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062Y1 - 사물함용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사물함용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062Y1
KR200236062Y1 KR2020010009296U KR20010009296U KR200236062Y1 KR 200236062 Y1 KR200236062 Y1 KR 200236062Y1 KR 2020010009296 U KR2020010009296 U KR 2020010009296U KR 20010009296 U KR20010009296 U KR 20010009296U KR 200236062 Y1 KR200236062 Y1 KR 200236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locking
binding
lock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갑
Original Assignee
최상화
이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화, 이원선 filed Critical 최상화
Priority to KR2020010009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0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062Y1/ko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물함에 결합되며 조작레버를 좌우회동에 따라 조작레버에 결합된 아암이 록킹부를 일측과 타측으로 선형운동시켜 일측 사물함 개구부의 잠금공에 삽탈되도록 하여 잠금과 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물함용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록킹부의 타단에 소정 크기의 중공부가 형성된 폐쇄형 제1결속부와, 상기 록킹부가 잠금상태로 이동하면 제1결속부를 자물쇠로 고정할 수 있도록 사물함의 소정위치에서 형성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폐쇄형 제2결속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물함의 전면에 지저분하게 돌출되었던 자물쇠와 결속고리가 제거되어 사물함의 외관이 더욱 미려해 지며, 자물쇠와 결속고리의 돌출로 인해 사용자의 옷이 찢기거나 인체가 손상됨을 방지하고, 록킹부의 잠금상태에서 제1,제2결속부의 중공부가 서로 일치되어 자물쇠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물함용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물함용 록킹장치{Lacking Derice for private thing chest}
본 고안은 사물함에 결합되며 조작레버의 좌우회동에 따라 조작레버에 결합된 아암이 록킹부를 일측과 타측으로 선형운동시켜 일측 사물함 개구부의 잠금공에 삽탈되도록 하여 잠금과 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물함용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물함의 전면에 지저분하게 돌출되었던 자물쇠와 결속고리를 제거하여 사물함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하고, 자물쇠와 결속고리의 돌출로 인해 사용자의옷이 찢기거나 인체가 손상됨을 방지하고, 록킹부의 잠금상태에서는 자동적으로 자물쇠를 걸 수 있는 걸림고리가 형성되도록 하는 사물함용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사물함(1)은, 사물함(1)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소기하는 물품을 소정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사물함(1)은 타인으로부터 그 내용물이 보호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따라, 사물함(1)에는 자물쇠로 잠금설정을 할 수 있도록 개폐문(2)에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록킹장치(10)를 설치하고 있으나, 사물함(1)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고정사용자보다 그 사용자가 자주 바뀔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그 사용을 개방하거나 사용자가 자주 바뀔경우에는 사용자가 별도로 자물쇠(3)를 마련하여 사물함(1)을 잠금설정하였으며,자물쇠(3)를 이용한 잠금설정을 위해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문(2)에 결속고리(4)를 형성시키고, 개폐문(2)이 폐쇄된 상태에서 결속고리(4)와 일치될 수 있는 또 다른 결속고리(4)가 프레임(5)의 소정위치에 형성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록킹장치(10)로는 개폐문(2)이 자중이나 오랜사용으로 폐쇄상태에서 멈춤유지되지 않을 경우 개폐문(2)이 스스로 열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이 현재실정이며, 실제적인 사물함의 잠금수단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결속고리(4)가 일치된 상태에서 중공부에 자물쇠(3)를 걸고, 자물쇠(3)를 잠금설정함으로써, 사물함(1)이 잠금설정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종래 사용되어 오던 록킹장치(10)의 구성을 간략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작레버(11)는 아암(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은 록킹부(12)와 연결되어 있어, 조작레버(11)를 좌우회동시킴에 따라 록킹부(12)가 좌우측으로 선형왕복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록킹부(12)의 일단 프레임(5)에 형성된 잠금공(도시하지 않음)에 록킹부(12)의 일단이 삽결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사물함(1)의 록킹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고리(4)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그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며, 사용자가 사물함(1)에 근접해서 통행할 경우에는 자칫, 옷이 결속고리(4)나 자물쇠(3)에 걸려 옷이 찢기거나 인체가 접촉되어 인체에 손상을 주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결속고리를 사물함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함과 동시에 록킹부의 잠김과 잠금해제에 따라 사물함의 잠금과 잠금해제를 설정할 수 있는 결속고리가 자동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도1은 종래 사물함용 록킹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고안 사물함용 록킹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부호의 설명-
101-사물함 102-조작레버 103-록킹부
104-중공부 105-제1결속부 106-자물쇠
107-제2결속부 108-하우징 109-안내홈
110-함몰부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사물함(101)에 결합되며 조작레버(102)를 좌우회동에 따라 조작레버(102)에 결합된 아암(도시하지 않음)이 록킹부(103)를 일측과 타측으로 선형운동시켜 일측 사물함(101) 개구부의 잠금공(도시하지 않음)에 삽탈되도록 하여 잠금과 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물함용 록킹장치에 있어서,상기 록킹부(103)의 타단에 소정 크기의 중공부(104)가 형성된 폐쇄형 제1결속부(105)와, 상기 록킹부(103)가 잠금상태로 이동하면 제1결속부(105)를 자물쇠(106)로 고정할 수 있도록 사물함(101)의 소정위치에서 형성되며 중공부(104)가 형성된 폐쇄형 제2결속부(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록킹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103)의 외주연부 소정위치에 제1결속부(105)를 형성하되, 상기 록킹부(103)를 구속/지지하도록 된 하우징(108) 전면부에 제1결속부(105)가 돌출되어 선형안내되도록 안내홈(109)을 형성하고, 하우징(108)의 전면부 소정위치에 제2결속부(107)를 형성하여 록킹부(103)가 잠금상태에서 제1결속부(105)의 중공부(104)와 제2결속부(107)의 중공부(104)가 일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결속부(105)의 상부와 하부 중 어느 한 부위의 하우징(108) 전면부에 소정깊이의 함몰부(110)를 형성하고 조작레버(102)를 설치하여 제1결속부(105)를 조작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을 도2내지 도3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록킹부(103)는 종래 기술과 같이 조작레버(102)의 좌우회동에 의하여 좌우선형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잠금과 잠금해제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록킹부(103)의 타단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104)가 형성되도록 절곡하여 제1결속부(105)를 형성하는 바, 상기 록킹부(103)를 잠금상태의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1결속부(105)가 이동되어 멈춤유지되는 위치에 제1결속부(105)의 중공부(104)와 수직선상에서 일치되도록 제2결속부(107)를 도2와같이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레버(102)에 의해 록킹부(103)가 잠금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제1결속부(105)와 제2결속부(107)의 중공부(104)가 서로 일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물쇠(106)를 일치된 제1결속부(105)와 제2결속부(107)의 중공부(104)로 삽입시켜 잠금설정하면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잠금해제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자물쇠(106)를 해정한 후, 조작레버(102)를 우측으로 회동시키면 록킹부(103)가 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에는 제1결속부(105)와 제2결속부(107)로부터 분리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로는, 록킹부(103)를 구속하고 지지하는 하우징(108)의 전면에 록킹부(103)의 선형왕복동 경로와 동일하게 안내홈(109)을 도3과 같이 형성하는 바, 상기 록킹부(103)에는 도3과 같이 제1결속부(105)를 형성하고, 제1결속부(105)가 안내홈(109)으로부터 돌출되어 록킹부(103)의 왕복동 시 제1결속부(105)가 안내홈(109)에 안내되어 선형왕복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103)가 잠금위치에서 멈춤유지되면 제1결속부(105)의 중공부(104)가 멈춤유지되는 위치와 수직선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하우징(108)의 전면에 제2결속부(107)를 도3과 같이 형성하도록 하여 록킹부(103)의 잠금위치에서 제1결속부(105)의 중공부(104)와 제2결속부(107)의 중공부(104)가 서로 일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록킹부(103)의 잠금위치에서 제1,제2결속부(105)(107)의 중공부(104)가 일치되면 상기 중공부(104)로 자물쇠(106)를 삽입시켜 잠금설정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제2결속부(105)(107)의 중공부(104)에 자물쇠(106)를 삽입시킴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자물쇠(106)와 조작레버(102)의 간섭방지를 위하여 하우징(108)의 전면부 중 록킹부(103)의 선형왕복동경로를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중 어느 한 곳에 소정깊이로 함몰된 함몰부(110)를 형성하고, 상기 함몰부(110)에 조작레버(102)를 설치함으로써, 제1,제2결속부(105)(107)로 자물쇠(106)를 삽입시킬 때 발생되는 간섭을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함몰부(110)가 록킹부(103)의 상부에 위치될 경우에는 록킹부(103)를 잠금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레버(102)의 회동방향이 록킹부(103)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을 때와 반대방향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물함의 전면에 지저분하게 돌출되어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하였던 결속고리를 제거하게 되어, 그 외관이 매우 깔끔하고 미려하게 되었으며, 간단한 록킹장치의 설치만으로도 별도의 결속고리를 설치하지 않고도 잠금과 잠금해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되었으며, 록킹부의 잠금과 잠금해제에 따라 제1,제2결속부의 일치여부가 결정됨으로써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사물함에 결합되며 조작레버를 좌우회동에 따라 조작레버에 결합된 아암이 록킹부를 일측과 타측으로 선형운동시켜 일측 사물함 개구부의 잠금공에 삽탈되도록 하여 잠금과 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물함용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의 타단에 소정 크기의 중공부가 형성된 폐쇄형 제1결속부와,
    상기 록킹부가 잠금상태로 이동하면 제1결속부를 자물쇠로 고정할 수 있도록 사물함의 소정위치에서 형성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폐쇄형 제2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의 외주연부 소정위치에 제1결속부를 형성하되, 상기 록킹부를 구속/지지하도록 된 하우징 전면부에 제1결속부가 돌출되어 선형안내되도록 안내홈을 형성하고, 하우징의 전면부 소정위치에 제2결속부를 형성하여 록킹부가 잠금상태에서 제1결속부의 중공부와 제2결속부의 중공부가 일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록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속부의 상부와 하부 중 어느 한 부위의 하우징 전면부에 소정깊이의 함몰부를 형성하고 조작레버를 설치하여 제1결속부를 조작토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사물함용 록킹장치.
KR2020010009296U 2001-04-03 2001-04-03 사물함용 록킹장치 KR200236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296U KR200236062Y1 (ko) 2001-04-03 2001-04-03 사물함용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296U KR200236062Y1 (ko) 2001-04-03 2001-04-03 사물함용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062Y1 true KR200236062Y1 (ko) 2001-10-10

Family

ID=7306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296U KR200236062Y1 (ko) 2001-04-03 2001-04-03 사물함용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06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310B1 (ko) * 2008-11-28 2009-02-11 주식회사 네오퍼스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100927899B1 (ko)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KR200447622Y1 (ko) 2008-03-10 2010-02-11 권양섭 사물함의 개폐문 록킹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22Y1 (ko) 2008-03-10 2010-02-11 권양섭 사물함의 개폐문 록킹장치
KR100883310B1 (ko) * 2008-11-28 2009-02-11 주식회사 네오퍼스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100927899B1 (ko)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6062Y1 (ko) 사물함용 록킹장치
JPH02110077U (ko)
JP2001317243A (ja) シリンダー錠の保護装置
KR101756863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386046Y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KR200327486Y1 (ko) 사물함용 록킹장치
KR200390354Y1 (ko) 물품 보관함
JPS6212763Y2 (ko)
JPS6026412Y2 (ja) ロツク装置
KR200378678Y1 (ko) 잠금장치를 갖는 출입문
KR102016984B1 (ko) 직접 잠금 장치(dls)용 그립 손잡이
KR200179028Y1 (ko) 창문 잠금장치
KR100365502B1 (ko) 잠금장치
JP3348048B2 (ja) 引戸用密閉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950005182Y1 (ko) 드럼식 세탁기의 도어록커
JP4127353B2 (ja) 錠前
JPH0744706Y2 (ja) 用心錠
KR200260112Y1 (ko)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자물쇠
KR100326971B1 (ko) 창문 잠금장치
KR970004888Y1 (ko)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KR200284630Y1 (ko) 보조 자물쇠용 안전장치
KR0126925Y1 (ko) 개선된 도어 잠금수단을 가지는 캐비넷
KR200208313Y1 (ko) 잠금장치
KR940006849Y1 (ko) 도어용 보조 자물쇠
KR19990013165U (ko)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