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193B1 -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 - Google Patents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193B1
KR102248193B1 KR1020200148843A KR20200148843A KR102248193B1 KR 102248193 B1 KR102248193 B1 KR 102248193B1 KR 1020200148843 A KR1020200148843 A KR 1020200148843A KR 20200148843 A KR20200148843 A KR 20200148843A KR 102248193 B1 KR102248193 B1 KR 102248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support
height
main body
bar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이
Original Assignee
김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이 filed Critical 김민이
Priority to KR1020200148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판과, 상기 불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열원부를 포함하는 고기구이기에 있어서, 내측 바닥면의 양측에 측벽부재가 형성되고, 양 측벽부재의 사이에 힌지연결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불판이 결합되는 상부받침부; 상기 측벽부재와 상부받침부를 연결하며, 상하로 이동하여 상부받침부를 승강 작동시켜 높이를 변경시키는 높이변동부; 일단이 본체의 힌지연결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며 중간부위가 상부받침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부받침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간편한 조작에 의해 불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고기를 빨리 익히거나 천천히 익히는 등의 시간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어 편리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Lever type height-adjustable meat appliance}
본 발명은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서 하부로 열을 전달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되 불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최적상태로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하는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고기 또는 돼지고기 등의 고기를 굽는 방법은, 하측에 배치된 숯 또는 연탄 등과 같은 열원을 통해 직접 조리하는 직화구이 방법과, 가스 또는 전기 등과 같은 에너지원에 의해 가열된 불판에 조리하는 간접구이 방식이 있다.
직화구이 방식은, 환풍 설비가 설치된 곳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숯, 연탄, 가스 등과 같은 열원을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고기를 놓을 수 있는 석쇠가 배치된다.
그런데 석쇠에 올려진 고기의 조리시 고기에서 발생한 기름이 석쇠 사이의 틈새를 통해 열원으로 떨어지게 되며, 떨어진 기름과 열원이 반응하여 발생한 불꽃은 석쇠에 올려진 고기를 태우게 된다.
그리고 떨어진 기름이 열원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불완전연소 연기에는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을 포함하고, 이러한 벤조피렌은 석쇠에 올려진 고기에 흡착되기도 한다.
또한, 석쇠와 같이 그 구조가 복잡한 불판은 세척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1118123호에는 「원적외선 방사 고기구이」가 개시바 있다.
선행 기술은 간접열에 의해 고기를 익혀 고기가 타지 않고 원적외선에 의해 불필요한 독성분이 제거될 수 있으며 육질이 부드러운 고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한편 종래 기술은 하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불판이 가열되어 고기를 익히도록 하는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최근에는 상부에서 직접 원적외선이 불판 위의 고기에 전달되어 고기의 내부로부터 익을 수 있도록 하여 연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식감이 좋으며, 육즙이 보존될 수 있는 상화식 고기구이기가 시판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화식 구이기는 상부의 열원부와 불판과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기를 빨리 익힐 필요가 있을 경우 다소 답답함이 있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는 불판을 들어올려서 열원부와 가깝게 함으로써 고기가 빨리 익도록 하는 편법을 동원하였으나 불판의 무게로 인해 오래 들고 있기 힘들고 화상의 위험이 높아 사용상의 불편함이 야기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12486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레버타입의 승강조작부를 지렛대 방식으로 상하 조작에 의해 불판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고기를 빨리 익히거나 천천히 익히는 등의 시간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어 편리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불판과, 상기 불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열원부를 포함하는 고기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열원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측 바닥면의 양측에 측벽부재가 형성되고, 양 측벽부재의 사이에 힌지연결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불판이 결합되는 상부받침부; 상기 측벽부재와 상부받침부를 연결하며, 상하로 이동하여 상부받침부를 승강 작동시켜 높이를 변경시키는 높이변동부; 일단이 본체의 힌지연결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며 중간부위가 상부받침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부받침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조작부;를 포함하는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조작부는, 상기 상부받침부의 하부 중심부를 횡단하여 결합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일단부에 직각되게 연장형성되며 본체의 힌지연결부에 힌지결합되는 연결바와, 상기 지지바의 타단에 직각되게 연장형성되되 상기 연결바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의 끝부분과 연장바의 손잡이는 서로 대각선의 위치에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손잡이를 특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종방향으로 천공 형성되는 슬롯이며, 손잡이가 고정되는 걸림홈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연장바의 양단이 절곡되어 대칭 형성되어 내부에 끼움부를 갖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끼움부에 삽입되며, 축핀으로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작동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작동부재는 노브가 결합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노브가 위치고정부의 걸림홈에 걸려져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조작부는 연장부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가 승강조작부가 위치고정부의 중간부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조작부를 지렛대 방식의 상하 조작에 의해 불판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고기를 빨리 익히거나 천천히 익히는 등의 시간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어 편리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의 내부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의 '승강조작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의 '승강조작부'의 하강작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의 '승강조작부'의 상승작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의 '승강조작부'에 스프링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의 내부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의 '승강조작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의 '승강조작부'의 하강작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의 '승강조작부'의 상승작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의 '승강조작부'에 스프링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불판을 구비한 고기구이기(A)는, 불판(100)과, 상기 불판(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열원부(240)를 포함하는 고기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열원부(240)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측 바닥면(202)의 양측에 측벽부재(210)가 형성되고, 양 측벽부재(210)의 사이에 힌지연결부(230)가 형성된 본체(200); 불판(100)이 결합되는 상부받침부(300); 측벽부재(210)와 상부받침부(300)를 연결하며, 상하로 이동하여 상부받침부(300)를 승강 작동시켜 높이를 변경시키는 높이변동부(4); 일단이 본체(200)의 힌지연결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본체(2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며 중간부위가 상부받침부(300)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부받침부(300)를 승강시키는 승강조작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00)는 지면에 지지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수직하게 부착되는 지지부(220)와, 상기 지지부(220)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열원부(240)를 포함한다.
본체(200)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바닥면에는 힌지연결부(230)가 수직하게 형성되고, 그 일측으로는 양측에 대칭되게 측벽부재(210)가 형성된다.
양 측벽부재(210)는 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양 측벽부재(210)에 각기 한쌍의 링크바(41,42)가 힌지 결합되어 높이변동부(4)가 조립될 수 있다.
각 한쌍의 링크바(41,42)의 상단에 상부받침부(300)가 힌지 결합되어 본체(200)의 상부 개구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한쌍의 링크바(41,42)가 절첩되는 작동과 동반하여 상부받침부(300)가 승강작동하게 되고, 상부받침부(300)에 결합된 불판(100)이 승강작동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부받침부(300)는 불판(100)의 하부에 돌출된 끼움관부(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끼움공(321)을 갖는 커버(320)와, 이 커버(320)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끼움관부(120)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상판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높이변동부(4)는 상기 상부받침부(3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본체(200) 내 바닥면에 형성된 측벽부재(210)에 힌지 결합되며, 한쌍의 링크바(41,42)가 'X'자 형상으로 교차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한쌍의 링크바(41,42)가 절첩작동됨으로써 상부받침부(3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높이변동부(4)는 양측에 형성되어 각 링크바(41,42)의 상,하부가 각기 상부받침부(300)와 측벽부재(210)의 양측에 각기 연결되도록 하여 힘이 균등하게 배분될 수 있어 상부받침부(2)가 기울어지지 않고 승하강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측에 대칭 설치된 한쌍의 링크바(41,42)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연결대(5)가 결합되어 양측 한쌍의 링크바(41,42)가 동시에 절첩 구동될 수 있고 뒤틀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측벽부재(210)는 양측에 각기 링크바(41,42)의 하단이 구간 이동될 수 있도록 제1장공(H1)이 형성되고, 상부받침부(300)의 측면에는 링크바(41,42)의 상단이 구간 이동될 수 있도록 제2장공(H2)이 형성된다.
승강조작부(400)는 일단이 본체(200)의 힌지연결부(23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본체(2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며, 그 중간부위가 상부받침부(300)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부받침부(300)를 승강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조작부(400)는, 상기 상부받침부(300)의 하부 중심부를 횡단하여 결합되는 지지바(420)와, 지지바(420)의 일단부에 직각되게 연장형성되며 본체(200)의 힌지연결부(230)에 힌지결합되는 연결바(440)와, 지지바(420)의 타단에 직각되게 연장형성되되 상기 연결바(440)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장바(460)와, 연장바(460)의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4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바(440)의 끝부분이 힌지연결부(230)에 축핀(231)으로 힌지 결합된다.
지지바(420)는 상부받침부(300)의 커버(32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공(322)에 일치되는 핀결합공(423)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320)와 지지바(420)가 장핀(324)으로 결합되어 일체가 될 수 있다.
연장바(460)는 본체(2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그 끝단에 형성된 손잡이(470)를 사용자가 쉽게 협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바(440)와 연장바(460)는 둔각의 사잇각(θ)을 갖는다. 즉 약 130°~140°의 사잇각을 갖는다(도 5 참조).
전술한 사잇각(θ)이 130° 이하이면 높이 조절폭이 너무 과도해질 수 있고, 140° 이상이면 수평에 가까워 높이 조절폭이 과소해지고 승강 작동에 과도한 힘이 소요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승강조작부(400)를 연결바(440)의 끝점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시키면 중간의 꺽임부위에 형성된 지지바(420)가 상부받침부(3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작동을 함과 동시에 승강에 소용되는 힘을 월등히 절감시켜줄 수 있게 된다.
특히, 연결바(440)의 끝부분과 연장바(460)의 손잡이(470)는 서로 대각선의 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손잡이(470)를 들어올릴때 상승력이 지지바(420)를 통해 상부받침부(300)를 균등하게 들어올리게 되므로 양측 한쌍의 링크바(41,42)가 뒤틀어지는 폐단이 방지될 수 있고, 균등하게 힘을 분산해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200)의 측면에는 손잡이(470)를 특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고정부(290);가 형성된다.
위치고정부(290)는 본체(200)의 측면을 천공하여 헝성되는 슬롯(292)이되 바람직하게는 종방향의 호형으로 천공 형성되는 슬롯(292)이고, 손잡이(470)가 걸려져서 고정될 수 있도록 슬롯(292)에는 걸림홈(294)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롯(292)의 걸림홈(294)은 상, 중, 하의 3개소에 각기 형성된다. 따라서 승강조작부(400)의 손잡이(470)를 상기 복수개의 걸림홈(294)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켜 상부받침부(30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하는 복수개의 걸림홈(294)의 갯수는 반드시 3개로 한정될 필요는 없을 것이고 그 갯수의 증감은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손잡이(470)는 연장바(460)의 양단이 절곡되어 대칭 형성되어 내부에 끼움부를 갖는 브라켓(472)과, 브라켓(472)의 끼움부에 삽입되며, 축핀으로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작동부재(474)가 포함된다.
작동부재(474)는 노브(476)가 결합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노브(476)가 위치고정부(290)의 걸림홈(294)에 걸려져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조작부(400)는 연장바(460)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450);가 형성된다.
탄성부재(450)는 승강조작부(400)가 위치고정부(290)의 중간부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탄성부재(450)는 신축 작동력이 발생되는 코일스프링이 적당하다.
따라서 코일스프링의 적당한 탄성력에 의해 승강조작부(400)가 보조적인 힘을 받게 되므로 승강조작부(400)의 하강시, 즉 불판(100)이 결합된 상부받침부(300)를 상승시키는 작동시 탄성부재(450)의 누르는 힘이 보조적으로 가해지게 되어 사용자가 힘을 덜 들이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조작부(400)의 손잡이(470)를 잡고 하강시키면 높이변동부(4)의 링크바(41,42)들이 동시에 벌어지게 되어 상부받침부(300)가 하강함으로써 불판(100)과 열원부(240)와의 거리가 이격될 수 있다. 이렇게 할 경우 고기를 천천히 익힐 수 있다.
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조작부(400)의 손잡이(470)를 잡고 하강시키면 높이변동부(4)의 링크바(41,42)들이 동시에 오므려지게 되어 상부받침부(300)가 상승함으로써 불판(100)과 열원부(240)와의 거리가 근접될 수 있다. 이렇게 할 경우 고기를 빨리 익힐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4 : 높이변동부 41,42 : 링크바
100 : 불판 200 : 본체
210 : 측벽부재 230 : 힌지연결부
220 : 지지부 240 : 열원부
290 : 위치고정부 292 : 슬롯
294 : 걸림홈 300 : 상부받침부
320 : 커버 340 : 상판부재
H1 : 제1장공 H2 : 제2장공
400 : 승강조작부 420 : 지지바
440 : 연결바 460 : 연장바
470 : 손잡이 472 : 브라켓
474 : 작동부재 476 : 노브

Claims (3)

  1. 불판과, 상기 불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열원부를 포함하는 고기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열원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측 바닥면의 양측에 측벽부재가 형성되고, 양 측벽부재의 사이에 힌지연결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불판이 결합되는 상부받침부;
    상기 측벽부재와 상부받침부를 연결하며, 상하로 이동하여 상부받침부를 승강 작동시켜 높이를 변경시키는 높이변동부;
    일단이 상기 본체의 힌지연결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며, 중간부위가 상부받침부의 저면에 지지되어 상부받침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변동부는, 상기 상부받침부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측벽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한쌍의 링크바가 'X'자 형상으로 교차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링크바가 절첩작동되어 상기 상부받침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측벽부재는 양측에 상기 한쌍의 링크바의 하단이 구간 이동될 수 있도록 제1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받침부의 측면에는 상기 한쌍의 링크바의 상단이 구간 이동될 수 있도록 제2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조작부는,
    상기 상부받침부의 하부 중심부를 횡단하여 결합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일단부에 직각되게 연장형성되며 본체의 힌지연결부에 힌지결합되는 연결바;
    상기 지지바의 타단에 직각되게 연장형성되되 상기 연결바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장바;
    상기 연장바의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의 끝부분과 연장바의 손잡이는 서로 대각선의 위치에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와 연장바는 둔각의 사잇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손잡이를 특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종방향으로 천공 형성되는 슬롯이며, 상기 슬롯에는 상기 손잡이가 고정되는 걸림홈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
KR1020200148843A 2020-11-09 2020-11-09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 KR102248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843A KR102248193B1 (ko) 2020-11-09 2020-11-09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843A KR102248193B1 (ko) 2020-11-09 2020-11-09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193B1 true KR102248193B1 (ko) 2021-05-04

Family

ID=7591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843A KR102248193B1 (ko) 2020-11-09 2020-11-09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19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980U (ko) * 1994-06-03 1996-01-22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JP2001078898A (ja) * 1999-09-17 2001-03-27 Tanico Corp 炭火グリラー
WO2010054591A1 (zh) * 2008-11-13 2010-05-20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一种烤盘抬杆的无级高度调整机构
KR20150001679U (ko) * 2013-10-24 2015-05-04 이순철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숯통
KR20160012486A (ko) 2014-07-24 2016-02-03 김용선 가스 구이기
KR20200103506A (ko) * 2019-02-25 2020-09-02 최광호 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980U (ko) * 1994-06-03 1996-01-22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JP2001078898A (ja) * 1999-09-17 2001-03-27 Tanico Corp 炭火グリラー
WO2010054591A1 (zh) * 2008-11-13 2010-05-20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一种烤盘抬杆的无级高度调整机构
KR20150001679U (ko) * 2013-10-24 2015-05-04 이순철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숯통
KR20160012486A (ko) 2014-07-24 2016-02-03 김용선 가스 구이기
KR20200103506A (ko) * 2019-02-25 2020-09-02 최광호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78591B (zh) 移动烤肉炉
US5313877A (en) Barbecue grill with controlled heat distribution
US8330080B2 (en) Electric oven with adjustable heating element
KR102230066B1 (ko)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
US8960083B2 (en) Multifunction barbecue oven
US20030005920A1 (en) Adjustable height gas grill
KR101434989B1 (ko) 그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음식물 구이기
KR102248193B1 (ko)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
KR101179742B1 (ko) 그릴 높이조절가능한 구이기
KR102235956B1 (ko)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고기구이기
KR102239775B1 (ko) 야외용 조립식 구이기
KR200383470Y1 (ko) 음식물 구이기
JP7441974B2 (ja) 携帯用直火焼き器
CN1248638C (zh) 烤架单元以及具有所述烤架单元的烹饪设备
KR102526028B1 (ko) 휴대가 용이한 바베큐 그릴
KR101062750B1 (ko) 구이 장치
KR102600195B1 (ko) 다기능 캠핑용 그릴
CA2156018A1 (en) Side burner for barbecue grill
KR20010104733A (ko) 이동식 숯불 구이판
KR102658753B1 (ko) 고기구이기용 연기배출장치
CN2680998Y (zh) 野营式烧烤炉
KR200272458Y1 (ko) 바람막이 수단을 가지는 구이용 조리기구
KR102266134B1 (ko) 인덕션 스위치 보호장치
KR200377269Y1 (ko) 접이식 석쇠
CN109589009B (zh) 一种多功能户外木炭便携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