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131A - 구이기 - Google Patents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131A
KR20180024131A KR1020160109753A KR20160109753A KR20180024131A KR 20180024131 A KR20180024131 A KR 20180024131A KR 1020160109753 A KR1020160109753 A KR 1020160109753A KR 20160109753 A KR20160109753 A KR 20160109753A KR 20180024131 A KR20180024131 A KR 20180024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heating means
plate
gril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건 태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넥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넥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넥실
Priority to KR1020160109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4131A/ko
Publication of KR2018002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6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horizontal turn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가열부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음식물의 탄화를 방지할 수 있고,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사용과 세척이 용이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구이기에 있어서,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구이판; 상기 구이판에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수단; 상기 구이판에 회전홈 또는 회전축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가 접속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에 의하면, 음식물이 올려지는 구이판이 회전되므로 필요에 따라 가열부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음식물의 탄화를 방지할 수 있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조리하여 편안하게 취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에 의하면,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부품 수량의 감소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세척이 편리하여 사용상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구이기{BAKING MACHINE}
본 발명은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가열부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음식물의 탄화를 방지할 수 있고,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사용과 세척이 용이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판은 육류 등을 취식하기 위한 조리도구로서 통상 휴대용 가스렌지나, 숯불과 같은 가열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육류 등을 구워내게 된다.
통상의 구이판은 중앙 부분으로 기름이 수집되도록 중앙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나, 중앙 부분이 볼록한 구조로 형성된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구이판의 저면 중앙 부분에 화력이 집중되어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육류의 탄화가 발생되어 취식이 어렵고 건강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이판을 다겹 구조로 구성하거나, 분리 가능한 보조 구이판을 구비한 구조 등 다양한 방안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92526호에는 화력조절이 가능한 이중 구이판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화력조절이 가능한 이중 구이판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를 굽는 구이판(10)과, 상기 구이판(10)의 저면(하측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공간부(30)를 형성하는 이중판(20)과, 상기 구이판(10) 저면과 이중판(2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30)에 설치되는 화력조절판(40)과, 상기 화력조절판(40)을 제어하는 조절수단(50)으로 구성된다.
도1에 도시된 화력조절이 가능한 이중 구이판은 화력조절판(40) 및 조절수단(50)을 이용하여 구이판(10)에 인가되는 열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화력조절판(40) 및 조절수단(50) 외에도 구이판(10)의 저면에 복수의 이격돌기(15), 중심축(16) 등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화력조절판(40) 및 조절수단(50)은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열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열화 및 변형이 발생 되므로 내구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이중 구이판은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사용 후 세척이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렌지는 제조사나 종류에 따라 구이판이 올려지는 거치용 삼발이의 형상, 수량 및 위치가 상이하여 받침대(14)와 서로 맞지 않으므로 호환성이 낮고, 구이판의 전도에 따른 고온의 육류나 기름으로 인해 심각한 화상을 입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092526호 "화력조절이 가능한 이중 구이판" 한국등록특허 제10-1614988호 "구이 장치"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 가열부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음식물의 탄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사용과 세척이 용이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구이기에 있어서,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구이판; 상기 구이판에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수단; 상기 구이판에 회전홈 또는 회전축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가 접속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구이기에 있어서,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구이판; 상기 구이판에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수단; 상기 구이판에 회전홈 또는 회전축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가 접속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구이판에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되는 판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구이기에 있어서,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구이판; 상기 구이판에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수단; 상기 구이판에 회전홈 또는 회전축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구이판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부가 접속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가열수단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가열수단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몸체로부터 상방 돌출되는 돌출부에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삽입홀을 갖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가열수단 이동부는 상기 돌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열수단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수단지지부재는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는 상기 구이판의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승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몸체로부터 상방 돌출되는 돌출부에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삽입홀을 갖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축삽입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 되는 수나사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는 음식물 또는 조리과정에서 생성된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서로 연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출홀과 연결되는 연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은 하단에 전도방지돌부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몸체로부터 상방 돌출되는 돌출부에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삽입홀을 갖는 구조로 구성되되, 상기 축삽입홀은 상기 전도방지돌부가 안착, 걸림되는 단턱을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부싱 또는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구이기에 있어서,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구이판; 상기 구이판에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수단; 상기 구이판에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가 접속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봉상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봉상부재에 삽입되는 접속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봉상부재는 스크류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홀은 상기 스크류봉에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된 나사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는 상기 봉상부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가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봉상부재는 각도 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가요성봉부재로 구성되거나, 신축이음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봉상부재에 내장되는 내장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는 상기 구이판에 안착되고 중공부가 형성된 보조구이판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에 의하면, 음식물이 올려지는 구이판이 회전되므로 필요에 따라 가열부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음식물의 탄화를 방지할 수 있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조리하여 편안하게 취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에 의하면,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부품 수량의 감소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세척이 편리하여 사용상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구이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주요 구성요소를 간략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
도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
도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
도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
도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 내지 도9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주요 구성요소를 간략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는 필요에 따라 가열부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음식물의 탄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베이스부재(1), 구이판(2), 가열수단(3), 안착부(4) 및 지지부(5)가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부재(1)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판상부재로 형성되되 구이판의 전도가 방지되도록 구이판에 비해 면적이 넓거나 무거운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구이판(2)은 베이스부재(1)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점에 주요한 특징이다.
그리고, 구이판(2)은 대략 원판 형상을 갖는 몸체(21)의 둘레에 이탈방지턱(22)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고, 육류에서 발생된 기름 등이 흘러내도록 외측이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몸체(21)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손잡이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가열수단(3)은 구이판(2)에 열원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가스의 연소열을 이용하는 가스렌지, 숯불을 이용하는 화로 등과 같이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의 공급시 가열되는 히터선(31)이 내장된 전기히터로 구성되어 있다.
안착부(4)는 구이판(2)의 저면에 하방 돌출되는 회전축(41)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축(41)은 대략 환봉 형상을 갖되 구이판의 회전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축(41)은 사용중 구이판(2)이 한쪽으로 기울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단에 전도방지돌부(411)가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전도방지돌부(411)는 구이판(2)의 조립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의 부싱이나 너트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5)는 안착부(4)가 접속되도록 베이스부재(1)에 형성되는 것으로, 베이스부재(1)의 몸체로부터 상방 돌출되는 돌출부(51) 하부에 회전축(41)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요입된 축삽입홀(52)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축삽입홀(52)은 후술되는 전도방지돌부(411)가 안착, 걸림되는 단턱(521)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5)는 안착부(4)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스러스트 베어링과 같이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지만, 고온 환경에서 변형되지 않도록 캡 형상의 부싱(53)이 결합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는 베이스부재(1)의 일측에 가열수단(3)을 정위치시키고, 구이판(2)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41)을 축삽입홀(52)에 삽입하고 전도방지돌부(411)를 결합한 후 부싱(53)을 결합하게 되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열수단(3)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시키고 구이판(2)의 상면에 육류와 같은 조리용 음식을 올려놓게 되면 가열수단(3)과 대응하는 부위에 열기가 집중되면서 음식물이 조리된다.
육류가 취식 가능한 상태로 구워지게 되면 취식을 하게 되는데, 이때 구이판(2)에 조리도구 등을 이용하여 손잡이부(23)에 회전력을 인가하게 되면 회전축(41)이 축삽입홀(52)상에서 회전되므로 기존 가열부위가 가열수단(3)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와 같이 구이판(2)이 회전되면 육류의 과도한 탄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담소를 나누며 여유있게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구이기는 베이스부재(1), 구이판(2), 가열수단(3), 안착부(4) 및 지지부(5)가 구비되되, 상기 안착부(4)는 음식물 또는 조리과정에서 생성된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서로 연통되는 배출홀(43)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5)에는 배출홀(43)과 연결되는 연통부(5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통부(54)에는 기름과 같은 배출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배출용기(61)가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구이기는 구이판(2)에 배출홀(4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리과정에서 배출물을 배출용기(61)에 용이하게 수거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구이기는 베이스부재(1), 구이판(2), 가열수단(3), 안착부(4) 및 지지부(5)가 구비되되, 중공부가 형성된 복수의 보조구이판(62)이 구이판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다.
보조구이판(62)은 구이판(2)의 상면으로 전달되는 열기가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구조라면 형상에 특별한 제한 없이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재를 단면 구조가 '∩' 형상이고,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구이기는 중공부를 갖는 보조구이판(62)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육류 등을 구이판(2)에 올려 취식 가능한 상태로 구워낸 후 올려놓게 되면 열기의 전달이 지연되거나 직접적으로 열기가 전달되지 않으므로 음식물의 탄화를 방지하면서 장시간 동안 편안하게 취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 내지 제6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제2 내지 제6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그 변형예 등에 나타난 구성요소 또는 제2 내지 제6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중에서 서로 간에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1), 베이스부재(1)에 설치되는 구이판(2), 구이판(2)에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수단(3), 구이판(2)에 형성되는 안착부(4), 및 안착부(4)가 접속되도록 베이스부재(1)에 형성되는 지지부(5)를 구비하되, 안착부(4)는 구이판(2)의 저면 중앙에 상방으로 오목하게 요입되는 회전홈(44)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5)는 회전홈(44)에 삽입되는 돌출부(51)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1)는 구이판(2)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부에 스러스트 베어링(미도시)이나 부싱(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구이판(2)은 중앙 부분이 볼록하고 외측으로 점차 하향 경사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가장자리 부분에는 기름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수거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는 구이판(2)을 베이스부재(1)의 지지부(5)에 올려놓는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과정이 완료되므로 사용과 취급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세부적인 사용방법과 작용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1), 베이스부재(1)에 설치되는 구이판(2), 구이판(2)에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수단(3), 구이판(2)에 형성되는 안착부(4), 및 안착부(4)가 접속되도록 베이스부재(1)에 형성되는 지지부(5)를 구비하되, 구이판(2)을 회전시킬 수 있는 판회전구동부(7)가 더 구성되어 있다.
판회전구동부(7)는 지지부(5)에 설치되는 워엄(worm,71)과, 이 워엄(71)과 치합되고 안착부(4)로 구성되는 회전축(41)에 결합되는 웜휠(worm wheel,7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워엄(71)에는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는 핸들(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핸들 대신에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를 설치하고 모터축을 워엄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자동적으로 워엄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판회전구동부(7)는 도5에 도시된 워엄(71) 및 웜휠(72) 방식외에도 구이판(2)을 회전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면 베벨기어를 결합하는 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1), 베이스부재(1)에 설치되는 구이판(2), 구이판(2)에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수단(3), 구이판(2)에 형성되는 안착부(4), 및 안착부(4)가 접속되도록 베이스부재(1)에 형성되는 지지부(5)를 구비하되, 가열수단(3)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가열수단 이동부(8)가 더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5)는 베이스부재(1)의 몸체로부터 상방 돌출되는 돌출부(51)에 회전축(41)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요입된 축삽입홀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돌출부(51)는 외주면에 수나사부(5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열수단이동부(8)는 가열수단(3)을 탑재할 수 있고 가열수단의 위치를 이동, 변경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열수단지지부재(81)로 구성되어 있다.
가열수단지지부재(81)는 가열수단이 배치되는 지지판(811)과, 이 지지판(811)의 중심에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부(812)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가열수단이동부(8)가 구비되면 가열수단(3)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서 구이판(2)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가열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서 음식물 탄화방지는 물론이고 조리되는 음식물이 국물요리일 경우 엎지를 염려가 없고 음식물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어서 정교하게 조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가열수단이동부(8)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가열수단(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구이판(2)과의 근접거리 조절을 통해 인가되는 열기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 또한 발휘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는 구이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승강수단(6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승강수단(63)은 전원의 공급시에 전후진 되는 승강로드를 구비한 전기식 액츄에이터(미도시)를 적용하여 구이판의 높낮이 조절동작이 수행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축삽입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631)와, 안착부(4)로 구성되는 회전축(4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암나사부(631)에 나사결합 되는 수나사부(632)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승강수단(63)이 구비되어 있으면 구이판(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회전축(41)의 수나사부(632)가 축삽입홀의 암나사부(631)를 타고 스크류 이동되어 상승 또는 하강되므로 가열수단(3)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서 구이판(2)에 인가되는 열기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1), 베이스부재(1)에 설치되는 구이판(2), 구이판(2)에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수단(3), 구이판(2)에 형성되는 안착부(4), 및 안착부(4)가 접속되도록 베이스부재(1)에 형성되는 지지부(5)를 구비하되, 지지부(5)는 봉상부재(56)로 구성되고, 안착부(4)는 봉상부재(56)에 삽입되는 접속홀(4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봉상부재(56)는 환봉 형상의 몸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봉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홀(46)은 스크류봉에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된 나사홀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봉상부재(56)는 상부에 보조가열수단(64)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가열수단(64)은 봉상부재(56)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원판 형상의 보조가열수단지지부(641)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보조가열부(64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가열부(642)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외선램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발열선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봉상부재(56)는 보조가열부(642)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38)이 인입될 수 있도록 내부 중심에 전선인입홀(561)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는 구이판(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승 또는 하강되므로 가열수단(3)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서 구이판(2)에 인가되는 열기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가열수단(64)에 의해 음식물의 상면으로 보조적인 열기를 인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음식의 조리가 완료된 상태에서 주된 열원으로 구성된 가열수단(3)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보조가열수단(64)만을 작동시켜 음식이 식지 않도록 항온을 유지시키면서 취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1), 베이스부재(1)에 설치되는 구이판(2), 구이판(2)에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수단(3), 구이판(2)에 형성되는 안착부(4), 및 안착부(4)가 접속되도록 베이스부재(1)에 형성되는 지지부(5)를 구비하고, 지지부(5)는 봉상부재(57)로 구성되고, 안착부(4)는 봉상부재(57)에 삽입되는 접속홀을 갖는 너트부(47)로 구성되되, 가열수단(3)은 봉상부재(57)에 내장되는 내장히터(35)로 구성되어 있다.
내장히터(35)는 막대형 히터봉이 설치될 수도 있지만,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상부재(57)가 구부러지더라도 작동의 안정성이 확보되어 열기를 지속적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코일 형태로 권취된 코일형 히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봉상부재(57)는 환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각도 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코일이 권취되어 관 형태로 형성된 가요성봉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이판(2)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도8에는 2개의 구이판이 상하 이격,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는 지지부(5)에 내장되는 내장히터(35)가 작동되면 봉상부재(57)가 가열되고 구이판(2)으로 전달되면서 육류의 저면을 직접 가열하게 되고 봉상부재(57)로부터 직접 발산되는 열기는 육류의 외표면을 은근하게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봉상부재(57)는 구부러질 수 있는 구조이므로 구이판의 각도 또는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음식물을 입체적으로 정교하게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구이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구이기는 지지부(5)로서 구성되는 봉상부재(57)에 내장히터(35)가 구비되되, 봉상부재(57)는 신축이음부(58)에 의해 연결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어 있다.
신축이음부(58)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봉상부재(57)는 신축이음부(28)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가요성을 갖지 않은 스크류봉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봉상부재(57)가 스크류봉으로 형성되면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구이판(2)이 나사산을 타고 이동될 수 있어서 음식물의 조리시 가열방향이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다양한 가열방식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베이스부재
2:구이판
3:가열수단
4:안착부
5:지지부
61:배출용기
62:보조구이판
63:승강수단
7:판회전구동부
8:가열수단이동부

Claims (16)

  1. 음식물을 조리하는 구이기에 있어서,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구이판;
    상기 구이판에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수단;
    상기 구이판에 회전홈 또는 회전축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가 접속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2. 음식물을 조리하는 구이기에 있어서,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구이판;
    상기 구이판에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수단;
    상기 구이판에 회전홈 또는 회전축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가 접속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구이판에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되는 판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3. 음식물을 조리하는 구이기에 있어서,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구이판;
    상기 구이판에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수단;
    상기 구이판에 회전홈 또는 회전축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구이판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부가 접속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가열수단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가열수단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몸체로부터 상방 돌출되는 돌출부에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삽입홀을 갖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가열수단이동부는 상기 돌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열수단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수단지지부재는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은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승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몸체로부터 상방 돌출되는 돌출부에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삽입홀을 갖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축삽입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 되는 수나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음식물 또는 조리과정에서 생성된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서로 연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출홀과 연결되는 연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하단에 전도방지돌부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몸체로부터 상방 돌출되는 돌출부에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삽입홀을 갖는 구조로 구성되되, 상기 축삽입홀은 상기 전도방지돌부가 안착, 걸림되는 단턱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부싱 또는 베어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11. 음식물을 조리하는 구이기에 있어서,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구이판;
    상기 구이판에 열원을 제공하는 가열수단;
    상기 구이판에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가 접속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봉상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봉상부재에 삽입되는 접속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봉상부재는 스크류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홀은 상기 스크류봉에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된 나사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봉상부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봉상부재는 각도 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가요성봉부재로 구성되거나, 신축이음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봉상부재에 내장되는 내장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16. 제1항 내지 제3항,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에 안착되고 중공부가 형성된 보조구이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KR1020160109753A 2016-08-29 2016-08-29 구이기 KR20180024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53A KR20180024131A (ko) 2016-08-29 2016-08-29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53A KR20180024131A (ko) 2016-08-29 2016-08-29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131A true KR20180024131A (ko) 2018-03-08

Family

ID=61725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753A KR20180024131A (ko) 2016-08-29 2016-08-29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41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555B1 (ko) * 2020-01-22 2021-05-07 류욱현 상부 회전식 직화구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555B1 (ko) * 2020-01-22 2021-05-07 류욱현 상부 회전식 직화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8881B1 (en) Infrared heating cooker
WO2018147640A1 (ko) 열원 다중조사형 적외선 조리기
JP5878989B2 (ja) 熱源体が昇下降される調理容器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KR20090017682A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EP2392242A1 (en) Two-way heating cooker
US20140230666A1 (en) Adjustable pitch cooking grate
KR100928392B1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20120005488U (ko) 로스터의 구이판 조립체
KR20090010615A (ko) 기능성 조리가열장치
US8485091B2 (en) Cooking grill
KR200482646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화덕장치
KR20180024131A (ko) 구이기
KR102154970B1 (ko)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방식 다용도 가열장치
KR200472637Y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불판
KR101475652B1 (ko) 구이기용 회전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구이기
KR20110017705A (ko) 전기 구이장치
CN207152493U (zh) 红外线烧烤炉
KR101894774B1 (ko) 가열헤드의 위치 가변이 가능한 적외선 조리기
KR101165528B1 (ko) 회전식 구이장치
KR20160145418A (ko) 상 방향 가열 조리기
KR200318176Y1 (ko) 춘장 볶음기
KR20100026673A (ko) 구이 용구
KR20170000166U (ko) 그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이기
CN215831974U (zh) 一种燃气灶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