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964Y1 - 출입문용 보조키 - Google Patents

출입문용 보조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964Y1
KR200185964Y1 KR2020000002523U KR20000002523U KR200185964Y1 KR 200185964 Y1 KR200185964 Y1 KR 200185964Y1 KR 2020000002523 U KR2020000002523 U KR 2020000002523U KR 20000002523 U KR20000002523 U KR 20000002523U KR 200185964 Y1 KR200185964 Y1 KR 200185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auxiliary key
circular butt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필순
Original Assignee
황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필순 filed Critical 황필순
Priority to KR2020000002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9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9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7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3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not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bolt
    • E05B17/2034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not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bolt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문 내부측에 장착시키는 보조키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출입문 내부측 보조키의 개폐 손잡이에 별도의 부가장치가 없어 보조키 손잡이를 돌려 출입문을 잠그어 놓아도 출입문 하부 일측에 만들어 놓은 신문, 우유 투입구로 긴대롱 끝에 메달은 원형 고리등을 집어 넣고, 이를 이용하여 보조키 손잡이를 돌려 출입문을 개폐 시키므로서, 도난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소코자 고안한 것으로, 출입문 보조키(1)를 개폐시키는 손잡이(2)중앙부에 원형버튼(3)을 형성하고, 원형버튼(3)의 몸체부(4)에 타기관에 삽입 연동되거나, 고정 되도록한 4 방향기어부(5)(6)을 형성시켜, 원형버튼(3)을 눌러 놓으면 손잡이(2)가 회동작동이 안되고, 원형버튼(3)이 원위치로 약간 돌출되면 손잡이(2)를 회전시켜 출입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임의의 도구를 사용하여 출입문을 임의 개폐시킬 수 없고, 도난 등을 방지한 출입문용 보조키이다.

Description

출입문용 보조키
본 고안은 출입문 보조키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중에서도 출입문 내부측에 장착 시키는 보조키의 손잡이 중앙부에 원형버튼을 형성하여 버튼의 돌출유무 상태에 따라 손잡이가 회전작동하지 못하여 개폐작용 할 수 없도록한 출입문용 보조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출입문 내부측 보조키의 개폐 손잡이에, 별도의 부가 장치가 없어보조키 손잡이를 돌려 잠그어 놓아도, 출입문 하부측에 만들어 놓은 신문,우유,투입구로 긴대롱 끝에 메달은 원형고리등을 집어 넣고, 이를 이용하여 보조키 원형손잡이를 돌려 출입문을 개페 시키므로서, 도난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코자, 고안한 것으로,
출입문 보조키(1)를 개폐시키는 손잡이(2) 중앙부에 원형버튼(3)을 형성하고 원형버튼(3)의 몸체부(4)에는 타기관 작동장치를 형성시켜, 원형버튼(3)을 눌러 놓으면 보조키(1)손잡이(2)가 회전작용하지 못하여 보조키(1)를 개폐시킬 수 없도록 하고, 원형버튼(3)을 원위치로(돌출)시키면, 손잡이 회전시 보조키가 개폐작동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우유 투입구 등으로 임의의 도구를 사용하여 손잡이를 회동시켜 보조키를 개폐 작동시키고 출입문을 임의 개페 시키거나, 도난 등을 방지 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 1 도는 본 고안 설치 상태도
제 2 도는 본 고안 보조키의 배면 커버를 벗긴 상태의 배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 요부 분해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 버튼 작동전(보조키 개폐시)상태도
제 5 도는 본 고안 버튼 작동시(눌름시)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보조키 2 ; 손잡이 3 : 원형버튼 4 ; 몸체부
5 : 4 방향기어 6 : 기어부(4 방향기어) 7 : 걸림봉
8,8' : 디귿형 고정편 9 : 장기어부(4 방향기어) 10 : 고정환홈
11 : 보조키 케이스 12 : 지지원통부 13 : 안내홈
14 : 걸림절곡편 15,16 : 이(E)링 17 : 회동작동편
19 : 4 방향 요홈부 20 : 작동돌봉 21 : 잠금봉
22 : 작동판 23 : 스프링 24 : 작동홈
25,25' : 키공 26 : 고정판 27 : 배면카버
28 : 스프링 삽입 요홈부 29 ,30 : 원통돌부 31 : 버튼 삽입공
32 : 삽입공 33 : 고정핀
보조키 손잡이(2)에는 버튼 삽입공(31)내부측에 기어부(4 방향기어(9)를 형성하고, 외부 단부측에는 고정환홈(10)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2)버튼 삽입공(31)에 삽입시키는 원형버튼(3)에는 직하부측에 기어부(4 방향기어)(5)를 형성하고 그 하부 일측에 걸림봉(7)을 돌설시키고 그 하단부측에 기어부(4 방향기어)(6)를 형성하고,
보조키 케이스(11)삽입공(32)에는 지지원통부(12)가 돌설되게 형성한 다음, 그 단부 하측에 안내홈(13)과 걸림 절곡편(14)을 형성시킨 고정판(26)을 고정시키고, 잠금봉(21)이 장착된 작동판(22)의 작동홈(24)을 밀어 이동시키는 작동돌봉(20)이 있는 회동작동편(17)은 이(E)링(16)으로 원형버튼(3)단부측에 고정시키고,
배면카버(27)에는 키공(25)주위에 스프링 삽입요홈부(28)를 형성시킨 원통돌부(29)및 (30)을 형성하되, 외부측 원통돌부(30)내면측에는 사방향 요홈부(19)를 형성하여, 원형버튼(3)을 누르면 원형버튼(3)의 단부측 사방향 기어부(6)가 삽입 되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 삽입 요홈부(28)와 원형버튼(3) 단부 사이에는 스프링(23)이 삽설 게재되게 하되, 스프링(23)의 일단부측은 디귿형 고정편(8)(8')등으로 원형버튼(3)하단부측에 고정되게 하고, 스프링(23)타 단부측은 원통돌부(29)하부측에 고정핀(33)등으로 고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보조키이다.
미설명부호 15이(E)링은 손잡이(2)고정환홈(10)에 삽입 고정시키는 것이고, 16이(E)링은 회동작동편(17)고정용이고, 34는 출입문 외부측에서 키를 삽입하면 걸려 작동 시킬 수 있는 걸림돌출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조키(1)손잡이(2)중앙부에 장착시킨 원형버튼(3)을 누르면 원형버튼(3)이 내려가면서 원형버튼(3)의 기어부(5)와 기어부(6)이 손잡이(2)의 장기어부(9)와 원통돌부(30)의 4 방향요홈부(19)에 삽입되어 걸리므로 원형버튼(3)과 손잡이(3)가 동시에 회전작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때 원형버튼(3)의 걸림봉(7)은 고정판(26)위의 안내홈(13)을 따라 내려 가다가 스프링(23)을 탄지 시키면서 걸림절곡편(14)에 걸려 있다가(이때 원형버튼(3)의 눌름상태가 계속된다)
다시 원형버튼(3)을 누르면 스프링(23)이 탄지 되면서, 복원하게 되므로 원형버튼(3)의 걸림봉(7)의 걸림 절곡편(14)을 벗어나 안내홈(13)을 따라 원위치에 오게된다.
즉, 원형버튼(3)이 손잡이(2)보다 약간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손잡이(2)를 회전시키면 손잡이(2)의 4 방향 장기어부(9)에 원형버튼(3)의 사방향 기어부(5)가 맞물려 있고 원형버튼(3)의 하단 기어부(6)는 원통돌부(30)의 4 방향 요홈부(19)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이므로 같이 회전작동 할 수 있게 되고 위에 원형버튼(3)단부측에 고착된 회동작동편(17)도 같이 90˚회전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잠금봉(21)을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이 편리하고, 외관이 미려하며, 출입문용 보조키의 개폐상태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도난 등의 방지가 용이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출입문용 보조키에 있어서,
    보조키 손잡이(2)에는 버튼 삽입공(31)내부측에 기어부(4 방향기어(9)를 형성하고, 외부 단부측에는 고정환홈(10)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2)버튼 삽입공(31)에 삽입시키는, 원형버튼(3)에는 몸체부(4)상부측에 기어부(4 방향기어)(5)를 형성하고 그 하부 일측에 걸림봉(7)을 돌설시키고 그 하단부측에 기어부(4 방향기어)(6)를 형성하고,
    보조키 케이스(11)삽입공(32)에는 지지원통부(12)가 돌설되게 형성한 다음, 그 단부 하측에 안내홈(13)과 걸림 절곡편(14)을 형성시킨 고정판(26)을 고정시키고, 잠금봉(21)이 장착된 작동판(22)의 작동홈(24)을 밀어 이동시키는 작동돌봉(20)이 있는 회동작동편(17)은 이(E)링(16)으로 원형버튼(3)단부측에 고정시키고,
    배면카버(27)에는 키공(25)주위에 스프링 삽입요홈부(28)를 형성시킨 원통돌부(29)및 (30)을 형성하되, 외부측 원통돌부(30)내면측에는 사방향 요홈부(19)를 형성하여, 원형버튼(3)을 누르면 원형버튼(3)의 단부측 사방향 기어부(6)가 삽입 되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 삽입 요홈부(28)와 원형버튼(3) 단부 사이에는 스프링(23)이 삽설 게재되게 하되, 스프링(23)의 일단부측은 디귿형 고정편(8)(8')등으로 원형버튼(3)하단부측에 고정되게 하고, 스프링(23) 타 단부측은 원통돌부(29)하부측에 고정핀(33)등으로 고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보조키.
KR2020000002523U 2000-01-29 2000-01-29 출입문용 보조키 KR200185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523U KR200185964Y1 (ko) 2000-01-29 2000-01-29 출입문용 보조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523U KR200185964Y1 (ko) 2000-01-29 2000-01-29 출입문용 보조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964Y1 true KR200185964Y1 (ko) 2000-06-15

Family

ID=1963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523U KR200185964Y1 (ko) 2000-01-29 2000-01-29 출입문용 보조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9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7034B1 (ko) 잠금장치
US7434430B2 (en) Dial for a combination lock
KR200185964Y1 (ko) 출입문용 보조키
KR950013225A (ko) 도어 개폐장치
KR200185963Y1 (ko) 출입문용 보조키
CA1319941C (en) Lock device for use of vehicle doors
KR200236062Y1 (ko) 사물함용 록킹장치
KR200386046Y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KR960005226Y1 (ko) 출입문용 개폐기
KR910006242Y1 (ko) 손잡이 겸용 자물쇠 뭉치
JPH0635558U (ja) 扉の施錠装置
KR200316172Y1 (ko) 냉장고 도어용 록킹장치
JP2001288937A (ja) 施解錠装置
RU2100550C1 (ru) Защелка дверная
KR200185329Y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JPH0651444U (ja) 簡易錠
KR0172993B1 (ko) 다이얼 자물쇠 장치
KR950002389Y1 (ko) 창문용 괘정구
JP2514089Y2 (ja) ドアの施錠装置
KR200221699Y1 (ko) 출입문용 보조키
KR200367751Y1 (ko) 창문용 크리센트
JPH0533172Y2 (ko)
KR200307031Y1 (ko) 보조자물쇠 해정 보호장치
JP2001162007A (ja) パチンコ遊技機における前面枠体の施錠装置
KR200223410Y1 (ko) 도어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