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542Y1 -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542Y1
KR200230542Y1 KR2020010003788U KR20010003788U KR200230542Y1 KR 200230542 Y1 KR200230542 Y1 KR 200230542Y1 KR 2020010003788 U KR2020010003788 U KR 2020010003788U KR 20010003788 U KR20010003788 U KR 20010003788U KR 200230542 Y1 KR200230542 Y1 KR 2002305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temperature
meat
roasting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구현
Original Assignee
조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구현 filed Critical 조구현
Priority to KR2020010003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5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542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숯불 고기 구이기는 숯불통이 항상 고정된 상태로 위치하고 있어서 고기의 익는 정도에 따라 숯불의 온도를 감지하여 구이판에 전달되는 발열량을 조절할 수가 없기 때문에 구이판의 전체면이 균일한 상태의 적절한 온도로 가열되지 못하고 불규칙한 온도로 가열되므로 인해 고기의 일부는 익지 않은 상태에서 일부는 너무 익어 타게 되는 등으로 인하여 심하게 연기가 발생되며, 숯불 고기 구이기를 사용하여 고기를 항상 태우지 않고 먹기 좋은 상태로 구울 수가 없어서 숯불 고기 구이기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구이기 본체 내부의 물받이통 중앙에 삽입되어 안착된 숯불통에 담겨 있는 숯불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하기 위한 숯불 온도 감지 및 제어 수단과, 상기 숯불의 온도에 따라 숯불통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숯불통 높낮이 조절수단으로 구성되어, 숯불 고기 구이기를 사용하여 고기를 구울 때 숯불의 온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감지된 온도에 따라 숯불통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써 숯불의 발열을 항상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고기를 태우지 않고 골고루 잘 익혀 먹을 수 있으며, 고기를 구울 때의 연기 또는 매연 및 고기타는 냄새가 발생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CHARCOAL FIRE TEMPERATURE AUTO CONTROL DEVICE OF CHARCOAL FIRE MEAT ROASTER}
본 고안은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숯불 고기 구이기를 사용하여 고기를 구울 때 숯불의 온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감지된 온도에 따라 숯불통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 음식점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기류를 굽기 위한 숯불 고기 구이기는 숯불을 피운 숯통을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구이기 본체 내부의 소정 위치에 안착시킨 후, 상기 구이기 본체의 상단에 얇은 스테인레스판 또는 동판으로 된 금속재의 구이판을 재치시킨 상태에서 구이판 위에 고기류를 올려 놓고 숯불의 발열에 의해 구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숯불 고기 구이기는 숯불통이 항상 고정된 상태로 위치하고 있어서 고기의 익는 정도에 따라 숯불의 온도를 감지하여 구이판에 전달되는 발열량을 조절할 수가 없기 때문에 구이판의 전체면이 균일한 상태의 적절한 온도로 가열되지 못하고 불규칙한 온도로 가열되므로 인해 고기의 일부는 익지 않은 상태에서 일부는 너무 익어 타게 되는 등으로 인하여 심하게 연기가 발생되며, 숯불 고기 구이기를 사용하여 고기를 항상 태우지 않고 먹기 좋은 상태로 구울 수가 없어서 숯불 고기 구이기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숯불 고기 구이기를 사용하여 고기를 구울 때 숯불의 온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감지된 온도에 따라 숯불통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숯불의 발열을 항상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고기를 태우지 않고 골고루 잘 익혀 먹을 수 있는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기를 구울 때의 연기 또는 매연 및 고기타는 냄새가 발생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통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통이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에 감지봉이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구이기 본체 11; 지지편
20; 물받이통 40; 숯불통
50; 구이판 51; 돌출편
52; 고정홈 60; 콘트롤 박스
61; 온도 조절 스위치 70; 감지봉
80; 제어부 90; 모터
91; 모터축 100; 작동편120; 지지 부재 121; 통공130; 지지축 132; 작동 플레이트134; 숯불통 받침 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구이기 본체 내부의 물받이통 중앙에 삽입되어 안착된 숯불통에 담겨 있는 숯불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하기 위한 숯불 온도 감지 및 제어 수단과, 상기 숯불의 온도에 따라 숯불통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숯불통 높낮이 조절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숯불 온도 감지 및 제어 수단이 물받이통 내의 상부에 안착된 구이판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돌출편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구이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콘트롤 박스 상의 온도 조절 스위치에 의해 셋팅된 온도에 따라 숯불통에 있는 숯불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봉과, 상기 콘트롤 박스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감지봉에서 감지된 숯불의 온도에 따라 숯불통의 높낮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숯불통 높낮이 조절수단이 구이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콘트롤 박스 내의 하부에 장착되어 제어부의 감지 신호에 의해 숯불통의 높낮이 조절시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구이기 본체를 관통하여 구이기 본체 내의 하부에 고정된 지지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는 모터축과, 상기 구이기 본체 내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모터축과 연동하여 숯불통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숯불통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요입홈에 삽입 및 이격되는 작동편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그리고, 상기 숯불통 높낮이 조절수단이 구이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콘트롤 박스 내의 하부에 장착되어 제어부의 감지 신호에 의해 숯불통의 높낮이 조절시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구이기 본체와 구이기 본체 내의 하부에 고정된 받침대를 관통하여 받침대의 내부에 고정된 지지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모터축과, 상기 지지 부재 내부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모터축과 연동하여 숯불통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작동편과, 상기 지지 부재 의 상부에 형성괸 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 부재 내부의 지지축 하단에 설치되어 숯불통의 상승 및 하강 동작시 작동편과 접촉하는 작동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축의 상단에 설치되어 숯불통의 하단부를 안정된 상태로 받쳐주기 위한 숯불통 받침 부재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통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통이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에 감지봉이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숯불 고기 구이기는 음식점 등에서 식탁용으로 사용되는 탁자에 안착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구이기 본체(10)의 내부에 물을 넣기 위한 물받이통(20)이 삽입되어 안착되고,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상단 내주면과 물받이통(20) 사이의 공간부에는 그 공간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공간 밀폐판(30)이 설치되며, 상기 구이기 본체(10) 내의 물받이통(20) 중앙에는 숫불을 담기 위한 숯불통(40)이 삽입되어 받침대(13)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숯불통(40)의 바닥면 및하부 외주면에는 각각 복수개의 통기공(41)이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통(10) 내의 상부에는 고기를 굽기 위한 금속재의 구이판(50)이 안착된다.
또한,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콘트롤 박스(60)가 설치되고, 상기 콘트롤 박스(60)의 상부에는 온도 조절 스위치(61)가 설치되며, 상기 구이판(5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돌출편(51)의 고정홈(52)에는 상기 온도 조절 스위치(61)에 의해 셋팅된 온도에 따라 숯불통(40)에 있는 숯불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봉(70)이 삽입되고, 상기 콘트롤 박스(60) 내의 상부에는 감지봉(70)에서 감지된 숯불의 온도에 따라 숯불통(40)의 높낮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콘트롤 박스(60) 내의 하부에는 상기 제어부(80)의 감지 신호에 의해 숯불통(40)의 높낮이 조절시 작동하는 모터(90)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90)에는 모터축(91)이 설치되는 데, 상기 모터(90)의 모터축(91)은 구이기 본체(10)를 관통하여 구이기 본체(10) 내의 하부에 고정된 지지편(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기 구이기 본체(10) 내의 모터축(91)에는 상기 모터(90)의 구동에 의해 모터축(91)과 연동하여 숯불통(40)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숯불통(40)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요입홈(42)에 삽입 및 이격되는 작동편(1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하단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통기공(12)이 형성되고,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타측에는 고기에서 발생되는 냄새 및 연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송풍 모터(11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숯불 고기 구이기를 사용하여 고기를 굽고자 할 때는 먼저, 구이기 본체(10) 내의 물받이통(20) 중앙에 숙성된 숯불이 담긴 숯불통(40)을 삽입하여 받침대(13)의 상단에 안착시킨 후, 상기 물받이통(10) 내의 상부에 구이판(50)을 올려 놓은 다음, 이 구이판(50) 위에 굽고자 하는 고기를 올려 놓은 후, 상기 구이기 본체(10) 일측의 콘트롤 박스(60) 상부에 설치된 온도 조절 스위치(61)를 회전시켜서 고기를 굽기 위한 적당한 온도로 셋팅시킨다.
이때, 상기 구이기 본체(10) 내의 모터축(91)에 설치된 작동편(100)은 초기에는 숯불의 화력이 미약하므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기를 신속하게 구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숯불통(40)을 상승시키는 수직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이 숯불통(40)이 상승된 상태에서는 숯불통(40)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통기공(41)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인해 유통되는 공기에 의하여 숯불이 빨리 연소되면서 많은 발열을 하게 되므로 신속하게 고기를 구울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고기를 굽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구이판(5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돌출편(51)의 고정홈(52)에 삽입된 감지봉(70)이 상기 온도 조절 스위치(61)에 의해 셋팅된 온도에 따라 숯불통(40)에 있는 숯불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숯불의 온도가 셋팅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콘트롤 박스(60) 내의 상부에 설치된 제어부(80)에 감지봉(70)에서 감지된 온도가 전달됨에 따라 제어부(80)에서는 그 감지 신호를 상기 콘트롤 박스(60) 내의 하부에 장착된 모터(90)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모터(90)가 그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함에 따라 모터축(91)이 90도 회전하게 되므로 모터축(91)에 설치된 작동편(100)이 연동하여 수직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상기 숯불통(40)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구이판(50) 상에 있는 고기가 타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숯불통(40)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통기공(41)이 받침대(13)의 상부에 의해 밀폐되어 유통되는 공기를 차단시키게 되므로 인해 숯불의 발열을 줄여 오랜 시간동안 숯불의 발열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써 여러번 숯불을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숯불통(40)이 하강된 상태에서 고기를 굽다가 설정된 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제어부(80)에 감지봉(70)에서 감지된 온도가 전달됨에 따라 제어부(80)에서는 그 감지 신호를 상기 모터(90)에 전달하여 모터(90)가 그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함에 따라 모터축(91)이 90도 회전하게 되므로 모터축(91)에 설치된 작동편(100)이 연동하여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상기 숯불통(40)이 다시 도 1과 같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구이판(50) 상에 있는 고기를 신속하게 구울 수 있게 된다.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숯불통(40)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구이기 본체(10) 내의 하부에 고정된 받침대(13)의 내부에는 지지 부재(120)가 고정되고, 상기 모터(90)의 모터축(91)은 구이기 본체(10) 및 받침대(13)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 부재(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지지 부재(120)의 내부의 모터축(91)에는 작동편(100)이 설치된다.또한, 상기 지지 부재(120)의 상부에 형성된 통공(121)을 관통하여 지지축(130)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120) 내부의 지지축(130) 하단에는 상기 숯불통(40)의 상승 및 하강 동작시 작동편(100)과 접촉하는 원형의 작동 플레이트(132)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130)의 상단에는 상기 숯불통(40)의 하단부를 안정된 상태로 받쳐주기 위한 숯불통 받침 부재(134)가 설치되어 구성된다.따라서, 상기 모터(90)의 구동에 의해 모터축(91)이 90도 회전하게 됨에 따라 모터축(91)에 설치된 작동편(100)이 연동하여 수직 또는 수평 상태로 전환될 때 작동편(100)이 상기 지지 부재(120) 내부의 지지축(130) 하단에 설치된 원형의 작동 플레이트(132)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축(130)이 지지 부재(120)의 상부에 형성된 통공(121)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지축(130)의 상단에 설치된 숯불통 받침 부재(134)의 상부에 숯불통(40)이 안착되어 있으므로 숯불통(40)이 상승 및 하강 동작시 숯불통(40)의 유동이 발생됨이 없이 항상 안정된 상태로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숯불 고기 구이기를 사용하여 고기를 구울 때 숯불의 온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감지된 온도에 따라 숯불통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써 숯불의 발열을 항상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고기를 태우지 않고 골고루 잘 익혀 먹을 수 있으며, 고기를 구울 때의 연기 또는 매연 및 고기타는 냄새가 발생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인해 숯불 고기 구이기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구이기 본체(10) 내부의 물받이통(20) 중앙에 삽입되어 안착된 숯불통(40)에 담겨 있는 숯불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하기 위한 숯불 온도 감지 및 제어 수단과,
    상기 숯불의 온도에 따라 숯불통(4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숯불통 높낮이 조절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숯불 온도 감지 및 제어 수단이 물받이통(10) 내의 상부에 안착된 구이판(5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돌출편(51)의 고정홈(52)에 삽입되어 구이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콘트롤 박스(60) 상의 온도 조절 스위치(61)에 의해 셋팅된 온도에 따라 숯불통(40)에 있는 숯불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봉(70)과, 상기 콘트롤 박스(60)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감지봉(70)에서 감지된 숯불의 온도에 따라 숯불통(40)의 높낮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숯불통 높낮이 조절수단이 구이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콘트롤 박스(60) 내의 하부에 장착되어 제어부(80)의 감지 신호에 의해 숯불통(40)의 높낮이 조절시 작동하는 모터(90)와, 상기 모터(9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구이기 본체(10)를 관통하여 구이기 본체(10) 내의 하부에 고정된지지편(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는 모터축(91)과, 상기 구이기 본체(10) 내의 모터축(91)에 설치되어 모터(90)의 구동에 의해 모터축(91)과 연동하여 숯불통(40)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숯불통(40)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요입홈(42)에 삽입 및 이격되는 작동편(1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숯불통 높낮이 조절수단이 구이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콘트롤 박스(60) 내의 하부에 장착되어 제어부(80)의 감지 신호에 의해 숯불통(40)의 높낮이 조절시 작동하는 모터(90)와, 상기 모터(9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구이기 본체(10)와 구이기 본체(10) 내의 하부에 고정된 받침대(10)를 관통하여 받침대(13)의 내부에 고정된 지지 부재(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모터축(91)과, 상기 지지 부재(120) 내부의 모터축(91)에 설치되어 모터(90)의 구동에 의해 모터축(91)과 연동하여 숯불통(40)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작동편(100)과, 상기 지지 부재(120)의 상부에 형성된 통공(121)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지축(130)과, 상기 지지 부재(120) 내부의 지지축(130) 하단에 설치되는 숯불통(40)의 상승 및 하강 동작시 작동편(100)과 접촉하는 작동 플레이트(132)와, 상기 지지축(130)의 상단에 설치되어 숯불통(40)의 하단부를 안정된 상태로 받쳐주기 위한 숯불통 받침부재(1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
KR2020010003788U 2001-02-15 2001-02-15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 KR200230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788U KR200230542Y1 (ko) 2001-02-15 2001-02-15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788U KR200230542Y1 (ko) 2001-02-15 2001-02-15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071A Division KR20020075705A (ko) 2002-01-18 2002-01-18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온도 자동조절 장치 및 그자동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542Y1 true KR200230542Y1 (ko) 2001-07-04

Family

ID=7306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788U KR200230542Y1 (ko) 2001-02-15 2001-02-15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54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995A (ko) * 2003-04-30 2004-11-04 김기홍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
KR100473951B1 (ko) * 2002-04-26 2005-03-08 한순자 자동 고기구이 장치
KR101978722B1 (ko) * 2017-11-27 2019-08-28 강삼태 조리기구 제어 시스템
KR102440116B1 (ko) 2022-03-23 2022-09-02 김준기 직화구이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951B1 (ko) * 2002-04-26 2005-03-08 한순자 자동 고기구이 장치
KR20040092995A (ko) * 2003-04-30 2004-11-04 김기홍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
KR101978722B1 (ko) * 2017-11-27 2019-08-28 강삼태 조리기구 제어 시스템
KR102440116B1 (ko) 2022-03-23 2022-09-02 김준기 직화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3146B2 (en)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KR101553198B1 (ko) 슬라이드 로스터
US4287870A (en) Indoor barbeque cooking device
KR102243806B1 (ko) 자동 석쇠 구이기
US3841211A (en) Pit barbecue apparatus
KR101698180B1 (ko) 화력조절이 가능한 바베큐그릴
KR200230542Y1 (ko)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
KR200338472Y1 (ko) 숯불 고기 구이기의 석쇠 자동조절장치
KR101848570B1 (ko) 불판 높이가 조절되는 고기 구이용 로스터
KR200407369Y1 (ko) 숯불구이기
KR20020075705A (ko)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온도 자동조절 장치 및 그자동조절 방법
KR102463742B1 (ko) 숯불구이용 화로대
KR200472637Y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불판
KR200487893Y1 (ko) 구이용 로스팅장치
JP7441974B2 (ja) 携帯用直火焼き器
KR102169100B1 (ko) 구이 테이블
KR200296333Y1 (ko) 화덕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이기
KR100205120B1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100755214B1 (ko) 구이테이블
KR20220135268A (ko) 고기 구이장치
KR20090010632U (ko) 로스터
KR200272113Y1 (ko) 음식물 조리장치
KR200374019Y1 (ko) 고기구이판 경사각도조절장치
KR101861601B1 (ko) 다기능 조리용기
KR20020075622A (ko) 고기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