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181B1 - 후드의 무빙그릴 - Google Patents

후드의 무빙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181B1
KR100702181B1 KR1020060013039A KR20060013039A KR100702181B1 KR 100702181 B1 KR100702181 B1 KR 100702181B1 KR 1020060013039 A KR1020060013039 A KR 1020060013039A KR 20060013039 A KR20060013039 A KR 20060013039A KR 100702181 B1 KR100702181 B1 KR 100702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od
moving
suppor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능구
이한철
박형희
신현곤
김효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스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스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스한트
Priority to KR1020060013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181B1/ko
Priority to JP2006272971A priority patent/JP4413213B2/ja
Priority to CNB2006101371095A priority patent/CN100541012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의 무빙그릴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 상기 용기가 후드의 내부로 이동하여 미리 설정된 제1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그 용기의 상부를 덮는 위치에 있도록 상기 후드에 고정 설치된 덮개; 상기 용기가 상기 후드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후드의 외부에 미리 설정된 위치인 제2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그 용기를 지지하여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상기 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리할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가 후드의 외부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후드, 그릴, 용기, 이동

Description

후드의 무빙그릴{Moving grill of hood}
도1은 본 발명이 무빙그릴이 구비된 후드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2는 도1의 우측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요부인 무빙그릴을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도3의 정면도;
도5는 도3의 우측 단면도;
도6은 도3의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드 10 : 하우징
12 : 덕트연결부 14 : 모터부
16 : 안내레일 20 : 용기지지대
22 : 하판 24 : 측판
26 : 후판 28 : 슬라이더
30 : 용기 40 : 모터
42 : 회전축 44 : 베어링
46 : 피니언 50 : 랙
60A, 60B : 리미트스위치 70 : 덮개
72 : 히터 73 : 전선
74 : 팬 76 : 모터
본 발명은 후드의 무빙그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할 음식물을 넣기 위한 용기가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와 연기, 습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된 후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이 편리한 후드의 무빙그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와 연기,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가스렌지의 상부에 일정 높이 떨어져 배치되는 후드가 구비되며, 이 후드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과,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 등이 설치된다.
따라서, 음식을 조리할 때 모터를 구동하여 팬을 회전시키면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와 연기, 습기 등이 후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실내를 쾌적한 환경을 갖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후드에는 생선을 굽기 위한 오븐이나 전자렌지 등이 설치되기도 하는데, 이는 생선을 굽기 위한 오븐이나 전자렌지 등이 후드에서 멀리 떨어져 배치되는 경우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와 연기, 습기 등의 대부분이 후드를 통해 배출되지 않고 실내에 확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생선을 굽기 위한 오븐이나 전자렌지 등을 후드에 직접 설치하는 경 우, 후드가 가스렌지의 상부에 일정 높이 떨어져 배치되는 이유로 생선을 굽기 위한 오븐이나 전자렌지를 사용하는 것이 불편한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리할 음식물을 넣기 위한 용기가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와 연기, 습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된 후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성된 후드의 무빙그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와 연기, 습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된 후드에 설치되는 것으로,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 상기 용기가 후드의 내부로 이동하여 미리 설정된 제1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그 용기의 상부를 덮는 위치에 있도록 상기 후드에 고정 설치된 덮개; 상기 용기가 상기 후드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후드의 외부에 미리 설정된 위치인 제2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그 용기를 지지하여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상기 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후드의 무빙그릴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와 연기, 습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된 후드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후드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구비된 용기지지대; 상기 용기지지대에 놓여지고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 상기 용기가 후 드의 내부로 이동되었을 때 그 용기의 상부를 덮는 위치에 있도록 상기 후드에 고정 설치된 덮개; 상기 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가열수단; 및 상기 용기가 후드의 내부로 들어가고 후드의 외부로 나오도록 상기 용기지지대를 상하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후드의 무빙그릴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그릴이 설치된 후드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의 우측 단면도이다.
후드(1)는 가스렌지의 상부에 일정 높이 떨어져 배치되도록 주방의 벽면에 고정되는 하우징(10)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와 연기, 습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이 갖춰지며, 이러한 구성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종래의 것의 어느 하나이면 충분하다. 일례로서, 하우징(10)의 상측에는 덕트(미도시됨)가 연결되는 덕트연결부(12)가 구비되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덕트연결부(12)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모터가 내장된 모터부(1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에는 조리할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30)가 이동수단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제1 및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위치는 후드의 내부, 즉 하우징(10) 내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 설정되고 제2 위치는 후드의 외부, 즉 하우징(10) 외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 설정된다. 상기 제1 위치는 후술하는 것처럼 용기지지대(20) 및 그에 올려진 용기(30)가 하우징(10)의 하단보다 더 하강된 상태로 설정되면 충분하며, 이는 용기(30)가 제1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키가 작은 사람인 경우에도 용기지지대(20)에 얹혀진 용기(30)에 음식물을 담거나 빼내는 것을 손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는 후술하는 것처럼 용기(30)의 상부에 덮개(70)가 덮여지는 위치로 설정되며, 이는 히터(72)에 전원이 공급되어 용기(30)에 담겨진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용기(30)는 조리할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모양을 가지면 충분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용기(30)로 지칭하였으나 이 용기(30) 대신에 생선을 굽기 위한 오븐이나 전자렌지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변형된 구성이 가능하며 이렇게 변형 가능한 모든 구성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상기 이동수단은 용기를 지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며, 상기 용기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로는 상기 이동수단의 구성에 따라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수단은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작동하여 직선 또는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직선 또는 회전 운동을 상기 지지부에 전달하여 그 지지부가 미리 설정된 위치, 즉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용기가 상기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변환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후술하는 용기지지대(20)일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나 실린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환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예컨대 기어, 와이어, 링크 등을 이용하여 구동부의 회전 또는 직선 운동을 지지부의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환부의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이면 충분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구체화된 이동수단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지지부로서 용기지지대(20)가 구비되고, 이 용기지지대(20)는 상하로 승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용기(30)는 용기지지대(20)의 상부에 놓여진다.
상기 용기지지대(20)는 용기(30)가 상부에 놓여질 수 있도록 평판 모양을 갖는 하판(22)과, 이 하판(22)의 좌, 우 양측에 각각 수직한 상방으로 길게 뻗은 모양을 갖도록 고정된 측판(24)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지지대(20)는 하 판(22)의 후방쪽 끝단에 수직한 상방으로 길게 뻗은 모양을 갖도록 고정되고 상기 측판(24)을 연결하는 구성을 갖는 후판(26)을 더 갖는다.
구동부로서 모터(40)가 구비되며, 이 모터(40)는 하우징(10)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40)는 하우징(10)의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베어링(44)을 매개로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4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42)은 용기지지대(20)의 상하 승강 경로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용기지지대(20)의 상하 승강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42)의 좌, 우 양측에는 각각 피니언(46)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46)에는 랙(50)이 각각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랙(50)은 용기지지대(20), 바람직하게는 용기지지대(20)를 이루는 후판(26)의 후방 좌우 양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랙(50)의 길이는 용기지지대(20)의 상하 승강 정도를 고려하여 적정하게 설정된다. 예컨대, 랙(50)의 길이는 용기지지대(20)에 올려진 용기(30)가 하우징(10)의 하단보다 더 하부로 하강할 수 있도록, 그리고 용기(30)가 하우징(10)의 내부로 충분히 들어갈 수 있게 상승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상기 용기지지대(20)가 상하 승강하는 경로의 적정 위치에는 용기지지대(20)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적으로 신호를 발생시킴에 의해 상기 모터(40)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용기지지대(20)가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상승하였을 때 작동하여 용기지지대(20)의 최대 상승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상한 리미트스위치(60A)와, 용기지지대(20)가 미리 설정 된 위치까지 하강하였을 때 작동하여 용기지지대(20)의 최대 하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하한 리미트스위치(60B)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접촉방식 또는 비접촉방식에 의해 용기지지대(20)의 위치를 감지하는 구조이면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지지대(20)의 상하 승강 정도를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제한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모터(40)의 회전수를 측정하기 위한 펄스제너레이터 등의 센서를 설치하여 용기지지대(20)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용기지지대(20)의 상하 승강 위치를 제한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지지대(20)의 상하 승강시 용기지지대(20)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되게 하는 구성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드의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하로 길게 형성된 안내레일(16)과, 용기지지대(20)에 설치되어 안내레일(16)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슬라이더(28)가 제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안내레일(16)은 하우징(10)의 좌, 우측의 내부 표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28)는 용기지지대(20)의 좌우 측판(24)의 외부 표면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안내레일(16)은 'ㄷ'자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개방된 부위가 서로 마주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28)는 'ㄷ'자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개방된 부위가 서로 반대쪽으로 향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28)는 안내레일(16)의 개방된 부위에 수용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더(28)의 길이를 상하로 길게 형성시키는 것이 용기지지대(2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레일(16)에는 슬라이더(28)의 좌우 양측에 위 치되어 공회전하는 공회전 롤러(미도시됨)가 설치되며, 이러한 공회전 롤러는 슬라이더(28)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떨어진 여러 개소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더(28)를 1개로 구성한 예를 보이고 있으나, 여러 개의 슬라이더가 갖추어져 서로 겹쳐지고 펼쳐지는 형태로 연결된 구성을 가져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용기(30)에 담겨진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갖는다.
상기 가열수단은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용기(30)에 담겨진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용기(30)에 내장되거나, 용기(30)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덮개(7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선은 용기지지대(20)의 상하 승강 거리를 고려하여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길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요리를 한 후에 용기(30)를 세척할 필요가 있으므로 가열수단이 덮개(70)에 설치되는 후자의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이러한 가열수단은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일례로서 전원의 공급에 의해 열을 방출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가열수단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전파를 방출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마그네트론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히터를 이용하는 구조를 채택하는 구성을 제시하며, 이를 후술한다.
덮개(70)는 하우징(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30)가 용기지지대 (20)와 함께 상승하였을 때 그 용기(3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덮개(70)의 내부에는 전선(73)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됨으로서 용기(30)에 담겨진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72)가 내장된다. 이때, 상기 덮개(70)는 하우징(10)에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을 가지며, 또한 덮개(70)에 연결된 전선은 덮개(7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을 갖는 것이 좋으며, 이는 필요에 의해 덮개(70)를 후드에서 분리하여 세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70)에는 음식물의 가열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히터(72)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기(30)의 내부에서 순환되게 하는 팬(74)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팬(74)은 모터(76)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상기 덮개(70)에는 용기(30)에 담겨진 음식물을 가열할 때 발생되는 냄새와 연기, 습기 등을 용기(3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홈(미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홈은 덮개(70)를 관통하도록 1개 이상 형성되거나 덮개(70)의 가장자리 부위에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덮개(70)에 형성된 홈을 통해 배출되는 냄새와 연기, 습기 등은 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구성요소들, 예컨대 하우징(10)의 모터부(14)에 설치된 모터와, 용기지지대(20)를 상하 승강시키기 위한 모터(40)와, 덮개(70)에 설치된 히터(72) 및 모터(76) 등은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는 스위치(미도시됨)의 온/오프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우징(10)의 전면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시창(18)이 구비되는 것이 좋으며, 이 투시창(18)은 용기지지대(20)에 얹혀 상승되어 있는 용기(30)의 위치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용기(30)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용기(30)의 내부에 넣어진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투시창(18)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음식물 조리에 유용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후드의 무빙그릴은 후드에 설치된 용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을 편리하게 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기(30)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지 않는 경우, 용기지지대(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이 경우, 용기(30)는 용기지지대(20)에 얹혀진 상태이거나, 주방의 다른 장소에 보관되어도 좋다.
이때, 가스렌지 등을 이용하여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와 연기, 습기 등은 후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용기(30)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고자 하는 경우, 모터(40)를 구동시키면 그 모터(4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42)의 피니언(46)이 랙(50)을 하강시킨다. 따라서, 용기지지대(20)가 하강하며, 용기지지대(20)가 일정 위치까지 하강하면 하한 리미트스위치(60B)가 작동되어 모터(40)를 정지시킨다.
이 상태는 용기지지대(20)가 하우징(10)의 하단보다 더 하강된 상태이며, 키가 작은 사람인 경우에도 용기지지대(20)에 얹혀진 용기(30)에 음식물을 담거나 빼내는 것을 손쉽게 할 수 있다.
음식물이 용기(30)에 담겨지고 또한 그 용기(30)가 용기지지대(20)의 하판(22)에 올려진 상태일 때, 정지된 모터(40)를 상기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구동시키 며, 이에 의해 용기지지대(20) 및 그 용기지지대(20)에 올려진 용기(30)가 상승되어 하우징(10)의 내부로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용기지지대(20) 및 그 용기지지대(20)에 올려진 용기(30)가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되면 상한 리미트스위치(60A)가 작동되어 모터(40)를 정지시키며, 이러한 위치에서 용기(30)의 상부에 덮개(70)가 덮여진다.
계속하여, 히터(72)에 전원이 공급되어 용기(30)에 담겨진 음식물이 가열되며, 모터(76)의 구동에 의해 팬(74)이 회전함으로써 용기(30)의 내부 공기가 순환되면서 음식물의 조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용기(30)에 담겨진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히터(72) 및 모터(76)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된다.
이렇게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상기한 방법으로 용기지지대(20)를 하강시켜 용기(30)에 담겨진 음식물을 용기(30)에서 꺼내 시식하며, 필요한 경우 용기(30)를 세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드의 무빙그릴에 의하면, 음식물을 담아 조리하기 위한 용기가 후드의 하우징 내부 및 외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용기에 음식물을 담거나 조리된 음식물을 용기에서 빼내는 것이 쉬워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용기가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음식물이 조리되기 때문에 조리할 때 발생되는 냄새와 연기, 습기 등의 대부분이 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와 연기, 습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된 후드에 설치되는 것으로,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
    상기 용기가 후드의 내부로 이동하여 미리 설정된 제1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그 용기의 상부를 덮는 위치에 있도록 상기 후드에 고정 설치된 덮개;
    상기 용기가 상기 후드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후드의 외부에 미리 설정된 위치인 제2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그 용기를 지지하여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상기 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무빙그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열을 방출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이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무빙그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전파를 방출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마그네트론을 이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무빙그릴.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상기 용기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팬과, 이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구비됨을 특 징으로 하는 후드의 무빙그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작동하여 직선 또는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켜 그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용기가 상기 제1 및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직선 또는 회전 운동을 상기 지지부에 전달하는 변환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무빙그릴.
  6.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와 연기, 습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된 후드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후드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구비된 용기지지대;
    상기 용기지지대에 놓여지고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
    상기 용기가 후드의 내부로 이동되었을 때 그 용기의 상부를 덮는 위치에 있도록 상기 후드에 고정 설치된 덮개;
    상기 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가열수단; 및
    상기 용기가 후드의 내부로 들어가고 후드의 외부로 나오도록 상기 용기지지대를 상하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무빙그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열을 방출하는 히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무빙그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후드에 고정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용기지지대의 상하 승강 경로와 수직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장착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용기지지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랙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무빙그릴.
  9. 제6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상기 용기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팬과, 이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무빙그릴.
KR1020060013039A 2006-02-10 2006-02-10 후드의 무빙그릴 KR100702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039A KR100702181B1 (ko) 2006-02-10 2006-02-10 후드의 무빙그릴
JP2006272971A JP4413213B2 (ja) 2006-02-10 2006-10-04 フードのムービンググリル
CNB2006101371095A CN100541012C (zh) 2006-02-10 2006-10-20 抽油烟机罩的移动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039A KR100702181B1 (ko) 2006-02-10 2006-02-10 후드의 무빙그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181B1 true KR100702181B1 (ko) 2007-04-02

Family

ID=3816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039A KR100702181B1 (ko) 2006-02-10 2006-02-10 후드의 무빙그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2181B1 (ko)
CN (1) CN10054101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296B1 (ko) * 2007-02-15 2008-07-25 주식회사 쿠스한트 소방장치의 안전 작동을 위한 후드
KR100982886B1 (ko) * 2008-06-13 2010-09-16 박시영 승강식 렌지 후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91933B (zh) * 2009-08-31 2011-08-10 绍兴森岛电器有限公司 一种集成灶具
CN202501547U (zh) * 2011-06-01 2012-10-24 杨成圆 吸油烟机电动升降装置
WO2013107102A1 (zh) * 2012-01-19 2013-07-25 Yang Chengyuan 电动升降式吸油烟机
CN103216862A (zh) * 2012-01-21 2013-07-24 大连捷能百利科技有限公司 电动升降式吸油烟机
CN113482947B (zh) * 2021-07-21 2023-04-18 山东众润机械有限公司 一种带有保温功能的升降式烟囱风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8924A (ja) * 2012-07-02 2014-01-20 Kayaba Ind Co Ltd ブレーキ操作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8924A (ja) * 2012-07-02 2014-01-20 Kayaba Ind Co Ltd ブレーキ操作検出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48924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296B1 (ko) * 2007-02-15 2008-07-25 주식회사 쿠스한트 소방장치의 안전 작동을 위한 후드
KR100982886B1 (ko) * 2008-06-13 2010-09-16 박시영 승강식 렌지 후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41012C (zh) 2009-09-16
CN101017007A (zh)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181B1 (ko) 후드의 무빙그릴
CN101336354B (zh) 对烤箱所作改进
KR20210137456A (ko) 호브 시스템
CN101816521A (zh) 一种玻璃烤箱
CN110859525A (zh) 一种多功能锅
KR20200103506A (ko) 구이장치
KR100914173B1 (ko) 회전 구이기
KR100701252B1 (ko) 고기구이테이블
KR100848295B1 (ko) 후드의 무빙그릴 리프팅 구조
KR100866501B1 (ko) 내부 조리공간을 갖는 후드의 배기구조
KR100715399B1 (ko) 후드의 무빙그릴
JP2008229152A (ja) 複合加熱調理器
JP4930334B2 (ja) 調理機器
KR100755214B1 (ko) 구이테이블
CN211511498U (zh) 一种多功能锅
KR101469130B1 (ko) 배기후드
JP2009112557A5 (ko)
KR100652585B1 (ko) 주방용 후드의 차단판 개폐장치
KR100700771B1 (ko) 슬라이딩 타입의 백가드가 구비된 오븐레인지
KR20090010632U (ko) 로스터
CN102188165B (zh) 防止爆油飞溅的电烤箱
JP2566222Y2 (ja) レンジフード
EP2704616B1 (en) Built-in grill
JPH05285018A (ja) システム家具
KR101461027B1 (ko) 튀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