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884B1 - 사물함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사물함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884B1
KR102596884B1 KR1020230022626A KR20230022626A KR102596884B1 KR 102596884 B1 KR102596884 B1 KR 102596884B1 KR 1020230022626 A KR1020230022626 A KR 1020230022626A KR 20230022626 A KR20230022626 A KR 20230022626A KR 102596884 B1 KR102596884 B1 KR 102596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opening lever
lock
lock member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2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우
Original Assignee
서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22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2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movable, resilient or yie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함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부품 수가 적고 조작이 간편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구조로 이루어진 사물함 잠금장치인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부(110)가 형성되며 사물함 도어(D)에 고정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전면(前面)에 부착되며 내측에 만입부(210)가 형성된 커버(200)와; 상기 몸체(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피니언 기어(310)가 형성된 개방용 레버(300)와; 상기 개방용 레버(300)의 피니언 기어(310)에 맞물리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랙 기어(41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슬라이드부(110)를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사물함 측부(W)의 걸림부(h)에 걸리는 로크부재(400)와; 상기 개방용 레버(300)에 편향력을 부여하여 로크부재(400)가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사물함 잠금장치{A Locking device for locker}
본 발명은 사물함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부품 수가 적고 조작이 간편하며 반복적인 사용에도 불구하고 쉽게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이 우수한 구조로 이루어진 사물함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학교나 체육시설, 사우나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여러가지 소지품을 잠시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대부분 상,하 다단 및 좌,우 나란하게 복렬로 형성되고, 각 사물함은 자물쇠로 잠그도록 도어에는 자물쇠 고리 잠금구멍이 형성되고 사물함 내측에는 고리가 문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물함에 형성된 고리는 고정된 것이므로 문이 열리면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되므로 지나다니는 학생이 고리에 걸려 다칠 우려가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 내지 4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개선된 형태의 사물함 잠금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특허문헌 1 내지 4 등에 개시된 사물함 잠금장치는 부품 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며, 사용되는 부품의 크기도 작아 이의 제조를 위한 금형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것은 물론, 반복적인 사용과정에서 작은 부품이 쉽게 파손되거나 조립상태가 와해 되면서 제대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발견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6300호(2011.11.17.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330441호(2013.11.11.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2347호(2014.10.20.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2153337호(2020.09.02. 등록) 한국등록실용 제20-0392377호(2005.08.02.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수가 적어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며, 사용자가 사물함 도어의 개폐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반복 사용에도 불구하고 조립상태가 쉽게 흐트러지거나 부품이 파손되는 일이 없는 내구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사물함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부가 형성되며 사물함 도어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前面)에 부착되며 내측에 만입부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피니언 기어가 형성된 개방용 레버와; 상기 개방용 레버의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랙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슬라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사물함 측부의 걸림부에 걸리는 로크부재와; 상기 개방용 레버에 편향력을 부여하여 로크부재가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사물함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물함 잠금장치가 간단한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고, 몸체의 슬라이드부 일측과 로크부재에 자물쇠 걸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로크부재가 탄성부재에 의해 편향되어 잠긴 상태에서 자물쇠 걸이부가 정확하게 일치된 상태에서 자물쇠 구멍에 자물쇠를 채우게 되면 사물함 도어를 폐쇄할 수 있으며, 개방시에는 자물쇠를 풀고 개방용 레버만을 당겨주게 되면 로크부재가 슬라이드 되면서 걸린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가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바, 부품 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고, 개폐조작도 간편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잠금장치에서 자물쇠가 채워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물함 잠금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물함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 - A선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로 로크부재의 슬라이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잠금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물함 잠금장치(1)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부(110)가 형성되며 사물함 도어(D)에 고정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전면(前面)에 부착되며 내측에 만입부(210)가 형성된 커버(200)와;
상기 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피니언 기어(310)가 형성된 개방용 레버(300)와;
상기 개방용 레버(300)의 피니언 기어(310)에 맞물리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랙 기어(41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슬라이드부(110)를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사물함 측부(W)의 걸림부(h)에 걸리는 로크부재(400)와;
상기 개방용 레버(300)에 편향력을 부여하여 로크부재(400)가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100)는 사물함 도어(D)의 배면(背面)에 밀착되고, 상기 커버(200)는 도어(D)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데, 사물함 도어(D)에는 커버(200)의 만입부(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장방형의 개방 구멍(H)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110)의 전면으로는 슬라이드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112)이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롯(112)에 개방용 레버(300)의 피니언 기어(310)가 끼워져 내측의 슬라이드부(110)에 위치한 로크부재(400)의 랙 기어(410)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개방용 레버(300)에 형성되는 피니언 기어(310)는 원호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로크부재(400)에 형성되는 랙 기어(410)는 피니언 기어(310)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를 갖는 기어열을 이루고 있어 개방용 레버(300)의 회동 동작이 곧바로 로크부재(400)의 슬라이딩 동작으로 전환되어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고, 탄성부재(5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폐쇄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면 중 부호 140은 나사 구멍이고, 부호 220은 상기 나사구멍(140)에 체결된 나사(S)가 결합되는 고정리브이며, 부호 230은 명찰 결합홈이다.
상기 슬라이드부(110)는 사각 단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로크부재(400)는 사각 단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로크부재(400)가 슬라이드부(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약간의 유격만 갖는 크기로 이루어져 있어 개방용 레버(300)의 피니언 기어(310)와 로크부재(400)의 랙 기어(410)가 긴밀하게 기어결합된 상태에서 개방용 레버(300)의 회동동작에 의해 로크부재(400)가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몸체(100)는 전면에 개방용 레버(30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구멍(122)을 갖는 2개의 고정 리브(120)가 상기 슬라이드부(110)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개방용 레버(300)에는 상기 고정 리브(120)의 구멍(122)에 결합되는 회동축(320)이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슬라이드부(110)의 후단부와 로크부재(400)의 후단부에는 로크부재(400)의 선단부가 사물함 측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호 일치되어 자물쇠(L)를 걸어주기 위한 자물쇠 구멍(132,422)을 갖는 자물쇠 걸이부(130,4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크부재(400)의 자물쇠 걸림부(420)는 상술한 슬롯(112)에 끼워져 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좌우로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몸체(100)의 슬라이드부(110) 후단부에 형성된 자물쇠 걸이부(130)와 동일한 위치에서 정확하게 중첩되거나 서로 이격되게 된다.
상기 자물쇠 걸이부(130,420)는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도록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몸체(100) 및 로크부재(400)의 성형시 인서트 사출 방식 등을 사용함으로써 일체의 부품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 커버(200)의 만입부(210)는 내측에 설치되는 개방용 레버(300)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 및 자물쇠 걸림부(130,420)에 체결된 자물쇠(L)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200)의 상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명찰(T) 등을 명찰 결합홈(130)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편평한 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용 레버(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00)에 의해 일방향(도면 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편향력을 갖도록 설치되어 이 개방용 레버(300)의 피니언 기어(310)에 맞물린 상태의 로크부재(400)가 도면상에서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로크부재(400)의 좌측단이 사물함 측부(W)의 걸림부(h)에 걸리게 되어 사물함 도어(D)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자물쇠 걸림부(130,420)의 자물쇠 구멍(132,422)이 서로 일치하게 되며, 여기에 자물쇠(L)를 걸어 잠그게 되면 열쇠를 갖고 있지 않은 타인은 사물함을 개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며, 사물함 소유자가 열쇠로 자물쇠(L)를 따로 자물쇠를 자물쇠 걸림부(130,42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개방용 레버(300)를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개방용 레버(300)가 회동하면서 이와 맞물린 로크부재(400)가 도면상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드 됨으로써 로크부재(400)의 좌측단이 사물함 측부(W)의 걸림부(h)로부터 걸려있던 상태가 해제되어 사물함 도어(D)를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사물함에 물건을 넣거나 빼는 동작을 마친 후 다시 도어(D)를 닫아주게 되면 로크부재(400)는 탄성부재(5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좌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로크부재(400)의 좌측단이 사물함 측부(W)의 걸림부(h)로 삽입되어 잠기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자물쇠(L)를 다시 자물쇠 걸림부(130,420)에 채워주게 되면 사물함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로크부재(400)의 좌측단 내측면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로 라운딩된 단면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개방용 레버(300)를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 사물함 도어(D)를 닫더라도 사물함 측부(W)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좌측단 내측면의 경사면을 따라 밀리게 됨으로써 자연스럽게 로크부재(400)가 우측으로 슬라이드된 후 다시 걸림부(h)로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사물함 잠금장치는 몸체, 커버,개방용 레버와 로크부재 및 탄성부재만의 간단한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고, 몸체의 슬라이드부 일측과 로크부재에 자물쇠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로크부재가 탄성부재에 의해 편향되어 잠긴 상태에서 자물쇠를 채우게 되면 사물함 도어를 임의로 열 수 없도록 할 수 있으며, 사물함 도어를 열고자 할 경우에는 자물쇠를 풀고 개방용 레버만을 당겨주게 되면 로크부재가 슬라이드되면서 걸린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가 개방되게 되는바, 부품 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이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개방 및 폐쇄를 위한 조작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한 사물함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 사물함 잠금장치
100 : 몸체
110 : 슬라이드부
112 : 슬릿
120 : 고정리브
122 : 구멍
130 : 자물쇠 걸이부
132 : 자물쇠 구멍
200 : 커버
210 : 만입부
220 : 고정리브
230 : 명찰 결합홈
300 : 개방용 레버
310 : 피니언 기어
320 : 회동축
400 : 로크부재
410 : 랙 기어
420 : 자물쇠 걸이부
422 : 자물쇠 구멍
500 : 탄성부재
D : 도어
H : 개방 구멍
h : 걸림부
L : 자물쇠
T : 명찰
W : 사물함 측부

Claims (3)

  1.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부(110)가 형성되며 사물함 도어(D)에 고정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전면(前面)에 부착되며 내측에 만입부(210)가 형성된 커버(200)와; 상기 몸체(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피니언 기어(310)가 형성된 개방용 레버(300)와; 상기 개방용 레버(300)의 피니언 기어(310)에 맞물리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랙 기어(41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슬라이드부(110)를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사물함 측부(W)의 걸림부(h)에 걸리는 로크부재(400)와; 상기 개방용 레버(300)에 편향력을 부여하여 로크부재(400)가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500);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110)의 전면으로는 슬라이드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112)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슬롯(112)에 개방용 레버(300)의 피니언 기어(310)가 끼워져 내측의 슬라이드부(110)에 위치한 로크부재(400)의 랙 기어(410)와 맞물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30022626A 2023-02-21 2023-02-21 사물함 잠금장치 KR102596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626A KR102596884B1 (ko) 2023-02-21 2023-02-21 사물함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626A KR102596884B1 (ko) 2023-02-21 2023-02-21 사물함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884B1 true KR102596884B1 (ko) 2023-11-01

Family

ID=8874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2626A KR102596884B1 (ko) 2023-02-21 2023-02-21 사물함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88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523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글로브 박스의 핸들 록킹구조
KR200392377Y1 (ko) 2005-05-12 2005-08-17 박종익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0927899B1 (ko)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KR101086300B1 (ko) 2011-01-17 2011-11-23 박충호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1330441B1 (ko) 2013-04-04 2013-11-15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347408B1 (ko) * 2013-07-02 2014-01-07 김용덕 사물함 손잡이
KR20140122347A (ko) 2013-04-09 2014-10-20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160063785A (ko)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공진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KR102153337B1 (ko) 2020-06-19 2020-09-09 (주)퍼맥스 사물함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523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글로브 박스의 핸들 록킹구조
KR200392377Y1 (ko) 2005-05-12 2005-08-17 박종익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0927899B1 (ko)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KR101086300B1 (ko) 2011-01-17 2011-11-23 박충호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1330441B1 (ko) 2013-04-04 2013-11-15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140122347A (ko) 2013-04-09 2014-10-20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347408B1 (ko) * 2013-07-02 2014-01-07 김용덕 사물함 손잡이
KR20160063785A (ko)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공진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KR102153337B1 (ko) 2020-06-19 2020-09-09 (주)퍼맥스 사물함용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9765A (en) Lockable latch for tiltable double hung windows
US6023953A (en) Slam latch with opposing slides
GB2413154A (en) Latch assemblies
US11346130B1 (en) Double lock dual action gravity latch
US20140311390A1 (en) Safe and Lock Mechanism
US10273721B1 (en) Key driven internal locking device for cabinet drawers
US4112717A (en) Key box
TW509747B (en) Handle device
US3485069A (en) Lock mechanisms and keys therefor
KR102596884B1 (ko) 사물함 잠금장치
US10047547B2 (en) Locking link
JPH0726496B2 (ja) 安全装置の内設されたドア・ロック
US10954696B2 (en) Storage assembly with a drawer having a drawer pull assembly and a method for locking a drawer
GB2262305A (en) Plastic door lock
JP4446553B2 (ja) 磁石利用のロック装置
US11060330B2 (en) Tether lock
US3236078A (en) Keyless lock
KR101847986B1 (ko) 도어의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록 장치
KR200451117Y1 (ko) 사물함용 도어록
JPH022853Y2 (ko)
KR200362804Y1 (ko) 손잡이를 구비한 사물함용 잠금장치
JP2002172244A (ja) 遊技機裏側施錠装置
KR200366984Y1 (ko) 2중 물림 빗장
JPH0640299Y2 (ja) カード錠を用いた扉、抽出し等の開閉装置
KR102286550B1 (ko) 안전용 출입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