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506A -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506A
KR20200103506A KR1020190022115A KR20190022115A KR20200103506A KR 20200103506 A KR20200103506 A KR 20200103506A KR 1020190022115 A KR1020190022115 A KR 1020190022115A KR 20190022115 A KR20190022115 A KR 20190022115A KR 20200103506 A KR20200103506 A KR 20200103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ill
pipe
heat source
support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876B1 (ko
Inventor
최광호
Original Assignee
최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호 filed Critical 최광호
Priority to KR1020190022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87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3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10) 상에 지지컬럼(14)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컬럼(14)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회전관(18)이 있다. 상기 회전관(18)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승강관(24)이 있고, 상기 승강관(24)에는 기름받이(50)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기름받이(50) 상에는 석쇠(70)가 안착된다. 상기 기름받이(50) 상의 석쇠(70)는 상기 지지컬럼(14)의 상단에 설치된 상부열원부(38)의 상부열원(42)과의 거리가 달라지도록 승강되고, 상기 상부열원(42)의 영향부를 벗어나도록 상기 지지컬럼(1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기름받이(50)의 안내경사판(58)은 반사판의 역할을 할 수 있어, 상기 상부열원(42)에서 나온 복사열을 반사하여 석쇠(70)에 있는 조리대상물로 보낼 수 있다. 상기 기름받이(50)에는 수거서랍(64)이 있어 기름 등의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이장치{Cooker}
본 발명은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대상물의 상부에 열원이 있고 구이대상물에서 발생하는 기름등의 이물질을 별도로 모아 버릴 수 있도록 된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육류나 생선 등을 구워서 섭취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구이대상물의 하부에 열원이 있어서, 구이대상물에서 나오는 기름 등의 이물질이 열원에 전달되어 열원을 약화시키고 열원에서 연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구이대상물의 상부에 열원을 둔 구이장치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구이대상물의 상부에 열원이 있게 되면 열원을 움직이는 것이 쉽지 않아서 구이대상물과 열원사이의 거리 조절이 쉽지 않아 원하는 대로의 구이요리를 만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구이대상물의 상부에 열원이 있어서 다 구워진 조리물을 꺼내는 경우에 사용자의 손등이 직접 열원과 마주보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열원이 하부에 있는 경우에는 열원에서 나온 복사열 등이 상방으로 전달되어 문제가 없으나, 열원이 조리대상물의 상부에 있는 경우에는 조리대상물에 전달되는 열을 제외한 나머지 복사열이 구이장치의 하부로 전달되어 구이장치의 베이스 부분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38388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81088 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73900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 - 1882166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리대상물의 상부에 있는 열원에 대해 석쇠를 상하로 이동시켜 열원과 조리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석쇠를 열원의 하부 영역을 벗어날 수 있도록 좌우방향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석쇠를 기름받이에 안착시켜 상부열원에서 오는 열을 석쇠가 안착된 기름받이가 차단하여 하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 부분은 특허청구범위와 같은 내용으로 나중에 넣도록 하겠습니다.
본 발명에 의한 구이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름받이가 베이스에 설치된 지지컬럼을 따라 승강되므로 상기 기름받이의 안착단에 가장자리가 안착된 석쇠의 상부열원부에 대한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대상물과 상부열원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구이요리를 보다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석쇠가 얹어진 기름받이가 베이스에 설치된 지지컬럼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석쇠가 상기 지지컬럼에 지지된 상부열원의 영향이 미치는 하부영역을 벗어난 위치에 있을 수 있어서 사용자가 조리대상물을 석쇠에 얹고 꺼내는 것이 안전하고 쉽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석쇠가 베이스 상부에 위치되어 베이스에 고정된 지지컬럼을 따라 승강되고 회전되는 기름받이 상에 안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열원부에서 나오는 열이 석쇠를 통과하더라도 기름받이에 의해 차단되어 더 이상 진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 주변이 상부열원부에 의한 열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기름받이의 안내경사판들을 복사열의 반사가 가능한 것으로 만들게 되면 상기 기름받이의 안내경사판으로 전달된 복사열이 다시 석쇠 상의 조리대상물로 전달될 수 있어 조리대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리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석쇠와 기름받이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조리대상물에서 나오는 기름 등의 이물질을 기름받이가 모아서 수거서랍에 보관하므로 조리시 발생되는 이물질에 의해 구이장치의 주변이 오염되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특히 기름받이본체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석쇠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안착단을 둘러서 석쇠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어 석쇠 상에 있는 조리대상물과 이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 석쇠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전방에서 보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전체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지지컬럼, 회전관, 승강관 사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기름받이와 석쇠 등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기름받이본체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상부열원과 석쇠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상부열원의 영향부에서 석쇠가 빠져나오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기름받이와 지지컬럼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따르면, 본 실시례의 장치에는 베이스(10)가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전체 장치를 바닥에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1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레그(12)가 있다. 상기 레그(12)는 실질적으로 바닥에 안착되는 것으로 마찰력이 큰 재질로 만들어져 바닥에 대해 베이스(10)가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10)는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4각판형상이나, 원판, 타원판 등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으로는 전원공급과 관련된 것이 있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열원(4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상부열원(42)이 전기 이외의 다른 것을 사용한다면, 그와 관련된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열원(42)이 가스를 사용하면 가스의 공급과 관련된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는 지지컬럼(14)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컬럼(14)은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열원부(36), 기름받이(50)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컬럼(14)의 하부는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커서 지지단(14')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단(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관(18)의 하단이 안착된다. 상기 지지컬럼(14)의 내부에는 연통공(16)이 형성되어 상부열원(42)으로 공급되는 전기나 가스 등을 위한 부품들이 위치된다.
상기 지지컬럼(14)이 내부를 관통하게 회전관(18)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관(18)은 아래에서 설명될 기름받이(50)와 석쇠(70)의 좌우 회전을 위해 회전되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관(18)은 상기 지지컬럼(14)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다. 상기 회전관(18)은 상기 지지컬럼(14)의 상부 일부와 하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을 둘러싸게 된다. 상기 회전관(18)의 하단은 상기 지지컬럼(14)의 지지단(14')에 안착된다.
상기 회전관(18)의 중간부분에는 상하로 길게 이동가이드단(18')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이동가이드단(18')은 아래에서 설명될 승강관(24)의 안내채널(24') 내에 위치되어 승강관(24)과 회전관(18)이 함께 회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승강관(24)의 승강경로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회전관(18)의 일측에는 회전고정노브(19)가 있다. 상기 회전고정노브(19)는 상기 회전관(18)을 관통하여 지지컬럼(14)의 외면에 선단이 밀착되어 회전관(18)이 지지컬럼(14)에 대해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회전고정노브(19)를 지지컬럼(14)에 밀착시키거나 풀어서 회전관(18)의 회전을 규제하게 된다.
아래에서 설명될 기름받이(50)의 승강을 위한 승강구동부(20)가 상기 회전관(18)의 중간부분에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20)를 조작함에 의해 기름받이(50)(석쇠(70)도 함께)가 승강된다. 상기 승강구동부(20)를 구성하는 것으로 랙기어부(22)가 있다. 상기 랙기어부(22)는 상기 회전관(18)의 이동가이드단(18') 상에 형성된다. 물론, 반드시 이동가이드단(18')에 랙기어부(22)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이동가이드단(18')에 랙기어부(22)가 형성되면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구동부(20)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관(18)을 둘러싸도록 승강관(24)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관(24)은 상기 회전관(18)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관(24)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사방향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내부에 안내채널(24')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채널(24')은 상기 승강관(24)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안내채널(24')에는 상기 이동가이드단(18')이 위치되어 안내된다.
상기 승강관(24)에는 승강구동노브(26)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구동노브(26)는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승강관(24)의 돌출된 부분 양단에 하나씩 2개가 있다. 상기 승강구동노브(26)는 상기 승강관(24)을 승강시키는 힘을 사용자가 가하는 부분이다. 즉, 수동으로 상기 승강관(24)을 승강시킬 때 사용자가 돌리는 부분이다. 상기 승강구동노브(26)를 쓰는 대신에 전동모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구동노브(26)는 양측의 것이 연결축(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축에는 구동기어(28)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28)는 상기 랙기어부(22)와 치합되어 연동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구동노브(26)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28)가 회전하면 상하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기 회전관(18)(랙기어부(22)가 있는)이 이동하는 대신에 상기 구동기어(28)가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승강관(24)의 승강운동을 만들어낸다. 상기 구동기어(28)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승강관(24)에는 기어커버(29)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컬럼(14)의 상단에는 지지대(3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3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일단부에 있는 연결캡(32)이 상기 지지컬럼(14)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캡(32)은 상기 지지컬럼(14)의 상단에 압입 또는 나사부에 의한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연결캡(32)이 상기 지지컬럼(14)에 대해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30)의 타단에는 연결구(34)가 있다. 상기 연결구(34)는 상부열원부(36)와 결합된다. 상기 연결구(34)는 대략 일단부가 막힌 원통형상으로 되어 상기 상부열원부(36)와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30)와 연결구(34)의 내부에도 지지컬럼(14)의 연통공(16)과 같은 연통공이 있어야 한다.
상부열원부(36)는 조리대상물의 상부에서 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열원부(36)의 외관을 아웃커버(38)가 형성한다. 상기 아웃커버(38)는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데, 난연성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아웃커버(38)의 내부에는 인너커버(40)가 있고 상기 인너커버(40)의 내부에 상부열원(42)이 있다. 상기 상부열원(42)으로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열원(42)은 전기를 사용하는 근적외선램프, 원적외선램프, 석영관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될 수 있고,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버너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열원(42)은 상기 인너커버(4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너커버(40)의 내면과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반사판(44)이 있다. 상기 반사판(44)은 상부열원(42)에서 나온 복사열을 아래에서 설명될 석쇠(70)쪽으로 반사하게 된다. 상기 인너커버(40)의 외면이나 아웃커버(38)의 내면에는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층에 의해 상부열원(42)에서 나오는 열이 전도되어 상기 아웃커버(38)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아웃커버(38)의 외면에는 보호철망(46)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호철망(46)은 아웃커버(38)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설치되어 사용자들이 아웃커버(38)로 전도된 열에 의해 부상을 입는 것을 차단한다. 도면부호 48은 통기공이다.
기름받이(50)는 상기 지지컬럼(14)의 중간 높이 정도에 설치된다. 상기 기름받이(50) 상에는 석쇠(70)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기름받이(50)와 석쇠(70)는 일체로 승강 및 회전운동할 수 있다. 상기 기름받이(50)의 골격과 외관을 기름받이본체(52)가 형성한다. 상기 기름받이본체(52)의 내부에는 상부로 개방되게 안내공간(53)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공간(53)의 상단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안착단(54)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54)에는 상기 석쇠(70)의 가장자리가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공간(53)의 상단 입구 형상과 상기 석쇠(70)의 형상은 동일하게 만들어진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석쇠(70)가 직사각형이어서 상기 안내공간(53)의 상단 입구도 직사각형이다. 하지만 직사각형 외에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안착단(54) 외측을 둘러서는 석쇠가이드(56)가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석쇠가이드(56)는 상기 석쇠(70)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석쇠(70)에 놓여있는 조리대상물이 석쇠(70)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내공간(53)의 바닥면은 다수개의 안내경사판(58)으로 된다. 상기 안내경사판(58)은 상기 안내공간(53)의 중앙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안내경사판(58)은 본 실시례에서 4개가 있다. 각각의 안내경사판(58)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고 상기 안내경사판(58)의 하단에는 낙하슬롯(60)이 있다. 즉 상기 안내경사판(58)의 하단 끝부분은 서로 만나지 않게 되어 낙하슬롯(6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경사판(56)은 상기 상부열원(42)에서 나오는 복사열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판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석쇠(70)를 지나 안내경사판(56)에 도달한 복사열을 반사하여 다시 석쇠(70) 상의 조리대상물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안내경사판(56)의 경사는 복사열을 석쇠(70)의 중심쪽으로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리대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낙하슬롯(60)과 연통되게 상기 기름받이본체(52)의 하단에는 서랍안착부(62)가 있다. 상기 서랍안착부(62)에는 수거서랍(64)이 위치된다. 상기 수거서랍(64)에는 상기 안내경사판(58)을 따라 내려온 기름이나 이물질 등이 낙하되어 모아진다. 상기 수거서랍(64)의 전면에는 손잡이(65)가 있다. 상기 손잡이(65)는 사용자가 상기 수거서랍(64)을 취급할 때 잡는 부분이다. 상기 수거서랍(64)은 상기 서랍안착부(62)의 내부에 안착되어 기름 등의 이물질을 받는다.
상기 기름받이본체(52)를 상기 지지컬럼(14)에 설치하기 위해 제1이동가이드(66)가 상기 기름받이본체(52)의 일단부에 있다. 상기 제1이동가이드(66)는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상기 제1이동가이드(66)가 안내되는 제2이동가이드(67)가 상기 승강관(2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이동가이드(67)의 내부에는 이동채널(67')이 있다. 상기 이동채널(67')은 상기 제1이동가이드(66)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이동가이드(67)의 선단에 직교하게 받침대(67")가 있다. 상기 받침대(67")는 상기 제2이동가이드(67)에 지지되는 기름받이(50)에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대(67")가 상기 기름받이(50)의 일단부 외면에 밀착되어 받쳐서 처짐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채널(67') 내에서 상기 제1이동가이드(66)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위치설정노브(69)가 있다. 상기 위치설정노브(69)는 상기 제2이동가이드(67)에 설치되어 선단이 상기 이동채널(67')내로 돌출되고 상기 제1이동가이드(66)의 외면에 밀착되어 위치설정작용을 한다.
상기 석쇠(70)는 상기 기름받이(50)의 안착단(54)에 가장자리가 안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기름받이(50)와 일체로 이동된다. 즉, 상기 석쇠(70)는 상기 승강구동부(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컬럼(14)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지지컬럼(14)을 중심으로 소정 길이만큼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석쇠(70)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이나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구이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이장치는 베이스(10)에 설치된 지지컬럼(14)을 따라 기름받이(50)가 승강되고, 지지컬럼(14)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름받이(50) 상에는 석쇠(70)가 안착되어 있어 조리대상물은 석쇠(70)에 얹은 상태에서 이와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열원(42)과 상기 석쇠(70) 사이의 거리를 상기 기름받이(50)의 높이를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고, 상부열원(42)의 영역에서 석쇠(70)가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기름받이(50)를 지지컬럼(14)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먼저, 상기 석쇠(70)와 상부열원(4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기름받이(50)를 상기 승강구동부(20)를 사용하여 승강시키는 것을 설명한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고정노브(25)를 어느 정도 풀어서 상기 회전관(18)에 대해 상기 승강관(24)이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고, 상기 승강구동노브(26)를 조작한다. 상기 기름받이(50)와 석쇠(70)를 상기 상부열원(42)쪽으로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승강구동노브(26)를 도 7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석쇠(70)가 상기 상부열원(42)에 접근하게 되면 조리대상물로 더 많은 열이 전달되어 신속하게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노브(26)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기름받이(50)가 승강되는 것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승강구동노브(26)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28)가 상기 회전관(18)의 이동가이드단(18')에 있는 랙기어부(22)와 맞물려 회전하면 상기 구동기어(28)가 랙기어부(22)를 따라 이동되는데, 이와 같은 이동에 의해 상기 승강관(24)이 상기 회전관(18)에 대해 승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관(24)의 이동은 상기 승강관(24)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기름받이(50)에 연결되는 상기 제2이동가이드(67)의 이동을 만들어 상기 기름받이(50)가 승강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관(18)에 대해 상기 승강관(24)이 승강되는 것은 상기 이동가이드단(18')이 상기 안내채널(24')내에 위치되어 상대 이동함에 의해 안내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상기 승강관(24)은 상기 회전관(18)에 대해 일정한 궤적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높이에 상기 승강관(24)이 위치하면 상기 승강고정노브(25)를 조아서 위치를 고정시키면 된다.
그리고, 상기 기름받이(50)를 하강시키는 동작은 단지 상기 승강구동노브(26)를 반대방향으로 돌리는 것을 제외하면 위의 설명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노브(26) 대신에 전동모터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방향을 달리함에 의해 기름받이(50)와 석쇠(70)를 원하는 위치로 승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름받이(50)를 상기 지지컬럼(14)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기름받이(50)가 지지컬럼(1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는 것은 상기 기름받이(50)에 안착되어 있는 석쇠(70) 상의 조리대상물이 상기 상부열원(42)의 영향권을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석쇠(70) 상에 조리대상물을 올리거나 조리된 조리대상물을 내릴 때 필요한 동작이다. 즉, 상기 상부열원(42)의 영향권을 벗어난 상태에서 조리대상물을 꺼내고 넣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부열원(42)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기름받이(50) 즉 상기 석쇠(70)의 회전은 상기 지지컬럼(14)에 대해서상기 회전관(18)이 회전되도록 하면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회전고정노브(19)를 풀고 상기 회전관(18)을 상기 지지컬럼(14)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관(18)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동가이드단(18')이 안내채널(24') 내에 있어서 상기 승강관(24)과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기름받이(50)는 상기 지지컬럼(1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도 8에는 상기 기름받이(50)가 상기 지지컬럼(14)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들이 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기름받이(50)는 상기 제1이동가이드(66)가 상기 제2이동가이드(67)의 이동채널(67')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름받이(50)는 상기 지지컬럼(14)에 대해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이동가이드(66)가 이동채널(67') 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위치설정노브(69)를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기름받이(50)의 일단부가 상기 상부열원(42)의 영향부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부열원(42)의 영향부를 벗어난 부분에 있는 석쇠(70) 영역에 조리가 완성된 조리대상물을 두어 사용자들이 쉽게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열원(42)에서 제공되는 복사열을 주로 사용하여 조리를 수행한다. 상기 기름받이(50) 상에 안착된 석쇠(70)에 올려진 조리대상물에는 상기 상부열원(42)에서 제공된 복사열이 가해져 구워진다. 이때, 조리대상물에서 나오는 기름 등의 이물질은 상기 석쇠(70)에서 떨어져 상기 안내공간(53)으로 간다. 상기 안내공간(53)으로 낙하된 기름 등의 이물질은 상기 안내경사판(58)의 경사에 의해 상기 낙하슬롯(60)으로 전달된다. 상기 낙하슬롯(60)을 통과한 기름 등의 이물질은 상기 수거서랍(64)에 모아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열원(42)에서 나온 복사열은 상기 석쇠(70) 상의 조리대상물에 전달되지만 나머지는 상기 기름받이본체(52)의 안내경사판(58)으로 전달된다. 상기 안내경사판(58)으로 전달된 복사열은 더 이상 하부로 전달될 수 없어서 상기 베이스(10)등에 열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안내경사판(58)에서 열이 전도더라도 상기 서랍안착부(62) 등으로 전도되고 상기 서랍안착부(62)의 외면은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어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열을 외부로 쉽게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경사판(58)이 복사열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판으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상기 안내경사판(58)에서 복사열이 반사되어 상기 석쇠(70) 상에 있는 조리대상물로 다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안내경사판(58)에서 반사된 복사열은 석쇠에 있는 조리대상물의 하부로 전달되어 조리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석쇠(70)에 놓여진 조리대상물의 상면은 상부열원(42)으로 부터 오는 복사열로 조리가 되고 하면은 상기 안내경사판(58)에서 반사되어 오는 복사열로 조리가 되어 보다 신속하게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조리가 끝난 후에는 상기 수거서랍(64)을 상기 서랍안착부(62)로부터 손잡이(65)를 사용하여 빼내어 기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상기 서랍안착부(62)에 삽입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이동가이드단(18')에 랙기어부(22)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랙기어부(22)가 없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승강구동노브(26)와 구동기어(28) 등을 없애고 단지 상기 이동가이드단(18')이 안내채널(24')을 따라 승강되고, 승강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승강고정노브(25)를 사용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석쇠(70)와 상부열원(42) 사이의 거리 조절을 위해서 상기 승강고정노브(25)를 푼 상태에서 사용자가 적절한 위치로 석쇠(70)를 이동시키고,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승강고정노브(25)를 조아주면 된다.
10: 베이스 12: 레그
14: 지지컬럼 14': 지지단
16: 연통공 18: 회전관
18': 이동가이드단 20: 승강구동부
22: 랙기어부 24: 승강관
24': 안내채널 26: 승강구동노브
28: 구동기어 29: 기어커버
30: 지지대 32: 연결캡
34: 연결구 36: 상부열원부
38: 아웃커버 40: 인너커버
42: 상부열원 44: 반사판
46: 보호철망 48: 통기공
50: 기름받이 52: 기름받이본체
53: 안내공간 54: 안착단
56: 석쇠가이드 58: 안내경사판
60: 낙하슬롯 62: 서랍안착부
64: 수거서랍 65: 손잡이
66: 제1이동가이드 67: 제2이동가이드
67': 이동채널 67": 받침단
69: 위치설정노브 70: 석쇠

Claims (15)

  1.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지지컬럼과,
    상기 지지컬럼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부열원이 상기 베이스 쪽으로 열을 제공하는 상부열원부와,
    상기 지지컬럼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조리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모으는 수거서랍을 구비하며 상기 수거서랍으로 이물질을 안내하는 안내경사판을 구비하는 기름받이와,
    상기 기름받이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열원에서 나오는 복사열로 조리가 되는 조리대상물이 얹어지는 석쇠를 포함하는 구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경사판은 복사열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판으로 상기 상부열원에서 나오는 복사열을 상기 석쇠 상의 조리대상물로 반사하는 구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의 골격을 형성하는 기름받이본체에는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로 개방된 안내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안내경사판의 상단에 해당되는 안내공간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안착단이 형성되어 상기 석쇠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구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단을 둘러서는 석쇠가이드가 소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석쇠에 얹어진 조리대상물이 외부로 낙하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본체의 일단에는 제1이동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컬럼 측에는 제2이동가이드가 설치되어 상기 제1이동가이드가 제2이동가이드의 이동채널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지지컬럼과 기름받이본체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구이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컬럼의 상단과 하단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둘러싸게 회전관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승강관이 상기 회전관과 일체로 회전하게 설치되며 상기 승강관은 상기 기름받이와 연결되어 상기 기름받이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구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관은 상기 회전관에 대해 상하로 이동되는데 상기 회전관에 형성된 이동가이드단이 상기 승강관에 형성된 안내채널에 안내되어 승강관의 승강궤적이 안내되는 구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단에는 랙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관에는 상기 랙기어부에 맞물려 연동되는 구동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관이 상기 회전관에 대해 승강되는 구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전동모터나 승강구동노브에 의해 구동되는 구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관을 관통하여 선단이 상기 회전관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승강고정노브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관을 관통하여 선단이 상기 지지컬럼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회전고정노브가 설치되는 구이장치.
  11.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지지컬럼과,
    상기 지지컬럼의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지지컬럼에 대해 회전되는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회전관에 대해 승강되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지지컬럼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부열원이 상기 베이스 쪽으로 열을 제공하는 상부열원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구동부와 함께 동작되고 조리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모으는 수거서랍을 구비하며 상기 수거서랍으로 이물질을 안내하는 안내경사판을 구비하는 기름받이와,
    상기 기름받이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열원에서 나오는 복사열로 조리가 되는 조리대상물이 얹어지는 석쇠를 포함하는 구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회전관의 일부를 둘러싸는 승강관과, 상기 회전관의 외면에 돌출되고 회전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승강관에 형성된 안내채널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가이드단과, 상기 이동가이드단에 형성된 랙키어부와, 상기 승강관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부와 연동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동작시키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구이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경사판은 복사열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판으로 상기 상부열원에서 나오는 복사열을 상기 석쇠 상의 조리대상물로 반사하는 구이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의 골격을 형성하는 기름받이본체에는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로 개방된 안내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안내경사판의 상단에 해당되는 안내공간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안착단이 형성되어 상기 석쇠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구이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단을 둘러서는 석쇠가이드가 소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석쇠에 얹어진 조리대상물이 외부로 낙하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이장치.


KR1020190022115A 2019-02-25 2019-02-25 구이장치 KR102205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115A KR102205876B1 (ko) 2019-02-25 2019-02-25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115A KR102205876B1 (ko) 2019-02-25 2019-02-25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506A true KR20200103506A (ko) 2020-09-02
KR102205876B1 KR102205876B1 (ko) 2021-01-21

Family

ID=7246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115A KR102205876B1 (ko) 2019-02-25 2019-02-25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8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956B1 (ko) * 2020-11-11 2021-04-02 김민이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고기구이기
KR102235955B1 (ko) * 2020-11-06 2021-04-02 김민이 회전식 불판을 구비한 고기구이기
KR102248193B1 (ko) * 2020-11-09 2021-05-04 김민이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
CN113827117A (zh) * 2021-11-05 2021-12-24 上海玺农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烧烤用自动烤箱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536A (ja) * 1998-02-24 1999-09-07 Paloma Ind Ltd グリル焼き網昇降装置
KR20010046965A (ko) * 1999-11-16 2001-06-15 박봉남 복사열판으로 구성된 구이장치
KR200238388Y1 (ko) 2001-03-17 2001-10-18 박명덕 상열하육의 불고기 구이기
KR100588136B1 (ko) * 2005-01-13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0887729B1 (ko) * 2007-10-01 2009-03-12 권경희 가스연소 복사열에 의한 조리장치
KR101281088B1 (ko) 2011-04-04 2013-07-02 유상근 이중 구이판
KR200473900Y1 (ko) 2012-06-11 2014-09-19 이진희 로스터의 구이판 조립체
KR20160012486A (ko) * 2014-07-24 2016-02-03 김용선 가스 구이기
US20160367073A1 (en) * 2014-07-11 2016-12-22 Dennis Carl Smith Automatic cooker
KR101882166B1 (ko) 2017-02-13 2018-07-26 자이글주식회사 조리팬의 위치조정 및 이동이 가능한 조리팬 회전식 적외선 조리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536A (ja) * 1998-02-24 1999-09-07 Paloma Ind Ltd グリル焼き網昇降装置
KR20010046965A (ko) * 1999-11-16 2001-06-15 박봉남 복사열판으로 구성된 구이장치
KR200238388Y1 (ko) 2001-03-17 2001-10-18 박명덕 상열하육의 불고기 구이기
KR100588136B1 (ko) * 2005-01-13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0887729B1 (ko) * 2007-10-01 2009-03-12 권경희 가스연소 복사열에 의한 조리장치
KR101281088B1 (ko) 2011-04-04 2013-07-02 유상근 이중 구이판
KR200473900Y1 (ko) 2012-06-11 2014-09-19 이진희 로스터의 구이판 조립체
US20160367073A1 (en) * 2014-07-11 2016-12-22 Dennis Carl Smith Automatic cooker
KR20160012486A (ko) * 2014-07-24 2016-02-03 김용선 가스 구이기
KR101882166B1 (ko) 2017-02-13 2018-07-26 자이글주식회사 조리팬의 위치조정 및 이동이 가능한 조리팬 회전식 적외선 조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955B1 (ko) * 2020-11-06 2021-04-02 김민이 회전식 불판을 구비한 고기구이기
KR102248193B1 (ko) * 2020-11-09 2021-05-04 김민이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
KR102235956B1 (ko) * 2020-11-11 2021-04-02 김민이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고기구이기
CN113827117A (zh) * 2021-11-05 2021-12-24 上海玺农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烧烤用自动烤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876B1 (ko)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876B1 (ko) 구이장치
US9314134B2 (en) Electrical portable broiler
US8281709B2 (en) Indoor range-top grill
JP5054822B2 (ja) 赤外線加熱調理器
AU2013283594B2 (en) Grill
US8752479B2 (en) Indoor range-top grill
US8993026B2 (en) Infrared portable broiler
US20150004297A1 (en) Outdoor grill, oven and fire pit unit
KR101643391B1 (ko) 적외선의 가열모듈을 갖춘 조리기구
KR20150013401A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100702181B1 (ko) 후드의 무빙그릴
KR100701252B1 (ko) 고기구이테이블
KR20160017496A (ko) 적외선 가열 조리장치
AU2017276807A1 (en) Slow cooker
KR101806772B1 (ko) 화로구이 장치
KR101179742B1 (ko) 그릴 높이조절가능한 구이기
KR100952758B1 (ko) 구이용 불판
KR101624872B1 (ko) 승강식 로스터 장치
JP7441974B2 (ja) 携帯用直火焼き器
KR20090008067U (ko) 고기 구이장치
KR100755214B1 (ko) 구이테이블
KR200296333Y1 (ko) 화덕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이기
KR101479422B1 (ko) 숯불구이기
KR200399723Y1 (ko)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KR101648950B1 (ko) 캠핑용 회전식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