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923Y1 - 육류구이기의 숯불수납용기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육류구이기의 숯불수납용기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923Y1
KR200353923Y1 KR20-2004-0008203U KR20040008203U KR200353923Y1 KR 200353923 Y1 KR200353923 Y1 KR 200353923Y1 KR 20040008203 U KR20040008203 U KR 20040008203U KR 200353923 Y1 KR200353923 Y1 KR 2003539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harcoal
opening
meat
clo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구
Original Assignee
이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구 filed Critical 이영구
Priority to KR20-2004-0008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9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9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이를 수행하기 위한 숯불의 화력에 따라 높,낮이를 사용자가 직접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수 있도록 하여 육류가 타지 않은 상태에서 효육적으로 구워 맛있는 육를 먹을수 있도록 한 육류구이기의 숯불수납용기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내측에 차단요소를 갖추고, 상단측에 장공을 갖춘 덮개를 갖추며, 일측에 흡입휀을 갖추며 내부 중앙에 수직봉이 세워져 있는 외통과; 상기 차단요소의 내측에 숯이 담겨지는 숯불수납용기와; 상기 수직봉의 외주연에 씌워진 회전요소의 상단면과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그릴요소및 이물받이요소로 이루어지는 육류구이기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수직봉을 관통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승,하강할수 있도록 중앙에 수직봉이 관통하는 가이드관체를 갖추고 있는 숯불수납용기와;
상기 숯불수납용기의 저면에 선단부가 받쳐진 상태에서 외통에 갖추어진 지지대와 힌지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편을 갖추고, 상기 회동편의 끝단에 힌지에 의해 수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단에 경사각을 갖는 눌림편을 갖춘 승강편을 갖추며,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눌림편을 눌러 승강편을 승하강 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회동레버로 갖추어진 승강부재와;
상기 숯불수납용기의 상면에 씌워지는 외곽테의 외주연에 후단이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선단부분은 서로 순차적으로 겹쳐지는 마름모꼴 형상을 갖고 숯불수납 용기의 상면을 개폐시켜 주는 개폐판과;
상기 차단요소의 상단부분과 개폐판의 선단부 상면에 각각 결합시켜 숯불수납용기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 개폐판을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육류구이기의 숯불수납용기 승강장치{a charcoal fire accept courage going up and coming down device of the yuglyugungigi}
본 고안은 각종의 육류 또는 생선등을 구워줄때 사용되는 육류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이를 수행하기 위한 숯불의 화력에 따라 높,낮이를 사용자가 직접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수 있도록 하여 육류가 타지 않은 상태에서 효육적으로 구워 맛있는 육를 먹을수 있도록 한 육류구이기의 숯불수납용기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구이기는 삼겹살, 양념갈비, 생고기등과 같은 각종의 육류 또는 생선등을 구워주고자 할 경우 테이블 중앙에 형성된 요입부내에 숯불이나 가스버너등의 가열수단이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요입부 상단부에 얹혀지는 그릴에 구워주고자 하는 내용물을 올려주게 되면 가열수단으로 부터 올라오는 불꽃에 의해 내용물이 익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육류구이기에 있어 육류에 열을 가열시켜 육류가 익혀지도록 하는 가열수단 즉, 숯불에 의해 육류를 익혀줄 경우 숯불이 담겨지는 숯불수납요소가 외통의 양측을 기점으로 하여 중앙을 향하여 회동 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는 사용도중 육류에 가해지는 숯불의 불꽃을 조절시켜 주기 위한 수다이 아니고, 상기 숯불수납요소에 숯불이 담겨지는 용기를 수납시켜 주거나 꺼낼때 숯불용기를 용이하게 수납및 꺼낼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인 것으로서, 육류를 구이 하는도중 수시로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숯불의 불꽃 높이에 따라 숯불과 그릴과의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시켜 주지 못하게 되어 숯불의 화력 특히, 육류로 부터 떨어지는 기름기내 찌꺼기 등에 의하여 숯불의 불꽃이 높아질 경우 육류가 익기 도전에 타게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며, 이러한 경우 육류를 먹지 못하고 버리게 되는 등의 경제적인 손실과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이 늘어나게 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이 육류로 부터 떨어지는 기름기나 찌꺼기등은 숯불이 담겨지는 숯불용기의 상면이 그대로 노출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육류로 부터 떨어지는 기름기와 찌꺼기가 숯불로 그대로 떨어지고 있어 상기의 제반결함은 더욱 심하게 되었던 것이고, 최근에는 탄 음식물을 섭취할 경우 암의 발병율이 높다는 의학계의 학설이 있어 탄 음식물을 꺼리게 됨으로 인하여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은 갈수록 심각한 상황에 까지 도달하게 되어 심각한 상황에 이르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그릴위에 육류를 올려준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숯불의 불꽃에 의해 육류를 구워주고 있는 상태에서 숯불의 불꽃이 높거나 낮아질 경우 사용자가 직접 숯불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시켜 주면서 육류를 구이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익 숯불의 높,낮이 조절시 숯불용기 상면에 갖추어진 덮개가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여 숯불의 불꽃을 자유롭게 조절시켜 육류를 태우지 않은 상태에서 구워 맛있는 육류를 섭취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측에 차단요소를 갖추고, 상단측에 장공을 갖춘 덮개를 갖추며, 일측에 흡입휀을 갖추며 내부 중앙에 수직봉이 세워져 있는 외통과; 상기 차단요소의 내측에 숯이 담겨지는 숯불수납용기와; 상기 수직봉의 외주연에 씌워진 회전요소의 상단면과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그릴요소및 이물받이요소로 이루어지는 육류구이기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수직봉을 관통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승,하강할수 있도록 중앙에 수직봉이 관통하는 가이드관체를 갖추고 있는 숯불수납용기와;
상기 숯불수납용기의 저면에 선단부가 받쳐진 상태에서 외통에 갖추어진 지지대와 힌지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편을 갖추고, 상기 회동편의 끝단에 힌지에 의해 수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단에 경사각을 갖는 눌림편을 갖춘 승강편을 갖추며,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눌림편을 눌러 승강편을 승하강 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회동레버로 갖추어진 승강부재와;
상기 숯불수납용기의 상면에 씌워지는 외곽테의 외주연에 후단이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선단부분은 서로 순차적으로 겹쳐지는 마름모꼴 형상을 갖고 숯불수납용기의 상면을 개폐시켜 주는 개폐판과;
상기 차단요소의 상단부분과 개폐판의 선단부 상면에 각각 결합시켜 숯불수납용기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 개폐판을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일단이 개폐판에 연결되는 제1연결봉과;
상기 제1연결봉의 선단부가 끼워지도록 삽입홈을 갖고, 타단이 차단요소에 연겨되는 제2연결봉과;
상기 제2연결봉의 삽입홈내에 위치하여 제1연결봉의 선단부를 탄지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연결봉 각각의 끝단에는 개폐판이 개폐시 각도가 자유롭게 회동할수있도록 차단요소와 개폐판에 자유롭게 회동할수 있도록 하는 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육류구이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a 는 본 고안중 요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확대 단면도로서, 숯불수납용기가 상승된 상태도.
도 2b 는 본 고안중 요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확대 단면도로서, 숯불수납용기가 하향된 상태도.
도 3 은 도2의 A부 확대도.
도 4a,b 는 도2의 B-B선 확대 단면도로서, 회동레버가 회동되는 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중 개폐판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 은 본 고안중 개폐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0:외통 400:숯불수납용기
500;그릴요소 700:승강부재
710:회동레버 720:승강편
740:지지대 750:회동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육류구이기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로서, 육류구이기(100)는 상부가 개방되는 상태에서 테이블(10) 중앙에 갖추어진 개방구에 끼워지는 상태로 걸쳐지는 외통(200)과; 상기 외통의 내부 중앙에 세워져 모터(31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요소(300)및 상기 회전요소가 관통한 상태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높,낮이가 조절되는 숯불수납용기(400)와; 상기 회전요소의 상단측에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시켜 된 상태에서 육류가 얹혀질수 있는 그릴부재(500)및 이물받이부재(60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육류구이기를 형성함에 있어, 본 고안은 테이블(10)의 상면 일측에 갖추어진 회동레버(710)의 회동각도에 따라 숯불수납용기(400)의 높,낮이를 조절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승강부재(700)와; 상기 숯불수납용기의 상면에는 서로 겹쳐진 상태로 하여 후단부가 외곽테(810)의 외주연에 결합된 힌지(820)를 중심으로 개폐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개폐판(800)과; 상기 겹체지는 다수개의 개폐판중 대응되는 위치의 개폐판과 차단요소(230)를 서로 연결시켜 숯불수납용기(400)의 위치에 다라 개폐판(800)을 자동으로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재(9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외통(200)은 상,하 2단으로 분리,결합되는 상,하측외통(210,210a)으로 갖추되, 상측외통(210)의 일측에 갖추어진 통공(211)측에 흡입휀(220)을 장착시켜 구이도중 발생되는 연기를 강제로 흡입시켜 연기가 상부로 올라가지 않은 상태에서 구이를 수행할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측외통(210)의 내부 중간지점과 상단부에는 각각 차단요소(230)와 내주연에 다수개의 장공(241)을 갖춘 덮개(240)를 갖추어 육류가 구워지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가 흡입휀(220)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 올라오지 않고 장공을 통해 외통의 내부로 빨려들어갈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측외통(210a)의 내부 중앙에는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내부에 중공부(251)를 갖춘 수직봉(250)을 갖추어 상기 회전요소(400)가 임의 회전 가능하도록 씌워진 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요소의 상단측에는 그릴요소(500)와 이물받이요소(600)가 수직봉에 씌워지는 상태로 하여 회전요소와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시켜 그릴요소에 고이는 기름기가 배출될수 있도록 중공부와 연통되는 기름유입공을 갖추고 있으며 중공부(251)의 하단측에는 흘러내리는 기름이 외부에 설치된 기름받이(270)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기름배출관(260)을 통해 기름이 기름받이(270)에 집수될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숯불수납용기(400)는 숯이 수납될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중앙에 회전요소(300)가 관통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승,하강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가이드관체(410)를 갖추고, 바닥면과 외주면에 다수개의 공기유입공(420)을 갖추어 외부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공(420)을 통해 자유롭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숯불수납용기(400)내에 담겨져 있는 숯에 점화된 불꽃이 꺼지지 않고 원활한 소각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봉(250)의 상단측에 끼워진 상태로 하여 회전요소(300)의 상단면에 끼움 결합되는 그릴요소(500)와 이물받이요소(600)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요소와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이물받이요소(600)는 그릴요소(500)에 얹혀져 있는 육류로 부터 떨어지는 기름기와 지꺼기를 받아줌과 아울러, 숯불의 불꽃이 그릴요소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간접적인 전달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그릴요소(500)는 회전요소와 함께 회전하면서 숯불의 불꽃이 육류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전도되어 육류가 일정하게 익혀질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70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테이블(10)의 일측에 하부로 관통시켜 힌지(710a)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회동레버(710)를 갖추게 되는데, 상기 회동레버(71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동레버(710)의 일면에 갖추어진 수납요소(711)내에 수납된 탄성요소(712)에 탄지된 볼(713)이 회동레버(710)의 회동위치에 따라 테이블측에 갖추어진 고정요소(714)에 위치하도록 하여 회동레버(710)가 임의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숯불수납용기(400)의 위치가 고정될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동레버의 직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승강편(720)을 갖추되, 상기 승강편은 차단요소에 갖추어진 지지관체(730)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하며, 상단부는 일측으로 경사진 눌림면(721)을 갖추어 회동레버의 회동 위치에 따라 경사진 눌림면에 의해 승강편이 승,하강할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편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외통의 내측에 갖추어진 지지대(740)와 힌지(741)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선단은 숯불수납용기(400)의 하단면에 받쳐지고, 후단은 승강편의 하단에 갖추어진 힌지(722)가 결합되도록 하는 회동편(750)을 갖추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편의 힌지(722)가 결합되는 회동편(750)의 끝단부에는 장공(751)을 갖추어 승강편의 승,하강시 힌지가 장공내에서 이동할수 있도록 하여 승강편은 수직으로 승,하강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회동편은 힌지( )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800)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후단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마름모꼴 형상을 갖도록 하여 선단부분이 서로 겹쳐지는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후단은 숯불수납용기(400)의 상면에 씌움 결합되는 외곽테(810)와 힌지(83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다수개의 개폐판중 어느 하나의 개폐판(800)이 힌지(830)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면 순차적으로 겹쳐진 다른 개폐판(800)도 함께 회동이 이루어질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900)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개의 개폐판중 대향되는 위치에 있는 두개의 개폐판(800) 상면과 차단요소(230)의 상단부에는 어느 한쪽에 갖추어진 삽입홈(920)내에 위치하고 있는 탄성스프링(930)에 탄지된 상태에서 길이가 자유롭게 조절될수 있도록 하는 제,2연결봉(910,910a)을 갖추게 되는데, 상기 각 연결봉의 끝단은 개폐판과 차단요소에 볼(940)로 결합시켜 개폐판의 개폐각도에 따라 연결봉의 각도가 자유롭게 이동할수 있도록 하여 마름모꼴 형상의 개폐판(800)이 원활히 개폐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은 숯을 숯불수납용기(400)내에 수납시켜 주고자 할 경우 도 2a 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동레버(710)를 작동시켜 숯불수납용기(400)가 최상단에 위치하도록 하면, 상기 숯불수납용기의 상면에 덮여있는 개폐판(800)이 숯불수납용기의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숯불수납용기내에 숯을 수납시켜 줄수 있게된다.
즉, 회동레버(710)를 회동시켜 주면 이의 회동 위치에 따라 경사각을 갖고있는 눌림편(721)이 눌리게 되며, 상기 눌림면의 눌리는 위치에 따라 승강편(720)이 수직으로 눌림에 따라서 힌지(741)를 중심으로 회동편(750)의 선단부분이 상승하므로서 이에 받쳐져 있던 숯불수납용기(400)가 회전요소(300)를 따라 상승하므로서, 숯불의 불꽃이 그릴요소(500)에 근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숯불수납용기내에 숯의 수납이 완료되면 도 3b 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동레버(710)를 반대의 방향으로 회동시켜 숯불수납용기(800)를 하향시켜 주면 이의 하향 위치에 따라 차단요소(230)를 중심으로 제1,2연결봉(910,910a)이 회동하면서 외측으로 벌어져 있던 개폐판(800)을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숯불수납용기(400)의 내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숯불수납용기의 상면을 덮어주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요소(230)와 개폐판(800) 사이를 연결시켜 주고 있는 제1,2 연결봉(910,910a)은 숯불수납용기(400)의 위치에 따라 간격이 수시로 변화하게 되는데, 상기 연결봉 사이에 탄지되어 있는 탄성스프링(930)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봉(910)을 항상 외측으로 밀어준 상태에서 개폐판(800)의 개폐 간격에 따라 길이를 조절시켜 주면서 개폐판을 개폐시켜 주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개폐판(800)이 마름모꼴 형상을 갖고 있는 상태에서 선단부가 서로 순차적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대응되는 두개의 개폐판에만 연결봉(910)의 일단이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개폐판의 중앙에 연결되지 못하고, 도 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폐판(800)이 숯불수납용기(400)를 덮어준 상태에서 다른 개폐판에 연결봉이 걸리지 않도록 개폐판의 선단부 일측에 연결시켜 주게됨으로서, 볼(940)을 이용하여 연결봉의 각도가 자유롭게 회동할수 있도록 하여 개폐판의 개페가 수행될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육류의 구이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 이물받이요소(600)와 그릴요소(500)를 순차적으로 수직봉(250)에 끼워 회전요소(300)에 결합되도록 한 다음 점화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점화요소(280)에 불꽃을 점화시켜 주게 되면 상기의 불꽃이 숯불수납용기(400)내에 수납되어 있는 숯을 점화시켜 주게된다.
상기와 같이 숯에 불꽃이 점화되면 점화요소(280)는 소화시켜 주고, 숯의 불꽃에 의해서만 그릴요소(500)에 얹혀진 육류를 구워주게 되는 것으로서, 그릴요소(500)에 얹혀진 육류를 익혀주고자 하는 초기에는 회동레버(710)를 회동시켜 회동편(750)의 선단부를 상승시켜 주면 이의 상면에 받혀져 있던숯불수납용기(400)가 상승하여 숯불의 불꽃이 이물받이요소(600)의 저면에 근접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숯불수납용기(400)의 상면을 덮어주고 있던 개폐판(800)은 숯불수납용기(400)의 상승 위치에 따라 제1,2연결봉(910,910a)의 회동 각동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져 숯불수납용기(400)가 이물받이요소(600)의 저면에 근접되는 상태에 있게되면 외측으로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 있으므로서, 숯불수납용기(400)에 수납되어 있는 숯불의 열기가 이물받이요소를 거쳐 그릴요소에 얹혀져 있는 육류를 익혀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로 하여 육류를 익혀주다가 숯불의 불꽃이 너무 높을 경우 또는 육류가 다 익었을 경우 회동레버(710)를 타측으로 회동시켜 주면 숯불수납용기(400)의 하면을 받쳐주고 있던 회동편(750)이 회동레버(710)의 회동각도에 따라 하향되므로서 이물받이요소(600)로 부터 멀어짐과 아울러, 개폐판(800) 숯불수납용기(400)의 상면 일부를 덮어주므로서, 높은 불꽃의 화력을 차단시켜 육류가 타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육류를 섭취할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육류 또는 생선등을 익혀줄수 있는 숯불이 담겨지는 숯불수납용기를 숯불의 화력과 육류의 익혀지는 상태에 따라서 육류와의 간격을 사용자가 직접 테이블의 일측에 갖추어져 있는 회동레버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조절시켜 육류가 타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익혀줄수 있게됨은 물론, 이로인해 탄 육류를 먹지 않게됨과 아울러, 타 음식물을 버리게 되는 음식물의 낭비를 사전에예방시켜 탄 음식물에 의하여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의 량을 줄여줄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내측에 차단요소를 갖추고, 상단측에 장공을 갖춘 덮개를 갖추며, 일측에 흡입휀을 갖추며 내부 중앙에 수직봉이 세워져 있는 외통과; 상기 차단요소의 내측에 숯이 담겨지는 숯불수납용기와; 상기 수직봉의 외주연에 씌워진 회전요소의 상단면과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그릴요소및 이물받이요소로 이루어지는 육류구이기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수직봉을 관통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승,하강할수 있도록 중앙에 수직봉이 관통하는 가이드관체를 갖추고 있는 숯불수납용기와;
    상기 숯불수납용기의 저면에 선단부가 받쳐진 상태에서 외통에 갖추어진 지지대와 힌지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편을 갖추고, 상기 회동편의 끝단에 힌지에 의해 수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단에 경사각을 갖는 눌림편을 갖춘 승강편을 갖추며,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눌림편을 눌러 승강편을 승하강 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회동레버로 갖추어진 승강부재와;
    상기 숯불수납용기의 상면에 씌워지는 외곽테의 외주연에 후단이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선단부분은 서로 순차적으로 겹쳐지는 마름모꼴 형상을 갖고 숯불수납용기의 상면을 개폐시켜 주는 개폐판과;
    상기 차단요소의 상단부분과 개폐판의 선단부 상면에 각각 결합시켜 숯불수납용기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 개폐판을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기의 숯불수납용기 승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일단이 개폐판에 연결되는 제1연결봉과;
    상기 제1연결봉의 선단부가 끼워지도록 삽입홈을 갖고, 타단이 차단요소에 연겨되는 제2연결봉과;
    상기 제2연결봉의 삽입홈내에 위치하여 제1연결봉의 선단부를 탄지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기의 숯불수납용기 승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봉 각각의 끝단에는 개폐판이 개폐시 각도가 자유롭게 회동할 수있도록 차단요소와 개폐판에 자유롭게 회동할수 있도록 하는 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기의 숯불수납용기 승강장치.
KR20-2004-0008203U 2004-03-24 2004-03-24 육류구이기의 숯불수납용기 승강장치 KR200353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203U KR200353923Y1 (ko) 2004-03-24 2004-03-24 육류구이기의 숯불수납용기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203U KR200353923Y1 (ko) 2004-03-24 2004-03-24 육류구이기의 숯불수납용기 승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444A Division KR20050088882A (ko) 2004-03-03 2004-03-03 육류구이기의 숯불수납용기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923Y1 true KR200353923Y1 (ko) 2004-06-22

Family

ID=4934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203U KR200353923Y1 (ko) 2004-03-24 2004-03-24 육류구이기의 숯불수납용기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9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727B1 (ko) 2009-08-24 2010-01-14 박태준 로스터
KR100984432B1 (ko) * 2008-02-11 2010-09-30 전상신 로스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432B1 (ko) * 2008-02-11 2010-09-30 전상신 로스터
KR100936727B1 (ko) 2009-08-24 2010-01-14 박태준 로스터
WO2011025168A3 (ko) * 2009-08-24 2011-06-23 Park Tae Jun 로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84066A (en) Charcoal burner
US6178879B1 (en) Portable roaster
JPH04261621A (ja) 台座スタンド付き野外料理用装置
US7117866B2 (en) Multi-faceted grill
KR101852716B1 (ko) 사각 화구를 갖는 구이 화덕
KR101721805B1 (ko) 바베큐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KR101136198B1 (ko) 고기 구이용 가마
KR200353923Y1 (ko) 육류구이기의 숯불수납용기 승강장치
KR101974094B1 (ko) 회전 구이 장치
KR20050088882A (ko) 육류구이기의 숯불수납용기 승강장치
KR100614684B1 (ko) 숯불 구이기
KR102335948B1 (ko) 초벌구이장치
KR20110105414A (ko) 숯불 구이기
KR100916587B1 (ko) 매연발생이 없는 바비큐 구이장치
KR200198107Y1 (ko) 구이기
KR200392575Y1 (ko) 고기구이기
CN207012114U (zh) 炭火烧烤架
KR101999062B1 (ko) 고기구이장치
KR200437645Y1 (ko) 바베큐 구이기
KR20070035664A (ko) 육류구이기
KR200353922Y1 (ko) 육류구이기
KR102643214B1 (ko) 회전식 보조 테이블이 구비된 숯불 구이용 화로대
CN106724923A (zh) 炭火烧烤架
KR20050088722A (ko) 육류구이기
KR102070988B1 (ko) 석쇠의 회전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