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391B1 -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 Google Patents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391B1
KR102116391B1 KR1020190114822A KR20190114822A KR102116391B1 KR 102116391 B1 KR102116391 B1 KR 102116391B1 KR 1020190114822 A KR1020190114822 A KR 1020190114822A KR 20190114822 A KR20190114822 A KR 20190114822A KR 102116391 B1 KR102116391 B1 KR 102116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asting
rotation
boss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관
Original Assignee
이동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관 filed Critical 이동관
Priority to KR1020190114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6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horizontal turn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82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gas-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47J2037/0617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with mean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heat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상부에 가열부가 배치된 바디(10)에 구비되며 상하면으로 연통된 로테이션 가이드홀(68)을 구비한 로테이션 서포트판(66); 로테이션 보스(74)가 저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테이션 서포트판(66)의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홀(68)에 상기 로테이션 보스(7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구이판(70);을 포함하고, 상기 로테이션 서포트판(66)의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홀(68)에 결합되는 상기 로테이션 보스(74)는 상기 구이판(70)의 중심부 저면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구이판(70)의 중심부에는 상기 로테이션 보스(74)와 연통된 배출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Upper and lower way gas direct fire roaster with improved roasting panel support structure and utilizing ceramic ultrared ray}
본 발명은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이판에 올려진 육류 등의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 상부 가열부가 걸리적거리지 않고 구이판을 돌려서 편리하게 고기를 굽는 등의 조리를 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등을 구워서 먹을 경우에는 휴대용 가스렌지에 구이판을 올려놓고 구이판의 하부에서 구이판을 가열하여 구이판의 상면에 놓여지는 육류 등을 구워지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구이판의 상층에서 가스를 점화시켜서 가열하면 상부에서 공급하는 열에 의해 육류를 굽고 동시에 구이판 쪽에서 복사열이 발생되면서 구이판의 상면에 놓여진 육류 등을 상면의 전도열과 복사열에 의한 이면이 동시에 구이가 가능하도록 된 양방향 가열 구이기도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상부 가열부가 고정되어 있어서 구이판에 올려진 육류 등의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 상부 가열부가 걸리적거리게 되어, 고기를 굽기가 불편한 문제가 있고, 상부 가열부와 구이판 사이의 간격이 좁아서 상부 가열부가 걸리적거리는 경우가 더 많아서 고기를 구울 때에 자주 불편을 초래한다.
따라서, 기존에 상부 가열부가 서포트 하우징에서 회전하여 구이판에서 일정 각도 벗어난 위치로 돌려놓도록 구성된 것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상부 가열부와 서포트 하우징 사이의 회동 결합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제조 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83508호(2007년02월09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464629호(2014년11월18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이판에 올려진 육류 등의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 상부 가열부가 걸리적거리지 않고 구이판을 돌려서 편리하게 고기를 굽는 등의 조리를 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에 가열부가 배치된 바디에 구비되며 상하면으로 연통된 로테이션 가이드홀을 구비한 로테이션 서포트판; 로테이션 보스가 저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테이션 서포트판의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홀에 상기 로테이션 보스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구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가 제공된다.
상기 로테이션 보스는 상기 구이판의 중심부 저면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구이판의 중심부에는 상기 로테이션 보스와 연통된 배출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테이션 서포트판의 저면에서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가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홀은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는 단면 원형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이판의 상기 로테이션 보스는 단면 원형관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테이션 보스가 상기 로테이션 서포트판의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이판이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에서 상기 로테이션 보스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테이션 보스의 외주면 또는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의 내주면에는 로테이션 스페이싱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테이션 스페이싱 돌기가 상기 로테이션 보스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경우, 상기 로테이션 보스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로테이션 스페이싱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로테이션 스페이싱 돌기가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경우,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로테이션 스페이싱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에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되는 승강 링크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 링크에 상기 로테이션 서포트판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에 구비된 가스 공급부; 상기 가스 공급부에서 상기 구이판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 가열부 하우징; 상기 가열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이너 가열부 하우징; 상기 이너 가열부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구이판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화염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열부 하우징에는 상기 이너 가열부 하우징 쪽으로 연통된 홀과 산소 인입 가이드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부 하우징의 상기 홀은 내향 연장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내향 연장편에는 복수개의 산소 인입 가이드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부 하우징의 상기 내향 연장편은 원형 링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열부 하우징의 상기 홀이 원형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산소 인입 가이드홀은 상기 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 가열부 하우징에 화염판가 장착되고, 상기 화염판은 상하면으로 연동된 복수개의 점화홀을 구비하고, 상기 화염판은 세라믹 발열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라믹 발열판은 상면과 저면이 아래쪽으로 볼록한 단면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염판에 인접하도록 이그나이터가 구비되고, 상기 이그나이터에 인접한 점화 가스관은 상기 가스 공급부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서 상기 이그나이터에 의해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염판의 저면 일부에는 열전도판의 수평 전도판부가 배치되고, 상기 수평 전도판부는 상기 이그나이터를 밑에서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평 전도판부는 상기 화염판의 저면에 이그나이터가 배치되고, 수평 전도판부는 이그나이터에 근접하도록 배치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의 내부에는 승강 링크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 링크는 중간 힌지부를 기준으로 X자 형상으로 연결된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가 승강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 링크는 바디의 내부 좌우 위치에 하나씩 나란하게 배치되어 승강 링크 셋트로 형성되며, 상기 바디와 상기 제1링크부재에는 스프링이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구이판과 로테이션 서포트판이 최하부 승강 위치와 최상부 승강 위치 사이에서 정지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에는 가스 공급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스 공급부는 바디에서 직립 설치된 서포트 하우징과, 상기 서포트 하우징에 결합되며 서포트 하우징 내부의 가스 레귤레이터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도록 가스 통로를 구비한 가스 공급관을 구비하며, 상기 서포트 하우징에는 열전도판이 구비되어, 가스 레귤레이터에 장착된 부탄가스의 외주면 위치에 열전도판이 배치되고, 상기 열전도판에는 조절 플레이트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이판에 형성된 배출홀은 캡으로 막아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에서 구이판은 저면으로 돌출된 로테이션 보스가 구이판 거치패널에 구비된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구이판 거치패널의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를 기준으로 구이판을 돌려줄 수 있으므로, 구이판에 올려진 모든 음식물을 고르게 구워주는 등의 조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구이판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열부와 로테이션 서포트판에 사발과 구이판을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은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4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4의 좌측면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레버의 작동에 의해 구이판을 하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우측면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레버의 작동에 의해 구이판을 하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구이기의 측단면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의한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의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구이판의 배출홀을 캡으로 막아주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구이판의 배출홀을 캡으로 막아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는 상부에 가열부가 배치된 바디(10)에 구비되며 상하면으로 연통된 로테이션 가이드홀(68)을 구비한 로테이션 서포트판(66)과, 로테이션 보스(74)가 저면으로 돌출되어 로테이션 서포트판(66)의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홀(68)에 로테이션 보스(7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구이판(70)을 구비한다. 가열부는 가열부 하우징(30)에 화염판(32FP)이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화염판(32FP)에서 발생한 가스 화염에 의해 구이판(70) 쪽으로 육류 구이 등에 필요한 열기를 내려보낸다.
상기 바디(10)는 내부에 상부로 개방되는 공간부(101)를 구비한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바디(10)는 전방벽과 좌우 측방벽을 구비한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10)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트레이(12)가 구비된다. 바디(10)의 전방 벽부에 슬라이딩홀이 구비되어, 슬라이딩홀에 트레이(1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12)가 슬라이딩홀을 통해서 바디(10)의 내부로 들어가고 바디(10)에서 바깥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디(10)에는 가스 공급부(20)가 구비되고, 상기 가스 공급부(20)는 바디(10)에서 직립 설치된 서포트 하우징(22)과, 상기 서포트 하우징(22)에 결합되며 서포트 하우징(22) 내부의 가스 레귤레이터(25)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도록 가스 통로를 구비한 가스 공급관(26)을 구비한다.
상기 가열부는 가스 공급부(20)에서 구이판(7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 가열부 하우징(30)과,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의 내부에 배치된 이너 가열부 하우징(37)과, 상기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에 장착되어 구이판(70)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화염판(32FP)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에는 이너 가열부 하우징(37) 쪽으로 연통된 홀(34)과 산소 인입 가이드홀(36)이 구비된다. 가열부 하우징(30)의 내향 연장편(32)에 복수개의 산소 인입 가이드홀(36)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가스 공급관(26)에는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이 연결되어, 상기 가스 레귤레이터(25)에 장착된 부탄가스(2)에서 가스 공급관(26) 내부의 가스 통로를 통해서 가스가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서포트 하우징(22)의 내부 공간부에는 가스의 공급 제어가 가능한 가스 레귤레이터(25)가 내장되고, 가스 레귤레이터(25)에는 부탄가스(2)가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서포트 하우징(22)의 외측 상부에는 가스 레귤레이터(25)의 제어가 가능한 점화노브(NB)가 구비되어 점화노브(NB)의 작동에 의해 가스 레귤레이터(25)의 제어로 가스의 공급량 조절 및 이그나이터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스 레귤레이터(25)에 부탄가스(2)를 장착하여 돌려주면, 부탄가스(2)가 가스 레귤에이터에 장착됨과 동시에 가스 레귤레이터(25)에 구비된 푸셔에 의해 부탄가스(2)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가스가 부탄가스(2)에 있는 가스 토출관으로부터 가스 레귤레이터(25) 내부의 가스 통로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 하우징(22)에 구비된 도어(24)를 열어서 가스 레귤레이터(25)에 부탄가스(2)를 장착하고, 도어(24)를 닫은 상태에서 점화노브(NB)를 한쪽 방향으로 돌려주면 가스 레귤레이터(25)로부터 부탄가스(2) 내부의 가스가 가스 공급관(26)을 통과하여 상기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점화 가스관으로도 가스의 일부가 공급되고 동시에 이그나이터에서는 점화 불꽃이 발생하여 상기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의 내부로 공급된 가스에 점화가 되고, 가스가 점화된 화염은 상기 화염판(32FP)에 형성된 점화홀(32FH)을 통해서 화염판(32FP)의 전체에 화염이 형성되면서 화염판(32FP)의 열에 의해 구이판(70)에 얹혀진 육류 등을 구울 수 있게 된다. 한편, 화염의 열기는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의 상면으로도 전달되어, 상기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의 상면과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의 홀(34) 사이에 결합된 사발 위에 국그릇 등과 같은 가열 조리가 필요한 조리 용기를 올려놓고 국이나 찌게와 같은 요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스 레귤레이터(25) 내부의 가스 통로로 부탄가스(2) 내부의 가스가 토출된 상태에서 점화노브(NB)의 작동에 의해 이그나이터에서 점화 불꽃이 발생되면서 가스 점화가 되고 점화노브(NB)의 작동에 의해 가스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가스가 점화되어 생기는 가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스 레귤레이터(25)에는 점화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는 점화 가스 공급관이 연결된다. 점화 가스 공급관은 가스 레귤레이터(25) 내부의 가스 통로와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점화 가스 공급관의 선단부측 점화 가스 토출홀에 인접된 위치에 이그나이터가 배치된다. 이그나이터를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가 점화 가스 공급관에 장착되어 이그나이터가 점화 가스 공급관의 선단부측 점화 가스 돌출홀에 인접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스 레귤레이터(25)에 부탄가스(2)를 장착하여 돌려주면, 부탄가스(2)가 가스 레귤에이터에 장착됨과 동시에 가스 레귤레이터(25)에 구비된 푸셔에 의해 부탄가스(2)에 있는 가스 토출관과 밸브를 눌러서 부탄가스(2)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가스가 부탄가스(2)의 가스 토출관으로부터 가스 레귤레이터(25) 내부의 가스 통로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스 레귤레이터(25) 내부의 가스 통로로 부탄가스(2) 내부의 가스가 토출된 상태에서 점화노브(NB)의 작동에 의해 이그나이터에서 점화 불?이 발생되면서 가스 점화가 되고 점화노브(NB)의 작동에 의해 가스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가스가 점화되어 생기는 가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은 가스 공급부(20)에서 구이판(7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가열부 하우징(30)은 가스 공급부(20)의 서포트 하우징(22)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가열부 하우징(30)은 일측으로 연결 하우징부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 하우징부가 서포트 하우징(2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서포트 하우징(22)은 플라스틱 재질이고 가열부 하우징(30)은 금속재로서 브라켓과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가열부 하우징(30)의 연결 하우징부가 서포트 하우징(22)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열부 하우징(30)은 서포트 하우징(22)에 연결되어 구이판(70)을 위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가열부 하우징(30)은 내향 연장편(32)에 의해 상부에 홀(34)이 구비되고 하부는 개방된 케이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가열부 하우징(30)은 위에서 볼 때에 일측으로 연장부 하우징이 돌출된 원형 케이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은 상하부 개방형 케이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의 내부에는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이 내장된다.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의 일측이 볼트와 같은 연결구에 의해 상기 가스 공급관(26)의 선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가열부 하우징(30)의 내부에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이 내장된다.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에는 내외주면으로 연통된 가스 유입홀이 구비되어, 상기 가스 유입홀이 가스 공급관(26) 내부의 가스 공급 통로와 연통된다.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은 내향 연장편(32)에 의해 상하면으로 연통된 홀(34)과 내향 연장편(32)에 형성된 복수개의 산소 인입 가이드홀(36)을 구비하는데,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의 홀(34)과 내향 연장편(32)의 복수개의 산소 인입 가이드홀(36)은 이너 가열부 하우징(37) 쪽으로 연통된다. 가열부 하우징(30)의 홀(34)과 복수개의 산소 인입 가이드홀(36)이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의 상면 쪽으로 연통된다.
상기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은 하부에 개방부가 있는 케이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은 위에서 볼 때에 원형 케이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에는 내향 플랜지편이 결합된다. 내향 플랜지편은 루프형 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가열부 하우징(30)이 평단면으로 볼 때에 원형 케이스 형상이어서 내향 플랜지편은 원형 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향 플랜지편은 가열부 하우징(30)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장착편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어 가열부 하우징(30)의 하단부측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의 내향 플랜지편에는 복수개의 로워 산소 인입 가이드홀이 구비된다. 로워 산소 인입 가이드홀은 내향 플랜지편의 상하면으로 연통된다. 상기 복수개의 로워 산소 인입 가이드홀은 가열부 하우징(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의 내부에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이 내장되는데,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의 직경에 비하여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의 직경이 더 작아서, 가열부 하우징(30)의 외주면과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의 외주면 사이에는 산소 인입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상기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에는 로워 서포트편이 구비된다. 로워 서포트편은 루프형 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이 원형 케이스 형상이어서, 로워 서포트편이 원형 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로워 서포트편은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가열부 하우징(30)의 내향 플랜지편에 고정된다. 가열부 하우징(30)의 내향 플랜지편에 체결구 결합편이 구비되어, 상기 로워 서포트편을 관통한 체결구가 내향 플랜지편의 체결구 결합편에 조여짐으로써, 상기 로워 서포트편이 가열부 하우징(30)의 내향 플랜지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의 내부에는 로워 서포트편과 위아래에서 마주하는 지지단턱이 구비된다.
상기 화염판(32FP)은 상하면으로 연동된 복수개의 점화홀(32FH)을 구비한 판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화염판(32FP)은 세라믹 발열판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세라믹 발열판은 상면과 저면이 아래쪽으로 볼록한 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동일한 점화홀(32FH)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에 화염판(32FP)이 장착된다. 화염판(32FP)은 바디(10)에 거치되는 구이판(70)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로워 서포트편과 이너 가열부 하우징(37) 내부의 지지단턱에 화염판(32FP)의 둘레부측 상단부와 하단부가 지지되어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에 판형상의 화염판(32FP)가 장착된다. 화염판(32FP)은 원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화염판(32FP)에 인접하도록 이그나이터가 구비되고, 상기 이그나이터에 인접한 점화 가스관은 가스 공급부(20)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서 이그나이터에 의해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스 공급부(20)의 서포트 하우징(22) 내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열전도판(29)이 내장되고, 상기 열전도판(29)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전도판부(29HP)는 가열부 하우징(30)의 연결 하우징부의 저면을 지나서 화염판(32FP)의 저면 일부에까지 배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화염판(32FP)의 저면 일부에는 열전도판(29)의 수평 전도판부(29HP)가 배치되는데, 상기 화염판(32FP)의 저면에 이그나이터가 배치되고, 상기 수평 전도판부(29HP)는 이그나이터를 밑에서 감싸도록 구성된다. 수평 전도판부(29HP)는 이그나이터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수평 전도판부(29HP)가 이그나이터에서 0.05mm에서 0.1mm 거리의 범위에 이격되어 이그나이터에 수평 전도판부(29HP)가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서포트 하우징(22)에는 안쪽면에서 돌출된 링크 결합 브라켓이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하우징(22)의 좌우 양쪽 위치에 나란하게 링크 결합 브라켓이 구비된다.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의 외부에는 안전망(40)이 구비된다. 안전망(40)은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가로 와이어(42)와, 상기 복수개의 가로 와이어(42)에 연결된 복수개의 세로 와이어(44)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망(40)이 가열부 하우징(30)과 연결 하우징의 외부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안전망(40)의 가로 와이어(42)와 세로 와이어(44) 중에서 세로 와이어(44)에 결합 후크를 형성하여 결합 후크로 안전망(40)을 가열부 하우징(30)에 걸어줌으로써, 안전망(40)을 가열부 하우징(30)의 외부에 결합할 수 있다. 안전망(40)의 결합 후크 부분을 가열부 하우징(30)의 하단부에서 더 벌린 상태에서 가열부 하우징(30)의 하단부에서 안쪽으로 결합 후크를 걸어줄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가로 와이어(42)에도 결합 후크(HK)를 형성하고, 상기 가로 와이어(42)의 결합 후크(HK)를 가열부 하우징(30)의 연장 하우징부에 형성된 구멍에 가로 와이어(42)의 결합 후크(HK)를 삽입하여 가로 와이어(42)의 결합 후크(HK)가 가열부 하우징(30)의 연장부 하우징 안쪽면에 걸려지도록 할 수 있다. 복수개의 상하 가로 와이어(42) 중에서 가장 위쪽의 가로 와이어(42)의 양단부에 결합 후크(HK)를 형성하여, 상기 가로 와이어(42) 양단부의 결합 후크(HK)를 가열부 하우징(30)의 연장 하우징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여 가로 와이어(42)의 결합 후크(HK)가 가열부 하우징(30)의 연장부 하우징 안쪽면에 걸려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안전망(40)에서 주로 세로 와이어(44)의 하단부에 결합 후크(HK)를 형성하여 세로 와이어(44)의 결합 후크(HK)를 가열부 하우징(30)의 하단부에 걸어주고, 복수개의 가로 와이어(42) 중에서 일부의 가로 와이어(42)의 양단부에 결합 후크(HK)를 형성하여, 가열부 하우징(30)의 연장 하우징징부에 형성된 구멍에 가로 와이어(42) 양단부의 결합 후크(HK)를 삽입하여 가로 와이어(42)의 결합 후크(HK)가 상기 연장 하우징부의 안쪽면에 걸려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가열부 하우징(30)에 볼트 체결을 위한 구멍을 뚫거나 볼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이, 안전망(40)을 가열부 하우징(30)에 간단하고 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의 하단부에는 화염판(32FP)의 저면보다 더 아래로 내려가도록 연장된 하향 연장 하우징편(30EP)이 더 구비된다. 가열부 하우징(30)에 하향 연장 하우징편(30EP)이 더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안전망(40)에서 제일 아래의 가로 와이어(42)는 가열부 하우징(30)의 하단부보다 더 아래에 있도록 하향 연장 가로 와이어(42)부가 구비되고, 상기 세로 와이어(44)에 구비된 결합 후크(HK)는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의 하향 연장 하우징편(30EP)의 안쪽에 걸어줌으로써, 안전망(40)을 가열부 하우징(30)의 외부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안전망(40)의 결합 후크(HK) 부분을 가열부 하우징(30)의 하단부에 구비된 하향 연장 하우징편(30EP)에서 더 벌린 상태에서 상기 하향 연장 하우징편(30EP)의 하단부에서 안쪽으로 결합 후크(HK)를 걸어줄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내부에는 좌우 한 쌍의 바디측 링크 결합 브라켓이 구비된다. 상기 바디측 링크 결합 브라켓은 바디(10)의 전방벽에 형성된 슬라이딩홀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다. 한 쌍의 바디측 링크 결합 브라켓은 서포트 하우징(22)의 안쪽면에서 돌출된 링크 결합 브라켓과 전후 방향으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바디측 링크 결합 브라켓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브라켓 장홀이 구비된다.
상기 바디(10)의 내부에는 승강 링크(60)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 링크(60)는 중간 힌지부를 기준으로 X자 형상으로 연결된 제1링크부재(62)와 제2링크부재(64)로 구성된다. 제1링크부재(62)와 제2링크부재(64)가 승강 링크(60)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 링크(60)는 바디(10)의 내부 좌우 위치에 하나씩 나란하게 배치되어 승강 링크 셋트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승강 링크 셋트에서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제1링크부재(62)의 하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1로워 연결핀이 구비되고, 상기 제1로워 연결핀들은 각각 한 쌍의 바디측 링크 결합 브라켓에 형성된 브라켓 장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링크부재(62)의 상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1어퍼 연결핀이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승강 링크 셋트에서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제2링크부재(64)의 하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2로워 연결핀이 구비되고, 상기 제2로워 연결핀들은 각각 한 쌍의 링크 결합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64)의 상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2어퍼 연결핀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 링크(60)에 구이판 거치패널(66)이 연결된다. 상기 구이판 거치패널(66)은 둘레부에 하향 연장된 좌우 테두리벽과 전후 테두리벽을 구비한다. 상기 좌우 테두리벽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서포트판 장홀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 링크(60)의 좌우 한 쌍의 제1링크부재(62)에 구비된 제1어퍼 연결핀은 구이판 거치패널(66)의 좌우 테두리벽의 후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승강 링크(60)의 좌우 한 쌍의 제2링크부재(64)에 구비된 제2어퍼 연결핀은 구이판 거치패널(66)의 좌우 테두리벽의 전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서포트판 장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 링크(60)의 한 쌍의 제1링크부재(62)와 제2링크부재(64)는 중간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대 회동되고, 좌우 한 쌍의 제1링크부재(62)의 제1로워 연결핀은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 바디측 링크 결합 브라켓에 형성된 브라켓 장홀을 따라 슬라이드되고 제2링크부재(64)의 제2어퍼 연결핀은 구이판 거치패널(66)의 전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서포트판 장홀을 따라 슬라이드되고 동시에 좌우 한 쌍의 제1링크부재(62)의 제1어퍼 연결핀은 구이판 거치패널(66)의 후단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회전되고 좌우 한 쌍의 제2링크부재(64)의 제2로워 연결핀은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 바디측 링크 결합 브라켓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승강 링크(60)가 상하 방향으로 신축되고, 상기 승강 링크(60)에 결합된 구이판 거치패널(66)이 승강하게 된다.
상기 구이판 거치패널(66)에는 로테이션 가이드홀(68)이 구비된다. 로테이션 가이드홀(68)은 구이판 거치패널(66)의 상하면으로 연통된다. 로테이션 가이드홀(68)은 구이판 거치패널(66)의 중심부에 구비된다. 구이판 거치패널(66)의 무게 중심부에 로테이션 가이드홀(68)이 구비된다. 로테이션 가이드홀(68)은 원형홀 형상이다.
상기 구이판 거치패널(66)의 저면에는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가 구비된다.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는 로테이션 가이드홀(68)의 둘레부에 배치된다.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의 상단부가 구이판 거치패널(66)의 저면에 연결된 구조를 취한다.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의 내부는 구이판 거치패널(66)에 형성된 로테이션 가이드홀(68)과 연통된다.
상기 구이판 거치패널(66)의 저면에 구비된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는 스페이싱 보스부와 서포트 보스부(69C)를 구비한다. 상기 스페이싱 보스부는 구이판 거치패널(66)의 저면에 상단부가 연결된 대직경 스페이싱 보스부(69A)와, 상기 대직경 스페이싱 보스부(69A)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대직경 스페이싱 보스부(69A)에 비하여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작은 소직경 스페이싱 보스부(69B)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 보스부(69C)는 소직경 스페이싱 서포트 보스부(69C)에 연결된다. 상기 서포트 보스부(69C)가 구이판(70)의 저면에서 하향 연장된 로테이션 보스(7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대직경 스페이싱 보스부(69A)와 소직경 스페이싱 보스부(69B)의 내주면은 구이판(70)의 로테이션 보스(74)의 외주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서포트 보스부(69C)에는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의 중심부 쪽으로 연통된 스페이싱 돌기(69SP)가 구비된다. 스페이싱 돌기(69SP)는 서포트 보스부(69C)에 복수개로 구비된다. 서포트 보스부(69C)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스페이싱 돌기(69SP)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구이판(70)의 저면에는 로테이션 보스(74)가 돌출된다. 구이판(70)의 중심부 저면에서 하부로 로테이션 보스(74)가 연장된다. 상기 구이판(70)의 중심부에는 배출홀이 구비된다. 배출홀은 로테이션 보스(74)와 연통된다. 구이판(70) 위에서 배출홀을 통해 빠지는 육류의 기름과 구이시 생기는 이물질 등이 로테이션 보스(74)의 하단부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배치된 트레이(12)에 수집된다.
상기 구이판 거치패널(66)에 형성된 로테이션 가이드홀(68)에 구이판(70)의 로테이션 보스(7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구이판(70)의 로테이션 보스(74)는 단면 원형관 형상이고 구이판 거치패널(66)의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도 단면 원형관 형상이다. 구이판 거치패널(66)의 로테이션 가이드홀(68)은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의 내부로 연통되며,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는 단면 원형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이판(70)의 로테이션 보스(74)도 단면 원형관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구이판(70)의 로테이션 보스(74)가 구이판 거치패널(66)의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동시에 구이판 거치패널(66) 위에 구이판(70)이 거치된다. 상기 구이판 거치패널(66)의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에서 상기 구이판(70)이 로테이션 보스(74)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는 상단부에 플랜지부(69FL)가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부(69FL)가 구이판 거치패널(66)의 저면에 스폿용접(SP)으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가 구이판 결합홀 주위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를 스폿용접(SP)에 의해 구이판 거치패널(66)의 아래에 보다 쉽고 신속하게 구비할 수 있게 된다. 구이판(70)의 회전이 가능한 지지부를 보다 쉽고 신속하게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승강 링크(60)가 바디(10)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고, 승강 링크(60)에는 구이판 거치패널(66)이 장착되고, 구이판 거치패널(66)에 구이판(70)이 결합되므로, 상기 구이판(70)이 바디(10)에 배치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구이판(70)에는 복수개의 로테이션 작동 홈부(71)가 구비된다. 구이판(70) 둘레부의 상부 연장편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로테이션 작동 홈부(71)가 구비된다.
상기 구이판(70)의 상면은 중심부의 배출홀 쪽으로 하향 경사진 면으로 구성된다. 구이판(70)을 단면으로 볼 때에 중심부의 배출홀 쪽으로 상면과 저면이 하향 경사진 면으로 구성된다. 구이판 거치패널(66)에 구이판(70)이 거치된 상태에서 구이판 거치패널(66)의 상면에서 구이판(70)의 저면이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로테이션 보스(74)의 외주면 또는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의 내주면에는 로테이션 스페이싱 돌기(69SP)가 구비된다.
상기 로테이션 스페이싱 돌기(69SP)가 로테이션 보스(74)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경우, 상기 로테이션 보스(74)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로테이션 스페이싱 돌기(69SP)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로테이션 스페이싱 돌기(69SP)가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에 구비된다. 상기 로테이션 스페이싱 돌기(69SP)가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경우,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로테이션 스페이싱 돌기(69SP)가 구비된다.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를 형성하는 서포트 보스부(69C)에 복수개의 스페이싱 돌기(69SP)가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보스부(69C)를 프레싱하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스페이싱 돌기(69SP)가 서포트 보스부(69C)의 내주면에서 중심부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링크(60)는 중간 힌지부를 기준으로 X자 형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제1링크부재(62)와 제2링크부재(64)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10)에는 인출 가능한 트레이(12)가 결합되어, 상기 구이판 거치패널(66)의 하부에 트레이(12)가 배치된 구조가 된다.
상기 바디(10)의 외부에는 좌우 한 쌍의 래버(52)가 배치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래버(52)에는 좌우 한 쌍의 제1링크부재(62)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1로워 연결핀이 연결된다. 좌우 한 쌍의 래버(52) 안쪽면에 돌출된 핀연결 보스부가 바디(10)의 좌우 측벽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한 쌍의 제1로워 연결핀에 연결된다. 이때, 좌우 한 쌍의 래버(52)에는 파지 바아(53)의 양단부가 연결된다. 파지 바아(53)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좌우 한 쌍의 래버(52)의 회동 동작을 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링크부재(62)와 바디(10) 사이에는 스프링(62SP)이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62SP)의 양단부가 제1링크부재(62)의 옆으로 돌출된 제1로워 연결핀과 바디(10)에 내장된 바디측 링크 결합 브라켓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스프링(62SP)이 제1링크부재(62)와 바디(10) 사이에 연결된 구조가 된다. 스프링(62SP)은 바디(1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측 위치에 하나씩 배치된다. 한 쌍의 나란한 스프링(62SP)이 바디(10)의 내부에 나란하게 배치된 구조가 된다.
상기 구이판 거치패널(66)의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에 구이판(70)의 저면에서 하향 연장된 로테이션 보스(74)가 삽입되어 구이판 거치패널(66) 위에 구이판(70)이 거치되는데, 상기 스프링(62SP)의 탄성력은 구이판(70)과 구이판 거치패널(66)이 최하부 승강 위치와 최상부 승강 위치 사이에서 정지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 하우징(22)에는 열전도판(29)이 구비되어, 가스 레귤레이터(25)에 장착된 부탄가스(2)의 외주면 위치에 열전도판(29)이 배치되는데, 열전도판(29)에는 조절 플레이트(129)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절 플레이트(129)는 양쪽 측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결합편이 구비되어, 상기 조절 플레이트(129)는 열전도판(29)에 인접 배치되고, 한 쌍의 결합편이 열전도판(29)의 양쪽 측단부에 끼워져서, 상기 조절 플레이트(129)가 열전도판(29)의 상하부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절 플레이트(129)와 한 쌍의 결합편은 열전도판(29)에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조절 플레이트(129)가 열전도판(29)을 따라 승강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열전도판(29)에서 조절 플레이트(129)가 승강되는 높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에 의하면, 상기 서포트 하우징(22)에 구비된 도어(24)를 열어서 가스 레귤레이터(25)에 부탄가스(2)를 장착하고, 도어(24)를 닫은 상태에서 점화노브(NB)를 한쪽 방향으로 돌려주면 가스 레귤레이터(25)로부터 부탄가스(2) 내부의 가스가 가스 공급관(26)을 통과하여 상기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점화 가스관으로도 가스의 일부가 공급되고 동시에 이그나이터에서는 점화 불꽃이 발생하여 상기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의 내부로 공급된 가스에 점화가 되고, 가스가 점화된 화염은 상기 화염판(32FP)에 형성된 점화홀(32FH)을 통해서 화염판(32FP)의 전체에 화염이 형성되면서 화염판(32FP)의 열에 의해 구이판(70)에 얹혀진 육류 등을 구울 수 있게 된다. 한편, 화염의 열기는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의 상면으로도 전달되어, 상기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의 상면과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의 홀 사이에 결합된 사발 위에 국그릇 등과 같은 가열 조리가 필요한 조리 용기를 올려놓고 국이나 찌게와 같은 요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구이판(70)은 저면으로 돌출된 로테이션 보스(74)가 구이판 거치패널(66)에 구비된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구이판 거치패널(66)의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를 기준으로 구이판(70)을 돌려줄 수 있으므로, 구이판(70)에 올려진 모든 음식물을 고르게 구워주는 등의 조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이판(70)에는 복수개의 로테이션 작동 홈부(71)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작동 홈부(71)에 사용자가 젓가락과 같은 적당한 도구를 끼워서 자신이 있는 쪽으로 구이가 완료된 육류 등을 돌려서 섭취할 수 있으므로, 구이판(70)에 올려진 육류 등의 음식물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구이판(70)에 올려진 조리 완성된 음식물을 자기 쪽으로 돌려서 섭취하게 되어서 재미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좌우 한 쌍의 래버(52)가 승강 링크(60)의 좌우측에 연결되어 있어서 좌우 한 쌍의 래버(52)를 회동시키는 방식으로 좌우 균형이 있게 구이판 거치패널(66)과 구이판(70)을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구이판 거치패널(66)과 구이판(70)을 승강시키는 동작 중에 구이판(70)이나 구이판 거치패널(66)이 좌우로 좌우로 기우뚱거리는 경우가 방지되며, 구이판 거치패널(66)이 승강 중에 좌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면서 구이판 거치패널(66)과 구이판(70)을 제대로 승강시키기 어려운 경우도 방지한다. 특히, 좌우 한 쌍의 스프링(62SP)이 승강 링크(60)의 좌우측과 바디(10) 사이에 연결되어 있어서, 승강 링크(60)의 신축과 구이판 거치패널(66) 및 구이판(70)의 승강 작동중에 좌우 한 쌍의 스프링(62SP)이 좌우측에서 균형이 있게 탄성력을 작동시키므로, 구이판 거치패널(66)과 함께 구이판(70)을 좌우 기우뚱거리는 일이 없어 더욱 확실하게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이판 거치패널(66)의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는 대직경 보스부와 소직경 보스부 및 서포트 보스부(69C)를 구비하여, 서포트 보스부(69C)가 구이판(70) 하부의 로테이션 보스(7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대직경 보스부와 소직경 보스부의 내주면은 구이판(70)의 로테이션 보스(74)의 외주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로테이션 보스(74)가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에서 더 원활하게 돌아간다. 로테이션 보스(74)가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에서 더 원활하게 돌아간다는 것은 구이판 거치패널(66) 위에서 구이판(70)을 더 쉽고 원활하게 돌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이판(70)의 로테이션 보스(74)의 외주면과 구이판 거치패널(66)의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스페이싱 돌기(69SP)가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스페이싱 돌기(69SP)가 로테이션 보스(74)를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에서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므로, 구이판(70)이 회전되는 동안에 로테이션 보스(74)가 구이판 거치패널(66)의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이판(70)이 구이판 거치패널(66) 위에서 기우뚱거리지 않고 더욱 안정되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화염판(32FP)에 화염을 발생시키도록 가스를 점화할 때에 가열부 하우징(30)에 구비된 복수개의 산소 인입 가이드홀(36)을 통해서 가열부 하우징(30)의 위쪽에서 이너 가열부 하우징(37)과 가열부 하우징(30) 사이의 산소 인입 챔버로 산소가 들어와서 이너 가열부 하우징(37) 하단부에 구비된 내향 플랜지편의 복수개의 로워 산소 인입 가이드홀로 나온 다음 화염판(32FP) 쪽으로 원활하게 공급되므로, 가스의 완전 연소가 제대로 이루어지면서 열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포트 하우징(22)에 고정되어 있으면 구이판(70)에 올려진 육류 등의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 상부 가열부가 걸리적거리게 되어서, 기존에는 상부 가열부는 서포트 하우징(22)에서 회전하여 구이판(70)에서 일정 각도 벗어난 위치로 돌려놓도록 구성된 것이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상부 가열부와 서포트 하우징(22) 사이의 회동 결합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제조 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부 가열부는 그대로 놔두고 구이판(70) 부분만을 구이판 거치패널(66) 위에서 돌려주기만 하면 구이판(70)에 어떤 위치에 육류 등의 음식물이 있던지 상부 가열부에 걸리적거림이 없이 구이판(70)을 돌려서 필요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하여 상부 가열부와 서포트 하우징(22) 사이의 결합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와 조리를 위한 구이판(70)의 거치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에 형성된 산소 인입 가이드홀(36)로 들어온 산소(공기)는 가열부 하우징(30)과 이너 가열부 하우징(37) 사이의 산소 인입 가이드 챔버 쪽으로 딸려들어왔다가 상기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의 하단부에 구비된 로워 산소 인입 가이드홀을 통해서 다시 나오므로,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이 쿨링되는 효과가 있다. 가열부 하우징(30)이 화염판(32FP)에서 생기는 열기에 의해 과열되는 것이 방지된다. 가열부 하우징(30)이 과열되는 것이 방지된다는 것은 안전성이 그만큼 높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포트 하우징(22)의 안쪽면에는 반사판을 구비하여, 상기 화염판(32FP)에서 구이판(70) 쪽으로 내려오는 열기는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므로, 플라스틱재의 서포트 하우징(22)이 열에 의해 과열되는 경우를 방지함은 물론 반사판에서 반사되는 열은 구이판(70) 쪽으로 진행하면서 음식물 조리시의 열을 더해주므로, 구이판(70)에 올려진 음식물을 굽는 것과 같은 조리시의 열효율을 더욱 높여주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망(40)에서 제일 아래의 와이어부는 가열부 하우징(30)의 하단부보다 더 아래에 있고, 안전망(40)에는 결합 후크를 형성하여 결합 후크로 안전망(40)을 가열부 하우징(30)에 걸어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안전망(40)을 약간 벌려서 결합 후크를 가열부 하우징(30)의 하단부에 걸어주기만 하면 되므로, 볼트 하나 없이 간단하게 가열부 하우징(30)에 안전망(40)을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내부에는 승강 링크(60)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 링크(60)는 중간 힌지부를 기준으로 X자 형상으로 연결된 제1링크부재(62)와 제2링크부재(64)로 구성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62)와 제2링크부재(64)가 승강 링크(60)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 링크(60)는 바디(10)의 내부 좌우 위치에 하나씩 나란하게 배치되어 승강 링크 셋트로 형성되며, 상기 바디(10)와 상기 제1링크부재(62)에는 스프링(62SP)이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62SP)의 탄성력은 상기 구이판(70)과 로테이션 서포트판(66)이 최하부 승강 위치와 최상부 승강 위치 사이에서 정지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로테이션 서포트판(66) 위에 구이판(70)이 거치된 상태에서 로테이션 서포트판(66)과 구이판(70)을 스프링(62SP)의 정해진 탄성력에 의해서 최상단 높이와 최하단 높이 사이의 영역에 승강시킨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구이판(70)에 올려진 육류 등이 적당하게 구워질 수 있는 높이로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서포트 하우징(22)의 내부에서 부탄가스(2)를 외부에서 감싸고 있는 열전도판(29)은 화염판(32FP)(311)에서 화염이 발생시 열기가 전도되어 서포트 하우징(22) 내부에 수용된 부탄가스(2)(10)에 적절한 열기를 부여함으로써 가스가 냉각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된 가스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상기 열전도판(29)에는 조절 플레이트(129)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양방향 구이기를 사용할 때에 외부 온도에 따라서 조절 플레이트(129)의 승강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부탄가스(2)에 전달되는 화염판(32FP)의 열기를 더욱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겨울철과 같이 외부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조절 플레이트(129)를 열전도판(29)에서 상대적으로 위로 올려서 부탄가스(2)의 외표면에 열전도판(29)이 직접 마주하도록 배치한다. 그러면, 겨울철에는 열전도판(29)으로부터 부탄가스(2)에 전달되는 열기가 상대적으로 더 높아져서 추운 겨울철에 부탄가스(2) 내부의 가스가 냉각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겨울철이라 하여도 가스를 제대로 사용하여 화염판(32FP)에서 화염이 제대로 발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름철과 같이 외부 온도가 상대적으로 겨울철 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조절 플레이트(129)를 열전도판(29)에서 상대적으로 아래로 내려서 열전도판(29)과 부탄가스(2) 사이에 조절 플레이트(129)가 배치되도록 한다. 그러면, 겨울철에 비하여 여름철에는 열전도판(29)으로부터 부탄가스(2)에 전달되는 열기가 상대적으로 더 낮아져서 더운 여름철에 부탄가스(2) 내부의 가스가 냉각되지 않으면서도 지나친 열기에 의해 부탄가스(2)가 과열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여름철에는 가스를 제대로 사용하여 화염판(32FP)에서 화염이 제대로 발생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부탄가스(2)의 과열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에서 화염판(32FP)를 둘레부에서 감싸는 부분을 더 아래로 내려서 바람의 영향을 덜 받게 한다.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에서 화염판(32FP)를 감싸는 부분의 하단부에는 화염판(32FP)의 저면보다 더 아래로 내려가도록 연장된 하향 연장 하우징편(30EP)이 더 구비되어, 구이판(70)에 올려진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 상기 하향 연장 하우징편(30EP)이 외부의 바람을 막게 되면서 화염판(32FP)에 붙은 화염이 바람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염판(32FP)에서 화염이 생길 때에 바람을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은 그만큼 화염을 외부 바람 등의 영향 없이 제대로 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구이판(70)에 형성된 배출홀은 캡(82)으로 막아주도록 구성된다. 상기 캡(CP)으로 구이판(70)의 배출홀을 막아놓은 다음 밥을 볶아먹는 용도로 구이판(70)을 사용할 수 있다. 캡(82)으로 구이판(70)의 배출홀을 막아서 육류를 구워먹는 이외에 다른 음식을 조리하는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바디 20. 연료 공급부
22. 서포트 하우징 30. 가열부 하우징
42. 가로 와이어 44. 세로 와이어
52. 레버 53. 파지 바아
60. 승강 링크 62. 제1링크부재
64. 제2링크부재 66. 로테이션 서포트판
69.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 70. 구이판
71. 로테이션 작동 홈부 74. 로테이션 보스

Claims (12)

  1. 상부에 가열부가 배치된 바디(10)에 구비되며 상하면으로 연통된 로테이션 가이드홀(68)을 구비한 로테이션 서포트판(66);
    로테이션 보스(74)가 저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테이션 서포트판(66)의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홀(68)에 상기 로테이션 보스(7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구이판(70);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10)에 구비된 가스 공급부(20);
    상기 가스 공급부(20)에서 상기 구이판(7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 가열부 하우징(30);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의 내부에 배치된 이너 가열부 하우징(37);
    상기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에 장착되어 상기 구이판(70)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화염판(32FP);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에는 홀(34)과 복수개의 산소 인입 가이드홀(36)이 구비되고,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의 상기 홀(34)은 내향 연장편(32)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내향 연장편(32)에는 복수개의 상기 산소 인입 가이드홀(36)이 구비되고,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의 상기 홀(34)과 상기 내향 연장편(32)의 복수개의 상기 산소 인입 가이드홀(36)은 상기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의 상면 쪽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서포트판(66)의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홀(68)에 결합되는 상기 로테이션 보스(74)는 상기 구이판(70)의 중심부 저면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구이판(70)의 중심부에는 상기 로테이션 보스(74)와 연통된 배출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서포트판(66)의 저면에서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가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홀(68)은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는 단면 원형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이판(70)의 상기 로테이션 보스(74)는 단면 원형관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보스(74)가 상기 로테이션 서포트판(66)의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이판(70)이 상기 로테이션 가이드 보스(69)에서 상기 로테이션 보스(74)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에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되는 승강 링크(60)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 링크(60)에 상기 로테이션 서포트판(66)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링크(60)는 중간 힌지부를 기준으로 X자 형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제1링크부재(62)와 제2링크부재(64)로 구성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62)와 상기 바디(10) 사이에는 스프링(62SP)이 연결되고, 상기 바디(10)에는 인출 가능한 트레이(12)가 결합되어, 상기 로테이션 서포트판(66)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10)의 외부에는 좌우 한 쌍의 레버(52)가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상기 레버(52)에는 상기 제1링크부재(62)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1로워 연결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의 상기 내향 연장편(32)은 원형 링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열부 하우징(30)의 상기 홀(34)이 원형홀 형상으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산소 인입 가이드홀(36)은 상기 홀(34)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가열부 하우징(37)에 화염판(32FP)이 장착되고, 상기 화염판(32FP)은 상하면으로 연동된 복수개의 점화홀(32FH)을 구비하고, 상기 화염판(32FP)은 세라믹 발열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발열판은 상면과 저면이 아래쪽으로 볼록한 단면 형상으로 동일한 점화홀(32FH)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내부에는 승강 링크(60)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 링크(60)는 중간 힌지부를 기준으로 X자 형상으로 연결된 제1링크부재(62)와 제2링크부재(64)로 구성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62)와 제2링크부재(64)가 승강 링크(60)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 링크(60)는 바디(10)의 내부 좌우 위치에 하나씩 나란하게 배치되어 승강 링크 셋트로 형성되며, 상기 바디(10)와 상기 제1링크부재(62)에는 스프링(62SP)이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62SP)의 탄성력은 상기 구이판(70)과 로테이션 서포트판(66)이 최하부 승강 위치와 최상부 승강 위치 사이에서 정지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KR1020190114822A 2019-09-18 2019-09-18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KR102116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822A KR102116391B1 (ko) 2019-09-18 2019-09-18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822A KR102116391B1 (ko) 2019-09-18 2019-09-18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391B1 true KR102116391B1 (ko) 2020-06-05

Family

ID=71088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822A KR102116391B1 (ko) 2019-09-18 2019-09-18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3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4746A1 (en) * 2000-08-10 2002-02-21 Halton Company, In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balancing flow fluid flow-volume rate in flow channels
KR100683508B1 (ko) 2006-09-28 2007-02-16 주식회사 로테이트 코리아 자유착석 가능한 양방향 회전 구이기
KR20140008785A (ko) * 2012-07-12 2014-01-22 박정열 테이블 장착 및 휴대가 가능한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
KR101464629B1 (ko) 2014-05-27 2014-11-25 (주)헤움 양방향 가열타입 구이기
KR200476906Y1 (ko) * 2013-11-05 2015-04-14 주식회사 홈파워 적외선 조사부의 회전이동이 가능한 적외선 가열 구이기
KR101965101B1 (ko) * 2018-05-03 2019-04-02 박종찬 가스와 전기 겸용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4746A1 (en) * 2000-08-10 2002-02-21 Halton Company, In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balancing flow fluid flow-volume rate in flow channels
KR100683508B1 (ko) 2006-09-28 2007-02-16 주식회사 로테이트 코리아 자유착석 가능한 양방향 회전 구이기
KR20140008785A (ko) * 2012-07-12 2014-01-22 박정열 테이블 장착 및 휴대가 가능한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
KR200476906Y1 (ko) * 2013-11-05 2015-04-14 주식회사 홈파워 적외선 조사부의 회전이동이 가능한 적외선 가열 구이기
KR101464629B1 (ko) 2014-05-27 2014-11-25 (주)헤움 양방향 가열타입 구이기
KR101965101B1 (ko) * 2018-05-03 2019-04-02 박종찬 가스와 전기 겸용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51567B (zh) 户外炊具和烟熏器及用于其的燃料燃烧器
CN114402168A (zh) 带火花熄灭器的可燃燃料燃烧炉
KR102230066B1 (ko)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
US20130112186A1 (en) Solid fuel cook system
CN105612387B (zh) 气体燃烧器和燃烧器盖
US7117866B2 (en) Multi-faceted grill
KR101481295B1 (ko) 수평식 화목 난로
US5129312A (en) Radiant baffle assembly for gas-fired cooker
KR101997388B1 (ko) 난로 겸용 구이기
KR102116391B1 (ko)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US20040173199A1 (en) Salaman grill
KR102092166B1 (ko) 가열부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KR200461967Y1 (ko) 직화 구이기
KR100436826B1 (ko) 튀김기용 열교환기
KR100938201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422827Y1 (ko) 수냉식 석쇠가 구비된 로스터
JP2021004711A (ja) 調理機能付きストーブ
JP7441974B2 (ja) 携帯用直火焼き器
JP2022002697A (ja) ポータブルコンロ
KR101861601B1 (ko) 다기능 조리용기
KR102528094B1 (ko) 캠핑 난로용 연소기
KR20040092995A (ko)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
KR200250356Y1 (ko) 고기구이기
KR102600195B1 (ko) 다기능 캠핑용 그릴
JP3240367U (ja) 無煙機能を有するポータブル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