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226Y1 - 출입문용 개폐기 - Google Patents

출입문용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226Y1
KR960005226Y1 KR2019940006220U KR19940006220U KR960005226Y1 KR 960005226 Y1 KR960005226 Y1 KR 960005226Y1 KR 2019940006220 U KR2019940006220 U KR 2019940006220U KR 19940006220 U KR19940006220 U KR 19940006220U KR 960005226 Y1 KR960005226 Y1 KR 960005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ece
door
adjustment knob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6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763U (ko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김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호 filed Critical 김태호
Priority to KR2019940006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226Y1/ko
Publication of KR9500277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7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2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출입문용 개폐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개폐기의 작동상태 단면도로서,
a) 조정손잡이를 잠금위치에 설정한 상태도.
b) 조정손잡이를 중립위치에 설정한 상태도.
c) 조정손잡이를 열림위치에 설정한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 개폐기의 작동상태 평면구성도로서,
a) 열림상태도.
b) 잠금상태도.
c) 중립상태도로서 잠금이 개방된 상태도.
d) 중립상태도로서 잠금이 된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분해사시도.
제5도는 종래 개폐기의 단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개폐기 2 : 본체
4 : 전자석 6 : 걸림봉
8 : 작동공 10 : 걸림편
12 : 축핀 14 : 스프링
16 : 지지편 18 : 절곡편
20 : 작동체 22 : 돌봉
24 : 스프링 26 : 돌편
28 : 걸림턱 30 : 회전잠금편
32 : 축핀 34 : 탄지스프링
36 : 돌봉 38 : 요입부
40 : 속덮개 42 : 원형지지판
44 : 표시돌부 46 : 조정손잡이
48 : 걸림돌편 50 : 걸림돌봉
52 : 작동봉 54 : 요입홈
56 : 스프링 58 : 만곡부
본 고안은 출입문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폐수단을 잠금과 열림 및 중립으로 3단계 구분되게 구성하므로서 출입문의 개폐를 임의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조정손잡이의 위치를 잠금에 설정하여 두면 작동봉을 누르더라도 출입문이 개방되지 않게 하고 조정손잡이의 위치를 열림에 설정하여 두면 출입문을 닫더라도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며, 중립에 설정하여 두면 작동봉을 누르면 출입문이 개방되고 출입문을 닫으면 저절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출입문 개폐기는 제5도에서와 같이 전자석(102)에 의해 전후 작동하는 걸림편(104)상에 작동편(106)을 스프링(108)으로 탄지되게 고정설치하고 걸림편(104) 단부에는 걸림턱(112)이 형성된 회전잠금편(110)을 스프링(114)으로 탄력설치하고 작동편(106) 상단에 작동보턴(116)을 고정설치한 것으로서, 작동보턴(116)을 누르면 작동보턴(116) 하단에 형성된 경사돌봉(118)에 의해 작동편(106)이 후진하고 따라서 걸림편(104)이 후진하여 회전잠금편(110)의 걸림턱(112)으로 부터 이탈하여 잠금이 풀리고, 충입문을 닫으면 회전잠금편(110)이 회전하고 동시에 작동편(106) 하단에 탄지된 스프링(108)에 의해 작동편(106)이 전진하고 작동편(106)의 전진으로 걸림편(104)이 전진하여 걸림편(104)의 단부가 걸림턱(112)상에 위치하여 다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출입문 개폐기(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즉 개폐기(100)를 개방한 상태에서 출입문을 닫아버리면 저절로 잠금이 이루어져 버리므로 간혹 실내에 사람이 없거나 개폐기(100) 열쇠를 휴대하지 않은 상태에서 출입문이 닫혀 버리면 출입문을 열 수 없기 때문에 곤란을 당하게 되는 경우가 간혹 있을 뿐 아니라 개폐기(100)가 잠겨져 있더라고 외부에서 열쇠 등으로 열 수 있어 방법이 완벽하지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전자석에 의해 전후작동으로 걸림봉상에 작동공이 뚫린 걸림편을 고정설치하고 걸림편의 작동공 내에는 조정손잡이에 끼워진 작동봉과 조정손잡이 하단에 편심되게 구성된 걸림돌편이 끼어져 위치되게 하고, 걸림편 전방에 절곡편이 형성된 작동체를 탄력설치되게 하므로서 조정손잡이 하단에 돌출구성된 걸림돌편이 작동공의 전방에 위치하면 걸림편의 전후작동을 제어케하여 잠금이 풀리지 않게 하고, 걸림돌편이 작동공의 중앙이나 전방에 위치되게 하면 출입문이 임의로 개폐되게 하거나 출입문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폐기 (가)의 본체(2) 일측에 전자석(4)을 고정설치하고, 전자석(4) 전방에는 전자석(4)에 의해 전후작동하는 걸림봉(6)을 설치하되, 걸림봉(6)상에는 작동공(8)이 뚫린 걸림편(10)을 축핀(12)으로 고정설치하고 전자석(4)과 걸림편(10) 사이에 위치한 걸림봉(6)에는 스프링(14)이 탄력설치되어 있다.
걸림봉(6)의 단부는 지지편(16)의 중앙절개홈에 끼워져 위치되게 하고 지지편(16) 후방에는 절곡편(18)이 후방으로 돌출구성된 작동체(20)를 안치하되 절곡편(18)의 단부는 작동공(8) 하단에 위치되게 하고 작동체(20)는 일측 돌봉(22)에 끼워진 스프링(24)에 의해 탄지되게 하고, 작동체(20)는 지지편(16)과 돌편(26)에 의해 지지되게 하였다.
걸림봉(6)의 단부 전방에는 걸림턱(28)이 형성된 회전잠금편(30)을 축핀(32)으로 회전가능케 설치하고, 회전잠금편(30)의 양측부로 돌출된 축핀(32)에는 탄지스프링(34)을 끼워 설치하되, 탄지스프링(34)의 일측은 회전담금편(30)의 일측에 돌출구성된 돌봉(36)에 걸려 고정되게 하고, 타측은 지지편(16)상에 탄지되게 하므로서 회전잠금편(30)이 항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회전탄지력을 갖게 하였다.
본체(2) 상단에는 요입부(38)가 형성된 속덮개(40)를 안치하고 속덮개(40)의 요입부(38)상에는 표시돌부(44)가 형성된 조정손잡이(46)를 회전가능케 설치하되 조정손잡이(46) 하단에는 걸림돌편(48)을 편심되게 돌출구성하고, 걸림돌편(48)은 걸림편(10)의 작동공(8)내에 위치되게 하고 조정손잡이(46)의 중앙에는 걸림돌봉(50)이 형성된 작동봉(52)이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조정손잡이(46) 중앙에 끼워진 작동봉(52)의 상단은 조정손잡이(46) 상단으로 돌출되게 하고, 하단에 형성된 걸림돌봉(50)은 조정손잡이(46) 하단에 돌출된 걸림돌편(48)에 걸려지게 하고, 걸림돌봉(50)의 하단부는 작동체(20)의 후방으로 돌출된 절곡편(18)상에 안치되게 하여 작동봉(52)이 조정손잡이(46)로 부터 이탈되지 않게 구성하므로서 작동봉(52)을 누르면 작동봉(52) 하단에 형성된 걸림동봉 (50)이 작동체(20)의 절곡편(18)을 압지토록 하였다.
속덮개(40)의 요입부(38)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조정손잡이(46)의 원형지지판(42)에 요입홈(54)이 전후 좌우측에 구성되게 하고 각 요입홈(54)은 요입부(38) 일측에 탄력설치된 스프링(56)의 만곡부(58)가 탄력있게 끼워지게 하므로서 외력을 가하여 회전시키지 않는한 조정손잡이(46)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고, 본체(2)상단에는 덮개(60)를 결합하여 고정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62)는 걸림부
(64)는 고정나사
(66)은 나사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개폐기 (가)를 출입문에 고정설치하여 출입문을 개폐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개폐기(가)에 장착된 조정손잡이(46)의 위치를 설치하여 두므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개폐기 (가)의 잠금이 개방되지 않도록 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2도의 (a)에서와 같이 조정손잡이(46)의 표시돌부(44)를 잠금위치에 설정하여 두면 조정손잡이(46)이 하단에 형성된 걸림돌편(48)이 전방으로 위치되면서 걸림편(10)의 작동공(8) 전방에 접하게 되고 동시에 작동봉(52)의 일측은 작동공(8)의 후방에 접하게 되므로 걸림편(10)의 전후작동이 제어되어 작동봉(52)을 누르거나 열쇠를 꽂아 돌리더라도 걸림봉(6)이 후진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잠금편(30)이 회전하지 않고 따라서 출입문이 개방되지 않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잠금과 열림이 자유롭게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2도의 (b)에서와 같이 조정손잡이(46)의 표시돌부(44) 위치를 중입에 설정하여 두면 조정손잡이(46) 하단에 구성된 걸림돌편(48)이 측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걸림편(10)의 작동공(8) 전방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정손잡이(46)의 중앙에 끼워진 작동봉(52)을 누르면 작동봉(52) 하단에 구성된 걸림돌봉(50)이 작동체(20)의 절곡편(18)을 누르게 되므로 작동체(20)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걸림편(10)을 밀게 되고 따라서 걸림편(10)이 걸림봉(6)을 후진시켜 걸림봉(6)의 단부를 회전잠금편(30)의 걸림턱(28)으로 부터 이탈하고, 동시에 회전잠금편(30)은 스프링(34)의 탄지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잠금이 풀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출입문을 닫으면 회전잠금편(30)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부(62)가 출입문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걸림쇠(도시않됨)에 걸러 축핀(32)을 축으로 회전잠금편(30)이 회전하고 따라서 스프링(14)의 탄지력에 의해 걸림봉(6)이 전진하여 거림턱(28)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잠금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조정손잡이(46)의 표시돌부(44)를 중립에 설정하여 두면 작동봉(52)을 누르면 출입문이 개방되고 출입문을 닫으면 다시 잠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출입문을 닫더라도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2도의 (c)에서와 같이 조정손잡이(46)의 표시돌부(44) 위치를 열림상태에 설정하여 두면 출입문을 닫더라도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조정손잡이(46)의 표시돌부(44) 위치를 열림상태에 설정하여 두면 조정손잡이(46) 하단에 형성된 걸림돌편(48)은 걸림편(10)의 작동공(8) 후방에 접하게 되고 작동봉(52)은 작동공(8)의 점방에 접하여 걸림편(10)의 전후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걸림편(10)은 걸림돌편(48)에 의해 후진한 상태이고 걸림편(10)의 후진으로 걸림봉(52) 또한 후진한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잠금편(30)이 회전하더라도 걸림봉(52)의 선단부에 걸림턱(28)이 걸리지 않게 되고 또한 작동봉(52)을 누르더라도 작동체(20)만 작동하게 되므로 출입문을 닫더라도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 작동체(20)의 일측을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24)은 작동봉(52)에 의해 전진한 작동체(20)의 원복을 위한 것이며 속덮개(40)의 요입부(38)에 탄력설치된 스프링(56)은 스프링(56)의 만곡부(58)가 조정손잡이(46)의 요입홈(54)상에 끼워져 탄지되게 하므로서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조정손잡이(46)가 회전되지 않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개폐기 (가)에 장치된 조정손잡이(46)의 표시돌부(44)를 잠금이나 중립 및 열림에 설정하여 두므로서 출입문이 개방되지 않고 잠기게 하거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출입문 개폐기 (가)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자석(4)에 의해 전후작동하는 걸림봉(6)상에 작동공(8)이 뚫린 걸림편(10)을 고정설치하고, 걸림편(10) 전방에는 절곡편(18)이 형성된 작동체(20)를 탄력설치하고, 걸림편(10)의 작동공(8)내에는 속덮개(40)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조정손잡이(46)의 걸림돌부(44)와 작동봉(52)이 끼워져 위치되게 하므로서 조정손잡이(46)를 회전시키면 걸림돌편(44)의 위치가 작동공(8)의 전방, 측방 혹은 후방에 위치하여 잠금이 이루어지거나 개방되게 하여서 된 출입문용 개폐기.
KR2019940006220U 1994-03-26 1994-03-26 출입문용 개폐기 KR960005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220U KR960005226Y1 (ko) 1994-03-26 1994-03-26 출입문용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220U KR960005226Y1 (ko) 1994-03-26 1994-03-26 출입문용 개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763U KR950027763U (ko) 1995-10-18
KR960005226Y1 true KR960005226Y1 (ko) 1996-06-24

Family

ID=1937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6220U KR960005226Y1 (ko) 1994-03-26 1994-03-26 출입문용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2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763U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720B1 (ko) 차량의 트렁크 도어용 래치장치
US5513510A (en) Handleset with thumb piece and rack
KR960000682B1 (ko) 도어 개폐장치
US5056835A (en) Latching mechanism for a closure with a disconnectable handle and a sliding catch
KR200411519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KR960005226Y1 (ko) 출입문용 개폐기
KR100293030B1 (ko) 배전반용 핸들
KR20000074623A (ko) 푸시-풀 타입 도어 개폐장치
KR100404748B1 (ko) 레버형 도어록
KR200401542Y1 (ko) 도어의 열림상태 고정장치
KR101916098B1 (ko) 그립 방식의 손잡이
KR950005182Y1 (ko) 드럼식 세탁기의 도어록커
KR100415053B1 (ko) 도어록 장치
KR200223410Y1 (ko) 도어록 장치
KR910006242Y1 (ko) 손잡이 겸용 자물쇠 뭉치
KR970004888Y1 (ko)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KR200226727Y1 (ko) 배전반용 핸들
KR200202460Y1 (ko) 도어록의 백세트
JP3080026B2 (ja) パネルロック機構
KR0128134Y1 (ko) 차단기용 개폐스위칭 장치
KR960008433Y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장치
KR200185963Y1 (ko) 출입문용 보조키
KR200185964Y1 (ko) 출입문용 보조키
JPH08284490A (ja) ラッチ逆配置型平面ハンドル装置
KR200179028Y1 (ko) 창문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