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279A - 구이판 높이조절대 - Google Patents

구이판 높이조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279A
KR20130034279A KR1020110098205A KR20110098205A KR20130034279A KR 20130034279 A KR20130034279 A KR 20130034279A KR 1020110098205 A KR1020110098205 A KR 1020110098205A KR 20110098205 A KR20110098205 A KR 20110098205A KR 20130034279 A KR20130034279 A KR 20130034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plate
adjuster
support
angl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2452B1 (ko
Inventor
윤수호
Original Assignee
윤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수호 filed Critical 윤수호
Priority to KR1020110098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452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판 높이조절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로프레임(11)(11')과 세로프레임(12)(12')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테두리 형태의 몸체(1)와, 양측단을 하향, 절곡하여 몸체(1)의 가로프레임(11)(11') 양측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끼움, 결합시켜 유동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받침대(2)(2')와, 상기 각도조절받침대(2)(2')의 상부 평면상으로 양측단이 관통, 끼움되는 한쌍의 구이판받침대(3)(3')와, 상기 일측 가로프레임(11) 외측단부에 설치되면서 만곡진 외주면 상으로 다수개의 걸림홈(41)을 가지는 각도조절판(4)과, 상기 일측 각도조절받침대(2')의 측면에 구성된 고정너트(21)로 탈부착되는 고정대(51)와 상기 고정대(51)와 연결되면서 각도조절판(4)의 걸림홈(41)에 걸림,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걸림대(52)와, 상기 걸림대(52)에서 상향 절곡, 형성되는 손잡이(53)로 이루진 각도조절대(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숯 등이 저장된 화덕으로부터 구이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육류 내지는 각종 음식물이 보다 안전하면서도 양질로 조리될 수 있도록 하고, 또 다양한 크기의 구이판은 물론 각종 후라이팬이나 냄비와 같은 다양한 조리기구에 사용가능토록 하여 주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구이판 높이조절대{Height controller of roast pan}
본 발명은 구이판 높이조절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숯 등이 저장된 화덕으로부터 구이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육류 내지는 각종 음식물이 보다 안전하면서도 양질로 조리될 수 있도록 하고, 또 다양한 크기의 구이판은 물론 각종 후라이팬이나 냄비와 같은 다양한 조리기구에 사용가능토록 하여 주는 구이판 높이조절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음식점 내지는 가정) 또는 실외(야외)에서 숯불을 이용한 음식물(육류, 꼬치 등 각종 음식물) 섭취시 주로 구이판을 이용한 직화구이를 많이 하는데, 이러한 직화구이는 숯이 저장된 화덕 위로 구이판을 위치시켜 육류 등을 조리하는 것으로, 통상 숯의 화력에 의해 육류가 쉽게 타거나 그을리는 문제가 많았다.
따라서, 직화구이시 사용자는 구이판을 손으로 잡고 화덕으로부터 그 높이를 조절하면서 조리하였던 바, 조리과정이 매우 번거로우면서 힘들었고, 또 육류 등의 알맞은 구이가 이루어질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조금의 부주의에도 쉽게 타거나 그을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구이판은 그을림에 의해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다수 단계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대로 구이판의 높낮이를 화덕으로부터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구이판의 위치, 고정을 보다 견고하게 하여 음식물의 안전한 조리 및 양질의 조리를 도모하고, 또 구이판을 거치하는 한쌍의 구이판받침대를 탈부착 및 간격 조절가능토록 구성하여 다양한 조리 기구의 사용을 가능토록 하였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하는 본 발명의 구이판 높이조절대는 첨부된 도면 도 1에서와 같이 가로프레임(11)(11')과 세로프레임(12)(12')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테두리 형태의 몸체(1);,
양측단을 하향, 절곡하여 몸체(1)의 가로프레임(11)(11') 양측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끼움, 결합시켜 유동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받침대(2)(2');,
상기 각도조절받침대(2)(2')의 상부 평면상으로 양측단이 관통, 끼움되는 한쌍의 구이판받침대(3)(3');,
상기 일측 가로프레임(11) 외측단부에 설치되면서 만곡진 외주면 상으로 다수개의 걸림홈(41)을 가지는 각도조절판(4);,
상기 일측 각도조절받침대(2')의 측면에 구성된 고정너트(21)로 억지, 끼움되는 고정대(51)와, 상기 고정대(51)와 연결되어 상,하 유동하면서 각도조절판(4)의 걸림홈(41)에 걸림,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걸림대(52)와, 상기 걸림대(52)에서 상향 절곡, 형성되는 손잡이(53)로 이루어진 각도조절대(5);,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구이판받침대(3)(3')는 필요에 따라 하부 양측단에 끼움홈(31)을 형성하거나 또는 서로 연결살대(32)로 연결구성되게 한다.
또 상기 각도조절대(5)의 상향, 절곡된 손잡이(53)로 파지를 용이하게 하면서 화상을 예방토록 한 합성수지의 그립(53')을 설치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 각도조절받침대(2')의 일측 하단을 각도조절판(4) 외측으로 관통, 연장하여 그 끝단에 고정너트(21)를 일체 구성한 다음 그 고정너트(21)에 각도조절대(5)를 구성하되, 각도조절대(5)는 상기 고정너트(21) 내로 억지, 끼움되는 고정대(51)와, 상기 고정대(51)와 연결되어 수직상태를 가지는 걸림대(52)와,
상기 걸림대(52) 중심부에서 각도조절판(4)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일체 구성되는 걸대(52')와 상기 걸림대(52) 상단에 마련되어 외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손잡이(5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구이판받침대는 화덕으로부터 구이판의 높낮이를 다양하게 조절가능토록 하여 줌과 동시에 추가적으로 다양한 크기의 구이판 및 각종 조리 기구 즉, 후라이팬이나 냄비와 같은 조리기구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직화구이 할 육류 또는 각종 음식물의 특성에 맞는 화력을 그 거리 조절로 용이하게 얻어 보다 양질의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구이판의 높이 조절을 측면 각도조절받침대로 실시함에 따라 조리 중에도 구이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화덕의 화력 변화에 보다 신속 편리하게 대응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화상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줄 수 있는 효과까지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각도조절대와 각도조절판의 부분 확대예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각도 조절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
도 6,7,8,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하기와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구이판 높이조절대는 몸체(1) 내측으로 숯이 저장된 화덕(101)을 위치시킴과 동시에 각도조절받침대(2)(2')에 마련된 한쌍의 구이판받침대(3)(3') 상부로 구이판(102)을 얹어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는 가로프레임(11)(11')과 세로 프레임(12)(12')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테두리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내측에 화덕(101)을 위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 있음은 물론 가로프레임(11)(11')과 세로프레임(12)(12')이 지면 내지는 특정 바닥면에 안전하게 위치되어 상부 구이판(102)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한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받침대(2)(2')는 그 양측단을 하향, 절곡하여 몸체(1)의 가로프레임(11)(11') 양측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끼움, 결합시켜 구성하고, 상기 구이판받침대(3)(3')는 각도조절받침대(2)(2')의 상부 평면상으로 양측단을 관통, 끼움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양측 각도조절받침대(2)(2')는 한쌍의 구이판받침대(3)(3')에 의해 상호 연결된 구성으로 양측 각도조절받침대(2)(2')가 하향, 절곡된 하단을 중심으로 동시 회전하면서 상부 구이판받침대(3)(3')의 높이를 변화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한쌍의 구이판받침대(3)(3')는 그 양측단으로 관통공(3")을 형성하여 각도조절받침대(2)(2')에 소정의 갭을 두고 관통결합한 것으로 위 설명한 각도조절받침대(2)(2')의 회전작용시 구이판받침대(3)(3')는 평면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높이의 변화만 이루어져 상부에 안치, 사용하는 구이판(102)을 평면상태로 안전하게 받쳐준다.
또한 구이판받침대(3)(3')는 각도조절받침대(2)(2')의 상부 길이 선상에서 서로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혀, 크기가 다른 구이판 또는 각종 후라이팬, 냄비 등과 같은 다양한 조리기구의 사용을 가능케 하여 준다.
또 본 발명에서는 첨부된 도면 도 4에서와 같이 일측 가로프레임(11) 외측단부로 만곡진 외주면 상에 다수개의 걸림홈(41)을 가지는 각도조절판(4)을 설치, 구성함은 물론 각도조절받침대(2')의 측면에 구성된 고정너트(21)로 각도조절대(5)를 설치하여 각도조절받침대가(2)(2')가 상기 각도조절대(5)로 인해 용이하게 각도조절되어 상부 구이판받침대(3)(3') 및 구이판(102)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각도조절대(5)는 일측 각도조절받침대(2')의 측면에 구성된 고정너트(21)로 억지, 끼움되는 고정대(51)와 상기 고정대(51)와 연결되어 상,하 유동하면서 각도조절판(4)의 걸림홈(41)에 걸림,고정되는 일정길이의 걸림대(52)와, 상기 걸림대(52)에서 상향 절곡, 형성되는 손잡이(53)로 구성되어, 도 4,5과 같이 사용자가 화덕(101)으로부터 구이판(102)의 높이 변화를 위한 양측 각도조절받침대(11)(11')의 각도를 조절시 사용한다.
상세하게는 각도조절대(5)의 고정대(51)를 일측 각도조절받침대(2')에 구성된 고정너트(21) 내로 삽입,연결한 후, 측부 손잡이(53)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시켜 각도조절받침대(2)(2')를 그 하측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로 변화시킨다. 그러면 각도조절받침대(2)(2') 상부의 구이판받침대(3)(3')와 구이판(102)이 화덕(101)으로부터 높이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대(5)는 걸림대(52)가 각도조절판(5) 외주연과 부딪치지 않도록 상향회전시켜 회전시킨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도조절받침대(2')의 고정너트(21)로 각도조절대(5)의 고정대(51)를 수평으로 억지, 끼움 구성하고 있어, 위 작용을 수행할 때
손잡이(53)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대(52)가 각도조절판(4)의 걸림홈(41)에서 이탈되도록 한 다음 손잡이(53)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높이를 조절되게 하였다.
참고로 걸림대(52)의 회전은 고정너트(21)에 끼움된 고정대(51)를 축으로 하여 상,하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또 손잡이(53)를 좌측 내지는 우측방향으로 회전하여 각도조절받침대의 각도 조절시 상기 고정대 또한 손잡이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너트에 견고히 걸림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아울러, 높이 조절 후 그 위치의 고정은 앞서 설명한 각도조절대(5)의 역순 작용으로 상부 방향으로 회전한 걸림대를 다시 원위치, 하부 방향으로 회전시켜 각도조절판(4)의 해당 걸림홈(41)내에 안치하여 걸림,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53)는 상향 절곡된 형상으로 그 사용시 각도조절받침대(2')를 지렛대 작용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판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다양한 각도로 형성되어져 있어, 각도조절대를 위 방법으로 작용시킨 후 원하는 각도에 위치한 걸림홈 내에 위치시키면 각도조절대가 견고히 위치고정되어 각도조절받침대, 구이판받침대, 구이판들이 바람이나 작은 충격에도 흔들리거나 각도(높이) 변화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게 도모하여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는 한쌍의 구이판받침대(3)(3') 양측단에 끼움홈(31)을 형성하여 양측 각도조절받침대(2)(2')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토록 한다.
이는 사용 후, 세척 및 수납보관의 용이성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조립구성품으로 부분 훼손에 따른 일부 교체의 편리성을 가지도록 하였다.
또 한쌍의 구이판받침대(3)(3') 서로 연결살대(32)로 연결구성토록 하여 크기가 다른 구이판 및 후라이팬, 냄비 등과 같은 다양한 조리기구의 사용이 가능토록 하면서 그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일측 각도조절받침대(2')의 일측 하단을 각도조절판(4) 외측으로 관통,연장하여 그 끝단에 고정너트(21)를 일체 구성한 다음 그 고정너트(21)에 각도조절대(5)를 구성하되, 각도조절대(5)는 상기 고정너트(21) 내로 억지, 끼움되는 고정대(51)와 상기 고정대(51)와 연결되어 수직상태를 가짐과 동시에 고정대(51)를 축으로 위,아래로 회전하는 걸림대(52)와, 상기 걸림대(52) 중심부에서 각도조절판(4)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일체 구성되어 걸림대(52)의 위,아래 회전시 각도조절판(4)의 걸림홈(41)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걸대(52')와 상기 걸림대(52) 상단에 마련되어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손잡이(53)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각도조절대(5)의 손잡이(53)로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합성수지의 그립(53')을 장착하여 손의 미끄러짐 및 화상을 예방토록 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1 : 화덕 102 : 구이판
1 : 몸체 11,11' : 가로프레임
12,12' : 세로프레임 2,2' : 각도조절받침대
21 : 고정너트 3,3' : 구이판받침대
3" : 관통공 31 : 끼움홈
32 : 연결살대 4 : 각도조절판
41 : 걸림홈 5 : 각도조절대
51 : 고정대 52 : 걸림대
52' : 걸대 53 : 손잡이
53' : 그립

Claims (5)

  1. 가로프레임(11)(11')과 세로프레임(12)(12')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테두리 형태의 몸체(1);,
    양측단을 하향, 절곡하여 몸체(1)의 가로프레임(11)(11') 양측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끼움, 결합시켜 유동되도록 하는 각도조절받침대(2)(2');,
    상기 각도조절받침대(2)(2')의 상부 평면상으로 양측단이 관통, 끼움되는 한쌍의 구이판받침대(3)(3');,
    상기 일측 가로프레임(11) 외측단부에 설치되면서 만곡진 외주면 상으로 다수개의 걸림홈(41)을 가지는 각도조절판(4);,
    상기 일측 각도조절받침대(2')의 측면에 구성된 고정너트(21)로 억지, 끼움되는 고정대(51)와, 상기 고정대(51)와 연결되어 상,하 유동하면서 각도조절판(4)의 걸림홈(41)에 걸림,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걸림대(52)와, 상기 걸림대(52)에서 상향 절곡, 형성되는 손잡이(53)로 이루어진 각도조절대(5);,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높이조절대.
  2. 제 1항에 있어서,
    일측 각도조절받침대(2')의 일측 하단을 각도조절판(4) 외측으로 관통, 연장하여 그 끝단에 고정너트(21)를 일체 구성한 다음 그 고정너트(21)에 각도조절대(5)를 구성하되,
    각도조절대(5)는 상기 고정너트(21) 내로 억지, 끼움되는 고정대(51)와 상기 고정대(51)와 연결되어 수직상태를 가짐과 동시에 고정대(51)를 축으로 위,아래로 회전하는 걸림대(52)와, 상기 걸림대(52) 중심부에서 각도조절판(4)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일체 구성되어 걸림대(52)의 위,아래 회전시 각도조절판(4)의 걸림홈(41)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걸대(52')와 상기 걸림대(52) 상단에 마련되어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손잡이(53)로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높이조절대.
  3. 제 1항 내지는 2항에 있어서,
    각도조절대(5)의 손잡이(53) 외주연으로 합성수지의 그립(53')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높이조절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받침대(3)(3') 하부 양측단에 각각 끼움홈(31)을 형성하여 각도조절받침대(2)(2')로부터 탈,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높이조절대.
  5. 제 1항 내지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받침대(3)(3')를 서로 연결살대(32)로 연결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높이조절대.
KR1020110098205A 2011-09-28 2011-09-28 구이판 높이조절대 KR101292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205A KR101292452B1 (ko) 2011-09-28 2011-09-28 구이판 높이조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205A KR101292452B1 (ko) 2011-09-28 2011-09-28 구이판 높이조절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279A true KR20130034279A (ko) 2013-04-05
KR101292452B1 KR101292452B1 (ko) 2013-07-31

Family

ID=4843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205A KR101292452B1 (ko) 2011-09-28 2011-09-28 구이판 높이조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752B1 (ko) * 2019-08-23 2020-11-24 주식회사 동서에너지 구이용 불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90Y1 (ko) 2018-02-05 2018-06-20 채장병 화력 조절 기능을 갖는 숯불구이기
CN109247848B (zh) * 2018-10-15 2022-10-11 佛山市顺德区生美电器有限公司 一种可调节高度的锅盖放置架
KR102097890B1 (ko) * 2019-02-01 2020-04-06 김선애 누룽지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758Y1 (en) * 1994-07-02 1997-06-13 Kim Jong Kook Roaster
KR200298911Y1 (ko) 2002-09-16 2003-01-03 홍 노 김 휴대용 숯불 구이기
KR200389623Y1 (ko) * 2005-04-23 2005-07-14 이예순 휴대용 조립식 숯불구이기
KR200439262Y1 (ko) * 2006-12-14 2008-03-28 정희성 야외용 구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752B1 (ko) * 2019-08-23 2020-11-24 주식회사 동서에너지 구이용 불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2452B1 (ko)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96609A1 (en) Pizza oven accessory for a barbecue
KR101292452B1 (ko) 구이판 높이조절대
US20170332840A1 (en) Cooktop Insert
US20160338536A1 (en) Barbecue grill comprising a height-adjustable cooking grill
KR200486690Y1 (ko) 화력 조절 기능을 갖는 숯불구이기
US11559167B2 (en) Modular rotisserie accessory for use in oven cavity
KR200468275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불판 조립체
KR200482646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화덕장치
KR20100090673A (ko) 야외 구이기용 꽂이 회전장치
KR100952758B1 (ko) 구이용 불판
KR200472637Y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불판
KR20130090854A (ko) 높이 조절 부가 구성된 조리용 불판
KR102321294B1 (ko) 석쇠 교체가 가능한 탄화방지용 접이식 불판
KR20180043949A (ko) 테이블 화로용 석쇠 높낮이 조절구
KR10158356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리를 구비한 구이기
KR20160100482A (ko) Led조명 서랍형 구이기
KR200447619Y1 (ko) 조리기구
KR20160115432A (ko)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
KR20090098054A (ko) 회전형 육류구이판
TWM565537U (zh) 烤箱裝置及烤盤組合
KR101580445B1 (ko) 라운드 슬로우 쿠킹 바비큐 그릴 장치
CN205322155U (zh) 一种取暖烧烤两用碳火盆
KR20100026673A (ko) 구이 용구
KR102322304B1 (ko) 구이용 다용도 불판
KR101870582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