킹뭉치(300)가 전진되며 로킹고정부(30)에 걸림(로킹)으로써 도어(40)는 잠금 상태가 되고, 로킹뭉치(300)가 로킹고정부(30)로부터 후진되며 걸림해제(로킹해제)됨으로써 도어(40)는 열림 가능 상태가 된다.
물론, 본체(20)와 도어(4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도어(40)의 타측 가장자리는 본체(20)의 개방측 가장자리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200)은 도어(40)의 설치공(42)에 설치되고, 로킹뭉치(300)를 수용하며, 로킹뭉치(300)를 로킹고정부(30)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 작동하는 회전차개폐작동부(600) 등을 구비한다.
특히, 하우징(200)은 바텀커버(bottom cover,220), 탑커버(top cover,210) 및 그립커버(grip cover,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커버(220)는 로킹뭉치(300)를 수납하여 직진 이동 안내하며, 도어(40)의 내측(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바텀커버(220)는 다양한 방식으로 도어(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탑커버(210)는 바텀커버(220)에 연결되며, 둘레면이 설치공(42)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설치공(42)에 장착되어 바텀커버(220)에 설치된 로킹뭉치(300) 등을 덮어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탑커버(210)는 다양한 방식으로 바텀커버(220)에 조립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그립커버(230)는 도어(40)의 외측(전면)에 배치되고, 탑커버(210) 또는 바텀커버(2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가 도어(40)의 개폐시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론, 그립커버(23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로킹뭉치(300)는 하우징(200) 특히 바텀커버(220)에 탄성 지지되어 축 방향으로 전후진되며, 본체(20)의 로킹고정부(30)에 로킹(locking) 또는 로킹해제(unlocking) 작동함으로써 도어(40)의 개폐 여부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바텀커버(220)는 로킹뭉치(300)의 직진 이송을 안내하기 위해 적어도 로킹고정부(30) 측으로 개방되는 장착홈부(222)를 형성할 수 있다. 장착홈부(22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로킹뭉치(300)는 로킹탄성지지부재(310)에 탄성 지지되어 축 방향으로 전진되려는 힘이 작용한다. 즉, 로킹탄성지지부재(310)는 바텀커버(220)에 일측이 탄성 지지된 채 타측이 로킹뭉치(300)를 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때, 로킹탄성지지부재(310)는 코일 스프링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바텀커버(2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킹뭉치(300)는 외력 제거시 로킹탄성지지부재(310)의 탄성 지지로 인해 하우징(200)의 외측으로 일부 돌출된다. 로킹뭉치(300)의 돌출 부위가 로킹고정부(30)에 걸림으로써, 도어(4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로킹뭉치(300)는 측면부와 저면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가이드홈부(324)를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할 수 있고, 장착홈부(222)는 대응되는 가이드홈부(324)에 수용되는 가이드돌부(224)를 내측면에 돌출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돌부(224)가 대응되는 가이드홈부(324)를 따라 이동 안내됨에 따라, 로킹뭉치(300)는 전후진 이동시에 흔들림이 방지됨으로써 전후진 이동 반응성이 향상된다.
편의상, 가이드홈부(324)는 로킹뭉치(300)의 양측면부와 저면부에 각각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물론, 가이드돌부(2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가이드홈부(324)가 장착홈부(222)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고, 가이드돌부(224)가 로킹뭉치(300)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전레버(400)는 로킹탄성지지부재(310)에 탄성 지지되는 로킹뭉치(300)를 후진 작동하기 위해 사용자가 최초에 외력을 가하기 위해 구비된다. 특히, 회전레버(400)는 하우징(200)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세히, 회전레버(400)는 회전차개폐작동부(600)를 통해 로킹뭉치(300)에 연결된 채 위치 고정된다. 특히, 회전레버(400)는, 후술할, 작동자(520)에 접하여 지지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410)를 연장 형성한다.
그리고, 탑커버(210)는 회전레버(400)를 노출시킨 채 플랜지(410)의 상측에 접하여 회전레버(400)의 원주 방향 회전을 허용하면서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회전레버(400)와 플랜지(4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시건부(500)는 로킹뭉치(300)의 축 방향 이동을 로킹부재(530)를 통해 제한함으로써 로킹뭉치(300)가 로킹고정부(30)에 로킹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로킹부재(530)의 제거시 로킹뭉치(300)의 후진을 허용하여 로킹해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시건부(500)는 고정자(510), 작동자(520) 및 로킹부재(530)를 포함한다.
고정자(510)는 하우징(200) 특히 바텀커버(220)에 고정 설치되고, 하우징(200)의 전측으로 돌출되도록 제 1걸림유도구(512)를 형성한다.
이때, 고정자(510)는 고정부재(513)에 의해 바텀커버(2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513)는 볼트나 스크류 등 기계체결요소로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탑커버(210)는 회전레버(400)의 일부를 돌출(노출) 허용하기 위해 노출홀부(214)를 통공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회전레버(400)의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걸림유도구(512)가 하우징(200) 특히, 탑커버(210)의 전측(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탑커버(210)는 스트레이트홀부(212)를 통공한다. 그래서, 제 1걸림유도구(512)가 스트레이트홀부(212)를 통해 탑커버(2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아울러, 작동자(520)는 고정자(510) 또는 하우징(200) 내측에 탄성 지지되며, 로킹뭉치(300)에 교차된 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작동자(520)는 시건탄성지지부재(526)를 통해 고정자(510)에 탄성 지지된다. 이때, 시건탄성지지부재(526)는 코일 스프링으로 적용하고, 축 방향이 로킹뭉치(300)의 축 방향에 교차되게 배치된다.
편의상, 시건탄성지지부재(526)의 축 방향은 로킹뭉치(300)의 축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시건탄성지지부재(526)는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자(510)와 작동자(5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래서, 작동자(520)는 시건탄성지지부재(526)를 통해 고정자(510)에 대해 탄성 지지된다.
아울러, 작동자(520)는 제 2걸림유도구(522)를 형성한다. 제 2걸림유도구(522)는 스트레이트홀부(212)를 통해 탑커버(2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 1걸림유도구(512)와 제 2걸림유도구(522)가 일치된 상태에서, 로킹부재(530)가 제 1걸림유도구(512)와 제 2걸림유도구(522)를 통해 고정자(510)와 작동자(520)를 구속함으로써, 로킹뭉치(300)는 로킹고정부(30)와의 이탈을 위한 후진이 방지된다.
그리고, 로킹부재(530)가 제 1걸림유도구(512)와 제 2걸림유도구(522)에서 제거 후, 제 1걸림유도구(512)와 제 2걸림유도구(522)가 완전히 불일치시에, 작동자(520)는 로킹뭉치(300)의 후진을 안내함으로써 로킹고정부(30)로부터 로킹 해제 허용을 유도한다.
이때, 제 2걸림유도구(522)가 직진 왕복 이동되며 제 1걸림유도구(512) 측 또는 반대측으로 이동 안내되도록, 스트레이트홀부(212)는 로킹뭉치(300)의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제 1걸림유도구(512)는 로킹부재(530)를 삽입하기 위해 제 1관통부(514)를 통공하고, 로킹부재(530)에 의한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제 1관통부(514)끼리 일치되는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연결되게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제 1걸림유도구(512)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걸림유도구(522)는 제 1걸림유도구(512) 사이에 배치되고, 제 1관통부(514)에 대응되게 제 2관통부(524)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걸림유도구(522)는 제 1걸림유도구(512) 사이에서 직진 이동됨에 따라, 제 1관통부(514)와 제 2관통부(524)가 대응되거나 대응되지 않게 된다.
제 1관통부(514)와 제 2관통부(524)가 대응시, 로킹부재(530)는 제 1관통부(514)와 제 2관통부(524)를 통해 제 1걸림유도구(512)와 제 2걸림유도구(522)를 구속함으로써, 로킹뭉치(300)의 후진이 방지됨에 따라, 회전레버(400)의 설정 회전량 이상의 회전은 허용되지 않는다.
반대로, 제 1관통부(514)와 제 2관통부(524)가 대응되지 않을 경우, 로킹부재(530)는 제 1관통부(514)와 제 2관통부(524)를 통해 제 1걸림유도구(512)와 제 2걸림유도구(522)를 구속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로킹뭉치(300)는 후진이 허용됨에 따라, 회전레버(400)의 설정 회전량 이상의 회전이 허용된다. 이에 연동되어, 로킹뭉치(300)는 후진 조작된다.
물론, 제 1관통부(514)와 제 2관통부(5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로킹부재(530)가 비교적 가는 와이어 형상이거나 플렉시블한 재질일 경우, 로킹부재(530)가 제 1관통부(514)와 제 2관통부(5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2걸림유도구(522)는 회전레버(400)의 설정 회전량 이내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며 로킹뭉치(300)의 후진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회전차개폐작동부(600)가 구비된다.
회전차개폐작동부(600)는 회전레버(400)가 설정 회전량 이상 회전시에, 로킹뭉치(300)가 로킹고정부(30)로부터 이탈되도록 조작 안내한다.
즉, 회전차개폐작동부(600)는 회전레버(400)의 회전에 회전 각도 차이를 두고 로킹뭉치(300)의 축 방향 이동을 조작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회전레버(400)가 설정 회전량 이내로 회전시에, 로킹뭉치(300)는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차개폐작동부(600)는 편심돌부(610), 제 1위치이동자족부 및 제 2위치이동조작부(630)를 포함한다.
편심돌부(610)는 작동자(520)에 지지된 회전레버(400)에 편심 회전되게 돌출 형성된다. 이때, 편심돌부(610)의 크기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 1위치이동조작부(620)는 작동자(520)에 형성되어 편심돌부(610)가 편심 회전에 연동되어 작동자(520)를 이동시키도록 편심돌부(610)를 수용한다.
특히, 제 1위치이동조작부(620)는 로킹뭉치(300)의 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방향의 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회전레버(400)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 편심돌부(610)가 제 1위치이동조작부(620)의 내측에서 호 궤적을 이루며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작동자(520)는 스트레이트홀부(212)에 삽입된 제 2걸림유도구(522)에 의해 전후진 이동된다.
아울러, 제 2위치이동조작부(630)는 회전레버(400)가 설정량 이내로 회전시에 로킹뭉치(300)가 이동 방지되도록, 제 1위치이동조작부(620)를 통해 작동자(520)를 설정량만큼 위치 이동 후에 연이어 편심돌부(610)를 통해 로킹뭉치(300)를 로킹고정부(30)측 반대방향으로 밀 수 있도록 로킹뭉치(300)에 형성된다.
즉, 제 2위치이동조작부(630)는 로킹뭉치(300)에 형성된다. 이때, 제 2위치이동조작부(6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데, 편의상 로킹뭉치(300)의 전진방향 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단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래서, 편심돌부(610)가 제 1위치이동조작부(620)에 삽입되며 제 2위치이동조작부(630)에 대응되게 위치하게 된다.
이 후, 편심돌부(610)가 회전레버(4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호 궤적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시, 편심돌부(610)는 일차적으로 제 1위치이동조작부(620)를 통해 작동자(520)를 고정자(510) 측으로 후진 이동시키고 나서 이차적으로 제 2위치이동조작부(630)를 통해 로킹뭉치(300)를 후진 이동시킨다.
더욱 상세히, 회전레버(400)가 설정 회전각도(θ) 이내로 일방향 회전시, 편심돌부(610)가 호 궤적을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일차적으로 작동자(520) 만을 고정자(510) 측으로 후진 이동시킨다.
회전레버(400)가 설정 회전각도(θ)까지 일방향 회전시, 작동자(520)가 후진 이동되지만, 제 2걸림유도구(522)의 제 2관통부(524)는 제 1걸림유도구(512)의 제 1관통부(514)와 일부 일치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로킹부재(530)가 제 1관통부(514)와 제 2관통부(524)에 삽입되어 시건된 상태에서, 회전레버(400)가 소정 회전되더라도, 로킹뭉치(300)는 초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레버(400)가 설정 회전각도(θ) 범위를 초과하도록 일방향 계속 회전시, 편심돌부(610)가 작동자(520)를 완전히 후진시키면서 제 2위치이동조작부(630)를 통해 로킹뭉치(300)를 후진시킨다.
이때, 제 1관통부(514)와 제 2관통부(524)는 일부라도 일치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로킹부재(530)가 제 1관통부(514)와 제 2관통부(524)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편심돌부(610)가 작동자(520)를 완전히 후진시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로킹뭉치(300)를 후진시킨다.
따라서, 도어(40)는 본체(20)에서 열 수 있게 된다.
물론, 회전레버(400)를 일방향 회전시키는 외력이 제거시, 로킹뭉치(300)는 로킹탄성지지부재(3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연동되어 작동자(520)는 시건탄성지지부재(52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며, 연동되어 회전레버(400)가 초기 위치로 타방향 회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사물함 20: 본체
30: 로킹고정부 40: 도어
100: 잠금장치 200: 하우징
210: 탑커버 220: 바텀커버
230: 그립커버 300: 로킹뭉치
310: 로킹탄성지지부재 400: 회전레버
410: 플랜지 500: 시건부
510: 고정자 512: 제 1걸림유도구
520: 작동자 522: 제 2걸림유도구
526: 시건탄성지지부재 530: 로킹부재
600: 회전차개폐작동부 610: 편심돌부
620: 제 2위치이동조작부 630: 제 2위치이동조작부

Claims (8)

  1. 사물함의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의 설치공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탄성 지지되어 축 방향으로 전후진되며 상기 본체의 로킹고정부에 로킹 또는 로킹해제되는 로킹뭉치; 상기 하우징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레버; 및 상기 회전레버가 설정 회전량 이상 회전시에, 상기 로킹뭉치가 상기 로킹고정부로부터 이탈되도록 조작 안내하는 회전차개폐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뭉치의 축 방향 이동을 로킹부재를 통해 제한함으로써 상기 로킹뭉치가 상기 로킹고정부에 로킹된 상태를 유지하는 시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건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제 1걸림유도구를 형성하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 또는 상기 하우징 내측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로킹뭉치에 교차된 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 2걸림유도구를 형성하며, 상기 로킹부재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걸림유도구와 상기 제 2걸림유도구가 완전히 불일치시에 상기 로킹뭉치가 후진되며 상기 로킹고정부로부터 로킹 해제 허용하는 작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잠금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차개폐작동부는,
    상기 회전레버에 편심 회전되게 돌출 형성되는 편심돌부;
    상기 작동자에 형성되어 상기 편심돌부가 편심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작동자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편심돌부를 수용하는 제 1위치이동조작부;
    상기 회전레버가 설정량 이내로 회전시에 상기 로킹뭉치가 이동 방지되도록, 상기 제 1위치이동조작부를 통해 상기 작동자를 설정량만큼 위치 이동 후에 연이어 상기 편심돌부를 통해 상기 로킹뭉치를 상기 로킹고정부측 반대방향으로 밀 수 있도록 상기 로킹뭉치에 형성되는 제 2위치이동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잠금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탑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탑커버는 상기 제 2걸림유도구를 삽입하여 직진 이송을 안내하기 위해 스트레이트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잠금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걸림유도구는 상기 로킹부재를 삽입하기 위해 제 1관통부를 통공하고, 상기 로킹부재에 의한 내구성을 증대하기 위해 상기 제 1관통부끼리 일치되는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 2걸림유도구는 상기 제 1걸림유도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관통부에 대응되게 제 2관통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잠금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는 상기 작동자에 접하여 지지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를 연장 형성하며,
    상기 탑커버는 상기 회전레버를 노출시킨 채 상기 플랜지의 상측에 접하여 상기 회전레버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잠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로킹뭉치와 상기 작동자를 수용하는 바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커버는 상기 로킹뭉치의 직진 이송을 안내하기 위해 장착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잠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뭉치는 측면부와 저면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가이드홈부를 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부는 이송되는 상기 로킹뭉치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홈부 각각에 수용되는 가이드돌부를 내측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20170049557A 2017-04-18 2017-04-18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765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557A KR101765486B1 (ko) 2017-04-18 2017-04-18 사물함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557A KR101765486B1 (ko) 2017-04-18 2017-04-18 사물함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486B1 true KR101765486B1 (ko) 2017-08-08

Family

ID=5965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557A KR101765486B1 (ko) 2017-04-18 2017-04-18 사물함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4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342Y1 (ko) * 2012-01-11 2012-09-06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557260B1 (ko) * 2015-03-11 2015-10-02 장근대 사물함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342Y1 (ko) * 2012-01-11 2012-09-06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557260B1 (ko) * 2015-03-11 2015-10-02 장근대 사물함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3907B2 (ja)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US8833808B2 (en) Lock device for vehicle
CA2585651A1 (en) Lock box
JP6126909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2014169587A (ja) 収容ボックスおよび施解錠機構
WO2018160718A1 (en) Locking module
KR101762436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JP2017066819A (ja) ドアストッパー
KR101332705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JP2005282025A (ja) 電気錠
KR101765486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JP2003239581A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JP4678346B2 (ja) 開閉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
JP6644250B2 (ja) 電気錠付き操作ユニット
KR101893327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JP6055209B2 (ja) 施錠システム、および、キャビネット
JP7057136B2 (ja) 宅配ボックス用ラッチ錠
JP3216898U (ja) 補助錠及びこれを備える収納ボックス
JP2016176228A (ja) 扉施錠装置
KR101569991B1 (ko) 사물함 잠금장치
JP2015021295A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WO2020044997A1 (ja) 宅配ボックスの施錠装置
JP2006249861A (ja) 文字合せ錠
JPH0541169Y2 (ko)
JP2023085963A (ja) 荷物受取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