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2995A -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 - Google Patents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2995A
KR20040092995A KR1020030027917A KR20030027917A KR20040092995A KR 20040092995 A KR20040092995 A KR 20040092995A KR 1020030027917 A KR1020030027917 A KR 1020030027917A KR 20030027917 A KR20030027917 A KR 20030027917A KR 20040092995 A KR20040092995 A KR 20040092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roaster
burner head
groo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김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홍 filed Critical 김기홍
Priority to KR1020030027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2995A/ko
Publication of KR20040092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99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로스터에 불판을 올려놓고 육류를 구워먹거나, 또는 전골등을 조리할 때 화력을 발생하는 버너의 높낮이 위치가 서로 달라 각기 용도에 맞는 로스터를 구비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로스터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버너를 구비 구이용 및 전골겸용으로 사용하므로 경제적인 부담감을 해소하고, 아울러 휀을 통해 순환되는 뜨거운 연기와 열기를 여과필터로 정화하여 일부는 부탄가스용기 예열관을 통해 배출 부탄가스 내에 가스를 전량 소진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Method and frame for elevating roaster burner}
본 발명은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로스터에 불판을 올려놓고 육류를 구워먹거나, 또는 전골등을 조리할 때 화력을 발생하는 버너의 위치가 서로 달라 각기 용도에 맞는 로스터를 구비하여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 없애고 하나의 로스터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버너를 구비한 육류구이 및 전골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스터는 대중음식점에서 테이블 중앙 내부에 원형이나 사각형태의 로스터를 설치하여 손님들이 즉석에서 육류를 구워먹거나 아니면 해물탕이나 전골 등을 조리하여 먹을 때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 음식점에서 테이블에 로스터를 구비할 때 손님들에게 제공하는 주메뉴에 따라 로스터를 설치하는데, 예를 들면 각종 육류나 해산물 등을 구워먹는 식당에서는 로스터를 테이블 내에 설치 숯불, 가스를 이용하여 조리하며, 먹으며 해물탕이나 전골 등 국물 있는 음식을 주메뉴로 하는 식당에서 이동이 간편한 휴대용 가스버너를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전골냄비를 가열하여 조리한다.
즉 로스터에 각종구이를 제공하는 갈비집 같은 경우에는 로스터에 내에 숯이 담긴 숯통을 안작하여 고기를 굳거나 아니면 가스를 이용하는데 손님이 전골 종류의 국물 있는 음식을 주문하면 숯이 담겨진 숯통을 제거하고 가스불로 가열하기 위하여 전골냄비를 로스터에 올려놓으면 전골냄비 특성상 냄비 바닥면이 버너와 간격이 너무 떨어져 버너의 화력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뜨거운 열기만 발생하여 전골냄비에 담겨진 내용물이 오랜 시간 동안 있어도 가열되지 않아 별도의 휴대용 로스터를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전골이나 해물탕 등 국물이 있는 음식 등을 담아서 조리하는 전골냄비는 조리방법의 특성상 내용물이 어느 정도 익고 끓을 때까지 가열하고, 그 후에는 내용물을 다 먹을 때까지 식지 않고 외부로 국물이 넘치는걸 방지하도록 전골냄비자체가 넓고 두께가 두꺼워 일정시간 온도를 유지해야한다.
따라서, 대중음식점에서 테이블 내에 설치 많이 사용하는 로스터는 구이용으로 사용하고, 국물 있는 음식인 전골 종류는 휴대용 가스버너를 따로 사용 하야하는 번거로움으로 경제적인 구입부담 및 보관상의 어려움을 가지고있다.
따라서, 대중음식점에서 각기 다른 손님들의 구미에 맞게 선택의 폭을 넓게하여 구이나 전골 등 다양한 종류의 메뉴를 제공해야하는데 그러지 못하고 전골이나 구이 또는 해물탕 등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있어 영업적인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육류나 해산물 등 각종 내용물을 구워 먹을 수 있으며, 아울러 선택적으로 국물 있는 음식인 전골, 해물탕 등을 조리할 수 있도록 전골냄비를 직접 가열하도록 버너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로스터에 제공되는 휴대용 부탄가스 용기내의 가스 잔량이 전혀 없이 전부 소진할 수 있도록 하여 부탄가스용기 폐기시 위험성을 제거하고, 남은 잔량을 다 소진하기 때문에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버너를 도시해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버너를 도시해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스톱퍼를 도시해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스톱퍼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a, 5b는 본 발명 스톱퍼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6a, 6b는 본 발명 버너의 승강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덮개와 석면을 도시해 보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버너 위에 숯통이 내장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로스터.
도 9는 본 발명 버너 위에 전골냄비가 내장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로스터.
도 10a, 10b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승강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1a, 11b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승강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가이드봉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로스터 2: 버너헤드
3: 버너 4: 걸림홈부
5: 완충망 6: 점화공
7: 가이드로 8: 가이드봉
9: 스프링 10: 브라켓
11: 스톱퍼 12: 고무링
13: 구리스 14: 공간부
15: 푸쉬풀(PUSH PULL) 16: 탄성편
17: 가스분사노즐 18: 고무링홈
19: 에어조절기 20: 휀
21: 불꽃연소기 22: 재받이대
23: 여과필터 24: 국물받이
25: 공기순환통 26: 내통
27: 외통 28: 점화조절부
29: 전골냄비 30: 부탄가스 용기 예열관
31: 분사공 32: 걸림턱
33: 통공 34: 공기단파
35: 끼움홈부 36: 점화플러그
37: 숯통 38: 고정편
39: 상부본체 40: 하부본체
41: 푸쉬버튼 42: 요홈
43: 슬라이드부재 44: 내홈부
45: 체결공 46: 고정부
48: 안내로 49: 볼트공
50: 덮개 51: 석면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로스터에 있어서,
하나의 로스터로 육류나 해산물 등 각종 내용물을 구워 먹을 수 있으며, 더불어 선택적으로 국물 있는 음식인 전골, 해물탕 등을 먹을 수 있게 전골냄비를 직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로스터 내부 바닥면에 소정의 형상을 갖는 버너는 내부에 가스분사노즐과 완충망, 탄성부재, 가이드봉이 내입되어 탭으로 고정되고, 외주면에 동일 형상의 버너헤드가 끼워져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버너헤드가 수직으로 승강하는 버너와, 상기 버너의 상단 외주면에 체결되어 수직으로 승강하는 버너헤드를 제어하는 스톱퍼와, 상기 로스터의 바닥면에서 버너의 외주면을 따라 틈새로 발생하는 바람을 차단하는 석면과 이를 지지하는 덮개가 버너헤드를 중심으로 재받이대 상면에 부착되어 버너의 불꽃이 소화되는것을 방지하고, 버너의 내측에 유입되는 가스를 점화하도록 외주면 타측에 점화플러그와 로스터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순환 정화하여 일부는 예열관을 통해 부탄가스 용기를 예열시켜 전량 소모하는 로스터는 필요에 따라 버너 내부의 승강수단을 통해 버너헤드가 상하로 승강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버너를 도시해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버너를 도시해 보인 결합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대중음식점에서 구이용이나 전골용 로스터(1)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로스터(1)로 손님의 주문에 따라 구이용 또는 전골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로스터(1) 내부의 버너(3)를 승강작동할 수 있도록 버너(3), 버너헤드(2), 완충망(5), 스톱퍼(11), 석면(50), 덮개(5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스터(1)의 내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버너(3)는 원통형으로 내부 중앙에는 가스분사노즐(17)에서 분사되는 가스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공(31)이 형성되는데, 이때 버너헤드(2) 승강 작동시 공급 분사되는 가스 압력흐름 속도를 약하게 완충시켜 버너헤드(2)에서 로스터(1) 점화시 뻥소리를 방지하도록 금속재질의 망형태를 갖는 완충망(5)을 분사공(31) 상단 내측으로 형성된 끼움홈(35)에 체결한다.
또한, 상기 분사공(31) 주위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가이드로(7)가 형성되어 가이드봉(8)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면은 통공(33)되어 내측으로 단턱을 형성 가이드봉(8) 끝단을 지지하고, 내부 하단에는 가이드봉(8)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버너헤드(2)를 승강작동 할 수 있도록 스프링(9)과 그 위에 가이드봉(8)이 순차적으로위치 가이드봉(8) 끝단이 통공(33)에 끼워져 버너헤드(2)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버너(3)의 외주면을 따라 상단 내측에 일정폭으로 공간부(14)가 형성되고, 그 위에 고무링홈부(18)를 형성 고무링(12)이 끼워지면 공간부(14)에 버너(3)와 버너헤드(2)를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윤활제인 구리스(13)가 충입되고 고무링(12)은 구리스(13)의 유출을 막는다.
또한, 버너(3) 외주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지는 버너헤드(2)는 스톱퍼(11)에 의해 승강작동시 간섭을 받을 수 있도록 하측 외주면 끝단과 중앙부분에 내측으로 걸림홈부(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버너헤드(2)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관통된 점화공(6)이 일정간격으로 위치하여 버너(3) 분사공(31)을 통하여 분사되는 가스가 점화플러그(36)에 의해 점화된다.
아울러, 점화플러그(36)에 근접되는 점화공(6)은 점화플러그(36)에 점화가 쉽게될 수 있도록 점화공(6)을 복수개로 형성한다.
한편, 버너헤드(2) 하단 내측에는 끼움홈부(35)가 형성되어 버너(3) 상단에 형성된 고무링홈(18)에 끼워진 고무링(12)과 대응하도록 고무링(12)이 끼워진다.
아울러 버너(3) 외주면에 형성된 공간부(14)는 버너헤드(2)가 상승할 때 구리스(13)도 같이 상승하여 보관하고 하강할 때 구리스(13)도 같이 하강하여 전체적으로 고르게 외주면에 도포 되는 역할을 가지고있다.
또한, 고무링(12)과 구리스(13)는 시중에서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제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버너(3) 점화시 온도가 상승하여도 전혀 이상이 없다.
도 3은 본 발명 스톱퍼를 도시해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스톱퍼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며, 도 5a, 5b는 본 발명 스톱퍼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다.
상기 본 발명은 버너(3)의 승강작동을 간섭할 수 있도록 로스터(1) 바닥면에 탭으로 고정하여 슬라이드 작동되는 스톱퍼(11)는 상/하부몸체(39),(40), 고정부(46), 푸쉬버튼(41), 슬라이드부재(43), 스프링(9)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하부몸체(40)는 사각형상에 바닥면 내측으로 로스터(1)와 고정이 가능한 탭홀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스프링(9)을 안착할 수 있는 내홈부(44)와 상부몸체(39)와 체결이 가능한 복수개의 체결공(4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몸체(40) 상면에 소정의 형상을 가지면 버너헤드(2)를 승강작동시 간섭 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재(43)가 위치하는데, 이때 슬라이드부재(43) 하측 바닥면은 내측으로 하부몸체(40)와 동일하게 형성된 내몸부(44)와 상면에 원뿔형태의 요홈(4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40)와 슬라이드부재(43)에 밀착된 내홈부(44)에 스프링(9)이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좌우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원뿔형의 요홈(42)에 푸쉬버튼(41)이 위치하고, 그 위에 푸쉬버튼(41)과 슬라이드부재(43)를 감싸는 상부몸체(39)가 순차적으로 위치하는데, 상기 상부몸체(39)는 하부몸체(40)와 대응 체결할 수 있는 볼트공(49)이 각각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측면에 슬라이드부재(43)를 삽입 좌우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안내로(48)가 형성되며, 중앙 에는 상측으로 돌출 되는 푸쉬버튼(41)을 잡아주는 고정부(46)에 끼어져 체결공(45)에 고정부(46)가 체결되면 고정부(46) 상면으로 푸쉬버튼(41) 일측이 돌출되고, 상부(39)와 하부몸체(40)를 일체로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공(49)에 볼트(47)체결한다.
따라서, 로스터(1)의 바닥면에 고정된 스톱퍼(11)는 버너(3)에 결합된 버너헤드(2)를 승강작동시키기위해서 슬라이드부재(43)가 간섭중인 버너헤드(2)의 걸림홈부(4) 간섭을 해지하기위하여 푸쉬버튼(41)을 가압하면 푸쉬버튼(41) 끝단이 원뿔형태의 요홈(42)을 가압하여 슬라이드부재(43)가 스톱퍼(11) 후미로 슬라이드 되어 버너헤드(2)의 간섭을 해지하여 버너헤드(2)가 승강 작동하고 푸쉬버튼(41)의 가압을 해지하면 상부몸체(39)와 하부몸체(40) 내홈부(44)에 삽입된 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된 슬라이드부재(43)가 원위치 하여 버너헤드(2)의 걸림홈부(4)를 재차 간섭한다.
도 6a, 6b는 본 발명 버너의 승강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로, 로스터(1)를 구이용으로 사용하다가 전골용으로 전환하는데, 이때 버너헤드(2)는 승강작동시 이를 간섭하기 위하여 바닥면 일측에 부착된 스톱퍼(11)와 로스터(1) 바닥면에 고정된 버너(3)의 외주면에 체결된 버너헤드(2)의 걸림홈부(4)를 간섭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골 등을 조리하기 위해 로스터(1)에 전골냄비(29)를 안착하였을 때 버너(3)와 간격이 너무 떨어져 전골냄비(29)에 직접 화력을 가할 수 없을 때 버너(3)와 전골냄비(29) 바닥면의 간격을 밀착할 수 있도록 버너헤드(2)를 승강작동하기 위하여 로스터(1) 내부에 있는 스톱퍼(11)의 푸쉬버튼(41)을 가압하면 스톱퍼(11)의 슬라이드부재(43)가 좌우 슬라이드 작동되어 버너헤드(3)의 외주면 중앙에 있는 걸림홈부(4)의 간섭을 해지하면 버너헤드(2)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로(7)에 내입된 가이드봉(8)이 스프링(9)에 의한 탄성력으로 승강작동하면 끝단이 버너헤드(2) 내측을 수직으로 가압하여 버너헤드(2)는 승강되면, 푸쉬버튼(41)의 가압을 해지하면 스톱퍼(11)가 슬라이드부재(43)가 내홈부(44)에 삽입된 스프링(9)에 의해 원위치 되어 스톱퍼(11)의 슬라이드부재(43)가 버너헤드(2) 끝단의 걸림홈부(4)를 간섭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된 버너헤드(2)에 가스를 공급 분사하기 위하여 버너(3) 내측 분사공(31)에 가스분사노즐(17)이 내입되어 가스를 분사하면 가스를 분사하는 압력이 순간적으로 세기 때문에 버너헤드(2) 내측에 순간적으로 가스가 뭉쳐있어 점화공(6)을 통해 점화될 때 순간적으로 뻥소리가 나면 안전검사에서 불합격 처리와 사용자가 순간적으로 놀랄 수 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버내(3) 내측 끼움홈부(35)에 망으로 이루어진 완충망(5)을 체결하여 분사되는 가스의 흐름을 저하하는 효과를 가지고있다.
또한, 상기 버너(3)는 버너헤드(2)가 승강작동으로 상승하였을 때 일측에 있는 점화플러그(36)와 점화공(6)사이에 거리가 이격되어 있어 분사되는 가스에 점화가 쉽지않아 버너헤드(2) 일측에 관통된 점화공(6)을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점화공(6)을 버너헤드(2) 끝단까지 형성하여 버너(3)의 분사공(31)을 동하여 분사되는 가스 일부가 점화공(6)으로 분사되면 점화플러그(36)에서 점화 버너헤드(2) 끝단 점화공(6)으로 순차적으로 점화된다.
또한, 버너헤드(2)가 버너(3) 내에 삽입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버너헤드(2)가 승강시 이를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로스터(1) 바닥면에 고정편(38)을 부착하여 버너헤드(2) 승강작동시 외주면 끝단을 견고하게 간섭한다.
도 7은 본 발명 덮개와 석면을 도시해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또한 상기 버너헤드(2)가 승강작동할때 버너헤드(2) 외주면과 재받이대(2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간극사이로 로스타(1) 사용시 발생되는 연기를 정화하여 휀(20)을 통해 순환 배출되는 공기로 인해 바닥면에서 바람이 발생하여 버너(3)에 점화된 불꽃이 소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재받이대(22) 상면에 고온에 강한 석면(50)을 버너헤드(2)를 중심으로 안착하고 이를 고정하기위하여 석면(50) 위에 순차적으로 덮개(51)를 위치시켜 볼트(47) 고정하는데, 상기 덮개(51)는 사용상 편리를 위해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석면(50)에 의해 버너헤드(2)를 긴밀하게 밀작하여 바람은 차단하고 버너헤드(2)의 승강작동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도 8은 본 발명 버너 위에 숯통이 내장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로스터로, 소정의 형상을 갖는 로스터(1)는 외통(27) 일측에 부탄가스용기를 장착하고 점화조절스위치와 에어조절기(19)를 갖는 점화조절부(28)와 외통(27), 내통(26), 내측에는 바닥면에 버너(3)가 탭으로 고정되고 주위에 슬라이드 작동되는 스톱퍼와 타측에는 점화플러그(36)와 상승시 버너헤드(2) 끝단을 간섭 지지하는 고정편(38)이 바닥면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공기단파(34) 외주면으로 내통(26)이 형성되고 그 위에 국물받이(24), 숯통(37), 덮개(51), 석면(*50), 재받이대(22)와 버너(3)의 중앙에는 순차적으로 불꽃연소기(21)가 안착된다.
또한, 외통(27)의 외주면 타측에는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와 열기를 순환시켜 정화할 수 있는 여과필터(23)와 휀(20)이 구비되어, 바닥면에 부착된 공기순환통(25)으로 정화된 공기와 열기를 순환시키면 일부 열기는 점화조절부(28)내에 위치한 부탄가스용기로 공기순환통(25)에 연결된 부탄가스 용기 예열관(30)을 통해 배출하여 부탄가스 용기를 항상 일정온도로 유지하는 효과를 가지고있어 부탄가스 사용시 남아있는 가스잔량을 다소진 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부탄가스 용기 예열관(30)이 필요한 이유는 부탄가스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가스의 상태는 액체이며 이 액체가 기화될 때 주위의 많은 열을 빼앗아 기체로 되는데 이때 날씨가 추운 겨울이나 용기표면이 부탄가스의 비점보다 더 낮게 떨어지면, 이때 부탄가스의 기화잠열 때문에 기화능력이 떨어지는 결노현상이 발생하여 용기에 잔량이 남아 폭발성을 갖는 사용한 용기의 저리문제와 경제적인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 버너 위에 전골냄비가 내장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로스터로, 구이용 로스터(1)를 전골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버너헤드(2) 위에 순차적으로 안착된 불꽃연소기(21), 숯통(37)을 제거하고 스톱퍼(11)의 푸쉬버튼(41)을 가압하면 스톱퍼(11)의 슬라이드부재(43)가 후미로 슬라이드 되어 버내헤드(2)의 중앙에 있는 걸림홈부(4)의 간섭을 해지하며 버너(3) 내에 있는 스프링(9)이 가이드봉(8)을 승강하여 버너헤드(2)를 순차적으로 밀어 올려 승강작동한다.
아울러 전골용 로스터(1)에서 구이용 로스터(1)로 전환할 때는 버너헤드(2)를 위에서 가압하면 버너헤드(2)의 중앙 걸림홈부(4)가 하강 스톱퍼(11)에 간섭을 받으며 그 위에 순차적으로 재받이대(22), 불꽃연소기(21), 숯통(37)을 안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10a, 10b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승강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고, 도 11a, 11b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승강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로, 구이용 또는 전골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로스터(1) 내부의 버너헤드(3)를 승강작동할 수 있는 버너(3), 버너헤드(2), 완충망(5), 스톱퍼(11), 푸쉬풀(Push pull)(15), 탄성편(1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너(3)는 원통형으로 전자에서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구성으로 버너헤드(2)의 승강작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버너(3) 외주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지는 버너헤드(2)는 스톱퍼(11)에 간섭을 받을 수 있도록 외주면 끝단과 중앙부분에 돌출된 걸림편(32)이 각각 형성되는데 중앙부분에 있는 걸림편은 5 ˚정도의 경사각으로 버너헤드(2) 하강시 스톱퍼(11)의 작동을 원활하게하며, 아울러 버너헤드(2)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일정간격으로 관통된 점화공(6)이 위치 버너(3) 분사공(31)을 통하여 분사되는 가스가 점화플러그(36)에 의해 점화된다.
따라서 버너의 외주면에 체결된 버너헤드(2)는 승강작동시 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되는 버너헤드(2)를 간섭하기 위하여 바닥면 일측에 부착된 탄성편(16)과 바닥면에 입설된 공기단파(34)에 부착되어 탄성편(16) 상측에 대응하게 푸쉬풀(Push pull)(15)이 위치하여 그 사이에 공기단파(34)에 체결된 브라켓(10)에 힌지 체결된 스톱퍼(11) 일측은 푸쉬풀(Push pull)(15)과 탄성편(16)사이에 위치하며 타측은 버너헤드(2)의 걸림편(32)을 간섭하는 구조이다.
상기 대응하는 푸쉬풀(Push pull)(15)과 탄성편(16)은 내부에 스프링(9)과 돌기가 돌출 되어 스톱퍼(11) 일측을 항상 서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다 외부에서 가압하면 스톱퍼(11)는 힌지 체결되어있으므로 일측은 하강하고 타측은 상승 걸림편(4) 간섭을 해지하며 푸쉬풀(Push pull)(15)의 가압이 없어지면 탄성편(16)돌기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골 등을 조리하기 위해 로스터(1)에 전골냄비(29)를 안착하였을 때 버너(3)와 간격이 너무 떨어져 전골냄비(29)에 직접 화력을 가할 수 없을 때 버너(3)와 전골냄비(29) 바닥면의 간격을 밀착할 수 있도록 버너헤드(2)를 승강작동하기 위하여 로스터(1) 내부에 있는 푸쉬풀(Push pull)(15)을 가압하면 브라켓(10)에 힌지 체결된 스톱퍼(11)가 버너헤드(3)의 외주면 중앙에 있는 걸림편(16)의 간섭을 해지하고 승강작동되는 버너헤드의 하단 걸림편을 간섭하여 스프링(9)의 탄성력에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로스터(1) 바닥면에 고정편(38)이 부착된다
도 12는 본 발명 가이드봉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로 버너(3)에서 버너헤드(2)가 승강작동시 스프링(9)의 탄성력에도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봉(8)의 끝단이 나선형으로 이루어져 버너헤드(2)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육류구이 및 전골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로 버너와 버너헤드를 승강작동할 수 있도록 이중구조로 사용자가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버너헤드를 승강작동하여 사용하므로 불필요하게 로스터를 각각 구비해야하는 경제적인 부담감을 해소하고, 아울러 휀을 통해 순환되는 뜨거운 연기와 열기를 정화하여 일부는 부탄가스용기 예열관을 통해 배출 부탄가스 내에 가스를 전량 소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당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적 실시 예가 제시될 수 있음은 극히 자명하다.

Claims (3)

  1. 로스터에 있어서,
    하나의 로스터로 육류나 해산물 등 각종 내용물을 구워 먹을 수 있으며, 더불어 선택적으로 국물 있는 음식인 전골, 해물탕 등을 먹을 수 있게 전골냄비를 직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로스터는 내부 바닥면에 소정의 형상한 버너는 내부에 가스분사노즐과 완충망, 탄성부재, 가이드봉이 내입되어 탭으로 고정되고, 외주면에 동일 형상의 버너헤드가 끼워져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버너헤드가 수직으로 승강하는 버너와;
    상기 버너의 상단 외주면에 체결되어 수직으로 승강하는 버너헤드를 제어하는 스톱퍼와;
    상기 로스터의 바닥면에서 버너의 외주면 틈새을 따라 발생하는 바람을 차단하는 석면과 이를 지지하는 덮개가 버너헤드를 중심으로 재받이대 상면에 부착되어 버너의 불꽃이 소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버너의 내측에 유입되는 가스를 점화하도록 외주면 타측에 점화플러그와 로스터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순환 정화하여 일부는 예열관을 통해 부탄가스 용기를 예열시켜 전량 소모하는 로스터는 필요에 따라 버너 내부의 승강수단을 통해 버너헤드가 상하로 승강 작동되는 간섭하는 고정편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2. 로스터 내에 위치한 버너에 있어서,
    원통형의 형상으로 하단은 로스터 바닥면에 고정탭으로 고정되고, 내부 중앙에 가스분사노즐을 삽입 가스 분사하는 분사공과, 상기 분사중 상단 내측 끼움홈부에 분사되는 가스의 흐름을 완충 통과하는 완충망이 체결되며, 상기 분사공을 중심으로 상측 끝단은 통공되어 걸림턱을 갖는 복수개의 가이드로가 형성되어 내부 하단에 스프링과 그 위에 가이드봉이 순차적으로 위치 통공에 끼워지고, 또한 상기 버너 외주면 상단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어, 그 위에 고무링홈이 형성되어 고무링이 끼워진 버너와;
    상기 버너 외주면에 동일형상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져 외주면 끝단과 중앙부분에 걸림홈부과 각각 형성되고, 상단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관통된 점화공이 위치하여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가스가 점화플러그에 의해 점화되며, 내주면 하단 내측으로 고무링홈이 형성되어 고무링이 끼워진 버너헤드는 버너사이에 원활하게 승강작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고무링 사이에 구리스가 충입되어 버너 내부에 순차적으로 위치한 스프링과 가이드봉에 의해 승강작동할 수 있는 버너헤드와;
    상기 체결된 버너헤드를 제어 간섭할 수 있도록 상부몸체 상면에는 체결공과 볼트공이 각각 형성되어 체결공에 상면이 통공된 고정부가 체결되고, 타측에는 버너헤드를 간섭하는 슬라이드부재를 좌우 안내하는 안내로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제의 체결공에 하측에서 푸쉬버튼을 삽입 고정부의 상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푸쉬버튼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안내로에 삽입된 슬라이드부재는 소정의 형상으로 상면에 요홈과 하측면에 내홈부가 형성 하부몸체사이에 위치하여 좌우 슬라이드되도록 하부몸체가 체결되는데, 하부몸체는 상면에 볼트공과 슬라이드부재의 내홈부와 동일한 내홈부가 형성 일치하여 스프링을 삽입 볼트공에 상하몸체를 일체로 순차적으로 볼트체결하여 상하 승강되는 버너헤드의 걸림홈부를 스톱퍼의 슬라이드부재가 간섭을 해지하여 버너헤드가 가이드봉의 스프링에 의해 승강되고, 스톱퍼가 버너헤드의 걸림홈부를 간섭하는 구조와 바닥면에 별도의 버너헤드 끝단부를 간섭하는 고정편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구조.
  3. 로스터 내에 위치한 버너에 있어서,
    원통형의 형상으로 하단은 로스터 바닥면에 고정탭으로 고정되고, 내부 중앙에 가스분사노즐을 삽입 가스 분사하는 분사공과, 상기 분사공 상단 내측 끼움홈부에 분사되는 가스의 흐름을 완충 통과하는 완충망이 체결되고, 또한 상기 분사공을 중심으로 상측은 통공되어 걸림턱을 갖는 복수개의 가이드로가 형성되어 내부 하단에 스프링과 그 위에 가이드봉이 순차적으로 위치 끝단이 통공에 끼워지며, 상기 버너 외주면 상단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위에 홈부가 형성되어 고무링이 끼워진 버너와;
    상기 버너 외주면에 동일형상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져 외주면 끝단과 중앙부분에 걸림편이 각각 형성되고, 상단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관통된 점화공이 위치하여 분사공을 통하여 분사되는 가스가 점화플러그에 의해 점화되며, 내주면 하단 내측으로 홈부가 형성되어 고무링이 끼워진 버너헤드는 버너사이에 원활하게 승강작동할 수 있도록 고무링 사이에 구리스가 충입되어 버너 내부에 순차적으로 위치한 스프링과 가이드봉에 의해 승강작동할 수 있으며 이를 간섭하기 위하여 바닥면 일측에 탄성편이 상측에 대응하게 푸쉬풀(Push pull)이 공기단파에 부착되고, 상기 공기단파에 부착된 브라켓에 힌지 체결된 스톱퍼는 일측은 푸쉬풀(Push pull)과 탄성편 사이에 위치하여 타측은 걸림편을 간섭하는 구조로 푸쉬풀(Push pull)을 가압하면 스톱퍼가 걸림편의 간섭을 해지하여 버너헤드가 가이드봉의 스프링에 의해 승강되고, 탄성편으로 재차 스톱퍼가 걸림편을 간섭하는 구조를 특징으로하는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구조.
KR1020030027917A 2003-04-30 2003-04-30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 KR20040092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917A KR20040092995A (ko) 2003-04-30 2003-04-30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917A KR20040092995A (ko) 2003-04-30 2003-04-30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995A true KR20040092995A (ko) 2004-11-04

Family

ID=37373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917A KR20040092995A (ko) 2003-04-30 2003-04-30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299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1338A (ko) * 2004-03-12 2005-09-15 김기홍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
CN109381052A (zh) * 2018-11-29 2019-02-26 余姚市富达电子有限公司 一种多士炉
CN110440302A (zh) * 2019-08-27 2019-11-12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一种升降式燃气灶
KR102334660B1 (ko) * 2020-10-27 2021-12-02 남현목 로스터의 숯불과 가스겸용 버너부의 승강장치
KR102401110B1 (ko) * 2021-03-04 2022-05-20 남현목 숯불과 가스겸용 로스터의 자동 승강 버너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702A (ko) * 1996-07-13 1997-03-27 정현각 가스겸용 숯불구이 화덕
KR200230542Y1 (ko) * 2001-02-15 2001-07-04 조구현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
KR200233215Y1 (ko) * 2001-03-17 2001-10-18 박정란 숯불구이기
KR200278443Y1 (ko) * 2002-03-08 2002-06-20 주식회사 성창베네피나 조리기구
KR200296333Y1 (ko) * 2002-08-21 2002-11-23 박용석 화덕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이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702A (ko) * 1996-07-13 1997-03-27 정현각 가스겸용 숯불구이 화덕
KR200230542Y1 (ko) * 2001-02-15 2001-07-04 조구현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
KR200233215Y1 (ko) * 2001-03-17 2001-10-18 박정란 숯불구이기
KR200278443Y1 (ko) * 2002-03-08 2002-06-20 주식회사 성창베네피나 조리기구
KR200296333Y1 (ko) * 2002-08-21 2002-11-23 박용석 화덕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이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1338A (ko) * 2004-03-12 2005-09-15 김기홍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
CN109381052A (zh) * 2018-11-29 2019-02-26 余姚市富达电子有限公司 一种多士炉
CN109381052B (zh) * 2018-11-29 2024-05-17 余姚市富达电子有限公司 一种多士炉
CN110440302A (zh) * 2019-08-27 2019-11-12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一种升降式燃气灶
KR102334660B1 (ko) * 2020-10-27 2021-12-02 남현목 로스터의 숯불과 가스겸용 버너부의 승강장치
KR102401110B1 (ko) * 2021-03-04 2022-05-20 남현목 숯불과 가스겸용 로스터의 자동 승강 버너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3524A (en) Portable cooking and barbecuing device
KR102230066B1 (ko)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
US20130112186A1 (en) Solid fuel cook system
US108062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applying heat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KR102236131B1 (ko)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KR20040092995A (ko)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
KR20120008881U (ko) 돌판구이 겸용 조개류 찜이 가능한 로스터
KR102503643B1 (ko) 항아리 구이 장치
EP4151134A1 (en) Portable direct flame broiler
JP2023524966A (ja) 携帯用直火焼き器
CN210276932U (zh) 一种便携式燃气烤炉
CN103501667A (zh) 用于基本上使油脂或油在操作和存储状态下最小的溢出的可折叠式烧烤装置
KR200169831Y1 (ko)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KR20050091338A (ko)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
KR200310161Y1 (ko) 불판 겸용 석쇠
KR200353170Y1 (ko) 토치착탈형 가스숯불겸용 바베큐구이기
KR200380144Y1 (ko) 숯불 구이기
US20110186033A1 (en) Cooking stove
KR102116391B1 (ko)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KR102390179B1 (ko) 캠핑용 다기능 구이기
KR102334660B1 (ko) 로스터의 숯불과 가스겸용 버너부의 승강장치
KR20190091086A (ko) 캠핑용 버너
KR102092166B1 (ko) 가열부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KR200164418Y1 (ko) 숯불구이기의 숯 착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