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715A - 회전식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715A
KR20120011715A KR1020100073785A KR20100073785A KR20120011715A KR 20120011715 A KR20120011715 A KR 20120011715A KR 1020100073785 A KR1020100073785 A KR 1020100073785A KR 20100073785 A KR20100073785 A KR 20100073785A KR 20120011715 A KR20120011715 A KR 20120011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seating
rotating
roasting
roas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528B1 (ko
Inventor
이우순
Original Assignee
이우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순 filed Critical 이우순
Priority to KR1020100073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5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의 모터(2)에 의해 구이판(3)을 회전시켜 육류 및 어류를 익히는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2)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체(15)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체(15)의 동축 상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다수의 치형(11)을 구비하는 회전구(10); 상기 회전구(10)의 치형(11)과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기어(25)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기어(25)의 동축 상에 구이판(3)을 고정하는 고정대(21)를 구비하는 회전부(20); 및 상기 회전기어(25)의 동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착구(35)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구(35)와 연계하여 구이판(3)의 수평을 유지하는 안착롤(31)을 구비하는 스토퍼(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구이판의 상, 하면을 집중적으로 열을 가할 수 있어 육류 및 어류가 신속하고 빠르게 익힐 수 있고, 안전하게 구울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식 구이장치{Rotary type roasting device}
본 발명은 육류 및 어류를 굽는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이판의 상, 하면을 집중적으로 열을 가할 수 있어 육류 및 어류가 신속하고 빠르게 익힐 수 있고, 안전하게 구울 수 있는 회전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육류 및 어류를 굽는 방법으로는 가스렌지와 같은 화기 위에서 굽거나, 숯불을 통해 직화구이 방식으로 굽는 방법이 있다. 이중, 직화구이 방식은 복사열전달을 통해 고기의 내부 속까지 골고루 열이 전달되기 때문에 고기의 맛과 향이 좋아 많은 사람이 선호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 직화구이 방식은 일반 가정에서 숯불을 이용하여 육류 및 어류를 구워 시식할 수는 있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준비 및 굽기가 까다로운 문제 때문에 외식을 통해 음식점에서 시식을 하고 있는 실정으로 음식점은 손님들의 굽는 시간을 줄이고자 초벌구이 또는 마침구이를 통해 익힌 후, 손님에게 전달하여 그 시간을 줄이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0639319호에 의하면 「각각의 석쇠(300)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250)에 취부된 제 1 타이밍벨트 풀리(210)와 각 제 1 타이밍 벨트 풀리(210)에 연결되어 있는 타이밍 벨트(220)로 이루어져 석쇠(300)를 회전시키는 석쇠 회전 수단(200); ~ 캠(80)의 회전으로 석쇠 지지대(100)가 상승되면서 상기 핸들 샤프트(430)가 상기 푸시로드 하우징(470) 및 푸시 바(490)의 유도로 인해 상기 가이드 홈(461)을 따라 이동하여 1 회전을 이루고 이로 인해 회전력이 상기 제 2 타이밍벨트 풀리(420)에 권취된 타이밍벨트(220)를 통해 상기 석쇠회전수단(200)으로 전달되어 각각의 석쇠(300)를 1/2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쇠 그릴 장치의 회전 수단」의 기술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석쇠 그릴 장치의 회전 수단은 하나의 석쇠 회전을 통해 주변의 별다른 전원 공급에 따른 동력 제공 없이 다른 석쇠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어 전원 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하지만, 모터의 구동으로 멈춤없이 계속 회전을 시행함으로 육류가 고루 익지 않으며, 신속하고 빠르게 육류를 익힐 수 없어 장시간 구워야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19588호에 의하면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 중앙부에는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숯저장함끼움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숯저장함끼움부(13)의 외측으로 기름저장부(12′)가 구비된 기름받이(12)가 설치되며, ~ 상기 회전축(26)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노브(64)와, 상기 외기유입부(17)의 외기유입개폐조절판(18)과 연결로드로 연결되어 외기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외기유입개폐조작레바(67)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는 조작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석쇠장착형 회전식 고기구이기」의 기술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석쇠장착형 회전식 고기구이기의 경우에도 석쇠가 멈춤없이 계속 회전을 하기 때문에 육류가 고루 익지 않아 시식자가 탈이 날 수 있으며, 신속하고 빠르게 육류를 익힐 수 없어 장시간 구워야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제0639319호 “석쇠 그릴 장치의 회전 수단”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19588호 “석쇠장착형 회전식 고기구이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이판의 상, 하면을 집중적으로 열을 가할 수 있어 육류 및 어류가 신속하고 빠르게 익힐 수 있고, 안전하게 구울 수 있는 회전식 구이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의 모터에 의해 구이판을 회전시켜 육류 및 어류를 익히는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체의 동축 상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다수의 치형을 구비하는 회전구; 상기 회전구의 치형과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기어의 동축 상에 구이판을 고정하는 고정대를 구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기어의 동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착구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구와 연계하여 구이판의 수평을 유지하는 안착롤을 구비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구는 양면에 각각 개재되는 돌부와, 상기 돌부에 인접하게 개재되는 스위치와, 상기 돌부에 스위치가 각각 접하여 실린더를 통해 화덕을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하부에 안착홈을 구비하는 안착구와, 상기 안착구의 안착홈에 안착 및 회전하는 안착롤과, 상기 안착롤에 가압력을 전달하도록 스프링의 탄성력을 부여받는 회동체를 구비하는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이판의 상, 하면을 집중적으로 열을 가할 수 있어 육류 및 어류가 신속하고 빠르게 익힐 수 있고, 안전하게 구울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의 승강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의 구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본체 상에 모터로 연결되어 육류 및 어류를 자동으로 굽는 회전식 구이장치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 회전구(10), 회전부(20), 스토퍼(3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구(10)는 상기 모터(2)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체(15)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체(15)의 동축 상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다수의 치형(11)을 구비한다. 모터(2)는 본체(1)의 일측 하단에 체인을 통하여 연결되는 구동체(15)를 구비하여 회전하게 되는 바, 구동체(15)의 회전으로 동축 상에 연결되는 회전구(10)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구(10)는 원형의 형태에서 외주면에 다수의 치형(11)을 구비하여 구동체(15)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치형(11)의 개수는 구이판(3)의 회전 시, 회전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바 이는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20)는 상기 회전구(10)의 치형(11)과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기어(25)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기어(25)의 동축 상에 구이판(3)을 고정하는 고정대(21)를 구비한다. 상술한 회전구(10)와 구동체(15)가 동축 상에서 회전하였다면 회전구(10)와 구동체(15)의 상부에는 회전부(20)가 위치하여 회전구(10)와 맞물리는 회전기어(25)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기어(25)의 회전은 회전구(10)를 통하여 회전하게 되는 바, 회전구(10)는 외주면이 치형(11)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부분과 원형 부분으로 나뉘게 되어 치형(11)이 회전기어(25)와 맞물려 회전기어(25)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회전기어(25)는 치형(11)을 통해서만 회전하기 때문에 치형(11)이 형성되지 않는 원형 부분에서는 회전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치형(11)으로 180°회전하고, 원형 부분으로 회전이 지연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회전부(20)의 끝단부에는 내부 홈(도면부호 미부여)을 구비하는 고정대(21)를 구비하는 바, 상술한 구이판(3)이 삽설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과 멈춤을 반복하여 구이판(3)의 내부의 육류와 어류를 굽게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30)는 상기 회전기어(25)의 동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착구(35)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구(35)와 연계하여 구이판(3)의 수평을 유지하는 안착롤(31)을 구비한다. 스토퍼(30)는 상술한 회전기어(25)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안착구(35)를 구비하게 되는 바, 안착구(35)와 맞닿아 구이판(3)의 수평을 유지하는 안착롤(31)를 구비하여 안착구(35)의 회전을 방지함으로 고정대(21)로부터 구이판(3)이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토퍼(30)는 회전구(10)의 치형(11)과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기어(25)를 통하여 고정대(21)에 맞물린 구이판(3)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회전구(10)의 치형(11)이 형성되지 않은 원형 부분이 될 경우 회전기어(25)는 회전하지 않게 되는 바, 이때 구이판(3)에 내재되어 있는 육류 및 어류의 무게로 인하여 구이판(3)이 수평을 유지하지 못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다수의 본체(1)의 고정대(21) 반대측에 기어(도면부호 미부여)를 설치하여 다수의 본체(1)가 하나의 모터(2)로 구이판(3)을 회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의 승강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때, 상기 회전구(10)는 양면에 각각 개재되는 돌부(12a)(12b)와, 상기 돌부(12a)(12b)에 인접하게 개재되는 스위치(13a)(13b)와, 상기 돌부(12a)(12b)에 스위치(13a)(13b)가 각각 접하여 실린더(14)를 통해 화덕(40)을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수단을 구비한다. 회전구(10)의 양면에 돌출되는 돌부(12a)(12b)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돌부(12a)(12b)는 회전구(10)가 회전하면서 돌부(12a)와 맞닿는 돌부(12a)를 구비하고, 돌부(12b)와 맞닿는 돌부(12b)를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돌부(12a)(12b)와 스위치(31a)(31b)는 실린더(14)와 연계하여 화덕(40)을 상, 하로 이동하는 바, 상술한 고정대(21)에 고정되는 구이판(3)의 회전 시 상기 구이판(3)이 수평상태가 되기 위하여 회전구(10)이 회전하면서 돌부(12a)가 스위치(13a)에 맞닿게 되면 화덕(40)은 구이판(3) 상에 고온을 가하기 위하여 실린더(14)에 의해 화덕(40)이 가이드홈(17)을 타고 상승하게 되고, 다시 구이판(3)이 반대면에 온도를 가하기 위하여 회전 시 돌부(12b)가 스위치(31b)에 맞닿아 화덕(40)은 다시 화덕(40)이 가이드홈(17)을 타고 하락하여 구이판(3)의 회전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즉, 구이판(3)이 수평형태로 형성될 때, 화덕(40)이 구이판(3)의 하면에 근접하게 위치함으로 육류 및 어류 상에 고온이 전달되기 용이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본체(1)의 측면에 설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화덕(40)의 하단에 실린더(14)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화덕(40)의 내부에는 내화벽돌(41)을 적재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때, 상기 스토퍼(30)는 상하부에 안착홈(35a)을 구비하는 안착구(35)와, 상기 안착구(35)의 안착홈(35a)에 안착 및 회전하는 안착롤(31)과, 상기 안착롤(31)에 가압력을 전달하도록 스프링(33)의 탄성력을 부여받는 회동체(32)를 구비한다. 상술하였던 것에 이어 스토퍼(30)는 대응되게 형성되는 안착홈(35a)을 구비하는 안착구(35) 상에 회전가능한 안착롤(31)이 맞닿아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안착롤(31)은 힌지 형태의 회동체(32)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안착롤(31)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스프링(33)이 구비되어 안착롤(31)이 스프링(33)에 의해 항상 안착구(35)와 맞닿을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써, 상술한 회전구(10)의 치형(11)과 회전기어(25)가 맞닿아 회전하면 고정대(21) 상에 고정되는 구이판(3)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회전구(10)의 치형(11)이 형성되지 않는 원형 부분이 회전기어(25)에 향할 때에는 맞물림 없어 안착구(35)가 구이판(3)의 무게에 따라 기울어질 수 있음으로 구이판(3)이 수평일 때, 회동체(32)를 중심으로 안착롤(31)이 스프링(33)에 의하여 안착구(35)의 안착홈(35a) 상에 안착하여 구이판(3)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회전구(10)의 치형(11)이 회전기어(25)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면 안착롤(31)은 안착홈(35a) 상에서 이탈하여 구이판(3)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화덕(40)은 구이판(3)의 하단에 설치되어 실린더(14)에 의해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는 바, 상기 실린더(14)는 본체(1)의 측면에 설치되는 구성과 화덕(40)의 하단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나뉠 수 있다. 본체(1)의 측면에 실린더(14)를 설치할 경우 다수의 본체(1)를 연설하여 사용할 수 있어 많은 양의 육류와 어류 등을 단시간에 구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은 후술하여 설명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승강수단의 실린더(14)는 상부에 탈착 가능한 승강핀(16)을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승강핀(16)의 양측에 본원발명인 회전식 구이장치를 연계하여 설치가능하다. 즉, 하나의 모터(2)를 사용하여 여러대의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의 구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때, 구이판(3)은 회전 시 육류와 어류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핀(3a)을 구비할 수 있다. 구이판(3)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의 내부에 삽설하여 고정한 다음, 슬라이더(3b)를 통하여 고정핀(3a)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로써, 상술한 회전구(10)와 회전부(20)이 연계되어 구이판(3)을 회전할 시, 상기 고정핀(3a) 상에 설치되는 돌부가 구이판(3) 사이에 삽입하여 육류 및 어류 등이 외부로 이탈하거나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도 1 내지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회전식 구이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먼저 본체(1)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2)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체(15)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구동체(15)와 동축 상에서 함께 회전하는 다수의 치형(11)을 구비하는 회전구(10)가 회전하여 회전기어(25)와 맞물리게 된다. 이때, 치형(11)이 형성되는 부분으로만 회전기어(25)와 맞물려 회전기어(25)가 회전하게 됨으로 치형(11)이 없는 부분에서는 회전기어(25)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회전기어(25)와 동축 상에서 함께 회전하는 고정대(21)가 구이판(3)을 180°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스토퍼(30)는 상기 회전기어(25)와 동축 상에 회전하는 안착홈(35a)을 구비하는 안착구(35)가 안착롤(31)과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바, 안착롤(31)은 회동체(32)를 중심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스프링(33)으로 인해 안착롤(31)이 안착홈(35a)과 맞물릴 시 고정되게 하여 구이판(3)이 육류 및 어류 등의 무게로 인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회전구(10)의 치형(11)과 회전기어(25)가 맞물려 회전기어(25)를 돌릴 시에는 안착롤(31)이 안착구(35)의 안착홈(35a)이 없는 부위와 맞닿게 되고, 치형(11)이 없는 빈공간부와 안착구(35)가 근접할 시에는 안착롤(31)이 안착구(35)의 안착홈(35a) 상에 안착하여 구이판(3)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구(10)의 양면에는 돌부(12a)(12b)를 구비하여 각각 스위치(13a)(13b)와 맞닿아 화덕(40)이 상, 하로 이동하는 승강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승강수단은 구이판(3)이 수직일 때는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화덕(40)이 하강하고, 구이판(3)이 수평일 때는 구이판(3) 상에 집중적으로 열을 가하도록 화덕(40)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이판의 상, 하면을 집중적으로 열을 가할 수 있어 육류 및 어류가 신속하고 빠르게 익힐 수 있고, 안전하게 구울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본체 2: 모터
3: 구이판 10: 회전구
11: 치형 12a, 12b: 돌부
14: 실린더 15: 구동체
16: 고정핀 17: 가이드홈
20: 회전부 21: 고정대
25: 회전기어 30: 스토퍼
31: 안착롤 32: 회동체
33: 스프링 40: 화덕
41: 내화벽돌

Claims (3)

  1. 본체(1)의 모터(2)에 의해 구이판(3)을 회전시켜 육류 및 어류를 익히는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2)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체(15)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체(15)의 동축 상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다수의 치형(11)을 구비하는 회전구(10);
    상기 회전구(10)의 치형(11)과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기어(25)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기어(25)의 동축 상에 구이판(3)을 고정하는 고정대(21)를 구비하는 회전부(20); 및
    상기 회전기어(25)의 동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착구(35)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구(35)와 연계하여 구이판(3)의 수평을 유지하는 안착롤(31)을 구비하는 스토퍼(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10)는 양면에 각각 개재되는 돌부(12a)(12b)와, 상기 돌부(12a)(12b)에 인접하게 개재되는 스위치(13a)(13b)와, 상기 돌부(12a)(12b)에 스위치(13a)(13b)가 각각 접하여 실린더(14)를 통해 화덕(40)을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0)는 상하부에 안착홈(35a)을 구비하는 안착구(35)와, 상기 안착구(35)의 안착홈(35a)에 안착 및 회전하는 안착롤(31)과, 상기 안착롤(31)에 가압력을 전달하도록 스프링(33)의 탄성력을 부여받는 회동체(32)를 구비하는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KR1020100073785A 2010-07-30 2010-07-30 회전식 구이장치 KR101165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785A KR101165528B1 (ko) 2010-07-30 2010-07-30 회전식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785A KR101165528B1 (ko) 2010-07-30 2010-07-30 회전식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715A true KR20120011715A (ko) 2012-02-08
KR101165528B1 KR101165528B1 (ko) 2012-07-16

Family

ID=4583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785A KR101165528B1 (ko) 2010-07-30 2010-07-30 회전식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5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8689A (zh) * 2015-08-27 2016-11-16 贵阳花溪新光节能机械经营部 一种自动翻转烤鱼装置及其工作方法
KR20220135268A (ko) * 2021-03-29 2022-10-07 김승필 고기 구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168Y1 (ko) 2000-11-25 2001-04-16 민병직 숯불 이동형 육류 구이기
KR200344212Y1 (ko) 2003-11-29 2004-03-10 정기준 회전식 구이기의 꼬치 회전 장치
KR100949476B1 (ko) 2009-11-06 2010-03-29 박민혜 숯불구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8689A (zh) * 2015-08-27 2016-11-16 贵阳花溪新光节能机械经营部 一种自动翻转烤鱼装置及其工作方法
KR20220135268A (ko) * 2021-03-29 2022-10-07 김승필 고기 구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528B1 (ko) 201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5376B2 (ja) 既定のロック位置を有するハンドルの付いた炙り焼き装置
CN102378591B (zh) 移动烤肉炉
JPH08510406A (ja) バーベキュー用器具
WO2010081322A1 (zh) 一种多功能烤锅
KR102030985B1 (ko) 회전식 구이기
KR20140146882A (ko)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
KR101165528B1 (ko) 회전식 구이장치
US20090308262A1 (en) Marshmallow Roaster
KR200489004Y1 (ko) 회전식 구이기
KR100949476B1 (ko) 숯불구이기
KR102310942B1 (ko) 회전식 조리기
CN110584452A (zh) 一种自动炒锅
KR20100090673A (ko) 야외 구이기용 꽂이 회전장치
CN204394296U (zh) 一种电烤炉
KR102463742B1 (ko) 숯불구이용 화로대
KR20130034279A (ko) 구이판 높이조절대
KR101092525B1 (ko) 화력조절용 구이판
KR100755214B1 (ko) 구이테이블
KR200296333Y1 (ko) 화덕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이기
KR20200127852A (ko) 회전식 오븐용 꼬치고정장치
KR101648950B1 (ko) 캠핑용 회전식 구이장치
KR200399723Y1 (ko)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KR20210023075A (ko)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CN217243861U (zh) 一种转盘结构及具有该转盘结构的烧烤炉
CN220824176U (zh) 一种煎烤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