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021Y1 - 가스 로스터의 버너 조립체 승하강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로스터의 버너 조립체 승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021Y1
KR200361021Y1 KR20-2004-0017385U KR20040017385U KR200361021Y1 KR 200361021 Y1 KR200361021 Y1 KR 200361021Y1 KR 20040017385 U KR20040017385 U KR 20040017385U KR 200361021 Y1 KR200361021 Y1 KR 200361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uter tube
burner
bevel gea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웅
Original Assignee
이영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웅 filed Critical 이영웅
Priority to KR20-2004-0017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0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24C15/086Adjustable legs or pill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 로스터의 버너 조립체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리 대상물에 따라 버너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가스 로스터의 버너 조립체 승하강장치(40)에 의하면, 케이스(10)의 밑면(12)을 관통하여 외부관(32)과 인접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며 하부에는 종동베벨기어(43)가 마련된 이송스크루(41)와, 외부관(32)의 측면에 고정 장착되며 이송스크루(41)가 이물림되면서 관통 결합되도록 암나사홀(42a)이 가공되어 이송스크루(41)의 정역회전에 따라 외부관(32)과 일체로 상하 이동하는 이동블록(42)과, 케이스(10) 저부에 장착되며 종동베벨기어(43)와 치합되도록 회전축(46)의 단부에 구동베벨기어(44)가 마련된 정역모터(4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 로스터의 버너 조립체 승하강장치{BURNER UP-DOWN DEVICE OF GAS ROASTER}
본 고안은 가스 로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 대상물에 따라 버너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로스터의 버너 조립체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는 로스터는 버너 화력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식탁 중앙부위에 매립형으로 설치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의 기름받이가 마련된 원통형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상부에 올려져 배치되는 구이판과, 케이스의 중앙부에 고정 배치되는 버너 조립체를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버너 조립체를 통해 분사되는 가스가 점화되고 이의 화력을 통해 구이판이 달궈져 고기(조리물)를 구울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로스터 구조에서는 버너 조립체가 케이스 내부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구이판과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것에 의해 화기에 대한 거리 조정이 불가능하였다.
즉, 구이판이 달궈질 때까지는 고기가 쉽게 익지 않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 구이판이 완전하게 달궈지면 먹을 수 없을 정도로 구워지거나 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음식점 등에서는 손님의 요구에 따라 구이판을 빈번하게 교체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물에 따라 버너 조립체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조리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의 사용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가스 로스터의 버너 조립체 승하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 로스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너 조립체를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Ⅲ - Ⅲ 방향에서 본 버너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버너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케이스 20..구이판
30..버너 조립체 31..내부관
32..외부관 33..헤드
40..승하강장치 41..이송스크루
42..이동블록 43..종동베벨기어
44..구동베벨기어 45..정역모터
50..회로기판 51..제1센서
52..제2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테이블에 매립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밑면을 관통하여 세워져 설치되며 저부에는 가스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내부관과, 이 내부관 상부를 감싸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부에는 가스가 분출되면서 연소되도록 헤드가 마련되는 외부관을 구비한 버너 조립체와; 이 버너 조립체의 외부관을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승하강장치를; 갖춘 가스 로스터에 있어서;
승하강장치는 케이스의 밑면을 관통하여 외부관과 인접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며 하부에는 종동베벨기어가 마련된 이송스크루와, 외부관의 측면에 고정 장착되며 이송스크루가 이물림되면서 관통 결합되도록 암나사홀이 가공되어 이송스크루의 정역회전에 따라 외부관과 일체로 상하 이동하는 이동블록과, 케이스 저부에 장착되며 종동베벨기어와 치합되도록 회전축의 단부에 구동베벨기어가 마련된 정역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하강장치는 상단은 이동블록에 고정되고 하단은 케이스 밑면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며 감지편이 장착된 이동로드와; 케이스 저부에 배치되되 이동로드의 감지편이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이동로드의 감지편이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를 감지하는 제2센서가 마련되어 정역모터의 과도한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하강장치는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테이블 상면에 노출되게 장착되어 정역모터의 정역방향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스 로스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1) 중앙부위에 매립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의 중앙부위에 세워져 설치되며 가스가 분출되면서 연소되는 버너 조립체(30)와, 이 버너 조립체(30)의 외부관(32)을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승하강장치(40)를 갖추고 있다.
케이스(10)는 통상 음식점 등의 테이블(1) 중앙에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며 밑면(12)과 측면(11)을 갖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의 개방부에는 환형의 기름받이(15)가 배치되며, 이 기름받이(15) 위에는 다시 고기를 굽기 위한 구이판(20) 또는 조리물을 끓이기 위한 전골냄비 등이 올려져 배치된다. 또한, 케이스(10)의 상부 일측에는 휴대용 가스통(일명, 부탄가스통)을 수납하기 위한 가스통 수납함(13)이 마련된다. 이 가스 수납함(13)과 버너 조립체(30)의 후술하는 내부관(31)과는 가스 공급라인(14)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서, 가스통의 가스는 가스 공급라인(14)을 통해 버너 조립체(30)측으로 분출되게 된다.
그리고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버너 조립체(30)는 케이스(10)의 밑면(12)을 관통하여 세워져 설치되는 내부관(31)과, 이 내부관(31) 상부를 감싸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외부관(32)과, 이 외부관(32)의 상부에 올려지는 헤드(33)를 구비한다.
내부관(31)은 케이스(10)의 밑면(12) 중앙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배치되며, 이의 하부에는 가스 공급라인(14)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가스 공급라인(14)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는 내부관(31)을 통해 분출되면서 확산된다. 그리고 외부관(32)은 내부관(31)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내부관(31)이 외부관(32) 내에 수용 배치된다. 또한, 헤드(33)는 외부관(32)의 상부에 놓이는 것으로, 여기에는 다수개의 화구(미도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루어져 가스가 균일하게 분출되면서 연소되게 된다.
한편, 승하강장치(40)는 버너 조립체(30)의 외부관(32)을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관(32)과 인접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이송스크루(41)와, 외부관(32)의 측면에 고정되며 이송스크루(41)가 이물림되면서 관통 결합되는 이동블록(42)과, 이송스크루(41)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케이스(10) 저부에 장착된 정역모터(45)와, 정역모터(45)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50) 및 스위치(60;도 1참조)를 갖추고 있다.
이송스크루(41)는 케이스(10)의 밑면(12)을 관통하여 공회전 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되며, 하부에는 종동베벨기어(43)가 마련된다. 이러한 이송스크루(41)의 공회전 설치를 위해 케이스(10)의 저부에는 브래킷(70)이 구성되어 있다.
이동블록(42)은 외부관(32) 측면에 고정 장착되며, 여기에는 이송스크루(41)가 이물림되면서 관통 결합되도록 암나사홀(42a)이 가공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스크루(41)의 정역회전에 따라 이동블록(42)은 외부관(32)과 일체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동블럭(42)에는 감지편(48)이 마련된 이동로드(47)가 고정되어 있다. 즉, 이동로드(47)의 상단은 이동블록(42)에 고정되며, 이의 하단은 케이스(10) 밑면(12)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며 여기에 감지편(48)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로드(47)의 감지편(48)은 후술하는 제1,제2센서(51)(52)를 통해 위치가 감지되어 정역모터(45)의 과도한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정역모터(45)는 브래킷(70)에 가로방향으로 장착되며, 이의 회전축(46)에는 종동베벨기어(43)와 치합되는 구동베벨기어(44)가 마련된다. 따라서 정역모터(45)의 회전동력이 90도 방향 전환되어 이송스크루(41)를 회전 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베벨기어 메카니즘을 통해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감속기어가 일체화된 정역모터(45)를 가로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정역모터(45)가 차지하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다른 부품과의 간섭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정역모터(45)의 정방향 구동 시 외부관(32)이 승강 작동하게 되며, 역방향 구동 시 외부관(32)이 하강 작동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회로기판(50)은 케이스(10)의 저부에 배치되어 정역모터(45)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이동로드(47)의 감지편(48)이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를 감지하는 제1센서(51)와, 이동로드(47)의 감지편(48)이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를 감지하는 제2센서(52)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1센서(51)와 제2센서(52)는 외부관(32)이 과도하게 승하강 작동하는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1을 참조하면, 스위치(60)는 회로기판(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정역모터(45)의 정역방향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 편의를 위해 테이블(1) 상면에 노출되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배기장치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외부관(32)이 가장 아래에 위치되면, 이동로드(47)의 감지편(48)은 제2센서(52)와 근접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기 구이판(20)을 올려놓고 고기를 굽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이판(20)이 빨리 달궈져야 하기 때문에, 구이판(20)과 외부관(32)의 헤드(33) 근접하게 위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역모터(45)가 정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스위치(60)를 조작하면, 정역모터(45)의 동력이 구동베벨기어(43)와 종동베벨기어(44)를 통해 이송스크루(41)로 전달되며, 이송스크루(41)가 정위치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스크루(41)와 이물림된 이동블록이 외부관(32)과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며(도 4의 화살표 방향 참조), 이것에 의해 외부관(32) 상부에 놓인 헤드(33)와 구이판(20)이 근접하게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점화되면, 버너 조립체(30)의 화력이 직접 구이판(20)으로전달되어 구이판(20)이 쉽게 달궈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외부관(32)과 함께 이동로드(47) 역시 승강하는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지편(48)이 제1센서(51)에 근접하면 회로기판(50)에서는 정역모터(45)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정역모터(50)의 과도한 구동이 자동으로 정지된다.
반면에, 어느 정도 구이판(20)이 달궈지면 이의 온도를 낮출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스위치(60)를 통해 정역모터(45)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따라서 이송스크루(41)가 정위치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로 인해 이송스크루(41)와 이물림된 이동블록(42)이 외부관(32)과 함께 하측으로 내려와 헤드(33)와 구이판(20)과의 간격이 점차 멀어진다.
또한, 외부관(32)과 함께 이동로드(47) 역시 하강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지편(48)이 제2센서(52)에 근접하면 회로기판(50)에서는 정역모터(45)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가스 로스터에 구이판(20)을 올려놓고 고기를 굽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전골냄비 등을 통해 탕 조리를 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스 로스터의 버너 조립체 승하강장치에 의하면, 조리물의 종류 및 시간의 흐름에 따라 버너 조립체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조리물이 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장점이 있다.
또한, 버너 조립체의 외부관을 승하강 작동시킴에 따라 로스터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정역모터의 정역 조작이 스위치를 통해 용이하게 이루어져 이의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내부관을 따라 승하강하는 외부관은 측면이 이동블록을 매개로 정위치에서 공회전하는 이송스크루와도 연결되기 때문에, 승하강 작동시에 흔들리거나 최대로 올라간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자세가 유지되어 제품 신뢰성이 보다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3)

  1. 테이블(1)에 매립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밑면(12)을 관통하여 세워져 설치되며 저부에는 가스 공급라인(14)이 연결되는 내부관(31)과, 상기 내부관(31) 상부를 감싸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부에는 가스가 분출되면서 연소되도록 헤드(33)가 마련되는 외부관(32)을 구비한 버너 조립체(30)와; 상기 버너 조립체(30)의 외부관(32)을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승하강장치(40)를; 갖춘 가스 로스터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40)는;
    상기 케이스(10)의 밑면(12)을 관통하여 상기 외부관(32)과 인접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며 하부에는 종동베벨기어(43)가 마련된 이송스크루(41)와,
    상기 외부관(32)의 측면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이송스크루(41)가 이물림되면서 관통 결합되도록 암나사홀(42a)이 가공되어 상기 이송스크루(41)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외부관(32)과 일체로 상하 이동하는 이동블록(42)과,
    상기 케이스(10) 저부에 장착되며 상기 종동베벨기어(43)와 치합되도록 회전축(46)의 단부에 구동베벨기어(44)가 마련된 정역모터(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로스터의 버너 조립체 승하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40)는,
    상단은 상기 이동블록(42)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케이스(10) 밑면(12)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며 감지편(48)이 장착된 이동로드(47)와,
    상기 케이스(10) 저부에 배치되되, 상기 이동로드(47)의 감지편(48)이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를 감지하는 제1센서(51)와, 상기 이동로드(47)의 감지편(48)이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를 감지하는 제2센서(52)가 마련되어 상기 정역모터(45)의 과도한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로스터의 버너 조립체 승하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40)는,
    상기 회로기판(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테이블(1) 상면에 노출되게 장착되어 상기 정역모터(45)의 정역방향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로스터의 버너 조립체 승하강장치.
KR20-2004-0017385U 2004-06-21 2004-06-21 가스 로스터의 버너 조립체 승하강장치 KR200361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385U KR200361021Y1 (ko) 2004-06-21 2004-06-21 가스 로스터의 버너 조립체 승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385U KR200361021Y1 (ko) 2004-06-21 2004-06-21 가스 로스터의 버너 조립체 승하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021Y1 true KR200361021Y1 (ko) 2004-09-07

Family

ID=4943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385U KR200361021Y1 (ko) 2004-06-21 2004-06-21 가스 로스터의 버너 조립체 승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02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237Y1 (ko) 2008-06-20 2010-06-25 이영웅 승하강장치를 갖춘 가스 로스터의 버너조립체
KR101309957B1 (ko) * 2011-11-29 2013-09-17 주식회사 포스코 버너 이동장치
CN109579095A (zh) * 2018-12-31 2019-04-05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带可收纳式灶具的油烟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237Y1 (ko) 2008-06-20 2010-06-25 이영웅 승하강장치를 갖춘 가스 로스터의 버너조립체
KR101309957B1 (ko) * 2011-11-29 2013-09-17 주식회사 포스코 버너 이동장치
CN109579095A (zh) * 2018-12-31 2019-04-05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带可收纳式灶具的油烟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9566B2 (en) Appliance for preparing food
US7647923B2 (en) Automated barbeque safety mechanism
KR101553198B1 (ko) 슬라이드 로스터
KR102078499B1 (ko) 구이판 승강 및 양방향 조리 구조를 갖는 테이블용 구이기
KR200384587Y1 (ko) 로스터의 버너 승강구조
KR200361021Y1 (ko) 가스 로스터의 버너 조립체 승하강장치
KR100572921B1 (ko) 숯불구이장치
KR200357833Y1 (ko) 로스터의 버어너부의 승강장치
CN100579432C (zh) 旋转烧烤器
KR200230542Y1 (ko)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
CN104566523A (zh) 燃气灶
KR100755214B1 (ko) 구이테이블
KR100462523B1 (ko) 가스 로스터
KR102169100B1 (ko) 구이 테이블
KR200276924Y1 (ko) 부탄가스를 위한 가스 로스터
KR100545147B1 (ko) 행거식 피가공물장착꼬치의 승강구조
KR200449237Y1 (ko) 승하강장치를 갖춘 가스 로스터의 버너조립체
KR20090010632U (ko) 로스터
KR200272113Y1 (ko) 음식물 조리장치
KR101175260B1 (ko) 버너용 화염 높이 조절 로스터
KR101304126B1 (ko) 승하강 장치를 구비한 다용도 로스터
KR200492414Y1 (ko) 전기 구이용 화로
KR200353923Y1 (ko) 육류구이기의 숯불수납용기 승강장치
KR200361873Y1 (ko) 고형 파라핀 고기구이기
KR20180049586A (ko) 하향 가열식 휴대용 회전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