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758B1 -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 Google Patents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758B1
KR101023758B1 KR1020100099616A KR20100099616A KR101023758B1 KR 101023758 B1 KR101023758 B1 KR 101023758B1 KR 1020100099616 A KR1020100099616 A KR 1020100099616A KR 20100099616 A KR20100099616 A KR 20100099616A KR 101023758 B1 KR101023758 B1 KR 101023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eating plate
center
bolt
ro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현
Original Assignee
손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현 filed Critical 손정현
Priority to KR1020100099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758B1/ko
Priority to PCT/KR2011/007078 priority patent/WO2012050311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직화구이의 효과를 얻으면서도 기름이 불꽃에 떨어지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되며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중앙에는 관통된 불관통홀을 가지는 다수의 가열판이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되, 상부로 갈수록 상기 가열판의 면적과 상기 불관통홀이 작아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The Roaster that have a multi-layered structure}
본 발명은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직화구이의 효과를 얻으면서도 기름이 불꽃에 떨어지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되며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육류를 섭취량이 다른 나라 특히 서양의 여러 나라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절반에도 못미치는 섭취를 하고 있으나 조리법에 관련해서는 서양의 어느 나라 못지않게 아니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육류를 즐기고 있다.
일 예로 우리나라에서 소의 각 부분에 따른 고기의 분류가 100여 가지가 넘는데 반하여 그 다음으로 가장 분류를 많이 하는 곳은 불과 40여 가지에 불과할 정도이다.
이러한 취향의 영향인지 최근에 생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외식의 대부분은 저녁 회식의 대부분은 고기집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각 고기집에서는 가스, 숯불, 장작 등의 다양한 열원과 또 다양한 기능과 모양을 가진 구이기 또는 구이판이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국내에서 이러한 고기를 굽기 위한 구이기의 출원 건수는 2200개가 넘을 정도로 보다 편하고 같은 고기라도 맛있게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과거 구이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기 전에는 각 고기집 주로 삼겹살집에서는 일률적으로 사각 또는 원형의 불판으로 간접가열을 하는 곳이 많았으나 간접가열을 고기에서 흘러나오는 기름에 의하여 고기의 맛이 떨어지고 또한 기름이 튀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많은 업소에서 직화식으로 고기를 구을 수 있는 구이기가 많이 보급되었으며 크게 가열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숯으로 가열하는 방식, 가스로 가열하는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지만 직화방식의 경우 발생하는 기름의 용이한 배출이 필요한데 숯불에 직접 떨어질 경우 발생하는 연기가 고기의 풍미를 해치고 가스의 경우 가스노즐을 막기에 중앙에서 가스노즐을 둘 수 없어 가스의 소비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직화구이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기름의 배출이 용이하고 불꽃으로 기름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구이기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에는 관통된 불관통홀을 가지는 다수의 가열판이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되, 상부로 갈수록 상기 가열판의 면적과 상기 불관통홀이 작아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열판은 상기 불관통홀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지지리브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제1 볼트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불관통홀의 외연부로 상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이격돌기가 형성되고;
최하단의 가열판 저면에 밀착되고 불관통홀 보다 작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제2 볼트 관통홀을 가지는 하부 마감판넬과, 최상단의 가열판 상면에 밀착되고 불관통홀 보다 크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제3 볼트 관통홀을 가지는 상부 마감판넬이 하부로 부터 삽입되는 고정볼트과 상부에서 결합하는 너트 조립체와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가열판의 사이에는 인접한 상기 불관통홀 보다 작고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4 볼트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부로 갈수록 그 면적이 작아지는 다수의 열조절판이 추가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열판의 불관통홀의 중앙에는 상기 불관통홀 보다 작고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4 볼트 관통홀을 구비하는 열조절판을 구비하고, 상기 열조절판과 상기 불관통홀의 외연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리브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최하단의 가열판 보다 작고 인접한 상부에 위치한 가열판 보다 큰 면적을 가진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면을 덮는 뚜껑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볼트(4)와 볼트 관통홀 사이에 온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여기에 착탈식 온도계(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기를 경사지게 기울이면서 기름이 효과적으로 배출되고, 가스의 열기가 직접적으로 고기에 전해져 직화의 효과가 있어 맛과 풍미가 최적화된 고기구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판을 용이하게 분리하고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열조절 판넬 삽입에 따른 온도변화를 나타낸 표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중앙에는 관통된 불관통홀(11)을 가지는 다수의 가열판(1)이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되, 상부로 갈수록 상기 가열판(1)의 면적과 상기 불관통홀(11)이 작아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를 나타내었다.
상기 기본 실시 예에서 본원의 가장 큰 특징이 나타나면 본원의 특징은 먼저 상부로 갈수록 경사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고기(10)를 구울 때 경사지게 되어 기름이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며, 또한 상기 가열판(1)의 사이 공간으로 직접적으로 불꽃 내지 열기가 고기에 전달되어 직화 구이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상기 가열판(1)은 상기 불관통홀(11)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지지리브(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12)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제1 볼트 관통홀(13)을 구비하며, 상기 불관통홀(11)의 외연부로 상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이격돌기(14)가 형성되고;
최하단의 가열판(1a) 저면에 밀착되고 불관통홀(11a) 보다 작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제2 볼트 관통홀(21)을 가지는 하부 마감판넬(2)과, 최상단의 가열판(1b) 상면에 밀착되고 불관통홀(11b) 보다 크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제3 볼트 관통홀(31)을 가지는 상부 마감판넬(3)이 하부로 부터 삽입되는 고정볼트(4)과 상부에서 결합하는 너트 조립체(5)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지지리브(12)는 최소한으로 하여 불꽃이 원활하게 상부로 통하도록 함이 바람직하여 기본 도면에서는 하나의 지지리브(12)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었으나,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에서는 두 개의 지지리브(12)가 십자로 교차하는 형상을 제공하여 보다 안정감있고 내구성이 있도록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또한 상기 너트조립체(5)에는 손잡이를 구성하여 들고다니기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불판을 닦을 때 분리하여 닦도록 하면 보다 용이하게 세척이 가능하고 조립과정도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열조절 판넬 삽입에 따른 온도변화를 나타낸 표로서, 상기 각 가열판(1)의 사이에는 인접한 상기 불관통홀(11) 보다 작고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4 볼트관통홀(61)을 구비하고 상부로 갈수록 그 면적이 작아지는 다수의 열조절판(6)이 추가로 삽입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열조절판(6)이 없을 경우 열기 및 불꽃의 경로는 상기 불관통홀(11)에 의하여 형성된 거꾸로 뒤집은 깔대기 형상의 공간에서 상기 가열판 사이 공간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이나, 상기 실시 예에서는 그 공간을 조절하여 효과적이로 열기가 골고루 분산되어 빠져나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도 7에서의 표는 고기를 구울 때와 동일한 조건에서 20분 ~ 30분을 가열한 후 각 부분의 온도를 측정 비교한 것으로 설치 전에는 상부와 하부의 온도차이가 매우 심하였던 반면에 열조절판(6)을 설치한 후에는 비교적 균일한 온도의 상황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열판(1)의 온도보다 그 사이 공간으로 배출되는 복사열이 더욱 크므로 직화의 효과를 만족할 수준으로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가열판(1)의 불관통홀(11)의 중앙에는 상기 불관통홀(11) 보다 작고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4 볼트 관통홀(61)을 구비하는 열조절판(6)을 구비하고, 상기 열조절판(6)과 상기 불관통홀(11)의 외연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리브(15)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전술한 열조절판(6)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열조절판(6)은 재질에 특성을 있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가열판(1)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며 별도로 제작한 후 상기 연결리브(15)에 의하여 연결하거나 펀치프레스에 의하여 가공하는 두 가지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주물의 경우에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므로 주형 제작에 약간의 난이도가 있으나 기존 지지리브를 형성하던 것과 큰 차이는 없는 공정으로 제작되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기 고정볼트(4)에 수직으로 홈을 형성하여 상단에 온도표시부(91)가 형성된 온도감지센서(9)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하여 불판이 고기를 굽기에 충분한 온도로 달구어졌는 지 여부를 사용자가 판단하고 고기를 올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불판이 충분히 달구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고기를 올리면 차가운 고기와 접촉하는 면이 순간적으로 온도가 내려가 고기의 육즙이 빠져나오는 문제점과 경제적인 연료소모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기 최하단의 가열판(1a) 보다 작고 인접한 상부에 위치한 가열판(1) 보다 큰 면적을 가진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용기(7)와 상기 용기의 상면을 덮는 뚜껑(8)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감자, 고구마, 계란 등의 음식재료(110)을 상기 용기(7)에 넣어 가열하여 조리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각각의 가열판 사이의 복사열이 상기 용기(7)의 내부로 전해지면서 내부의 음식재료(110)가 비교적 균일하게 익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 1a, 1b : 가열판
11, 11a, 11b : 불관통홀 12 : 지지리브
13 : 제1 볼트관통홀 14 : 이격돌기
15 : 연결리브
2 : 하부 마감판넬
21 : 제2 볼트관통홀
3 : 상부 마감판넬
31 : 제3 볼트관통홀
4 : 고정볼트
5 : 너트 조립체
6 : 열조절판
61 : 제4 볼트관통홀
7 : 용기
8 : 뚜껑
9 : 온도감지센서
91 : 온도표시부
10 : 고기
110 : 음식재료

Claims (6)

  1. 중앙에는 관통된 불관통홀(11)을 가지는 다수의 가열판(1)이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되, 상부로 갈수록 상기 가열판(1)의 면적과 상기 불관통홀(11)이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1)은 상기 불관통홀(11)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지지리브(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12)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제1 볼트 관통홀(13)을 구비하며, 상기 불관통홀(11)의 외연부로 상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이격돌기(14)가 형성되고;
    최하단의 가열판(1a) 저면에 밀착되고 불관통홀(11a) 보다 작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제2 볼트 관통홀(21)을 가지는 하부 마감판넬(2)과, 최상단의 가열판(1b) 상면에 밀착되고 불관통홀(11b) 보다 크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제3 볼트 관통홀(31)을 가지는 상부 마감판넬(3)이 하부로 부터 삽입되는 고정볼트(4)과 상부에서 결합하는 너트 조립체(5)와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열판(1)의 사이에는 인접한 상기 불관통홀(11) 보다 작고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4 볼트관통홀(61)을 구비하고 상부로 갈수록 그 면적이 작아지는 다수의 열조절판(6)이 추가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1)의 불관통홀(11)의 중앙에는 상기 불관통홀(11) 보다 작고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4 볼트 관통홀(61)을 구비하는 열조절판(6)을 구비하고, 상기 열조절판(6)과 상기 불관통홀(11)의 외연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리브(15)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5. 제 1항 또는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의 가열판(1a) 보다 작고 인접한 상부에 위치한 가열판(1) 보다 큰 면적을 가진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용기(7)와 상기 용기의 상면을 덮는 뚜껑(8)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4)에 수직으로 홈을 형성하여 상단에 온도표시부(91)가 형성된 온도감지센서(9)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KR1020100099616A 2010-10-13 2010-10-13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KR101023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616A KR101023758B1 (ko) 2010-10-13 2010-10-13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PCT/KR2011/007078 WO2012050311A2 (ko) 2010-10-13 2011-09-27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616A KR101023758B1 (ko) 2010-10-13 2010-10-13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3758B1 true KR101023758B1 (ko) 2011-03-21

Family

ID=4393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616A KR101023758B1 (ko) 2010-10-13 2010-10-13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3758B1 (ko)
WO (1) WO2012050311A2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0442U (ko) * 1989-12-28 1991-09-13
KR200339097Y1 (ko) 2003-10-24 2004-01-24 이승철 불고기용 구이판
KR200387746Y1 (ko) 2005-04-08 2005-06-21 안병석 이중 불판
KR20100026673A (ko) * 2008-09-01 2010-03-10 (주)페어프랜즈 구이 용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0442B2 (ja) * 1998-12-16 2000-09-18 新邦工業株式会社 収納容器及び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0442U (ko) * 1989-12-28 1991-09-13
KR200339097Y1 (ko) 2003-10-24 2004-01-24 이승철 불고기용 구이판
KR200387746Y1 (ko) 2005-04-08 2005-06-21 안병석 이중 불판
KR20100026673A (ko) * 2008-09-01 2010-03-10 (주)페어프랜즈 구이 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0311A2 (ko) 2012-04-19
WO2012050311A3 (ko)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KR101167657B1 (ko) 회전형 구이용 그릴
KR101428463B1 (ko) 중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화로
KR20130053302A (ko) 무연 숯불구이 장치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KR101060025B1 (ko) 고기구이 불판
KR102064698B1 (ko)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장치
KR101023758B1 (ko)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KR101337175B1 (ko) 캠핑용 화로
KR20120006289A (ko) 구이판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120114207A (ko) 영양분과 유해성분을 분리하는 3중석쇠
KR20200100510A (ko) 양면 구이팬
CN200963083Y (zh) 家用组合式烘烤保温烹调装置
WO2015024661A1 (en) Cooking device
KR20170133676A (ko) 직화구이 프라이팬
CN2689864Y (zh) 家用组合式烘烤保温烹调装置
KR200355889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0385600Y1 (ko) 이중석쇠
US20240016336A1 (en) Modular multipurpose cooking surface and smoking tray
KR101049067B1 (ko) 가열온도편차식 고기구이판
KR20110000010U (ko) 기름 배출구조를 갖는 구이판
KR20110053591A (ko) 직화 오븐기
JPH03176006A (ja) 調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