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888Y1 -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888Y1
KR970004888Y1 KR2019940012924U KR19940012924U KR970004888Y1 KR 970004888 Y1 KR970004888 Y1 KR 970004888Y1 KR 2019940012924 U KR2019940012924 U KR 2019940012924U KR 19940012924 U KR19940012924 U KR 19940012924U KR 970004888 Y1 KR970004888 Y1 KR 970004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housing
lock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2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980U (ko
Inventor
이상희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2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888Y1/ko
Publication of KR9600029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9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8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도어 개폐장치가 차단기 도어에 설치되어 하우징 커버에 도어를 록킹시킨 상태의 배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에 의해 차단기 도어가 록킹 해제된 상태의 배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에 의해 차단기 도어가 하우징 커버에 록킹된 상태를 보인 배면도
제6도는 제5도의 C-C'선 단면도
제7도는 종래의 도어 장치에 의해 차단기 도어가 록킹 해제된 상태의 배면도
제8도는 제7도의 D-D'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하우징
22 : 경사 가이드편 30 : 도어
40 : 잠금장치 41 : 몸체
42 : 로크 43 : 버튼부
44 : 걸림부재 50 : 스포트 판넬
51, 52 : 제1 및 제2가이드편 53 : 캠공
421 : 작동돌기 422 : 걸림돌기
511 : 경사걸림편 521 : 걸림편
본 고안은 차단기의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버튼식 잠금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록킹 및 록킹 해제되는 차단기 도어가 잠금장치의 로크에 의해 회동되는 스포트 판넬에 의해 자동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한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는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등지에 설치되어 각종 전기, 전자기기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각종 부품이 내장된 속이빈 사각 케이스의 차단기 본체(10)와; 상기 차단기 본체(10)의 전면부에 고정되어 그 내부의 부품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에 일측의 힌지부(21)를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10)내의 부품 및 사용자 손등의 출입을 통제하는 도어(30)와; 양단부에 작동돌기(421)와 걸림돌기(422)를 일체로 구비하고 몸체(41)내에 스프링(45) 탄지된 로크(42)와 버튼부(43) 및 가동형 걸림부재(44)로 이루어져 상기 도어(30)의 타측부에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기능 및 핸들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식 잠금장치(40)와; 일측의 제1 가이드편(51) 보다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된 제2 가이드편(52)의 일단에 걸림편(521)이 형성되고 그의 연결부인 중앙부에 캠공(53)이 천공된 구성을 갖고 상기 잠금장치(40)의 배면부에 설치되어 로크(42)의 작동에 의해 도어(30)의 로킹 및 로킹해제를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 H '자형 스포트 판넬(50)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차단기 본체(10)의 하우징(20)에 일측이 힌지부(21)로 축지된 도어(30)를 닫고, 제8도와 같이 경사진 상태에 있는 로크(42)를 눌러주면 그의 일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422)가 버튼부(43)에 의해 제어를 받는 가동형 걸림부재(53)에 걸리게 된다.
동시에 상기 캠공(42)에 끼워진 로크(42)의 작동돌기(421)가 제6도와 같이 수평상에 위치되므로 ' H '자형 스포트 판넬(50)을 제5도와 같이 직선상태를 이루게 되어 그의 제2가이드편(52)일단에 형성된 걸림편(521)이 하우징(20)의 배면에 걸리게 되어 도어(30)는 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차단기의 도어(30)를 열기 위해 버튼식 잠금장치(40)의 버튼부(43)를 눌러주게 되면, 가동형 걸림부재(44)가 스프링의 복원력을 받으며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44)로부터 로크(42)의 걸림돌기(422)가 벋어나게 되므로 상기 로크(42)는 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8도와 같이 걸림돌기(422) 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로크(42)가 회동되면, 그의 작동돌기(421)역시 상기 스포트 판넬(50)의 캠공(53) 내면에 밀착되어 소정각도 만큼 회동되므로 제8도와 같은 경사각을 이루게 되어 상기 스포트 판넬(50)이 로크(42)의 작동돌기(421)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7도와 같이 소정각도로 회전하게 되므로 그의 제2가이드편(52)에 절곡형성된 걸림편(521)이 하우징(20)의 배면으로부터 벋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30)의 록킹이 해제되어 힌지부(21)를 중심으로 개폐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스포트 판넬이 도어의 록킹 및 로킹 해제기능만을 수행하므로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상기 잠금장치의 로크를 손잡이 형태로 잡고 도어를 열어야만 되었다.
즉, 상기 스포트 판넬이 로킹 해제시 도어가 자동적으로 열리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는 못하므로, 잠금장치의 버튼부를 눌러 스포트 판넬에 의한 로킹이 해제된 후에는 다시 잠금장치의 본체에서 돌출되어진 로크를 잡아 당겨야만 도어가 열리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단기의 하우징에 설치된 도어를 열기 위해 버튼식 잠금장치의 버튼부가 눌러지면 도어의 스포트 판넬에 의한 록킹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차단기의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도어 개폐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 부품이 내장되는 속이빈 사각 케이스의 차단기 본체(10)와; 상기 차단기 본체(10)의 전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에 일측의 힌지부(21)를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30)와; 로크(42)와 버튼부(43) 및 가동형 걸림부재(44)로 이루어져 상기 도어(30)의 록킹 및 록킹 해제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식 잠금장치(40)의 로크(42)작동에 의해 도어(30)의 로킹 및 로킹해제를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 H '자형 스포트 판넬(50)로 이루어진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포트 판넬(50)의 제1 가이드편(51) 일단을 비교적 길이가 길도록 연장시켜 그 자유단부에 경사걸림편(511)을 절곡 형성하고, 상기 경사걸림편(511)의 회동반경에 위치되는 하우징(20)에는 도어(30)의 록킹 해제시 상기 스포트 판넬(50)의 경사걸림편(511)이 습동되도록 하는 경사 가이드편(22)을 내측으로 절곡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의 작용효과를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단기 본체(10)의 하우징(20)에 힌지부(21)로 축지된 도어(30)를 닫고, 잠금장치(40) 몸체(41)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어 있는 로크(42)를 눌러주면 그의 배면 일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422)가 스프링(46)의 탄발력을 받으며 버튼부(43)에 의해 제어를 받는 가동형 걸림부재(44)에 걸리게 된다.
또한, 스포트 판넬(50)의 중앙 캠공(53)에 끼워진 로크(42)의 작동돌기(421)도 회전되어 제2도와 같이 도어(30)와 직각상태에 위치되므로 ' H '자형 스포트 판넬(50)을 제1도와 같이 직선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포트 판넬(50)의 제2 가이드편(52) 일단에 형성된 걸림편(521)이 하우징(20)의 배면에 걸리게 됨과 동시에 제1 가이드편(51)의 경사걸림편(511)은 하우징(20)의 경사 가이드편(22)의 단부에 위치되어 도어(30)는 제2도와 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차단기의 도어(30)를 열기 위해 버튼식 잠금장치(40)의 버튼부(43)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잠금장치(40)의 가동형 걸림부재(44)가 버튼부(43)의 수평운동에 의해 스프링의 복원력을 받으며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44)로부터 로크(42)의 걸림돌기(422)가 벋어나게 되므로 상기 로크(42)는 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제4도와 같이 걸림돌기(422)부분이 전방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돌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로크(42)가 회동되면, 스포트 판넬(50)의 캠공(53)에 끼워진 로크(42)의 작동돌기(421)가 상기 스포트 판넬(50)을 제4도와 같이 소정각도로 회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스포트 판넬(50)의 제 2가이드편(52)에 절곡 형성된 걸림편(521)이 하우징(20)의 배면으로부터 벋어나게 됨과 동시에 제1 가이드편(51)의 경사걸림편(511)이 하우징(20)의 경사 가이드편(22)을 습동하며 제3도와 같이 상방으로 회동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30)의 록킹이 해제됨과 동시에 하우징(20)의 경사 가이드편(22)을 습동하게 되는 제1 가이드편(51)의 경사걸림편(511)에 의해 잠금장치(40)를 포함한 도어(30)가 차단기 본체(10)의 전방측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도어(30)는 힌지부(21)를 중심으로 자동 개폐된다.
즉, 상기 스포트 판넬(50)의 제 2가이드편(52)은 기존에서와 같이 도어(30)의 록킹 및 해제기능을 수행하고, 제1 가이드편(51)의 경사걸림편(511)은 록킹 해제시 상기 하우징(20)의 경사 가이드편(22)을 따라 습동하여 도어(30)를 열림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잠금장치(40)의 로크(42)를 잡아 당기지 않더라도 상기 도어(30)는 자동으로 열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차단기의 도어(30)를 다시 닫고 잠금장치(40)의 로크(42)를 눌러주면 제3도와 같이 도어(30)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 있던 스포트 판넬(50)에 상기 로크(42)의 회동에 의해 제1도와 같이 다시 직선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경사 가이드편(22)의 상측부에 위치되어 있던 스포트 판넬(50) 제1 가이드편(51)의 경사 걸림편(511)이 다시 하우징(20)의 경사 가이드편(22) 단부에 위치되며, 나머지의 모든 부품들은 전술에서와 동일한 형태로 위치 변동되어 도어(30)를 록킹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스포트 판넬과 하우징에 각각 경사걸림편과 경사 가이드편을 절곡 형성시켜 주므로서, 차단기의 도어를 열기 위해 버튼식 잠금장치의 버튼부만 누르면 도어의 록킹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자동으로 열리게 되어 도어의 개폐동작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각종 부품이 내장되는 차단기 본체(10)와; 상기 차단기 본체(10)의 전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에 일측의 힌지부(21)를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30)와; 상기 도어(30)의 록킹 및 록킹 해제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식 잠금장치(40)와; 제1 및 제2 가이드편(51, 52)과 캠공(53)을 구비하고 상기 잠금장치(40)와; 제1 및 제2 가이드편(51, 52)과 캠공을 구비하고 상기 잠금장치(40)의 로크(42) 작동에 의해 도어(30)의 로킹 및 로킹 해제를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 H '자형 스포트 판넬(50)로 이루어진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포트 판넬(50)의 제1 가이드편(51) 일단을 비교적 길게 연장시켜 그 자유단부에 경사걸림편(511)을 절곡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20)의 소정위치에는 도어(30)의 록킹 해제시 상기 스포트 판넬(50)의 경사걸림편(511)이 습동되도록 하는 경사 가이드편(22)를 내측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KR2019940012924U 1994-06-03 1994-06-03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KR9700048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924U KR970004888Y1 (ko) 1994-06-03 1994-06-03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924U KR970004888Y1 (ko) 1994-06-03 1994-06-03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980U KR960002980U (ko) 1996-01-22
KR970004888Y1 true KR970004888Y1 (ko) 1997-05-21

Family

ID=19384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2924U KR970004888Y1 (ko) 1994-06-03 1994-06-03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8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193B1 (ko) * 2020-11-09 2021-05-04 김민이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980U (ko) 199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682B1 (ko) 도어 개폐장치
JP3268808B2 (ja) マイクロ波オーブンの始動待機位置設定装置
KR970004888Y1 (ko)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1958223B1 (ko)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KR100293030B1 (ko) 배전반용 핸들
KR200380743Y1 (ko) 도어의 잠금장치
KR100246209B1 (ko) 문 개폐장치
KR950005182Y1 (ko) 드럼식 세탁기의 도어록커
KR200166968Y1 (ko)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GB2268970A (en) Casing and fastening in particular for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 with a closure door
KR0129052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손잡이
KR200150745Y1 (ko) 버스 선반의 도어잠금장치
KR200175572Y1 (ko) 궤적형 도어아웃사이드핸들
KR0115375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열림장치
KR960005226Y1 (ko) 출입문용 개폐기
KR910003460Y1 (ko) 콘트롤 스위치보드의 도아(door)개폐장치
KR890001195Y1 (ko) 도어개폐 및 록크 장치
KR0142006B1 (ko) 양측개방가능한 도어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950001116Y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970003843Y1 (ko) 도어 잠금장치
KR960006829Y1 (ko) 전자제품의 프론트 도어 개폐장치
JPS5926060Y2 (ja) 扉開閉装置
KR200144558Y1 (ko) 글로브박스의 록킹장치
KR0117184Y1 (ko) 냉장고 도어
KR200141274Y1 (ko) 리모트 콘트롤러의 도어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