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907B1 -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907B1
KR101978907B1 KR1020180054543A KR20180054543A KR101978907B1 KR 101978907 B1 KR101978907 B1 KR 101978907B1 KR 1020180054543 A KR1020180054543 A KR 1020180054543A KR 20180054543 A KR20180054543 A KR 20180054543A KR 101978907 B1 KR101978907 B1 KR 101978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er
bracket
slid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철주
Original Assignee
송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철주 filed Critical 송철주
Priority to KR1020180054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8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arrangement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retaining the bolt or latch in the retract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7/00Padlocks; Details thereof
    • E05B67/38Auxiliary or protective devices
    • E05B67/383Staples or the like for padlocks; Lock slings; Arrangements on locks to cooperate with pad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함(100)의 도어(101)에서 손잡이(21) 내측으로 잠금 및 해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사물함(100)용 도어(101) 잠금장치(1)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은 도어(101)의 설치홀(102)에 내입되는 전면노출브래킷(5)과 전면노출브래킷(5) 후방에 커버되게 결합 구성된 후면커버브래킷(6)으로 이루어진 본체(2)와, 후면커버브래킷(6)에서 측면으로 슬라이딩 출몰되게 설치되면서 일단에서 코일스프링(30)에 탄력 지지되어 사물함(100)의 측면에 설치된 고정걸림구(4)에 걸림 지지되게 이루어진 슬라이드걸림구(3)와, 전면노출브래킷(5)의 일측에 형성된 전면커버부(51) 측면으로 손잡이(21)가 회동 출몰되게 설치되면서 전면커버부(51) 내측으로 손잡이(21)와 연결되어 손잡이(21)의 회동 조작과 코일스프링(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슬라이드걸림구(3)가 슬라이딩 출몰되게 이루어진 슬라이딩조작부(7)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단순한 조작에 의해서 손쉽게 잠금장치(1)를 해제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며, 자물쇠(10)를 채우지 않아도 도어(101)가 저절로 열리지 않아 안전성과 내구성을 제고시키며, 사물함(100)의 사용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득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Door locking device for locker}
본 발명은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학교에 학생들의 생활 편의상 주로 사용되고 있는 사물함의 도어에서 손잡이 내측으로 잠금 및 해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학교에서 책이나 노트, 준비물 또는 개인사물을 보관하거나, 다양한 회사에서 회사원의 직무관련 사물 또는 개인사물을 보관하거나, 지하철이나 마트, 백화점 등의 물품보관소 등에서 개인사물이나 구매상품 등을 보관하는데 주로 사용되는바, 이러한 다양한 사물함 중 본 발명에서는 특히 학교에서 학생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상의 편의성 향상 및 도난방지를 위해서 도어의 손잡이에 잠금장치가 구비된 학생용 사물함을 주된 대상으로 한다.
종래 사물함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1998년 제31977호(1998년 8월 17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동체 내측 선단에 고정편을 고정시키고 문짝에 고정편 선단부가 통과되는 장공을 갖는 손잡이를 고정시키면서 문짝에도 손잡이의 장공과 동일한 위치 및 크기로 장공을 형성하여 문짝을 닫으면 고정편이 문짝과 손잡이의 각 장공을 통과하여 고정편 선단의 자물쇠체결구멍으로 자물쇠를 채울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었으며, 공개특허 2001년 제93508호(2001년 10월 29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개실용신안 1998년 제31977호와 같은 구조에서 명찰꽂이와 절곡깍지걸이편이 더 구비된 기술이 개발되어 있었으며, 이와 같은 종래 사물함의 도어 잠금장치들은 단순한 구조로 도어의 전방으로 자물쇠 등이 돌출되어 안전상의 문제와 함께 부딪히는 등에 의한 외력에 의해서 파손이 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었으며, 이와 더불어 자물쇠로 잠그지 않으면 도어가 저절로 열리게 되는 문제점과 함께 장시간 사용으로 도어가 헐거워지면 고정편이 변형되어 도어가 제대로 닫히지 않게 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1년 제131021호(2011년 12월 6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도어에 매입되어 손잡이가 구비된 전면브래킷의 후방에 결합되어 도어의 후방에 고정된 후면브래킷으로 이루어지며, 후면브래킷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안내편의 슬라이딩 안내공간에서 좌우 슬라이딩 및 자체 회전되는 원통형 록커가 설치되며, 록커 선단의 반구형 걸림부가 내입되게 사물함 본체에 고정된 걸림편에 반구형 내입홈이 형성되며, 이때 코일스프링에 의해서 자동으로 록커의 걸림부가 걸림편의 내입홈에 탄력 지지되게 내입되어 자물쇠를 채우지 않아도 도어가 스스로 열리지 않으며, 자물쇠가 도어에 매입된 전면브래킷 내측에 위치하여 안전하고, 외력에 의해서 파손의 염려는 없었으나, 도어를 열 때 손잡이를 잡고 당겼다가 닫을 때 밀게 되어 록커의 걸림부와 걸림편의 내입홈에 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장시간 사용 시 변형 및 파손의 우려가 있어서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함께 내구성 향상을 위해서 록커와 걸림편을 금속으로 제작하며 도어를 여닫을 시 상당한 소음발생과 함께 도어의 힌지부분에 부하가 걸려서 이 역시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KR 20-1998-0031977 U 1998. 8. 17. KR 10-2001-0093508 A 2001. 10. 29. KR 10-2011-0131021 A 2011. 12. 6.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종래 사물함의 잠금장치 및 자물쇠가 외부로 돌출되어 부딪혀 다치거나 파손되던 것에 반하여 잠금장치 및 자물쇠가 도어의 내측으로 내입되게 함으로써, 부딪혀서 다치지 않게 하면서 충격에 의한 파손도 방지하여 안전성 및 내구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함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이와 함께 사물함의 잠금장치의 작동을 단순한 구조로 간단하고 쉽게 조작하게 하며, 개방 시 잠금장치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게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 제고와 더불어서 사물함 사용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도록 함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를 상세하게 기술한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 및 도면 등을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해결과제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본 발명의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의 설치홀에 내입되는 전면노출브래킷과 전면노출브래킷 후방에 커버되게 결합 구성된 후면커버브래킷으로 이루어진 본체가 구비되며, 상기 후면커버브래킷에서 측면으로 슬라이딩 출몰되게 설치되면서 일단에서 코일스프링에 탄력 지지되어 사물함의 측면에 설치된 고정걸림구에 걸림 지지되게 이루어진 슬라이드걸림구가 구비되며, 상기 전면노출브래킷의 일측에 형성된 전면커버부 측면으로 손잡이가 회동 출몰되게 설치되면서 전면커버부 내측으로 손잡이와 연결되어 손잡이의 회동 조작과 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슬라이드걸림구가 슬라이딩 출몰되게 이루어진 슬라이딩조작부가 구비되며, 상기 후면커버브래킷에 고정되며 전면노출브래킷의 전면커버부 측방에 형성된 내입공간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자물쇠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편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걸림구에 고정되며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걸림구에 따라서 좌우로 왕복하면서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편의 선단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잠금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슬라이딩조작부는 전면커버부 내측에서 손잡이가 회전되게 설치되어 전면노출브래킷과 후면커버브래킷 사이에 개재되게 설치된 회전축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에 회전되게 설치된 손잡이와 회전축을 기점으로 대향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회동조작편이 구비되며, 상기 회동조작편이 내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가 상하로 돌출되게 관통 결합되어 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동조작편에 의해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송되는 회전유도구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회전 고정되게 설치되어 회전유도구의 전면에 형성되는 유도래크에 치차 결합되게 구성된 유도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기어에서 상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축의 상부에 회전 고정되게 설치되어 슬라이드걸림구의 전면에 형성되는 작동래크에 치차 결합되게 구성된 작동기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유도구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바 상단과 하단이 각각 내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시 가이드바의 이탈을 방지토록 형성된 슬라이딩내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내입홈에 내입된 한 쌍의 가이드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슬라이딩내입홈과 가이드바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가이드바의 슬라이딩 시 슬라이딩내입홈의 일면에 지지되게 구성된 슬라이딩유도구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걸림구는 슬라이드걸림구의 선단과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드걸림구가 걸림 지지되게 구성된 걸림쇠와 상기 걸림쇠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사물함의 측면에 노출되게 매입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에 의해서 슬라이딩 인출되는 슬라이드걸림구의 선단을 지지토록 구성된 지지고정쇠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는 사물함의 측면에 설치된 고정걸림구에 도어에 설치된 슬라이드걸림구가 걸림 지지되게 이루어지면서 슬라이드걸림구를 도어에 설치된 손잡이의 회동조작편을 회전시키는 단순한 조작만으로 고정걸림구에서 걸림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단순한 조작에 의해서 손쉽게 잠금장치를 해제시켜서 도어를 당기면 바로 개방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불어서 회동조작편을 회전되게 조작 시 슬라이딩되는 회전유도구와 치차 결합된 유도기어와 동일 회전축에 설치된 작동기어에 치차 결합된 슬라이드걸림구가 고정걸림구에서 무리 없이 걸림해제되어 이 상태에서 도어를 당기면 개방되고 도어를 밀면 닫히게 되며, 도어를 닫은 후 회전 조작된 회동조작편을 놓으면 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슬라이드걸림구가 고정걸림구에 걸림결합되어 도어를 당겨도 임의 개방되지 않으므로 도어의 결합이 스스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자물쇠를 채우지 않아도 도어가 저절로 열리지 않으므로 부딪혀서 다치거나 파손이 되지 않아 안전성과 내구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의 손잡이 및 잠금장치 및 이에 채우는 자물쇠가 도어의 전면에서 내입되게 구성하여 돌출된 잠금장치나 자물쇠에 부딪혀서 다치거나 이러한 충격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 및 내구성을 극대화시키면서 사물함의 사용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손잡이의 상측에 사용자의 이름 등을 적은 명찰을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구성된 명찰표시구를 두어 사용자의 확인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바뀌면 명찰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물함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더불어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각 구성부재를 분리시킨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전면노출브래킷을 분리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슬라이딩조작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회전유도구와 유도기어의 연결을 보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슬라이드걸림구와 작동기어의 연결을 보인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가이드바와 슬라이딩내입홈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가이드바에 설치된 슬라이딩유도구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의한 회전유도구의 작용 전후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학교, 회사, 지하철, 마트 및 백화점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사물함에 있어서 주로 학생들의 생활 편의상 학교에서 사용되는 사물함에 있어서, 사물함의 도어 일측에 내측으로 잠금 및 해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하기에서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하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용어들 역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용어에 국한되게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사물함(100)용 도어(101) 잠금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1)에 설치되는 본체(2)에서 측면으로 슬라이딩 출몰되는 슬라이드걸림구(3)와 사물함(10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걸림구(4)에 걸림 지지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는 도어(101)의 일측에 전후로 관통 형성된 도어(101)의 설치홀(102)에 전방으로 노출되게 매입 설치된 전면노출브래킷(5)과 도어(101)의 설치홀(102)에 후방으로 커버되도록 도어(101)가 개재되게 전면노출브래킷(5)과 결합 설치된 후면커버브래킷(6)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전면노출브래킷(5)의 전방 상측에는 학생의 소속이나 이름 등을 기재한 명찰(M)을 수납하여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어(101)에 전면노출브래킷(5)을 매입 설치 시 도어(101)의 전면과 이격되는 명찰인출구(M1)가 형성되며, 명찰(M) 수납 시 전면으로 명찰(M)에 기재된 소속이나 이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명찰확인창(M2)이 형성된 명찰수납구(M3)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전면노출브래킷(5)의 일측에 전면커버부(51)가 형성되며, 반대편 일측에 내입공간부(52)가 형성되며, 이때 전면커버부(51)의 내입공간부(52)를 향한 측면으로 손잡이(21)가 회동 출몰되게 설치되는바, 이러한 손잡이(21)는 전면커버부(51)의 내측에 설치된 슬라이딩조작부(7)에 의해서 후면커버브래킷(6)의 상부에 형성된 탄성슬라이딩공간부(61)에 일측이 코일스프링(30)에 탄력 지지되는 슬라이드걸림구(3)의 슬라이드 작용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전면노출브래킷(5)의 후방에는 결합돌기(50)가 돌출 형성되고, 전면노출브래킷(5)에 결합되는 후면커버브래킷(6)에는 결합돌기(50)가 내입 결합되는 결합홈(60)이 형성되며, 전면노출브래킷(5)과 후면커버브래킷(6) 사이로 도어(101)가 개재되면서 보다 견고히 결합하기 위해서 결합나사(63)가 후면커버브래킷(6)을 통해서 전면노출브래킷(5)으로 나사 결합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노출브래킷(5)의 전면커버부(51) 측방에 형성된 내입공간부(52)에는 후면커버브래킷(6)에 고정나사(64)로 고정된 체결편(8)이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편(8)의 선단에 자물쇠(10)의 훅(11)이 체결되는 체결공(81)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체결편(8)의 선단이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91)이 형성된 잠금편(9)이 슬라이드걸림구(3)에 고정되어 내입공간부(52)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슬라이드걸림구(3)의 좌우 슬라이딩에 의해서 잠금편(9)이 좌우로 왕복하면서 체결편(8)의 선단이 잠금편(9)의 관통공(91)에 슬라이드 관통되거나 슬라이드 이탈되도록 하여 관통 결합 시 자물쇠(10)를 체결공(81)에 체결하면 체결편(8) 선단에서 잠금편(9)이 고정되므로 잠금편(9)이 고정된 슬라이드걸림구(3)도 좌우로 슬라이딩되지 않아 슬라이드걸림구(3)가 고정걸림구(4)에 걸림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게 구성된다.
상기 고정걸림구(4)는 슬라이드걸림구(3)의 선단인 걸림부(31)와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드걸림구(3)가 걸림 지지되게 구성된 걸림쇠(41)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쇠(4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지지고정쇠(42)가 사물함(100)의 측면에 노출되게 매입 설치되어 코일스프링(30)에 의해서 슬라이딩 인출되는 슬라이드걸림구(3)의 선단인 걸림부(31)를 지지토록 구성되며, 이때 슬라이드걸림구(3)의 걸림부(31) 후면에 만곡진 경사유도면(311)과 고정걸림구(4)의 걸림쇠(41) 전면에 만곡진 경사유도면(411)이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물쇠(10)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3 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노출브래킷(5)의 전면커버부(51) 후방에 설치된 슬라이딩조작부(7)에 의해서 슬라이드걸림구(3)를 슬라이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조작부(7)는 도면에서와 같이 전면커버부(51) 내측에서 손잡이(21)가 회전되게 결합된 회전축(70)이 전면노출브래킷(5)과 후면커버브래킷(6) 사이에 개재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70)을 기점으로 손잡이(21)와 대향되면서 일체로 돌출 형성된 회동조작편(71)이 구비되며, 이러한 회동조작편(71)이 한 쌍의 가이드바(72) 사이로 내입되게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72)는 후면커버브래킷(6)의 슬라이드걸림구(3)가 내입된 탄성슬라이딩공간부(61)의 하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회전조작공간부(65)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송되게 내입된 회전유도구(73)의 일측에 상하로 돌출되게 관통 결합되며, 이때 회전유도구(73)의 상하로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바(72) 사이로 내입되는 회동조작편(71)도 손잡이(21)로부터 상하로 분할되어 회전축(70)에 각각 회전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슬라이딩조작부(7)는 회전축(70)의 하부에 회전 고정되게 설치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도구(73)의 전면에 형성되는 유도래크(74)에 치차 결합되게 구성된 유도기어(75)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기어(75)에서 상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축(70)의 상부에 회전 고정되게 설치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걸림구(3)의 전면에 형성되는 작동래크(76)에 치차 결합되게 구성된 작동기어(77)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유도구(73)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바(72)는 도 4에서 보면 후면커버브래킷(6)의 회전조작공간부(65) 내측에 상하단이 위치토록 구성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바(72) 상단과 하단이 길게 형성되어 가이드바(72) 상하단이 각각 내입되어 회전유도구(73)가 좌우로 슬라이딩 시 가이드바(72)의 이탈을 방지토록 회전조작공간부(65) 상하로 한 쌍의 가이드바(72) 상단과 하단이 내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내입홈(78)이 돌출 구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내입홈(78)에 내입된 한 쌍의 가이드바(72) 상단과 하단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또는 부시 등의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진 슬라이딩유도구(79)가 각각 설치되어 가이드바(72)의 슬라이딩 시 슬라이딩내입홈(78)의 일면에 슬라이딩유도구(79)가 지지되게 구성되도록 해서 슬라이딩내입홈(78)과 가이드바(72) 사이의 마찰을 줄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물함(100)용 도어(101) 잠금장치(1)는 사물함(100)과 이의 도어(101)에 설치되어 사물함(100)에서 도어(101)를 손쉬운 조작에 의해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구성에 의해서 도어(101)의 개방 및 폐쇄 후 자물쇠(10)에 의한 잠금까지를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토록 한다.
우선 도 9에서와 같이 전면노출브래킷(5)의 전면커버부(51)의 측방에 돌출된 손잡이(21)를 회전축(70)을 기점으로 회동 조작하면 회동조작편(71)이 가이드바(72)를 도면에서와 같이 우측으로 밀어서 가이드바(72)가 관통 고정된 회전유도구(73)가 후면커버브래킷(6)의 회전조작공간부(65)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며, 이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유도구(73)의 전면에 형성된 유도래크(74)에 치차 결합된 유도기어(75)가 회전하면서 유도기어(75)가 하부에 고정된 회전축(70)이 전면노출브래킷(5)과 후면커버브래킷(6) 사이에서 회전되며, 이로 인하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70) 상부에 고정된 작동기어(77)가 회전하면서 작동기어(77)에 치차 결합된 작동래크(76)가 전면에 형성된 슬라이드걸림구(3)가 후면커버브래킷(6)의 탄성슬라이딩공간부(61)에서 코일스프링(30)의 탄성력보다 강하게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손잡이(21)의 회동 조작에 의해서 슬라이드걸림구(3)가 코일스프링(30)을 압축시키면서 슬라이딩되면서 슬라이드걸림구(3) 선단의 걸림부(31)가 사물함(100) 측면에 고정된 고정걸림구(4)에서 돌출된 걸림쇠(41)에서 걸림 해제되어 도어(101)를 당기면 도어(101)가 소음 없이 가볍게 열리게 되며, 손잡이(21)를 놓으면 코일스프링(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슬라이드걸림구(3)가 다시 탄성슬라이딩공간부(61)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걸림부(31)가 본체(2)의 측방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후 사물함(100) 내부에 각종 사물을 넣거나 빼내고 난 다음, 다시 도어(101)를 닫을 시 본체(2)에서 슬라이드걸림구(3)의 걸림부(31)가 돌출되어 있더라도 도어(101)를 가볍게 밀어주면 사물함(100) 측면에 돌출된 고정걸림구(4) 걸림쇠(41)의 경사유도면(411)에 슬라이드걸림구(3) 걸림부(31)의 경사유도면(311)이 대응되어 슬라이드걸림구(3)를 우측으로 밀어 코일스프링(30)을 압축시키면서 닫히게 되며, 이후 다시 코일스프링(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슬라이드걸림구(3)가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걸림부(31)가 돌출되면서 고정걸림부(31)의 걸림쇠(41)에 걸림 결합되며, 이때 도어(101)는 자물쇠(10)를 채우지 않아도 임의로 개방되지는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손잡이(21)의 회동 조작과 코일스프링(30)의 탄성 복원력 및 슬라이드걸림구(3) 걸림부(31)와 고정걸림구(4) 걸림쇠(41)의 경사유도면(311)(411)의 대응에 의해서 슬라이드걸림구(3)를 본체(2)에서 출몰시켜서 고정걸림구(4)에 걸림 결합 및 걸림 해제되도록 해서 도어(101)를 보다 신속하면서 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서 상기 슬라이드걸림구(3)가 슬라이딩 이송될 시 이에 고정된 잠금편(9)이 함께 슬라이딩 이송되며, 이때 후면커버브래킷(6)에 대응되게 고정된 체결편(8)의 선단이 잠금편(9)의 관통공(91)에 관통 결합되거나 빠지게 되며, 본체(2)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던 슬라이드걸림구(3)가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면 체결편(8)의 선단이 잠금편(9)의 관통공(91)에서 빠져서 자물쇠(10)를 채울 수 없으며, 코일스프링(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슬라이드걸림구(3)가 본체(2)에서 고정걸림구(4) 쪽으로 돌출되어 걸림 결합되면 체결편(8)의 선단이 잠금편(9)의 관통공(91)에 관통되어 잠금편(9)의 우측으로 체결공(81)이 개방된다.
이때 체결공(81)에 자물쇠(10)의 훅(11)을 관통시켜서 자물쇠(10)를 잠그면 손잡이(21)를 회동 조작하고자 해도 슬라이드걸림구(3)가 고정되어 이에 치차 결합된 작동기어(77)가 고정되어 회전축(70)과 유도기어(75)도 함께 고정되어 회전이 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유도기어(75)에 치차 결합된 유도래크(74)가 전면에 형성된 회전유도구(73)도 고정되어 한 쌍의 가이드바(72)도 고정되므로 한 쌍의 가이드바(72) 사이에 내입된 회동조작편(71) 및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21)도 고정되어 사물함(100)의 도어(101)를 개방시킬 수 없으므로 도난방지가 탁월한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손잡이(21)의 회동 조작만으로 도어(101)를 무리 없이 열 수 있고, 도어(101)를 밀어서 닫으면 임의로 도어(101)가 개방되지 않으며, 자물쇠(10)를 채우면 손잡이(21)의 회동 조작으로도 도어(101)를 개방할 수 없으므로 사물함(100)의 도어(101)를 쉽게 개폐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 안전하게 개인 사물 등을 수납할 수 있어서 작동 신뢰도와 제품의 호응도를 일층 배가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사물함 101:도어 102:설치홀
1:잠금장치
2:본체 21:손잡이
3:슬라이드걸림구 30:코일스프링 31:걸림부 311:경사유도면
4:고정걸림구 41:걸림쇠 411:경사유도면 42:지지고정쇠
5:전면노출브래킷 50:결합돌기 51:전면커버부 52:내입공간부
6:후면커버브래킷 60:결합홈 61:탄성슬라이딩공간부 63:결합나사 64:고정나사 65:회전조작공간부
7:슬라이딩조작부 70:회전축 71:회동조작편 72:가이드바 73:회전유도구 74:유도래크 75:유도기어 76:작동래크 77:작동기어 78:슬라이딩내입홈 79:슬라이딩유도구
8:체결편 81:체결공
9:잠금편 91:관통공
10:자물쇠 11:훅
M:명찰 M1:명찰인출구 M2:명찰확인창 M3:명찰수납구

Claims (5)

  1. 도어(101)의 설치홀(102)에 내입되는 전면노출브래킷(5)과 전면노출브래킷(5) 후방에 커버되게 결합 구성된 후면커버브래킷(6)으로 이루어진 본체(2);
    후면커버브래킷(6)에서 측면으로 슬라이딩 출몰되게 설치되면서 일단에서 코일스프링(30)에 탄력 지지되어 사물함(100)의 측면에 설치된 고정걸림구(4)에 걸림 지지되게 이루어진 슬라이드걸림구(3);
    전면노출브래킷(5)의 일측에 형성된 전면커버부(51) 측면으로 손잡이(21)가 회동 출몰되게 설치되며, 전면커버부(51) 내측으로 손잡이(21)와 연결되어 손잡이(21)의 회동 조작과 코일스프링(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슬라이드걸림구(3)가 슬라이딩 출몰되게 이루어진 슬라이딩조작부(7);
    전면커버부(51) 내측에서 손잡이(21)가 회전되게 설치되어 전면노출브래킷(5)과 후면커버브래킷(6) 사이에 개재되게 설치된 회전축(70);
    회전축(70)에 회전되게 설치된 손잡이(21)와 회전축(70)을 기점으로 대향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회동조작편(71);
    회동조작편(71)이 내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72)가 상하로 돌출되게 관통 결합되어 손잡이(21)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동조작편(71)에 의해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송되는 회전유도구(73);
    회전축(70)의 하부에 회전 고정되게 설치되어 회전유도구(73)의 전면에 형성되는 유도래크(74)에 치차 결합되게 구성된 유도기어(75);
    유도기어(75)에서 상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축(70)의 상부에 회전 고정되게 설치되어 슬라이드걸림구(3)의 전면에 형성되는 작동래크(76)에 치차 결합되게 구성된 작동기어(77);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걸림구(4)는,
    슬라이드걸림구(3)의 선단과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드걸림구(3)가 걸림 지지되게 구성된 걸림쇠(41);
    걸림쇠(4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사물함(100)의 측면에 노출되게 매입 설치되어 코일스프링(30)에 의해서 슬라이딩 인출되는 슬라이드걸림구(3)의 선단을 지지토록 구성된 지지고정쇠(42);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유도구(73)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바(72) 상단과 하단이 각각 내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시 가이드바(72)의 이탈을 방지토록 형성된 슬라이딩내입홈(78);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슬라이딩내입홈(78)에 내입된 한 쌍의 가이드바(72)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슬라이딩내입홈(78)과 가이드바(72)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가이드바(72)의 슬라이딩 시 슬라이딩내입홈(78)의 일면에 지지되게 구성된 슬라이딩유도구(79);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5. 삭제
KR1020180054543A 2018-05-11 2018-05-11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101978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543A KR101978907B1 (ko) 2018-05-11 2018-05-11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543A KR101978907B1 (ko) 2018-05-11 2018-05-11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907B1 true KR101978907B1 (ko) 2019-05-15

Family

ID=66579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543A KR101978907B1 (ko) 2018-05-11 2018-05-11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9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6877A (zh) * 2019-07-16 2019-10-08 东莞市景瑜实业有限公司 一种双功能挂锁
KR102179254B1 (ko) * 2020-09-22 2020-11-16 최상효 사물함 잠금구 시스템
KR20230001662U (ko) 2022-02-08 2023-08-16 (주)경민산업 사물함 잠금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977U (ko) 1998-01-15 1998-08-17 배성룡 개량 학생용 사물함
KR20010093508A (ko) 2000-03-29 2001-10-29 박혁구 학생용사물함의 자물쇠걸고리
KR100927899B1 (ko)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KR20110131021A (ko) 2010-05-28 2011-12-06 송철주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338363B1 (ko) * 2013-05-15 2013-12-06 장근대 원터치 사물함 손잡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977U (ko) 1998-01-15 1998-08-17 배성룡 개량 학생용 사물함
KR20010093508A (ko) 2000-03-29 2001-10-29 박혁구 학생용사물함의 자물쇠걸고리
KR100927899B1 (ko)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KR20110131021A (ko) 2010-05-28 2011-12-06 송철주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338363B1 (ko) * 2013-05-15 2013-12-06 장근대 원터치 사물함 손잡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6877A (zh) * 2019-07-16 2019-10-08 东莞市景瑜实业有限公司 一种双功能挂锁
CN110306877B (zh) * 2019-07-16 2024-01-02 东莞市景瑜实业有限公司 一种双功能挂锁
KR102179254B1 (ko) * 2020-09-22 2020-11-16 최상효 사물함 잠금구 시스템
KR20230001662U (ko) 2022-02-08 2023-08-16 (주)경민산업 사물함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907B1 (ko)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US4955501A (en) Trash bin lid-locking device
KR940021871A (ko) 인출회전형 문용 록핸들 장치
KR200448297Y1 (ko) 사물함용 손잡이형 잠금장치
US2995025A (en) Key safe
KR100865185B1 (ko) 도어록장치
US20210000255A1 (en) Self-opening device
JP2008092984A (ja) 抽斗のロック用ラッチ装置
KR100883310B1 (ko)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TW436566B (en) Dial lock having hook
KR100947250B1 (ko)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
US793098A (en) Temporary door-lock.
US6658695B1 (en) Door securing device
KR102659785B1 (ko) 도어 닫힘유지와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다이얼식 키박스가 적용된 수납가구
JP2721135B2 (ja) 家具などの開閉体ロック装置
KR20150063890A (ko) 선박용 서랍의 푸쉬버튼장치
JPH0339058Y2 (ko)
JP3985421B2 (ja) 回路しゃ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JP7177473B2 (ja) ロック装置
JPH06189832A (ja) キャビネット
JP3494486B2 (ja) 保管庫の扉のラッチ装置におけるクラッチ
US1089688A (en) Pocket door-lock.
JP3733173B2 (ja) 扉の係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両開き扉の係止装置
JPS5915580Y2 (ja) 両開き扉における扉固定装置
EP3756508A1 (en) Self-ope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