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066B1 -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 - Google Patents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066B1
KR102230066B1 KR1020200085243A KR20200085243A KR102230066B1 KR 102230066 B1 KR102230066 B1 KR 102230066B1 KR 1020200085243 A KR1020200085243 A KR 1020200085243A KR 20200085243 A KR20200085243 A KR 20200085243A KR 102230066 B1 KR102230066 B1 KR 102230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pot
bulpan
center
fixing plate
l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니앤라이프
조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니앤라이프, 조창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니앤라이프
Priority to KR1020200085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06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82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gas-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88Broilers with vertically disposed heat sources and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47J37/0713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with gas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골불판의 외측면을 따라 상향 배출되는 열기를 내측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전골불판의 열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뚜껑을 열지 않고도 조리시 식재료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 또는 액체를 일정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좌우 측면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되며, 상향 절곡되어 음식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벽면부; 및 상기 벽면부의 최상단을 따라 연결되며, 하향 절곡되어 바닥면에서 공급되는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Heated performance improvement structure of roster pan}
본 발명은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골불판의 외측면을 따라 상향 배출되는 열기를 내측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전골불판의 열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뚜껑을 열지 않고도 조리시 식재료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캠핑, 레저와 같은 야외활동에 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야외활동을 하면서 음식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가열기구를 필요로 한다. 과거에는 나무, 숯, 석탄등의 천연연료를 이용하여 조리기구와 음식을 가열하여 섭취하였지만, 착화의 어려움 및 착화이후 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화석연료를 휴대하여 이를 연료로 사용하는 휴대용 가열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초기의 휴대용 가열기구의 경우 알코올 또는 등유와 같은 액상의 연료를 주로 사용하였지만, 최초 사용시 예열이 필요하며, 생성되는 불꽃이 일정하지 않아 사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정용 연료로 사용되는 프로판(propane)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었지만, 프로판의 특성상 대형의 가스용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제한적으로만 야외에서 사용되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한 것이 휴대용 부탄가스 연료로서 압축 액화되어 소형의 용기에 주입되어 작은 크기로 휴대 가능하므로, 최근까지도 많은 야외활동에 사용되고 있다. 휴대용 부탄가스연료는 휴대용 연소기의 일측면 또는 하부에 부착되어 휴대용 가열기구의 화구로 부탄을 공급하며, 공급되는 부탄을 화구에서 연소시키는 것으로 조리도구 및 음식을 가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휴대용 가열기구의 경우 그 부피 및 무게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조리도구를 하나로 통합하여 부피를 줄이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하나의 조리도구를 이용하여 국물이 있는 전골요리와 고기구이를 동시에 하는 경우 조리도구의 크기 및 부피를 반으로 줄일 수 있어 구이와 전골요리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조리도구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조리도구 관련 연구 및 특허의 경우 조리도구 쪽으로만 그 관심이 집중되고 있어 조리도구 사용시 열효율 향상에 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휴대용 가열기구에 사용되는 휴대용 부탄가스의 경우 다량을 휴대하게 되면 그 부피 및 무게가 상당하므로 가열기구 자체의 부피를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용되는 연료의 효율을 높여 그 무게 및 부피를 줄이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4821호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35796호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골불판의 외측면을 따라 상향 배출되는 열기를 내측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전골불판의 열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뚜껑을 열지 않고도 조리시 식재료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 또는 액체를 일정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좌우 측면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되며, 상향 절곡되어 음식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벽면부; 및 상기 벽면부의 최상단을 따라 연결되며, 하향 절곡되어 바닥면의 외측에서 공급되는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중앙에는 상기 기름 또는 액체를 유도할 수 있는 도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유로의 일단에는 유체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는 뚜껑을 거치할 수 있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골불판은 일측에 반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중앙에는 유체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체배출구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에 형성된 도유로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골불판은 바닥부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면을 덮을 수 있는 뚜껑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 결합시 상기 확장부는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뚜껑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에는 상기 바닥부와 동일한 벽면부 및 유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골불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가열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가열기구는 상기 전골불판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조절부는 탄성을 지닌 회전축에 의하여 상기 전골불판 타측의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경사조절부는, 가열기구의 본체 내부에 고정 형성되며, 전방에 제1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중앙에 제2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제1가이드홀과 제2가이드홀 사이에 회전축홀이 형성되고, 회전축홀의 상부에 탄성부재 접속홀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일측면 중앙에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며, 한 쌍의 수직연장부의 하단부가 수평연결부로 연결된 승강부와, 상기 고정판의 각 수직연장부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승강부의 승강을 지지하는 승강가이드부재와, 상기 고정판의 일측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선단부가 가열기구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후단부가 승강부의 수평연결부 중앙에 접속되는 회전레버와, 상기 회전레버의 전방에서 상기 고정판의 제1가이드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가이드핀과, 상기 회전레버의 후방에서 상기 고정판의 제2가이드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가이드핀과, 상기 회전레버의 중앙에서 상기 고정판의 회전축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회전축핀과, 일단부가 상기 고정판의 타측면 중앙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판의 탄성부재 접속홀을 통해 회전레버의 중앙 상단부와 접속되어 회전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는 전골불판의 열효율을 향상시켜 휴대용 가열기구를 이용한 조리시 휴대용 부탄가스와 같은 연료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골불판의 측면을 동시에 가열해주는 효과를 줌에 따라 최소한의 시간에 조리가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골불판은 일측면에 확장부를 가지고 있어 조리시 전골불판 내부의 음식의 일부가 상기 확장부에 위치하여 뚜껑을 덮고 조리하는 경우에도 음식물의 상태확인이 가능하며, 뚜껑을 열지 않고도 조미료나 향신료의 추가가 가능하여 조리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가열기구의 경사조절장치는 전골불판의 일측을 밀어올려 전골불판을 경사지도록 할 수 있게 되므로 전골불판 내부의 기름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휴대용 가열기구의 편의성 및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골불판과 뚜껑이결합된 것을 고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골불판과 뚜껑이 분리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골불판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골불판의 가열시 열기의 흐름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기존의 전골불판의 가열시 열기의 흐름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골불판의 하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골불판이 가열기구와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골불판이 가열기구와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경사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전골불판의 일면을 상승시킨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조절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조절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조절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조절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조절장치의 승강부 하강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조절장치의 승강부 상승상태의 우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현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 또는“제2 ”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방법 또는 제조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 또는 액체를 일정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좌우 측면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되며, 상향 절곡되어 음식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벽면부; 및 상기 벽면부의 최상단을 따라 연결되며, 하향 절곡되어 바닥면의 외측에서 공급되는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골불판이 뚜껑과 결합된 모습이며, 도 2는 뚜껑과 분리된 전골불판의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골불판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전골불판(200)은 국물을 가지는 요리(전골)와 고기구이를 장비의 교체 없이 수행할 수 있는 조리도구로 가열기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전골 또는 고기구이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기구(100)는 가정용 가스레인지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가열기구, 더욱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부탄가스를 연료로 하는 휴대용 가열기구일 수 있다.
상기 바닥부(210)는 후술할 가열기구(100)에 의하여 전달된 열기를 이용하여 음식을 가열하는 부분으로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210)는 중앙부(211)가 좌우 측면부보다 낮게 제작됨에 따라,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 또는 액체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육류를 가열하여 조리하는 경우 다량의 기름이 형성되는데 이를 한 방향으로 유도하여 상기 전골불판(200) 내부에 기름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국물이 있는 요리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바닥부(210)의 중앙에 국물이 모임에 따라 한쪽으로 기울이지 않아도 편안하게 국물을 덜어낼 수 있으며, 세척 이후에도 내부에 고여있는 수분을 유도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름 또는 액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바닥부(210)의 중앙(211)에는 상기 기름 또는 액체를 유도할 수 있는 도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유로는 기름 또는 액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전골불판(200)과는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도유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세척의 편의 등을 고려하면 상기 도유로는 상기 전골불판(200)의 바닥면(210) 중앙(211)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유로는 전골불판(200)의 중앙부(211)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면이 반원형을 가지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함입부 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전골불판(200)의 중앙부(211)로 모인 기름 또는 액체의 경우 전골불판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전골불판의 바닥부(200) 일측에는 유체배출구(2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배출구(241)는 상기 기름 또는 액체를 전골불판(2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제한없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부에 수직을 이루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수단(242)을 결합하는 경우 상기 유체배출구(241)를 막을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242)의 경우 기름 또는 액체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합수단(242)이 상기 유체배출구(241)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경우 하부가 길이방향 즉 전골불판(200)과 결합시 바닥부(210)와 수직방향으로 2분할 또는 4분할되어 제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결합수단(242)을 완전이 상기 유체배출구(241)에 결합하는 경우 기름 또는 액체가 상기 유체배출구(241)를 통하여 배출되지 않으며, 일부를 풀어 조절하는 경우 흘러내리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작을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수단(242)의 상부에는 일자 또는 십자 홈을 형성하여 공구나 동전 등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수단(242)의 조절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이와는 반대로 상기 유체배출구(241)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수단(242)의 상부가 2분할 또는 4분할되도록 제작되어 결합수단의 회전에 따라 기름 또는 액체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210)의 하부 즉 가열기구(100)에 의하여 직접 가열되는 부분에는 상기 전골불판(2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212)을 포함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지지수단(212)은 상기 전골불판(20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골불판(200)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전골불판(200)을 가열기구(100)의 화구에서 일정거리가 이격되도록 하는 것으로 적절한 가열 및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열기구(100)의 화구에서는 화석연료가 지속적으로 연소되고 있으므로 산소를 소모하여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화구와 전골불판(200)이 일정거리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산소의 공급 및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열효율이 떨어지거나 불완전연소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212)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전골불판(200)의 일측을 상승시켜 기울인 각도로 사용할 때 상기 가열기구(100)과 맞물려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열기구(100)에는 상기 지지수단(21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밀림 방지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림 방지턱과 상기 지지수단(212)이 맞물려 도 8과 같이 한쪽을 상승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전골불판(200)이 정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벽면부(220)는 상기 바닥부(210)와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상향 절곡되어 바닥부(210)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되는 부분으로 일정 높이까지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용기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벽면부(220)는 바닥부(210)의 수직면에서 일정각도를 가지도록 제작되어 전골불판(200)의 내부 단면적이 위로 갈수록 확장될 수 있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일정각도를 가지고 벽면부(220)를 형성하는 경우 바닥부(210)와 벽면부(220)가 이루는 각도가 90도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골불판(200)의 내부 용적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도구를 이용할 때 벽면부(220)로의 접근이 용이하여 조리를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일정각도를 가지고 형성된 벽면부(220)의 경우 가열기구(100)에서 발생하는 가열된 공기가 벽면부(220)를 타고 상승하면서 내부의 음식물에 대한 추가적인 열량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수직형으로 제작되는 벽면부에 비하여 열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뚜껑(250)을 결합하는 경우 뚜껑(250)을 약간만 상승시켜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뚜껑(250)을 결합도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벽면부(220)에는 뚜껑(250)을 거치할 수 있는 단차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벽면부(220)는 수직면에서 일정각도를 가지고 제작되어 특별한 고정 장치 없이도 적절한 크기로 제작된 뚜껑(250)을 일정 높이에 거치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단차부(221)를 형성하여 뚜껑(250)을 거치하는 것으로 뚜껑(250)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결합됨과 더불어 분리가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차부(221)는 상기 벽면부(220)를 따라 연결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정 간격으로 단차부(221)를 형성하여 뚜껑(250)을 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렇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단차부(221)의 사이는 가열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배출구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도부(230)는 가열기구(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벽면부(220)와 상기 유도부(230)의 사이에 가두어 가열된 공기의 배출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가열기구(100)의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부분으로 상기 벽면부(220)의 최상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일정각도를 가지고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부(230)는 벽면부(220)의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연결되어 있으며, 벽면부(220)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도부(230)의 열효율 증가방식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중앙부(211)가 좌우 측면부보다 낮게 제작되는 바닥부(210)로 인하여 가열기구(100)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 특히 가열된 공기는 바닥부(210)를 가열하며 좌우 방향으로 퍼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바닥부(210)의 좌우방향으로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는 일정각도를 가지고 형성되는 벽면부(220)를 가열하며 상승하게 되며, 벽면부(220)의 최상단에 이르게 된다. 기존의 조리도구의 경우 상기와 같이 상승하는 가열된 공기는 벽면부(22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지만(도 5)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유도부(230)로 인하여 유도부(230)와 상기 벽면부(220) 사이에서 정체되며, 벽면부(220)를 추가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된 공기는 상승에 의하여 벽면부(220)와 유도부(230)가 만드는 공간에서 일정시간 체류하게 되며 벽면부(220) 및 유도부(230)를 추가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열기구(100)의 열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도 3 및 도 4참조).
또한 상기 전골불판(200)을 육류 구이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육류 구이시 발생하는 기름을 제거하기 위하여 한 방향으로 기울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유도부(230)를 사용하게 되면 기울여 상승된 부분으로 가열된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상승된 부분의 온도가 다른 부분보다 높아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도부(230)의 내측에는 상기 벽면부(220)와 연결되어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격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격벽은 상기 유도부(230)와 벽면부(220) 사이에서 체류하는 가열된 공기의 이동을 막아 육류 구이시 일측면을 상승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전골불판(200)이 균일하게 가열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가열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한 공기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도부(230)와 벽면부(220) 사이에서 일정시간 정체된 이후 배출된다. 하지만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조절장치(500)를 이용하여 전골불판을 기울여 사용하게 되면 가열된 공기는 상기 벽면부(220)와 유도부(23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높아진 부분으로 상승하게 된다. 즉 벽면부(220)와 유도부(230) 사이의 공간이 일종의 굴뚝 역할을 하게 되어 높아진 부분이 낮은 부분보다 더욱 높은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내부에 있는 음식물의 불균일한 가열이 발생함과 더불어 일부만이 가열되는 불완전 조리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도부(230)와 벽면부(220) 사이에 공기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격벽을 사용하여 유도부(230)와 벽면부(220) 사이공간을 통한 공기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으로 전골불판을 기울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최대한 균일한 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격벽의 경우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상기 유도부(230)가 변형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230)와 벽면부(220)가 접합되는 지점에는 열기 배출용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도부(230)를 이용하여 상승되는 가열된 공기를 정체시키는 경우 열효율은 높아질 수 있지는 과도한 가열로 인하여 가열기구(100)까지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의 전달은 휴대용 부탄가스의 내부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유도부(230)와 벽면부(220)가 접합되는 지점에는 열기 배출용 구멍을 형성하여 상승하는 가열된 공기의 일부를 배출하는 것으로 열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가열기구(10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기 배출용 구멍의 크기와 개수는 가열기구(100)의 발생열량, 가열기구(100)와 전골불판(200)의 크기비율, 전골불판(200)의 형상 등에 따라 적절히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전골불판(200)은 일측에 반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확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240)는 상기 전골불판(200)의 바닥부(210), 벽면부(220) 및 유도부(23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일부가 확장된 형태로 제작되며, 바닥부(210)를 기준으로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바닥부(210)의 일측이 반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되어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확장부(240)는 상기 바닥부(21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벽면부 및 유도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확장부(240)의 벽면부 및 유도부는 상기 바닥부(210)의 벽면부(220) 및 유도부(230)와 매끄럽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벽면부(220) 및 유도부(230)가 확장부(240)까지 연결되는 것으로 확장부(240)도 상기 바닥부(210)와 동일하게 높은 열효율로 가열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작되는 확장부(240)의 경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뚜껑(250)을 사용하더라도 뚜껑(250)의 결합시 확장부는 개방될 수 있으며, 다만 뚜껑(250)과 바닥면(21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확장부(240)는 뚜껑내부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시 음식물의 일부는 상기 확장부(240)에 존재하며 조리될 수 있으며, 뚜껑(250)을 덮은 경우에도 음식물의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뚜껑(250)을 열지 않고도 요리의 일부를 채취하여 맛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뚜껑(250)의 개방으로 인한 열효율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확장부(240)를 통하여 소금, 후추 고춧가루 또는 조미료와 같은 부재료를 투입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냄비가 부재료 투입시 뚜껑을 열고 투입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함과 동시에 뚜껑(250)의 개폐로 인한 열효율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부(240)에는 유체배출구(241)가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유체배출구(241)의 경우 상기 도유로의 일단과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유체배출구(241)가 상기 바닥면(21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유체배출구(241)를 통한 기름 및 액체의 배출시 바닥부(210) 아래에 위치하는 용기로 배출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용기를 배치하는 경우 가열기구(100)와의 간섭이 발생하므로 상기 전골불판(200)의 일측을 상기 가열기구(1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해야 하며 이에 따라 열효율이 감소함과 더불어 전골불판(200)의 일측의 가열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확장부(240)에 상기 유체배출구를 형성하는 경우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가열기구(100)의 외측면으로 상기 확장부(240)가 자연스럽게 돌출됨에 따라 가열기구(100)와의 간섭없이 용기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의 경우 열효율이 최대화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골불판(200)의 전체가 고르게 가열되어 음식물의 조리가 더욱 효율적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부(240)는 뚜껑(250)의 사용시에도 상부가 개방됨에 따라 다양한 조리에 응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육류 조리시 마늘과 같은 재료를 육류에서 발생하는 기름을 이용하여 조리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마늘과 같은 재료는 가열에 의하여 탄화되기가 쉬워 육류 조리시 뚜껑(250)을 사용하게 되면 뚜껑(250)을 자주 열어서 확인해야 하며, 이는 열손실이 발생하여 육류의 조리가 어려워 질 수 있다. 하지만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마늘과 같은 타기 쉬운 재료를 상기 확장부(240)에 위치하게 하는 것으로 뚜껑(250)의 개방없이도 조리 가능하며, 이에 따라 높은 열효율로 육류를 조리하면서도 타기 쉬운 재료를 동시에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육류 조리시 기름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유체배출구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상기 확장부에 존재하는 일부 식재료(마늘, 김치 등)를 이용하여 기름의 배출을 일정부분 막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기름을 막는 경우 상기 확장부에 기름이 고이게 되어 마늘이나 김치와 같은 식재료를 손쉽게 조리할 수 있다. 기존의 불판의 경우 기름 배출구가 바닥부의 중앙 또는 일측에 배치되고 있으며, 뚜껑의 사용시 음식물을 이용한 배출량 조절이 불가능하였지만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확장부를 이용하여 이를 해결함과 동시에 마늘을 조리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 없이도 마늘의 조리가 가능하여, 사용의 편이성이 최대화 될 수 있다.
상기 전골불판(200)의 타측에는 경사조절장치 안착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전골불판(200)은 육류 조리시 육류에서 발생하는 기름을 제거하기 위하여 한쪽으로 기울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울임을 위하여 후술할 경사조절장치(500)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사조절장치(500)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분이 상기 경사조절장치 안착부(260)이다. 상기 경사조절장치 안착부(260)는 바닥부의 일부로 제작될 수도 있고 상기 유도부(230)의 일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유도부(230)의 일부로 제작되는 경우 경사조절장치(500)를 화구에서 가장 멀리 배치할 수 있어 경사조절장치(500)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골불판은 휴대용 가열기구(100)과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가열기구는 휴대용 부탄가스를 주연료로 하는 가열기구로서 휴대용 부탄가스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화구로 공급하여 연소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바탄가스의 결합을 위하여 부탄가스 결합레버(130)를 이용할 수 있으며, 화력조절을 위한 손잡이(140)가 구비되어 부탄가스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연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부탄가스의 경우 부탄가스 커버(120)로 보호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과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휴대용 가열기구의 경사조절장치(500)는 휴대용 가열기구(100)의 본체(110)내부에 고정 형성되며, 전방에 제1가이드홀(511)이 형성되고, 중앙에 제2가이드홀(512)이 형성되며, 제1가이드홀(511)과 제2가이드홀(512) 사이에 회전축홀(513)이 형성되고, 회전축홀(513)의 상부에 탄성부재 접속홀(514)이 형성된 고정판(510)과;
상기 고정판(510)의 일측면 중앙에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며, 한 쌍의 수직연장부(521)의 하단부가 수평연결부(522)로 연결된 승강부(520)와;
상기 고정판(510)의 각 수직연장부(521)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승강부(520)의 승강을 지지하는 승강가이드부재(530)와;
상기 고정판(510)의 일측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선단부가 휴대용 가열기구 본체(110)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후단부가 승강부(520)의 수평연결부(522) 중앙에 접속되는 회전레버(540)와;
상기 회전레버(540)의 전방에서 상기 고정판(510)의 제1힌지가이드구멍(511)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가이드핀(550)과;
상기 회전레버(540)의 후방에서 상기 고정판(510)의 제2힌지가이드구멍(51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가이드핀(560)과;
상기 회전레버(540)의 중앙에서 상기 고정판(510)의 회전축홀(513)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회전축핀(570)과;
일단부가 상기 고정판(510)의 타측면 중앙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판([0026] 510)의 탄성부재 접속홀(514)을 통해 회전레버(540)의 중앙 상단부와 접속되어 회전레버(54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8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가열기구의 경사조절장치(500)에 있어서 고정판(510)의 제1가이드홀(511)은 회전축핀(570)의 전방 회전 중심과 대응되는 호형으로 굴곡 형성되고 그 상부에 걸림턱(511a)이 마련되며, 고정판(510)의 제2가이드홀(512)은 회전축핀(570)의 후방 회전 중심과 대응되는 호형으로 굴곡 형성되고 그 상부에 걸림턱(512a)이 마련된다.
그리고 고정판(510)의 회전축홀(513)은 회전축핀(570) 및 회전레버(540)가 전후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수평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가열기구의 경사조절장치(500)에 있어서 승강부(520)의 각 수직연장부(521)의 상단에는 받침절곡부(523)가 절곡 형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경사조절장치의 승강부 하강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14는 동 승강부 상승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회전레버(540)의 끝 부분이 위로 향해 있는 상태에서는 회전레버(540)에 연결된 승강부(520)가 하강한 상태가 되고, 이때는 도 7과 같이 전골불판(200)이 휴대용 가열기구 본체(110)와 평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승강부(520)의 받침부(523)가 전골불판(200)의 하단에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된다. 승강부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제1가이드핀(550)이 제1가이드홀(511)의 걸림턱(511a)에 걸쳐진 상태가 되고, 제2가이드핀(560)은 제2가이드홀(512)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때, 탄성부재는 회전레버(540)에 오른쪽 방향의 탄성을 부여한 상태가 되므로 제1가이드핀(550)이 걸림턱(511a)에 고정되게 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회전레버(540)의 끝 부분이 아래쪽으로 향해 있는 상태에서는 회전레버(540)에 연결된 승강부(520)가 상승한 상태가 되고, 이때는 도 8과 같이 전골불판(200)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이 과정을 설명하면, 회전레버(540)를 아래쪽을 밀면 탄성부재가 탄성변형되면서 제1가이드핀(550)이 제1가이드홀(511)의 걸림턱(511a)을 빠져나오면서 아래쪽까지 다다르면 다시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된다. 회전레버(540)의 끝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회전축핀(570)은 회전축홀(513)과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며, 회전축핀(570)을 축으로 제2가이드핀(560)이 제2가이드홀(512)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한다. 제2가이드핀(560)이 제2가이드홀(512)의 걸림턱(512a)에 들어간 상태에서는 제1가이드홀(511)의 아래쪽 절곡부에 의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회전레버(540)가 다시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가이드홀(511)의 걸림턱(511a)과 제2가이드홀(512)의 걸림턱(512a)을 제1가이드홀(511)와 제2가이드홀(512)의 위쪽 절곡부로 표시하였지만, 회전레버(540)와 탄성부재(580)가 반대 방향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1가이드홀(511)의 걸림턱과 제2가이드홀(512)의 걸림턱이 제1가이드홀(511)과 제2가이드홀(512)의 아래쪽 절곡부에 해당할 수도 있다. 또한, 제1가이드홀(511)의 위쪽 절곡부와 아래쪽 절곡부가 승강부의 상승상태, 하강상태의 걸림턱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도 7은 승강부 하강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8은 승강부 상승상태의 정면도이다. 전골불판의 사용 형태를 고려하여 전골불판의 경사조절장치 작동을 설명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전골불판(200) 내부의 기름을 한쪽으로 모아서 배출하고자 할 때에는 휴대용 가열기구 본체(110)의 전면으로 돌출된 회전레버(540)의 선단부를 아래쪽으로 내리게 되면 회전레버(54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회전축핀(570)을 중심으로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도 14와 같이 회전레버(540)의 후단부에 접속된 승강부(520)가 상승하게 되면서 승강부(520)의 수직연장부(521) 선단의 받침절곡부(523)가 전골불판(200)의 일측 하단부를 밀어올리게 되어 도 8과 같이 전골불판(200)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도 8과 같이 전골불판(200)이 일측으로 경사지게끔 경사조절된 상태에서는 전골불판(200) 내부의 기름이 한쪽으로 모아지게 되므로 전골불판(200) 내부의 기름을 손쉽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전골불판(200)을 다시 휴대용 가열기구 본체(110)와 평행상태로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휴대용 가열기구 본체(110)의 전면에서 하강상태의 회전레버(540)를 위로 올리게 되면 탄성부재(580)를 탄성으로 회전레버(54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회전축핀(57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그에 따라 도 13과 같이 회전레버(540)의 후단부에 접속된 승강부(520)가 하강하게 되므로 승강부(520)의 받침절곡부(523)에 받쳐진 전골불판(200)의 일측 하단부가 하강하게 되어 도 7과 같이 전골불판(200)이 휴대용 가열기구 본체(110)와 평행을 이루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13과 같이 승강부(520)의 하강상태에서는 제1가이드핀(550)이 제1가이드홀(511)의 걸림턱(511a)에 걸리게 되어 승강부(520)의 하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도 8 및 도 14와 같이 승강부(520)의 상승상태에서는 제2가이드핀(560)이 제2가이드홀(512)의 걸림턱(512b)에 걸리게 되어 승강부(520)의 상승상태 및 전골불판(200)의 경사조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의한 전골불판의 열효율 향상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1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전골불판을 제작하였으며, 이때 전골불판의 바닥부의 두께는 3mm, 벽면부와 유도부의 두께는 2.5mm로 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벽면부에는 단차부가 2.5mm의 두께로 벽면부를 따라 연결된 형상으로 제작되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벽면부과 유도부 사이에 3cm간격으로 차단격벽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확장부를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때 유체배출구는 확장부가 아닌 바닥부의 일측에 형성하였으며, 벽면부와 2cm가 이격되어 형성되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단차부를 10cm의 간격을 가지며, 1cm의 폭으로 제작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유도부를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단차부를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예 1
가열시 각 지점의 온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2분단위로 5개의 지점(좌상, 좌하, 우상, 우하, 중앙)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가스조절레버가 형성된 지점이 우상 지점이며, 확장부가 형성된 부분이 하부, 경사조절장치가 형성된 부분을 상부로 하여 이를 기준으로 각 지점에 표기하였다. 시험을 위하여 사용된 연료는 각 시험시마다 맥스부탄(대륙제관, 220g) 신품을 사용하여 휴대용 가열기구의 화력을 최대로 한 다음 실시하였으며,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계를 이용하여 각 표시된 각 지점의 온도를 2분마다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2분 좌상 82℃ 83℃ 82℃ 81℃ 79℃ 82℃
좌하 81℃ 83℃ 83℃ 81℃ 77℃ 83℃
우상 83℃ 82℃ 82℃ 82℃ 78℃ 82℃
우하 82℃ 82℃ 82℃ 82℃ 76℃ 82℃
중앙 103℃ 103℃ 104℃ 103℃ 99℃ 104℃
4분 좌상 113℃ 114℃ 115℃ 114℃ 101℃ 113℃
좌하 111℃ 113℃ 115℃ 115℃ 100℃ 113℃
우상 113℃ 114℃ 116℃ 116℃ 100℃ 114℃
우하 112℃ 114℃ 115℃ 115℃ 99℃ 113℃
중앙 154℃ 155℃ 156℃ 156℃ 141℃ 155℃
6분 좌상 138℃ 139℃ 139℃ 138℃ 121℃ 137℃
좌하 136℃ 138℃ 140℃ 136℃ 120℃ 136℃
우상 139℃ 140℃ 140℃ 137℃ 123℃ 136℃
우하 137℃ 139℃ 139℃ 136℃ 122℃ 137℃
중앙 230℃ 231℃ 231℃ 238℃ 215℃ 228℃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도부가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비하여 동일시간 동일조건에서 가열시 낮은 온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교예 1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비하여 낮은 열효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유도부에 의하여 정체된 공기가 열효율을 높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장시간 가열한 이후 각 지점의 온도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 실시하였다. 다만 위에서는 2~6분간 가열하였지만 10분단위로 관측하여 장시간 가열시 온도변화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10분 좌상 201℃ 199℃ 201℃ 201℃ 184℃ 200℃
좌하 210℃ 215℃ 213℃ 216℃ 195℃ 214℃
우상 196℃ 204℃ 201℃ 195℃ 181℃ 198℃
우하 210℃ 211℃ 212℃ 211℃ 191℃ 211℃
중앙 313℃ 315℃ 314℃ 316℃ 275℃ 317℃
20분 좌상 206℃ 204℃ 206℃ 205℃ 187℃ 204℃
좌하 215℃ 216℃ 215℃ 216℃ 198℃ 215℃
우상 204℃ 205℃ 205℃ 207℃ 182℃ 201℃
우하 219℃ 218℃ 219℃ 215℃ 193℃ 210℃
중앙 311℃ 310℃ 309℃ 310℃ 269℃ 311℃
30분 좌상 201℃ 200℃ 204℃ 201℃ 183℃ 201℃
좌하 213℃ 212℃ 210℃ 213℃ 193℃ 212℃
우상 196℃ 198℃ 195℃ 198℃ 175℃ 198℃
우하 204℃ 205℃ 203℃ 207℃ 187℃ 204℃
중앙 309℃ 308℃ 307℃ 306℃ 264℃ 307℃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20분이 경과되는 시점에서 모든 전골불판의 온도가 천천히 감소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골불판의 복사열 증가와 더불어 휴대용 부탄가스의 기화효율 저하로 인하여 공급되는 열량이 줄어드는 것 때문이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그 온도변화가 낮은 편이지만 유도부를 가지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온도 감소가 높아 장시간 사용할수록 열효율의 감소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다만 휴대용 가열기구의 경사조절장치를 사용하여 전골불판에 일정한 경사를 준 다음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2분 좌상 107℃ 105℃ 107℃ 106℃ 103℃ 106℃
좌하 76℃ 81℃ 78℃ 75℃ 72℃ 80℃
우상 108℃ 106℃ 107℃ 108℃ 105℃ 107℃
우하 77℃ 82℃ 77℃ 78℃ 70℃ 77℃
중앙 104℃ 103℃ 103℃ 102℃ 98℃ 104℃
4분 좌상 142℃ 138℃ 141℃ 142℃ 129℃ 141℃
좌하 101℃ 110℃ 100℃ 102℃ 90℃ 101℃
우상 143℃ 137℃ 144℃ 141℃ 130℃ 142℃
우하 102℃ 111℃ 102℃ 101℃ 91℃ 101℃
중앙 155℃ 154℃ 155℃ 154℃ 140℃ 153℃
6분 좌상 192℃ 182℃ 190℃ 193℃ 158℃ 192℃
좌하 116℃ 131℃ 117℃ 116℃ 111℃ 116℃
우상 191℃ 173℃ 192℃ 191℃ 157℃ 192℃
우하 115℃ 132℃ 118℃ 115℃ 110℃ 115℃
중앙 211℃ 212℃ 210℃ 209℃ 191℃ 208℃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격벽을 형성한 실시예 2의 경우 전골불판을 기울여 가열하고 있는 것에도 불구하고 상단부와 하단부의 온도변화가 최소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장시간 가열한 이후 각 지점의 온도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 실시하였다. 다만 위에서는 2~6분간 가열하였지만 10분단위로 관측하여 장시간 가열시 온도변화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10분 좌상 273℃ 267℃ 274℃ 269℃ 218℃ 184℃
좌하 210℃ 248℃ 211℃ 208℃ 179℃ 195℃
우상 271℃ 264℃ 270℃ 275℃ 219℃ 181℃
우하 217℃ 237℃ 219℃ 219℃ 184℃ 191℃
중앙 294℃ 291℃ 295℃ 297℃ 268℃ 275℃
20분 좌상 278℃ 268℃ 276℃ 277℃ 219℃ 187℃
좌하 216℃ 246℃ 218℃ 219℃ 182℃ 198℃
우상 274℃ 266℃ 273℃ 279℃ 224℃ 182℃
우하 216℃ 239℃ 218℃ 218℃ 197℃ 193℃
중앙 292℃ 292℃ 294℃ 297℃ 272℃ 269℃
30분 좌상 268℃ 257℃ 265℃ 267℃ 208℃ 183℃
좌하 208℃ 239℃ 211℃ 207℃ 167℃ 193℃
우상 263℃ 254℃ 261℃ 261℃ 207℃ 175℃
우하 209℃ 232℃ 208℃ 201℃ 164℃ 187℃
중앙 284℃ 288℃ 287℃ 279℃ 244℃ 264℃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단격벽이 설치된 실시예 2의 경우 기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비하여 장시간 가열이후 온도편차가 낮았으며, 온도 저하 역시 최소화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실험결과와 마찬가지로 유도부가 설치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열효율이 떨어져 온도가 낮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뚜껑의 개폐에 따른 열효율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전골 불판에 물 1L를 공급한 다음, 1분의 시간간격으로 5회에 걸쳐 소금을 각 3g씩 주입하였다. 확장부가 형성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의 경우 확장부를 통하여 소금을 투입하였으며, 실시예 3의 경우 뚜껑을 열고 소금을 투입하였다. 사용되는 연료 및 가열기구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준비하였으며, 100℃에 도달하는 시간을 각각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100℃도달시간 5분 14초 5분 7초 6분 20초 5분 42초 6분 5초 -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뚜껑의 개폐를 실시한 실시예 3의 경우 100℃를 도달하는데 가장 많은 시간이 필요로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확장부를 가지는 비교예 1의 경우 열효율이 떨어져 가열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단차부가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 2의 경우 실험 중 강화유리로 제작된 뚜껑이 파손되어 동일한 실험을 실시하지 못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휴대용 가열기구 110 : 본체
200 : 전골불판 210 : 바닥부
211 : 중앙부 212 : 지지수단
220 : 벽면부 221 : 단차부
230 : 유도부 240 : 확장부
241 : 유체배출구 242 : 결합수단
250 : 뚜껑 260 : 경사조절장치 안착부
500 : 경사조절장치 510 : 고정판
511 : 제1가이드홀 511a : 걸림턱
512 : 제2가이드홀 512a : 걸림턱
513 : 회전축홀 514 : 탄성부재 접속홀
520 : 승강부 521 : 수직연장부
522 : 수평연결부 523 : 받침절곡부
530 : 승강가이드부재 540 : 회전레버
550 : 제1가이드핀 560 : 제2가이드핀
570 : 회전축핀 580 : 탄성부재

Claims (10)

  1.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 또는 액체를 일정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좌우 측면부보다 낮게 형성되어 아래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결되며, 상향 절곡되어 음식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벽면부; 및
    상기 벽면부의 최상단을 따라 연결되며, 하향 절곡되어 바닥면의 외측에서 공급되는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유도부;
    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 중앙 상부에는 상기 기름 또는 액체를 유도할 수 있는 도유로가 형성되고,
    전골불판 일측에 반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부의 중앙에는 유체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체배출구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 상부에 형성된 도유로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전골불판은 바닥부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면을 덮을 수 있는 뚜껑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 결합시 상기 확장부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뚜껑의 내부와 연통되며,
    조리시 상기 음식물의 일부가 상기 확장부에서 조리되는 것으로 뚜껑을 덮은 후에도 상기 확장부를 통하여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확장부에는 상기 바닥부와 동일한 벽면부 및 유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는 뚜껑을 거치할 수 있는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골불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가열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가열기구는
    상기 전골불판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조절부는 탄성을 지닌 회전축에 의하여 상기 전골불판 타측의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경사조절부는, 가열기구의 본체 내부에 고정 형성되며, 전방에 제1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중앙에 제2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제1가이드홀과 제2가이드홀 사이에 회전축홀이 형성되고, 회전축홀의 상부에 탄성부재 접속홀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일측면 중앙에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며, 한 쌍의 수직연장부의 하단부가 수평연결부로 연결된 승강부와, 상기 고정판의 각 수직연장부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승강부의 승강을 지지하는 승강가이드부재와, 상기 고정판의 일측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선단부가 가열기구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후단부가 승강부의 수평연결부 중앙에 접속되는 회전레버와, 상기 회전레버의 전방에서 상기 고정판의 제1가이드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가이드핀과, 상기 회전레버의 후방에서 상기 고정판의 제2가이드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가이드핀과, 상기 회전레버의 중앙에서 상기 고정판의 회전축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회전축핀과, 일단부가 상기 고정판의 타측면 중앙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판의 탄성부재 접속홀을 통해 회전레버의 중앙 상단부와 접속되어 회전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열기구.
KR1020200085243A 2020-07-10 2020-07-10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2230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243A KR102230066B1 (ko) 2020-07-10 2020-07-10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243A KR102230066B1 (ko) 2020-07-10 2020-07-10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066B1 true KR102230066B1 (ko) 2021-03-19

Family

ID=7526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243A Expired - Fee Related KR102230066B1 (ko) 2020-07-10 2020-07-10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0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9436A (zh) * 2021-03-31 2021-07-20 哈尔滨端点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图像识别的火锅温度自动控制方法、系统及介质
KR20230012120A (ko) 2021-07-14 2023-01-26 이태하 열 확산구조를 갖는 구이기
KR20230054528A (ko) 2021-10-15 2023-04-25 이태하 열 확산구조를 갖는 구이기
KR20230114795A (ko) 2022-01-24 2023-08-02 이태하 열 확산구조를 갖는 덮개 설치형 구이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575Y1 (ko) * 2004-02-20 2004-05-06 이하용 직화공을 갖는 고기구이판
KR20050035796A (ko) 2003-10-14 2005-04-19 탁훈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
KR200407505Y1 (ko) * 2005-11-04 2006-01-31 이종태 육류 구이판
KR200413907Y1 (ko) * 2006-01-10 2006-04-12 이신근 직화 조리가 가능한 다목적 조리기기
KR20110104821A (ko) 2010-03-17 2011-09-23 조종연 구이전골판 및 이를 사용하는 구이전골기
CN102657483A (zh) * 2012-04-18 2012-09-12 广州新新日用制品有限公司 一种烧烤锅
KR20140032899A (ko) * 2012-09-07 2014-03-17 주식회사 라니 경사조절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구이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796A (ko) 2003-10-14 2005-04-19 탁훈 고기구이판과 전골용기가 결합된 음식물 조리기
KR200349575Y1 (ko) * 2004-02-20 2004-05-06 이하용 직화공을 갖는 고기구이판
KR200407505Y1 (ko) * 2005-11-04 2006-01-31 이종태 육류 구이판
KR200413907Y1 (ko) * 2006-01-10 2006-04-12 이신근 직화 조리가 가능한 다목적 조리기기
KR20110104821A (ko) 2010-03-17 2011-09-23 조종연 구이전골판 및 이를 사용하는 구이전골기
CN102657483A (zh) * 2012-04-18 2012-09-12 广州新新日用制品有限公司 一种烧烤锅
KR20140032899A (ko) * 2012-09-07 2014-03-17 주식회사 라니 경사조절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구이기
KR101379484B1 (ko) * 2012-09-07 2014-03-27 주식회사 라니 경사조절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구이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9436A (zh) * 2021-03-31 2021-07-20 哈尔滨端点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图像识别的火锅温度自动控制方法、系统及介质
CN113139436B (zh) * 2021-03-31 2023-12-15 哈尔滨端点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图像识别的火锅温度自动控制方法、系统及介质
KR20230012120A (ko) 2021-07-14 2023-01-26 이태하 열 확산구조를 갖는 구이기
KR20230054528A (ko) 2021-10-15 2023-04-25 이태하 열 확산구조를 갖는 구이기
KR20230114795A (ko) 2022-01-24 2023-08-02 이태하 열 확산구조를 갖는 덮개 설치형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066B1 (ko) 전골불판의 가열성능 향상구조
US10292531B1 (en) Cooking device having heat sources in a stacked arrangement
CA3010649C (en) Cooking grill trellis burner
US8074634B2 (en) Cooking apparatus with concave emitter
US8291896B1 (en) Outdoor oven and cooking system
US5363752A (en) Cooking grill
KR102363015B1 (ko) 가열 조리기
WO1998015218A1 (en) Combination stove and barbecue grill
WO2020205679A1 (en) Fluid optimization mechanisms for cooking devices
US7117866B2 (en) Multi-faceted grill
KR101997388B1 (ko) 난로 겸용 구이기
AU2019280574B2 (en) Cooking device having heat sources in a stacked arrangement
US20120125317A1 (en) All-In-One Dutch Oven Cooking System
KR20120008881U (ko) 돌판구이 겸용 조개류 찜이 가능한 로스터
KR200422827Y1 (ko) 수냉식 석쇠가 구비된 로스터
JP7441974B2 (ja) 携帯用直火焼き器
US10159380B2 (en) Cross-flame burner system
KR102116391B1 (ko) 구이판 거치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CN210276932U (zh) 一种便携式燃气烤炉
KR102019791B1 (ko) 휴대용 조리기구
KR102092166B1 (ko) 가열부 구조 개선 및 세라믹 원적외선을 이용한 상하 가스 직화 구이기
KR101861601B1 (ko) 다기능 조리용기
KR102248193B1 (ko) 레버식 높이 조절 고기구이기
KR20040092995A (ko) 육류구이 및 전골 겸용 로스터의 버너 승강방법 및 구조
KR101251739B1 (ko)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