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268A - 고기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고기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268A
KR20220135268A KR1020210040425A KR20210040425A KR20220135268A KR 20220135268 A KR20220135268 A KR 20220135268A KR 1020210040425 A KR1020210040425 A KR 1020210040425A KR 20210040425 A KR20210040425 A KR 20210040425A KR 20220135268 A KR20220135268 A KR 20220135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furnace
sprocket
driven sprocke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7135B1 (ko
Inventor
김승필
Original Assignee
김승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필 filed Critical 김승필
Priority to KR1020210040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135B1/ko
Publication of KR20220135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2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arranged on wheels or spid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9Details of the food supports not specially adapted to one of the preceding types of foo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고기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수평프레임과 다수의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재; 화로유닛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화로승강부재; 석쇠부재를 회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석쇠회전부재; 상기 석쇠회전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되는 다수의 석쇠부재;를 마련하여 장작 등의 연소대상물이 연소되는 화로유닛을 베이스유닛에 의해 승강시킬 수 있으며, 화로유닛의 승강에 의해 석쇠본체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화염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석쇠부재를 설정 시간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써 고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울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고기 구이장치{Meat roasting device}
본 발명은 고기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의 구이 상태에 따라 화로의 높이를 조절함은 물론 석쇠를 회전시켜 고기를 보다 신속하게 구울 수 있도록 하는 고기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와 생선등을 불 위에 직접 구워내는 구이요리는 그 맛과 향이 독특하여 누구나 즐기고 있는 음식문화로써 고기를 굽기 위해 대개 숯불과 석쇠 혹은 구이판을 사용한다.
그러나 고기를 구울 때 사용되는 석쇠 혹은 구이판은 밑에서 가열되는 가열수단(숯불이나 가스 혹은 번개탄 등)에 의해 뜨거워지면서 고기를 구워내게 되지만 화력이 더무 과도한 경우 고기가 타버리거나 석쇠나 구이판에 눌러 붙는 경우가 많다.
만일 고기가 석쇠나 구이판에 눌러 붙으면 세척작업시 잘 떨어지지 않아 힘이 많이 들고 탄음식을 섭취하면 건강에도 유익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대중 음식점에서는 고기를 동안에 수시로 석쇠를 교환하여 양질의 고기맛이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잦은 교체로 인해 오염된 석쇠나 구이판이 증가하여 세척작업량이 많아져 인력낭비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구이판은 크게 프라이팬과 같이 표면이 판상형인 형태와 군데군데 구멍이 뚤린 망사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판상형 구이판은 불꽃이 고기등과 같이 음식물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판을 가열시켜 고기를 구워내는 형태이다.
망사형 구이판은 표면에 크고 작은 구멍들이 형성되어 그 사이로 화기가 올라오면서 고기를 구워내는 형태이다.
판상형 구이판의 경우 고기를 굽는 동안에 고기에 발생되는 기름이나 수분등이 흘러 어느 한 곳에 모여지도록 그 중앙부가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대부분 설계된 경우가 많다.
또 망사형 구이판의 경우에는 표면에 그물망처럼 뚤린 구멍사이로 기름이나 수분이 불위로 떨어져 연소되면서 연기나 그으름이 발생되고 또 심한 경우 불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고기를 굽는 과정에 발생된 연기 등은 의류에 흡수되어 음식냄새를 풍기는 불편함이 있어 최근에는 구이판이나 석쇠위에 연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자바라나 혹은 덕트를 설치하기도 하고, 또 식탁 밑에 팬과 덕트와 같은 배출장치들을 설치하여 연기를 빨아내기도 한다. 이처럼 연기등을 배출시키기 위해 별도의 배기 혹은 환기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연기를 빨아내기 위해 설치된 자바라 혹은 덕트가 음식을 먹는데 간섭을 주거나 마주 사람의 얼굴을 가리는 불편함이 있고, 또 고기를 굽는 과정에 발생되는 연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므로 고기의 표면이 쉽게 건조해져 고기가 오그라들거나 맛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또 배기장치등 부대설비를 갖추어야 하고 시설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고기 구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내부에 고체연료가 투입되어 연소되는 연소공간이 마련된 화로본체와, 상기 화로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에 구이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마련된 불판유닛과, 상기 불판유닛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불판유닛으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연기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커버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불판유닛은 상기 화로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덮개판과, 이격부재에 의해 상기 덮개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되며, 상면에 상기 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배기공들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상기 구이대상물로부터 발생된 기름이 배출되는 다수의 유출공이 형성된 구이판과, 상기 유출공을 통해 배출된 상기 기름이 상기 배기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배기공들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덮개판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1간섭부재와, 상기 유출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구이판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하단부가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 1간섭부재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2간섭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화로본체는 하부에 상기 연소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화로본체의 공기 유입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화로본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개폐판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판을 회동시키는 개폐레버와, 상기 화로본체 하측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입공을 통해 배출되는 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하면에 상기 재가 배출되는 재배출구가 형성된 수용본체와, 상기 수용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판과 연동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재를 상기 재배출구로 강제 이송시키는 강제이송부를 구비한다.
상기 강제이송부는 상단이 상기 개폐판의 회전중심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수용본체 내부로 인입되게 하방으로 연장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대해 볼록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재를 상기 재배출구로 강제 이송시키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고기 구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중간 프레임과, 상기 중간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상기 중간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을 구비하는 장치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는 복수의 휠, 상기 휠의 주변에 배치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장치 프레임을 지면에 지지시키는 복수의 높이 조절용 푸트, 표면이 막힌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 모듈과, 일측이 상기 원통형 모듈에 끼워져 상기 원통형 모듈과 한 몸체를 이루되 표면이 뚫린 구조를 갖는 망체형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중간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며, 고기가 구워지는 장소를 이루는 회전식 구이 드럼, 상기 회전식 구이 드럼의 원통형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식 구이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부, 상기 드럼 회전부의 작용으로 회전되는 상기 회전식 구이 드럼의 회전동작을 가이드하는 드럼 가이드, 상기 중간 프레임에 지지되되 상기 원통형 모듈의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원통형 모듈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한다.
상기 원통형 모듈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상기 중간 프레임에 지지되되 망체형 모듈의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망체형 모듈로 직접적인 화염을 가하는 교체식 숯불 유닛, 상기 온도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드럼 회전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며, 고기가 구워질 때 발생하는 연기와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기,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구워진 고기가 수용되는 고기 수용부,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에 마련되며, 고기가 구워질 때 발생하는 기름을 받는 기름 받이, 일단부는 상기 원통형 모듈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기름 받이와 연결되며, 상기 원통형 모듈 내의 기름을 상기 기름 받이로 전달하는 기름 전달관 및 상기 장치 프레임에 연결되되 상기 회전식 구이 드럼의 원통형 모듈과 망체형 모듈을 구획하는 격벽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 회전부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하는 구동 스프로켓, 상기 원통형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 모듈과 한 몸체를 이루는 피동 스프로켓 및 상기 구동 스프로켓과 상기 피동 스프로켓에 연결되는 체인을 포함한다.
상기 드럼 가이드는 상기 중간 프레임에 용접되는 더미 프레임, 상기 더미 프레임에 결합하는 롤러 지지대, 상기 롤러 지지대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는 회전 롤러 및 상기 원통형 모듈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 롤러의 자리 이탈을 저지시키면서 상기 회전 롤러가 회전되는 궤적을 형성하는 롤러 가이드 벽체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91979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038034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390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기가 안치된 석쇠를 회전시키면서 화로의 높이를 승강시켜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하는 고기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화로를 승강시켜 석쇠와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고기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과 다수의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재(110); 화로유닛(143)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화로승강부재(130); 석쇠부재(170)를 회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석쇠회전부재(150); 상기 석쇠회전부재(15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10)에 설치되는 다수의 석쇠부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로승강부재(130)는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고정브래킷(131); 상기 모터고정브래킷(13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32); 상기 구동모터(1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133); 상기 화로유닛(143)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유닛(136); 상기 베이스유닛(136)의 상면에 안치되는 화로유닛(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유닛(136)은 상기 구동스프로킷(133)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137); 상기 구동스프로킷(133)과 종동스프로킷(137) 사이에 설치되는 체인(138); 상기 종동스프로킷(13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축(139); 상기 회전축(139)의 각각 양단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베벨몸체(140); 상기 베벨몸체(1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벨기어(141); 상기 화로유닛(143)을 받치도록 상기 베벨기어(141)의 상면에 안착되는 받침플레이트(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로유닛(143)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화로본체(144); 상기 화로본체(144)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본체(144)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측면가이드(145); 상기 화로본체(144)를 꺼낼 수 있도록 상기 화로본체(144)의 일면에 설치되는 전면플레이트(146); 상기 전면플레이트(146)에 설치되는 손잡이(147); 상기 화로본체(144)의 인출 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롤러(1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쇠회전부재(150)는 상기 프레임본체(110)의 모터고정브래킷(15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52); 상기 구동모터(152)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153); 상기 구동스프로킷(153)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1 종동스프로킷(154) 및 제2 종동스프로킷(155); 상기 구동스프로킷(153)과 상기 종동스프로킷(154, 155)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아이들스프로킷(156); 상기 제2 종동스프로킷(155)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3 종동스프로킷(157); 상기 제2 종동스프로킷(155)과 상기 제3 종동스프로킷(157)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아이들스프로킷(1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쇠부재(17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석쇠본체(171); 상기 석쇠본체(171)의 일측에 형성되는 끼움돌기(172); 상기 석쇠본체(171)의 타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173); 상기 끼움돌기(17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석쇠회전부재(15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10)에 설치되는 삽입플레이트(174); 상기 손잡이부(173)가 안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석쇠회전부재(15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10)에 설치되는 안치플레이트(175); 상기 안치플레이트(175)에 안착된 상기 손잡이부(173)가 이탈되지 않게 상기 안치플레이트(175)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176); 상기 고정플레이트(176)가 상기 안치플레이트(175)에 고정되도록 체결되는 핸들(17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에 의하면, 장작 등의 연소대상물이 연소되는 화로유닛을 베이스유닛에 의해 승강시킬 수 있으며, 화로유닛의 승강에 의해 석쇠본체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화염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석쇠부재를 설정 시간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써 고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울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의 프레임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의 화로승강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의 화로승강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의 석쇠회전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의 석쇠회전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과 다수의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재(110)와, 화로유닛(143)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화로승강부재(130)와, 석쇠부재(170)를 회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석쇠회전부재(150)와, 상기 석쇠회전부재(15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10)에 설치되는 다수의 석쇠부재(17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의 프레임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재(110)는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하부수평프레임(111)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1) 사이에 다수개의 중간프레임(112)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각 모서리에는 수직프레임(113)이 고정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3)의 상면에는 상부수평프레임(114)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수평프레임(114)에는 석쇠부재(17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구멍(115)이 형성된다.
또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저면에는 고기 구이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이동바퀴(116, 도 10 참조)가 설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의 화로승강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의 화로승강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하부에는 화로유닛(143)을 일정 높이로 승강시킬 수 있는 화로승강부재(130)가 설치된다.
상기 화로승강부재(130)는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고정브래킷(131)와, 상기 모터고정브래킷(13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32)와, 상기 구동모터(1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133)와, 상기 화로유닛(143)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유닛(136)와, 상기 베이스유닛(136)의 상면에 안치되는 화로유닛(143)을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로승강부재(130)의 모터고정브래킷(131)은 하부수평프레임(111)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고정브래킷(131)에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32)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132)에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스프로킷(13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고정브래킷(131)과 대응되게 하부수평프레임(111)의 내측면에는 고정브래킷(134)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브래킷(134)에는 아이들스프로킷(135)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1)의 상면에는 화로유닛(143)을 일정 높이만큼 승강시키는 베이스유닛(136)이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유닛(136)은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유닛(136)에는 구동스프로킷(133)에 대응되는 종동스프로킷(137)이 설치된다.
상기 종동스프로킷(137)에는 회전축(139)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39)의 각 끝단에는 베벨몸체(140)가 설치된다. 즉, 베벨몸체(140)는 4개의 회전축(139)의 각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베벨몸체(140)에는 회전축(139)에 의해 회전되는 베벨기어(14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베벨기어(141)는 회전축(139)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베벨기어(141)의 상면에는 받침플레이트(142)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142)의 상면에는 회로유닛(143)이 안치된다.
상기 회로승강부재(130)는 구동모터(132)에 의해 구동스프로킷(133)과 종동스프로킷(137)이 회전되며, 상기 회전축(139)이 베벨몸체(140)에 설치된 베벨기어(141)를 회전시켜 승강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화로유닛(143)은 베이스유닛(136)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화로유닛(143)의 화로본체(144)는 장작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화로본체(144)에는 각각의 석쇠부재(170)에 대응되게 별도로 2개의 화로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화로본체(144)의 양측에는 도 1에서와 같이, 화로본체(144)를 수평 방향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측면가이드(145)가 설치된다.
상기 화로본체(144)의 전면에는 전면플레이트(146)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146)에는 화로본체(144)를 프레임부재(110)의 외측으로 꺼낼 수 있도록 손잡이(147)가 고정된다.
상기 화로본체(144)의 양 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롤러구멍(148)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구멍(148)에는 각각 롤러(149)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화로유닛(143)은 화로승강부재(130)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될 뿐만 아니라 화로에 장작 등을 투입하거나 장작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재 등을 꺼낼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의 석쇠회전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의 석쇠회전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석쇠회전부재(150)는 상기 프레임본체(110)의 모터고정브래킷(15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52)와, 상기 구동모터(152)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153)와, 상기 구동스프로킷(153)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1 종동스프로킷(154) 및 제2 종동스프로킷(155)와, 상기 구동스프로킷(153)과 상기 종동스프로킷(154, 155)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아이들스프로킷(156)와, 상기 제2 종동스프로킷(155)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3 종동스프로킷(157)와, 상기 제2 종동스프로킷(155)과 상기 제3 종동스프로킷(157)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아이들스프로킷(15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석쇠회전부재(150)는 상부수평프레임(114)에 설치되어 한 쌍의 석쇠본체(17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부수평프레임(114)에는 모터고정브래킷(151)이 설치되고, 상기 모터고정브래킷(151)에는 구동모터(152)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152)에는 구동스프로킷(153)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스프로킷(153)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는 제2 종동스프로킷(15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종동스프로킷(154)은 한 쌍의 석쇠부재(170) 중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종동스프로킷(154)에는 제3 종동스프로킷(155)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스프로킷(153)과 제1 종동스프로킷(154) 사이에는 제1 아이들스프로킷(156)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종동스프로킷(155)과 이격된 위치에는 제3 종동스프로킷(157)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종동스프로킷(155)과 제3 종동스프로킷(157) 사이에는 제2 아이들스프로킷(158)이 설치된다.
이들 석쇠회전부재(150)는 상부수평프레임(114)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석쇠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구동모터(152)에 의해 구동스프로킷(153)이 회전됨에 따라 제1 종동스프로킷(154)이 회전되면서 2개의 석쇠본체(171) 중 하나를 회전시키며, 제3 종동스프로킷(157)이 회전되면서 다른 석쇠본체(171)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수평프레임(114)에는 2개의 석쇠본체(17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석쇠본체(171)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기를 중간에 끼워둘 수 있도록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석쇠본체(171)의 일측에는 끼움돌기부(173)가 형성되고, 석쇠본체(171)의 타측에는 손잡이부(17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끼움돌기부(173)에는 제1 종동스프로킷(154) 및 제3 종동스프로킷(157)에 의해 회전되게 삽입플레이트(174)가 설치되며, 상기 삽입플레이트(174)는 상부수평프레임(114)의 결합구멍(1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73)는 안치플레이트(175)에 안치되며, 상기 손잡이부(173)가 이탈되지 않게 고정플레이트(176)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76)는 핸들(176)에 의해 안치플레이트(17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핸들(177)은 고정플레이트(176)를 안치플레이트(175)에 맞대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안치플레이트(175)에 체결된다.
이러한 석쇠부재(170)는 석쇠회전부재(150)의 제1 종동스프로킷(154)과 제3 종동스프로킷(157)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의해 180°로 회전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프레임부재 111: 하부수평프레임
112: 중간프레임 113: 수직프레임
114: 상부수평프레임 115: 결합구멍
116: 이동바퀴
130: 화로승강부재 131: 모터고정브래킷
132: 구동모터 133: 구동스프로킷
134: 고정브래킷 135: 아이들스프로킷
136: 베이스유닛 137: 종동스프로킷
139: 회전축 140: 베벨몸체
141: 베벨기어 142: 받침플레이트
143: 화로유닛 144: 화로본체
145: 측면가이드 146: 전면플레이트
147: 손잡이 148: 롤러구멍
149: 롤러
150: 석쇠회전부재 151: 모터고정브래킷
152: 구동모터 153: 구동스프로킷
154: 제1 종동스프로킷 155: 제2 종동스프로킷
156: 제1 아이들스프로킷 157: 제3 종동스프로킷
158: 제2 아이들스프로킷
170: 석쇠부재 171: 석쇠본체
172: 끼움돌기부 173: 손잡이부
174: 삽입플레이트 175: 안치플레이트
176: 고정플레이트 177: 핸들

Claims (6)

  1. 다수의 수평프레임과 다수의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재(110);
    화로유닛(143)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화로승강부재(130);
    석쇠부재(170)를 회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석쇠회전부재(150);
    상기 석쇠회전부재(15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10)에 설치되는 다수의 석쇠부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승강부재(130)는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고정브래킷(131);
    상기 모터고정브래킷(13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32);
    상기 구동모터(1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133);
    상기 화로유닛(143)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1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유닛(136);
    상기 베이스유닛(136)의 상면에 안치되는 화로유닛(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136)은 상기 구동스프로킷(133)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137);
    상기 구동스프로킷(133)과 종동스프로킷(137) 사이에 설치되는 체인(138);
    상기 종동스프로킷(13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축(139);
    상기 회전축(139)의 각각 양단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베벨몸체(140);
    상기 베벨몸체(1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벨기어(141);
    상기 화로유닛(143)을 받치도록 상기 베벨기어(141)의 상면에 안착되는 받침플레이트(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유닛(143)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화로본체(144);
    상기 화로본체(144)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본체(144)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측면가이드(145);
    상기 화로본체(144)를 꺼낼 수 있도록 상기 화로본체(144)의 일면에 설치되는 전면플레이트(146);
    상기 전면플레이트(146)에 설치되는 손잡이(147);
    상기 화로본체(144)의 인출 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롤러(1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회전부재(150)는 상기 프레임본체(110)의 모터고정브래킷(15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52);
    상기 구동모터(152)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153);
    상기 구동스프로킷(153)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1 종동스프로킷(154) 및 제2 종동스프로킷(155);
    상기 구동스프로킷(153)과 상기 종동스프로킷(154, 155)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아이들스프로킷(156);
    상기 제2 종동스프로킷(155)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3 종동스프로킷(157);
    상기 제2 종동스프로킷(155)과 상기 제3 종동스프로킷(157)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아이들스프로킷(1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부재(17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석쇠본체(171);
    상기 석쇠본체(171)의 일측에 형성되는 끼움돌기(172);
    상기 석쇠본체(171)의 타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173);
    상기 끼움돌기(17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석쇠회전부재(15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10)에 설치되는 삽입플레이트(174);
    상기 손잡이부(173)가 안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석쇠회전부재(15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10)에 설치되는 안치플레이트(175);
    상기 안치플레이트(175)에 안착된 상기 손잡이부(173)가 이탈되지 않게 상기 안치플레이트(175)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176);
    상기 고정플레이트(176)가 상기 안치플레이트(175)에 고정되도록 체결되는 핸들(17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장치.
KR1020210040425A 2021-03-29 2021-03-29 고기 구이장치 KR102467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425A KR102467135B1 (ko) 2021-03-29 2021-03-29 고기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425A KR102467135B1 (ko) 2021-03-29 2021-03-29 고기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268A true KR20220135268A (ko) 2022-10-07
KR102467135B1 KR102467135B1 (ko) 2022-11-17

Family

ID=8359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425A KR102467135B1 (ko) 2021-03-29 2021-03-29 고기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1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014B1 (ko) * 2024-01-25 2024-04-16 김승필 고기 구이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9829U (ja) * 1984-11-30 1986-03-1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オ−ブント−スタのスイツチ装置
KR200287478Y1 (ko) * 2002-05-15 2002-09-09 박종혁 구이기의 화로통 승하강장치
KR200439050Y1 (ko) 2006-11-06 2008-03-18 조쌍길 고기 구이장치
KR20120011715A (ko) * 2010-07-30 2012-02-08 이우순 회전식 구이장치
KR101691979B1 (ko) 2015-10-20 2017-01-03 김상국 고기 구이장치
KR102038034B1 (ko) 2019-06-03 2019-10-29 김문겸 고기 구이장치
KR20200062028A (ko) * 2018-11-26 2020-06-03 김응학 자동 석쇠 구이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9829U (ja) * 1984-11-30 1986-03-1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オ−ブント−スタのスイツチ装置
KR200287478Y1 (ko) * 2002-05-15 2002-09-09 박종혁 구이기의 화로통 승하강장치
KR200439050Y1 (ko) 2006-11-06 2008-03-18 조쌍길 고기 구이장치
KR20120011715A (ko) * 2010-07-30 2012-02-08 이우순 회전식 구이장치
KR101691979B1 (ko) 2015-10-20 2017-01-03 김상국 고기 구이장치
KR20200062028A (ko) * 2018-11-26 2020-06-03 김응학 자동 석쇠 구이기
KR102038034B1 (ko) 2019-06-03 2019-10-29 김문겸 고기 구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014B1 (ko) * 2024-01-25 2024-04-16 김승필 고기 구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135B1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368B1 (ko)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CA2311363C (en) Bbq oven
KR101010264B1 (ko) 구이용 조리기구
KR101379180B1 (ko) 스마트 구이기
KR101852716B1 (ko) 사각 화구를 갖는 구이 화덕
KR101721805B1 (ko) 바베큐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KR100644207B1 (ko) 환경친화형 다기능 숯불 구이장치
KR102467135B1 (ko) 고기 구이장치
KR100881495B1 (ko) 이동식 구이용 황토 가마
KR100949476B1 (ko) 숯불구이기
KR101670628B1 (ko) 급속 가열 및 화력 조절이 가능한 구이 화덕
KR101974094B1 (ko) 회전 구이 장치
KR101691979B1 (ko) 고기 구이장치
KR20180016806A (ko) 육류 불판 구이기
KR101671629B1 (ko) 수직 직립형 석쇠 구이 방식의 가열조리기구
KR20200024634A (ko) 복사열을 이용한 회전식 구이기
KR102345327B1 (ko) 야외용 고기 굽는 장치
KR100954556B1 (ko) 참나무 장작 구이기
KR101532193B1 (ko) 기능성 조리 장치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KR101721369B1 (ko) 보조요리를 겸하는 구이 화덕
KR102056542B1 (ko) 무화염 숯불구이장치
KR20110080740A (ko) 구이물에 따른 화력조절이 용이한 다기능 로스터
KR200405803Y1 (ko) 환경친화형 다기능 숯불 구이장치
KR100725221B1 (ko) 육류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