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673A - 구이 용구 - Google Patents

구이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673A
KR20100026673A KR1020080085767A KR20080085767A KR20100026673A KR 20100026673 A KR20100026673 A KR 20100026673A KR 1020080085767 A KR1020080085767 A KR 1020080085767A KR 20080085767 A KR20080085767 A KR 20080085767A KR 20100026673 A KR20100026673 A KR 20100026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levating
lifting
lifting unit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화
Original Assignee
(주)페어프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페어프랜즈 filed Critical (주)페어프랜즈
Priority to KR1020080085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6673A/ko
Publication of KR20100026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Abstract

가스레인지나 숯불 등에 올려두고 가열하여 그 위에서 고기를 굽는 데 사용되는 구이 용구가 개시된다. 상기 구이 용구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상에 설치된 승강부 및 상기 본체부, 상기 승강부 또는 상기 본체부와 승강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의 높이를 조정하여 상기 승강부가 상기 본체부에 겹쳐지도록 하거나 상기 승강부를 상기 본체부에서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승강부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구이판, 불판, 구이, 구이기구, 구이용구

Description

구이 용구{Roasting implement}
본 발명은 고기를 굽는 데 사용되는 구이 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이나 야외 또는 업소에서 가스레인지나 숯불 등에 올려두고 가열하여 고기를 굽는 데 사용되는 구이 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구이판 등 구이 용구는 가스불 등에 의해 가열되면, 그 위에 고기를 얹혀서 굽게 되는 데, 구이판이 가스불에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고온으로 가열되어 처음에는 쉽게 익지만 고기를 먹는 도중에 고기가 쉽게 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구이 용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의 세기를 수시로 조절하거나 구워진 고기를 불이 닿지 않는 가장자리로 옮겨 두었다가 먹는다.
하지만 불의 세기를 수시로 조절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고, 불의 세기를 조절하더라도 종종 고기를 태우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구이판은 대부분은 주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스테인리 스 스틸 등 주조성이 떨어지는 재료로는 만들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고, 이에 따라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고급 재질의 재료로 구이판을 만들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양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구이판을 만들 수 있다고 하더라도 구이판 전체 중 대부분은 일체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재료비가 많이 들어간다는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기를 구워 먹을 때 고기가 쉽게 타지 않는 구이 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워진 고기가 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불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구워진 고기를 구이판의 가장자리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는 구이 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기를 굽는 판에 전달되는 열의 전도율을 조절할 수 있는 구이 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에 의해 가열되는 부분과는 별도로 고기가 굽히는 부분의 구성요소를 양질의 재료로 만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낮은 단가로 고급의 구이 용구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는 고기를 굽는 데 사용하는 구이 용구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상에 설치된 승강부 및 상기 본체부, 상기 승강부 또는 상기 본체부와 승강부에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의 높이를 조정하여 상기 승강부의 바닥이 상기 본체부의 바닥에 겹쳐지도록 하거나 상기 승강부의 바닥을 상기 본체부의 바닥에서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승강부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제1나사부와 상기 승강부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나사부에 결합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제2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숫나사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암나사부,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숫나사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본체부와 승강부의 대응면에 소정 반경의 원주를 따라 상하로 오목 및 볼록하게 각각 형성된 요철부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바닥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의 저면에는 상기 돌기들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본체부 또는 승강부의 바닥에 하방으로 관통되는 구멍이 뚫려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바닥 상면에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다수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 고, 상기 승강부의 저면에는 상기 홈들에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돌기들이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부와 승강부는 중앙부가 아래로 볼록한 용기형상을 하고 있는 것일 수 있고, 그 반대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승강부의 중앙부에 기름의 배출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는 상기 구멍에 연결되고 중앙부에서 가장자리쪽으로 연장되어 기름의 배출을 안내하는 기름배출통로와 상기 본체부를 세워둘 수 있도록 하는 발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 승강부와 상기 본체부는 서로 다른 재질의 재료로 만든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는 바닥이 이중으로 되어 있어서 고기가 쉽게 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는 필요에 따라 승강부를 본체부 바닥에 밀착시켜 고기를 구울 수 있고, 고기가 구워진 후에는 본체부에서 승강부를 승강시켜서 불의 세기를 조절하지 않고도 고기가 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는 굽고자 하는 고기의 두께나 종류에 따라 승강부가 본체부 바닥에 밀착되는 정도를 조정하여 열전도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는 구이용이 아닌 다른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구이 용구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의 결합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분리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100)는 본체부(110)를 구비한다. 이 본체부(110)는 중앙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접시모양을 하고 있고,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부(110)의 바닥면에 다수의 돌기(114)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14)들은 뒤에서 설명되는 승강부(130)로 열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체부(110)의 저면에는 가스레인지 등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리(116)들이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기름 배출을 위한 기름배출부(118)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100)는 승강부(130)를 구비한다. 이 승강부(130)는 본체부(11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대략 본체부(110)와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다. 이러한 승강부(130)는 굽기 위한 고기를 올려둘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 승강부(130)에는 돌기(114)들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132)들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 홈(132)들은 본체부(110)의 돌기(114)들을 통해 쉽게 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100)가 이중 바닥으로 구성됨에 따른 열전도율의 저하를 막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하를 관통하는 구멍을 통해 분할되어 있다. 경 우에 따라 승강부(130)의 홈(132)을 분할하는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130)의 가장자리에는 조정부(1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부(134)는 필요에 따라 승강부(130)를 쉽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때로는 손잡이 역할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100)는 승강부 승강수단(150)을 구비한다. 이 승강부 승강수단(150)은 본체부(110)의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돌출부(119)에 암나사부(151)와 승강부(130)의 저면에 설치된 숫나사부(156)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이 실시예의 본체부(110)에 설치되는 암나사부(151)는 제1나사부로 칭하고, 승강부(130)에 설치되는 숫나사부(156)는 제2나사부로 칭하기도 한다. 즉, 본 발명에서 본체부(110)에 설치되는 것을 제1나사부, 승강부(130)에 설치되는 것을 제2나사부로 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숫나사부(156)는 용접 등에 의해 승강부(130)의 저면에 고정된다.
즉, 숫나사부(156)를 암나사부(15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승강부(130)를 회전시키면 승강부(130)가 본체부(110)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거나, 승강부(130)를 본체부(110)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이 승강부 승강수단(150)은 승강부(130)를 회전시켜서 승강부(130)를 본체부(110)에 밀착되도록 하여 승강부(130)가 본체부(110)로부터 쉽게 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본체부(110)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승강부(130)를 지지하여 승강부(130)가 본체부(110)로부터 많은 열을 전달받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승강부 승강수단(150)은 승강부(130)와 본체 부(110) 바닥의 밀착정도를 조정하여 본체부(110)의 승강부(130)에 대한 열전도율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승강부 승강수단(150)은 도 1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부(130)의 중앙부에 일부 구성요소를 설치하고, 대응되는 위치의 본체부(110)에 나머지 일부 구성요소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지만, 승강부(130) 또는 본체부(110) 어느 일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뒤의 실시예들을 더 참조하면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앞 실시예와는 달리 승강부(130) 중앙부에 암나사부(151)를 형성하고, 본체부(110) 중앙부에 상방으로 돌출된 숫나사부(156)를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101)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 실시예의 본체부(110)에 설치되는 숫나사부(156)는 제1나사부로 칭하고, 승강부(130)에 설치되는 암나사부(151)는 제2나사부로 칭하기로 한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4를 통해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6과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승강수단(150)은 승강부(130)의 가장자리에 암나사부(151)를 형성하고, 여기에 숫나사부(156)를 결합하여 숫나사부(156)의 회전에 따라 승강부(130)가 본체부(110)에서 이격되거나 승강부(130)의 자중에 의해 본체부(110)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103)를 구성 할 수 있다.
도 6과는 반대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0)에 암나사부(151)를 형성하고, 여기에 숫나사부(156)를 결합하되, 숫나사부(156)의 끝단을 승강부(130) 가장자리에 회전만 허용하도록 결합하여 승강부 승강수단(150) 구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104)를 만들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 경우에 따라, 본체부(110) 중앙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19)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반경의 원주를 따라 요철부(153)를 형성하고, 대응되는 위치의 승강부(130)의 중앙부 저면에 소정 반경의 원주를 따라 요철부(158)를 형성하여 승강부(130)의 회전에 따라 승강부(130)가 본체부(110)에 접촉되도록 하거나 승강부(130)가 본체부(110)에서 상승되어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153, 158)는 승강부(130)와 본체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하여 승강부 승강수단(150a)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 8의 구이 용구(104) 역시 필요에 따라 승강부(130)를 회전시켜서 승강부(130)의 바닥이 본체부(110)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거나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나머지 사항은 도 1 내지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본체부(110a)와 승강부(130a)가 위로 볼록한 구이 용구(105)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a)의 중앙부에 암나사부(151)를 형성하고, 승강부(130a)의 중앙부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숫나사부(156)를 설치하여 승강수단(150)을 구성함으로써 승강부(130a)의 회전에 의해 승강부(130a)가 본체부(110a) 에 밀착되거나 본체부(110a)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승강부(130a)에는 사람이 손으로 쉽게 승강부(130a)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34a)를 설치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본체부와 승강부가 아래로 볼록한 실시예에 적용되었던 도 1 내지 8의 승강수단(150)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와 승강부가 위로 볼록한 구이 용구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에서 본체부와 승강부가 아래로 볼록하거나 위로 볼록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평판 형태의 것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새로운 형태의 구이판 등의 구이 용구 제조에 이용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 구이 용구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의 결합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4는 분리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과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 용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105 : 구이 용구 110, 110 : 본체부
130, 130a : 승강부 150 : 승강부 승강수단

Claims (10)

  1. 고기를 굽는 데 사용하는 구이 용구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상에 설치된 승강부; 및
    상기 본체부, 상기 승강부 또는 상기 본체부와 승강부에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의 높이를 조정하여 상기 승강부의 바닥이 상기 본체부의 바닥에 겹쳐지도록 하거나 상기 승강부의 바닥을 상기 본체부의 바닥에서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승강부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제1나사부와 상기 승강부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나사부에 결합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제2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숫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용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암나사부,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숫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용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본체부와 승강부의 대응면에 소정 반경의 원주를 따라 상하로 오목 및 볼록하게 각각 형성된 요철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용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바닥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의 저면에는 상기 돌기들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용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바닥 상면에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다수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의 저면에는 상기 홈들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홈들이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용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승강부는 중앙부가 아래로 볼록한 용기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용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승강부의 중앙부에 기름의 배출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는 상기 구멍에 연결되고 중앙부에서 가장자리쪽으로 연장되어 기름의 배출을 안내하는 기름배출통로와 상기 본체부를 세워둘 수 있도록 하는 발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용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와 상기 본체부는 서로 다른 재질의 재료로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 용구.
KR1020080085767A 2008-09-01 2008-09-01 구이 용구 KR20100026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767A KR20100026673A (ko) 2008-09-01 2008-09-01 구이 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767A KR20100026673A (ko) 2008-09-01 2008-09-01 구이 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673A true KR20100026673A (ko) 2010-03-10

Family

ID=4217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767A KR20100026673A (ko) 2008-09-01 2008-09-01 구이 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66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758B1 (ko) * 2010-10-13 2011-03-21 손정현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KR102037754B1 (ko) * 2019-05-30 2019-10-29 박경선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758B1 (ko) * 2010-10-13 2011-03-21 손정현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WO2012050311A2 (ko) * 2010-10-13 2012-04-19 Shon Jeong Hyeon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WO2012050311A3 (ko) * 2010-10-13 2012-06-07 Shon Jeong Hyeon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KR102037754B1 (ko) * 2019-05-30 2019-10-29 박경선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9500B2 (en) Griddle plate for a gas grill
KR101401017B1 (ko) 구이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가열 조리기
KR101426439B1 (ko) 가열 조리기
KR20120121660A (ko)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KR20070029235A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KR20100026673A (ko) 구이 용구
KR101292452B1 (ko) 구이판 높이조절대
KR200468275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불판 조립체
KR100952758B1 (ko) 구이용 불판
KR200472637Y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불판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KR101598457B1 (ko)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
KR100714442B1 (ko) 테이블형 구이장치용 열 분산판
KR200492414Y1 (ko) 전기 구이용 화로
KR102037754B1 (ko)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
KR200359216Y1 (ko) 조리구이판
KR20050001757A (ko) 육류 구이기
KR20180024131A (ko) 구이기
KR20110003628U (ko) 구이판 및 이를 이용한 간편 조리기
KR200330198Y1 (ko) 육류 구이기
CN208822467U (zh) 烤盘及煎烤机
KR20150055827A (ko) 불판 및 이를 구비한 구이기
KR20160115432A (ko)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
JP2005125062A (ja) 間接加熱式調理器具
KR200408478Y1 (ko) 휴대용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