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632U - 로스터 - Google Patents

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632U
KR20090010632U KR2020080004960U KR20080004960U KR20090010632U KR 20090010632 U KR20090010632 U KR 20090010632U KR 2020080004960 U KR2020080004960 U KR 2020080004960U KR 20080004960 U KR20080004960 U KR 20080004960U KR 20090010632 U KR20090010632 U KR 200900106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end side
rotating plate
coupled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훈
Original Assignee
유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훈 filed Critical 유동훈
Priority to KR2020080004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632U/ko
Publication of KR200900106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6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로스터(Roaster)가 개시된다. 상기 로스터는 모터와 링크에 의하여 버너부가 승강하므로, 종래의 가스로스터와 같이 컨트롤박스가 필요 없다. 따라서, 원가가 감소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로스터 {ROASTE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버너부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버너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본체 220 : 보관함
230 : 버너부 240 : 공기안내관
250 : 지지통 260 : 모터
271 : 지지링 273 : 회전판
275 : 링크
본 고안은 로스터(Roaster)에 관한 것이다.
조리물의 대상에 따른 화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버너를 승강가능하게 설치한 가스로스터가 대한민국실용신안출원번호 20-2000-35298호(공고일자:2001.6.1)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가스로스터(100)는 컨트롤박스(180)에 설치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스테핑 모터(148)가 정역회전하면서 샤프트(146)를 정역회전시킨다. 그러면, 샤프트(146)에 결합된 피니언(144)도 정역회전하고, 이로인해 피니언(144)에 맞물린 래치(142)가 승강하면서 버너(130)를 승강시킨다. 그리하여, 육류를 구울 때에는 버너(130)를 하강시켜서 사용하고, 탕을 할 때에는 버너(130)를 상승시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가스로스터(100)는 스테핑 모터(148)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박스(180)가 필요하므로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컨트롤박스(180)는 열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컨트롤박스(180)가 버너(130)에서 발생되는 고열에 의하여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로인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스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는, 일면은 개방되고, 내 부에는 숯통 또는 탕 요리용 용기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면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가스 공급로가 형성된 지지관; 상기 본체에 결합된 모터; 상기 지지관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관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터에 의하여 승강하는 버너부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스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는 케이스 형상의 본체(210)를 구비한다.
이하, 본체(210) 및 다른 구성요소들의 방향 및 면을 지칭함에 있어서, 본체(210)의 수직방향 상측을 향하는 방향 및 면을 "상측 및 상면", 수직방향 하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측 및 하면"이라 한다.
본체(210)의 상면은 개방되고, 측면에는 각종 버튼이 설치된 보관함(220)이 결합된다.
본체(210)의 하면 중앙부측에는 버너부(230)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210)의 하면에는 버너부(230)를 감싸는 형태로 공기안내관(240)이 설치된다. 공기안내관(240)의 내부 상측에는 후술할 숯통(310)(도 4a참조)이 위치되는데, 외부의 공기는 공기안내관(240)을 통하여 숯통(310)측으로 유입된다.
본체(210)의 내부 상측 부위에는 상면 전체와 하면 중앙부 측이 개방된 대략 케이스 형상의 지지통(250)이 설치된다. 이때, 지지통(250)의 하면은 안내관(240)의 상면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된다. 지지통(250)은 상면 테두리부측이 본체(210)의 내주면 상부측에 형성된 단면(段面)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지지통(250)의 상부측 내주면에는 복수의 통공(251)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물이 저장되는 물받이(253)가 형성된다. 통공(251)으로는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가 배출되고, 물받이(253)에는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이물질이 낙하되어 저장된다.
지지통(250)의 내부에는 삼발이(410)(도 4b 참조)가 지지되어 설치되는데, 삼발이(410)에는 탕 요리용 용기(420)(도 4b 참조)가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200)는 숯불을 이용하여 육류를 구울수 도 있고, 버너부(230)를 이용하여 탕 등의 요리를 할 수 있다. 이때, 요리의 종류에 따라 버너부(230)를 승강시켜 요리를 할 수 있는데, 버너부(230)의 승강구조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버너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의 하면 중앙부측에는 지지관(212)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지지관(212)의 외주면에는 버너부(230)가 지지되고, 지지관(212)의 내부에는 가스가 공급되는 공급로가 형성된다.
버너부(230)는 지지관(212)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삽입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승강관(231)과 승강관(231)의 상단면(上端面)에 일체로 형성되며 불꽃을 방사(放射)하기 위한 방사공이 형성된 헤드부(235)를 가진다.
본체(210)의 하면에는 버너부(230)를 승강시키기 위한 모터(260)가 설치되는데, 모터(260)의 회전력에 의하여 버너부(230)가 승강되는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 다.
승강관(231)의 외주면에는 지지링(271)이 결합되고, 모터(260)의 축에는 원형의 회전판(273)이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링(271) 및 회전판(273)에는 모터(26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승강관(231)을 승강시키기 위한 링크(275)의 상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각각 결합된다. 이때, 링크(275)의 상단부측 및 타단부측은 지지링(271) 및 회전판(273)에 힌지 결합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그러면, 모터(260)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판(273)이 회전하므로, 회전판(273)에 결합된 링크(275)의 하단부측은 일정궤적을 따라 회전운동을 하고 상단부측은 직선왕복운동을 한다. 이로인해, 승강관(231)이 승강하는 것이다.
모터(260)는 본체(210)에 결합된 브라켓(263)에 결합되고, 브라켓(263)에는 모터(260)를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한 레버(265a)를 가지는 스위치(265)가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판(273)의 외주면에는 회전판(273)에 수직으로 돌출테(274)가 형성되고, 돌출테(274)에는 복수의 홈(274a)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레버(265a)의 자유부측이 돌출테(274)와 접촉하면 전류가 모터(260)에 공급되어 모터(260)가 구동하고, 레버(265a)의 자유단부측이 홈(274a)에 위치되면 모터(260)로의 전류 공급이 차단되어 모터(260)가 정지한다. 이때, 승강관(231)을 최대로 높게 승강시키기 위하여 레버(265a)는 회전판(273)의 최하측 외주면측에 위치되고, 홈(274a)은 180°간격으로 2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의 미설명 도면 부호 280은 본체(210)의 상면에 결합되는 링커버이고, 290은 링커버(280)에 결합되는 원형커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로써, 이를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류를 굽고자 할 때에는 버너부(230)를 하강시켜야 하므로, 보관함(220)의 버튼(미도시)를 눌러 모터(260)측으로 전류를 공급한다. 그러면, 모터(26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판(273)이 승강하고, 회전판(273)의 회전에 의하여 링크(275)가 하강하면서 버너부(230)를 하강시킨다.
보관함(220)의 상기 버튼을 눌러 모터(260)를 구동시키면, 스위치(265)(도 3 참조)의 레버(265a)(도 3 참조)가 회전판(273)의 돌출테(274)에 접촉되므로, 보관함(220)의 상기 버튼을 최초의 상태로 되돌려도 모터(260)는 계속하여 회전한다. 모터(260)의 회전에 의하여 스위치(265)의 레버(265a)가 돌출테(274)의 홈(274a)에 위치되면 모터(260)로의 전류 공급이 차단되어 모터(260)가 정지된다.
버너부(230)가 하강된 상태에서, 숯(315)이 담긴 숯불통(310)을 지지통(250)에 지지시키고, 숯불통(310)의 상측 부위에 석쇠(320)를 놓는다. 이후, 버너부(230)를 점화하여 숯(315)을 지피고, 숯(315)이 지펴지면 버너부(230)를 소화한 후, 석쇠(320)에 육류를 놓고 구으면 된다.
육류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는 본체(210)의 하측에 설치된 임펠러(215)에 의하여 지지통(250)의 통공(251)을 통하여 본체(210)의 하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숯불통(310)으로는 공기안내관(240)을 통하여 공기가 공급된다. 이때, 공기안내관(240)측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별로의 블로워(미도시)를 설치할 수 도 있다.
고기를 모두 구워 먹은 후, 탕 요리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쇠(320)와 숯불통(310)을 제거하고, 지지통(250)에 삼발이(410)를 놓고, 삼발이(410)에 탕 요리용 용기(420)를 탑재한다. 그후, 보관함(220)의 버튼을 다시 누르면, 모터(260)로 전류가 공급되어 모터(260)가 회전하고, 이로인해, 버너부(230)가 상승한다.
버너부(23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버너부(230)를 점화하여 요리하면 된다. 이때에는, 용기(420)와 버너부(230)가 가까이 위치되므로 센 화력으로 요리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의 미설명 부호 330은 버너부(230)에 탑재되어 숯통(310)을 지지하는 숯받침대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버너부의 사시도로서, 도 3과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60)의 축과 연결된 회전판(573)의 외주면에는 180°간격으로 함몰된 홈(573a)이 형성되고, 스위치(565)의 레버(565a)의 자유단부측은 홈(573a)에 위치되었다가 회전판(573)의 외주면과 접촉한다. 즉, 레버(565a)의 자유단부측이 홈(573a)에 위치되면 모터(560)는 정지하고, 회전판(573)의 외주면에 접촉하면 모터(560)가 정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는 모터와 링크에 의하여 버너부가 승강하므로, 종래의 가스로스터와 같이 컨트롤박스가 필요 없다. 따라서, 원 가가 감소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7)

  1. 일면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숯통 또는 탕 요리용 용기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면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가스 공급로가 형성된 지지관;
    상기 본체에 결합된 모터;
    상기 지지관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관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터에 의하여 승강하는 버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부는 상기 지지관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삽입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승강하는 승강관과 상기 승강관의 일단면(一端面)에 일체로 형성되며 불꽃을 방사(放射)하는 헤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관의 외주면에는 지지링이 결합되고,
    상기 모터의 축에는 원형의 회전판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링 및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승강관을 승강시키기 위한 링크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모터를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한 레버를 가지는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판에 수직으로 돌출테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테에는 함몰된 복수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의 레버의 단부측이 상기 돌출테와 접촉하면 상기 모터가 구동하고, 상기 스위치의 레버의 단부측이 상기 홈에 위치되면 상기 모터는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에는 함몰된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의 레버의 단부측이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에 접촉하면 상기 모터가 구동하고, 상기 스위치의 레버의 단부측이 상기 홈에 위치되면 상기 모터는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180°간격으로 두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KR2020080004960U 2008-04-15 2008-04-15 로스터 KR200900106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960U KR20090010632U (ko) 2008-04-15 2008-04-15 로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960U KR20090010632U (ko) 2008-04-15 2008-04-15 로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632U true KR20090010632U (ko) 2009-10-20

Family

ID=41553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960U KR20090010632U (ko) 2008-04-15 2008-04-15 로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63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750B1 (ko) * 2020-02-18 2021-07-27 최옥림 직접착화식 숯불구이기
KR102334660B1 (ko) * 2020-10-27 2021-12-02 남현목 로스터의 숯불과 가스겸용 버너부의 승강장치
KR102368420B1 (ko) 2021-08-10 2022-02-25 김효은 화목 온수난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750B1 (ko) * 2020-02-18 2021-07-27 최옥림 직접착화식 숯불구이기
KR102334660B1 (ko) * 2020-10-27 2021-12-02 남현목 로스터의 숯불과 가스겸용 버너부의 승강장치
KR102368420B1 (ko) 2021-08-10 2022-02-25 김효은 화목 온수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499B1 (ko) 구이판 승강 및 양방향 조리 구조를 갖는 테이블용 구이기
KR101010264B1 (ko) 구이용 조리기구
KR200384587Y1 (ko) 로스터의 버너 승강구조
KR20090010632U (ko) 로스터
KR100645031B1 (ko) 하향식 직화 구이 장치
KR100572921B1 (ko) 숯불구이장치
KR101697731B1 (ko) 숯불 가스를 이용한 조리기구
KR100950534B1 (ko) 초소형바베큐장치 및 쇠꼬치구동방법
KR200438301Y1 (ko)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KR20150116603A (ko) 공기 공급구조를 갖는 업소용 직화 구이기
CN211534071U (zh) 具有烘烤组件的烹饪器具
KR200429407Y1 (ko) 숯불착화기
KR200230542Y1 (ko)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
KR20230005491A (ko) 숯불과 가스겸용 로스터의 자동 승강 버너부
KR200383230Y1 (ko) 로스터
CN208319032U (zh) 一种便于操作的空气炸锅
KR200225612Y1 (ko) 가스 로스터
KR20180049586A (ko) 하향 가열식 휴대용 회전구이기
KR102070988B1 (ko) 석쇠의 회전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조리장치
CN220958546U (zh) 一种可实现烘烤功能的燃气灶
CN110410783A (zh) 一种燃烧器及灶具
KR200421210Y1 (ko) 하향식 직화 구이 장치
KR200361021Y1 (ko) 가스 로스터의 버너 조립체 승하강장치
KR102415462B1 (ko) 다목적 화덕
KR20020075705A (ko)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온도 자동조절 장치 및 그자동조절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