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50311A2 -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 Google Patents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50311A2
WO2012050311A2 PCT/KR2011/007078 KR2011007078W WO2012050311A2 WO 2012050311 A2 WO2012050311 A2 WO 2012050311A2 KR 2011007078 W KR2011007078 W KR 2011007078W WO 2012050311 A2 WO2012050311 A2 WO 2012050311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le
center
heating plate
bolt
ro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70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050311A3 (ko
Inventor
손정현
Original Assignee
Shon Jeong Hye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Shon Jeong Hyeon filed Critical Shon Jeong Hyeon
Publication of WO2012050311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50311A2/ko
Publication of WO2012050311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50311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ster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aster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developed in order to obtain an effect of roasting and to easily discharge oil without falling into a flame and to be easily cleaned.
  • roasters that can directly roast meat and can be classified into a method of heating with charcoal or a gas by dividing according to a heating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 roast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discharged of oil and prevent the oil from falling into the flame while obtaining the effect of roasting.
  • Baking machine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heating plates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are vertically laminated at regular intervals, the upper of the heating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and the through-holes are configured to be smaller.
  • the heating plate is integrally formed with one or more support ribs that cross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and has a first bolt through hole vertically penetrat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rib, and upwards to the outer edge of the through hole. Protruding at least three or more spacers;
  • the upper closing panel having a bolt through-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ixing bolt is inserted from the bottom and the nut assembly to be coupled at the top.
  • a plurality of heat regulation plates having a fourth bolt through hole which is smaller than the adjacent through hole and vertically penetrates in the center between each heating plate and becomes smaller toward the top is further inserted.
  • the center of the through-hole of the heating plate is provided with a heat regulation plate having a fourth bolt through hole smaller than the through-hole and vertically penetrated at the center, wherein the heat regulation plate and the outer edge of the through-hole is at least two or mo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by a connecting rib.
  •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tainer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heating plate located in the smaller than the lowermost heating plate adjacent to the upper and the lid is further form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 thermometer the installation of a temperature sensor between the fixing bolt and the bolt through-hole and a multi-lay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ble thermometer is provided here.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oil is effectively discharged while tilting the meat inclined, and the heat of the gas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eat, thereby directing the meat, thereby making the roasted meat with optimized taste and flavor.
  • FIG.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onceptual diagram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heat control plate 61 fourth bolt through hol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penetrated
  • a plurality of heating plates (1) having a through-hole 11 is stacked vertically at regular interv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f the heating plate (1) and the through-hole 11 is reduced so as to go upward
  • the roaster which has a multilayered structure was shown.
  • the biggest feat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hape that is inclined toward the top first to be inclined when grilling the meat 10, the oil is easily discharged to the bottom, and also the heating plate (1)
  • the flame or heat is transferred directly to the space between the meat to be grilled.
  • the heating plate 1 is integrally formed with at least one support rib 12 that crosses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11, and is vertically penetrat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rib 12. 1 bolt through hole (13), at least three or more spacers (14) protruding upward toward the outer edge of the through-hole 11 is formed;
  • An upper assembly panel 3 having a third bolt through hole 31 which is in close contact and is larger than the unperforated hole 11b and vertically penetrated at the center thereof, has a fixing bolt 4 inserted therefrom, and a nut assembly engaging at the top thereof. It is configured to be combined with (5).
  • FIG. 4 i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embodiment is provided in which two support ribs 12 cross each other to provide a shape that is more stable and durable.
  • the nut assembly (5) is preferably configured to make it easy to carry around the handle, and by this structure has a merit that it is easier to wash and easy to assemble the separation plate when cleaning the brush plate.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heat regulation panel inser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fourth bolt through hole 61 is formed between each heating plate 1 and smaller than the adjacent through hole 11 and vertically penetrated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area thereof decreases toward the top.
  • the radiant heat discharged into the space therebetween is great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plate 1, so that the effect of the direct weaving can be obtained at a level that satisfies the effect.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ourth bolt penetrates smaller than the through hole 11 and vertically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11 of the heating plate 1.
  • the embodiment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heat control plate 6 described above, since the heat control plate 6 does not have a characteristic in a material, the heat control plate 6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heating plate 1, and then manufactured separately. Two methods of connecting by the connecting ribs 15 or processing by punch press are mainly used.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groove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xing bolt 4 to form a temperature sensing sensor 9 having a temperature display portion 91 formed thereon so as to be insertable therein. This allows the user to judge whether the meat has been heated to a temperature sufficient for roasting and to raise the meat.
  • FIG. 10 is a conceptual diagram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area larger than the heating plate 1a smaller than the lowermost heating plate 1a and larger than an adjacent heating plate 1 is shown.
  •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having a container 7 and a lid 8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is further characterized by a roast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 the embodiment is to put the food material 110, such as potatoes, sweet potatoes, eggs in the container (7) to be cooked by heating the radiant heat between each heating plate is transferred 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7) Food material 110 is to be cooked relatively uniform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직화구이의 효과를 얻으면서도 기름이 불꽃에 떨어지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되며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중앙에는 관통된 불관통홀을 가지는 다수의 가열판이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되, 상부로 갈수록 상기 가열판의 면적과 상기 불관통홀이 작아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본 발명은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화구이의 효과를 얻으면서도 기름이 불꽃에 떨어지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되며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육류를 섭취량이 다른 나라 특히 서양의 여러 나라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절반에도 못미치는 섭취를 하고 있으나 조리법에 관련해서는 서양의 어느 나라 못지않게 아니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육류를 즐기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에서 소의 각 부분에 따른 고기의 분류가 100여 가지가 넘는데 반하여 그 다음으로 가장 분류를 많이 하는 곳은 불과 40여 가지에 불과할 정도이다. 이러한 취향의 영향인지 최근에 생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외식의 대부분은 저녁 회식의 대부분은 고기집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각 고기집에서는 가스, 숯불, 장작 등의 다양한 열원과 또 다양한 기능과 모양을 가진 구이기 또는 구이판이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국내에서 이러한 고기를 굽기 위한 구이기의 출원 건수는 2200개가 넘을 정도로 보다 편하고 같은 고기라도 맛있게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종래 구이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기 전에는 각 고기집 주로 삼겹살집에서는 일률적으로 사각 또는 원형의 불판으로 간접가열을 하는 곳이 많았으나 간접가열을 고기에서 흘러나오는 기름에 의하여 고기의 맛이 떨어지고 또한 기름이 튀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많은 업소에서 직화식으로 고기를 구을 수 있는 구이기가 많이 보급되었으며 크게 가열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숯으로 가열하는 방식, 가스로 가열하는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지만 직화방식의 경우 발생하는 기름의 용이한 배출이 필요한데 숯불에 직접 떨어질 경우 발생하는 연기가 고기의 풍미를 해치고 가스의 경우 가스노즐을 막기에 중앙에서 가스노즐을 둘 수 없어 가스의 소비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직화구이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기름의 배출이 용이하고 불꽃으로 기름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구이기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는 중앙에 관통된 불관통홀을 가지는 다수의 가열판이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되, 상부로 갈수록 상기 가열판의 면적과 상기 불관통홀이 작아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열판은 상기 불관통홀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지지리브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제1 볼트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불관통홀의 외연부로 상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이격돌기가 형성되고;
최하단의 가열판 저면에 밀착되고 불관통홀 보다 작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제2 볼트 관통홀을 가지는 하부 마감판넬과, 최상단의 가열판 상면에 밀착되고 불관통홀 보다 크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제3 볼트 관통홀을 가지는 상부 마감판넬이 하부로 부터 삽입되는 고정볼트과 상부에서 결합하는 너트 조립체와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가열판의 사이에는 인접한 상기 불관통홀 보다 작고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4 볼트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부로 갈수록 그 면적이 작아지는 다수의 열조절판이 추가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열판의 불관통홀의 중앙에는 상기 불관통홀 보다 작고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4 볼트 관통홀을 구비하는 열조절판을 구비하고, 상기 열조절판과 상기 불관통홀의 외연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리브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최하단의 가열판 보다 작고 인접한 상부에 위치한 가열판 보다 큰 면적을 가진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면을 덮는 뚜껑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볼트와 볼트 관통홀 사이에 온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여기에 착탈식 온도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기를 경사지게 기울이면서 기름이 효과적으로 배출되고, 가스의 열기가 직접적으로 고기에 전해져 직화의 효과가 있어 맛과 풍미가 최적화된 고기구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판을 용이하게 분리하고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열조절 판넬 삽입에 따른 온도변화를 나타낸 표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 가열판 11, 11a, 11b : 불관통홀
12 : 지지리브 13 : 제1 볼트관통홀
14 : 이격돌기 15 : 연결리브
2 : 하부 마감판넬 21 : 제2 볼트관통홀
3 : 상부 마감판넬 31 : 제3 볼트관통홀
4 : 고정볼트 5 : 너트 조립체
6 : 열조절판 61 : 제4 볼트관통홀
7 : 용기 8 : 뚜껑
9 : 온도감지센서 91 : 온도표시부
10 : 고기 110 : 음식재료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중앙에는 관통된 불관통홀(11)을 가지는 다수의 가열판(1)이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되, 상부로 갈수록 상기 가열판(1)의 면적과 상기 불관통홀(11)이 작아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를 나타내었다.
상기 기본 실시 예에서 본원의 가장 큰 특징이 나타나면 본원의 특징은 먼저 상부로 갈수록 경사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고기(10)를 구울 때 경사지게 되어 기름이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며, 또한 상기 가열판(1)의 사이 공간으로 직접적으로 불꽃 내지 열기가 고기에 전달되어 직화 구이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상기 가열판(1)은 상기 불관통홀(11)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지지리브(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12)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제1 볼트 관통홀(13)을 구비하며, 상기 불관통홀(11)의 외연부로 상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이격돌기(14)가 형성되고;
최하단의 가열판(1a) 저면에 밀착되고 불관통홀(11a) 보다 작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제2 볼트 관통홀(21)을 가지는 하부 마감판넬(2)과, 최상단의 가열판(1b) 상면에 밀착되고 불관통홀(11b) 보다 크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제3 볼트 관통홀(31)을 가지는 상부 마감판넬(3)이 하부로 부터 삽입되는 고정볼트(4)과 상부에서 결합하는 너트 조립체(5)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지지리브(12)는 최소한으로 하여 불꽃이 원활하게 상부로 통하도록 함이 바람직하여 기본 도면에서는 하나의 지지리브(12)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었으나,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에서는 두 개의 지지리브(12)가 십자로 교차하는 형상을 제공하여 보다 안정감있고 내구성이 있도록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또한 상기 너트조립체(5)에는 손잡이를 구성하여 들고다니기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불판을 닦을 때 분리하여 닦도록 하면 보다 용이하게 세척이 가능하고 조립과정도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열조절 판넬 삽입에 따른 온도변화를 나타낸 표로서, 상기 각 가열판(1)의 사이에는 인접한 상기 불관통홀(11) 보다 작고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4 볼트관통홀(61)을 구비하고 상부로 갈수록 그 면적이 작아지는 다수의 열조절판(6)이 추가로 삽입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열조절판(6)이 없을 경우 열기 및 불꽃의 경로는 상기 불관통홀(11)에 의하여 형성된 거꾸로 뒤집은 깔대기 형상의 공간에서 상기 가열판 사이 공간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이나, 상기 실시 예에서는 그 공간을 조절하여 효과적이로 열기가 골고루 분산되어 빠져나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도 7에서의 표는 고기를 구울 때와 동일한 조건에서 20분 ~ 30분을 가열한 후 각 부분의 온도를 측정 비교한 것으로 설치 전에는 상부와 하부의 온도차이가 매우 심하였던 반면에 열조절판(6)을 설치한 후에는 비교적 균일한 온도의 상황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열판(1)의 온도보다 그 사이 공간으로 배출되는 복사열이 더욱 크므로 직화의 효과를 만족할 수준으로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가열판(1)의 불관통홀(11)의 중앙에는 상기 불관통홀(11) 보다 작고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4 볼트 관통홀(61)을 구비하는 열조절판(6)을 구비하고, 상기 열조절판(6)과 상기 불관통홀(11)의 외연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리브(15)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전술한 열조절판(6)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열조절판(6)은 재질에 특성을 있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가열판(1)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며 별도로 제작한 후 상기 연결리브(15)에 의하여 연결하거나 펀치프레스에 의하여 가공하는 두 가지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주물의 경우에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므로 주형 제작에 약간의 난이도가 있으나 기존 지지리브를 형성하던 것과 큰 차이는 없는 공정으로 제작되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기 고정볼트(4)에 수직으로 홈을 형성하여 상단에 온도표시부(91)가 형성된 온도감지센서(9)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하여 불판이 고기를 굽기에 충분한 온도로 달구어졌는 지 여부를 사용자가 판단하고 고기를 올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불판이 충분히 달구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고기를 올리면 차가운 고기와 접촉하는 면이 순간적으로 온도가 내려가 고기의 육즙이 빠져나오는 문제점과 경제적인 연료소모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기 최하단의 가열판(1a) 보다 작고 인접한 상부에 위치한 가열판(1) 보다 큰 면적을 가진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용기(7)와 상기 용기의 상면을 덮는 뚜껑(8)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감자, 고구마, 계란 등의 음식재료(110)을 상기 용기(7)에 넣어 가열하여 조리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각각의 가열판 사이의 복사열이 상기 용기(7)의 내부로 전해지면서 내부의 음식재료(110)가 비교적 균일하게 익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중앙에는 관통된 불관통홀(11)을 가지는 다수의 가열판(1)이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되, 상부로 갈수록 상기 가열판(1)의 면적과 상기 불관통홀(11)이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1)은 상기 불관통홀(11)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지지리브(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12)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제1 볼트 관통홀(13)을 구비하며, 상기 불관통홀(11)의 외연부로 상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이격돌기(14)가 형성되고;
    최하단의 가열판(1a) 저면에 밀착되고 불관통홀(11a) 보다 작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제2 볼트 관통홀(21)을 가지는 하부 마감판넬(2)과, 최상단의 가열판(1b) 상면에 밀착되고 불관통홀(11b) 보다 크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제3 볼트 관통홀(31)을 가지는 상부 마감판넬(3)이 하부로 부터 삽입되는 고정볼트(4)과 상부에서 결합하는 너트 조립체(5)와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열판(1)의 사이에는 인접한 상기 불관통홀(11) 보다 작고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4 볼트관통홀(61)을 구비하고 상부로 갈수록 그 면적이 작아지는 다수의 열조절판(6)이 추가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1)의 불관통홀(11)의 중앙에는 상기 불관통홀(11) 보다 작고 중앙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4 볼트 관통홀(61)을 구비하는 열조절판(6)을 구비하고, 상기 열조절판(6)과 상기 불관통홀(11)의 외연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리브(15)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의 가열판(1a) 보다 작고 인접한 상부에 위치한 가열판(1) 보다 큰 면적을 가진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용기(7)와 상기 용기의 상면을 덮는 뚜껑(8)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4)에 수직으로 홈을 형성하여 상단에 온도표시부(91)가 형성된 온도감지센서(9)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PCT/KR2011/007078 2010-10-13 2011-09-27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WO2012050311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616A KR101023758B1 (ko) 2010-10-13 2010-10-13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KR10-2010-0099616 2010-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0311A2 true WO2012050311A2 (ko) 2012-04-19
WO2012050311A3 WO2012050311A3 (ko) 2012-06-07

Family

ID=4393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7078 WO2012050311A2 (ko) 2010-10-13 2011-09-27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3758B1 (ko)
WO (1) WO2012050311A2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0442B2 (ja) * 1998-12-16 2000-09-18 新邦工業株式会社 収納容器及び蓋
KR200339097Y1 (ko) * 2003-10-24 2004-01-24 이승철 불고기용 구이판
KR200387746Y1 (ko) * 2005-04-08 2005-06-21 안병석 이중 불판
KR20100026673A (ko) * 2008-09-01 2010-03-10 (주)페어프랜즈 구이 용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7013Y2 (ja) * 1989-12-28 1996-08-14 日本電気株式会社 ワイヤ―ボンディ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0442B2 (ja) * 1998-12-16 2000-09-18 新邦工業株式会社 収納容器及び蓋
KR200339097Y1 (ko) * 2003-10-24 2004-01-24 이승철 불고기용 구이판
KR200387746Y1 (ko) * 2005-04-08 2005-06-21 안병석 이중 불판
KR20100026673A (ko) * 2008-09-01 2010-03-10 (주)페어프랜즈 구이 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3758B1 (ko) 2011-03-21
WO2012050311A3 (ko)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US20180153347A1 (en) Side-surface direct-flame roasting device
WO2010005218A2 (ko) 만능 구이판
CN105962795A (zh) 无烟环保全热能炭烤炉
KR20140000916A (ko) 중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화로
WO2012050311A2 (ko) 다층 구조를 가지는 구이기
KR101565326B1 (ko) 직화 구이판
KR101337175B1 (ko) 캠핑용 화로
KR20120006289A (ko) 구이판
KR20190078796A (ko) 직화구이용 불판
KR200421216Y1 (ko) 구이판의 구조
KR20200100510A (ko) 양면 구이팬
CN213524877U (zh) 一种用于煤气卡式炉的烧烤器具
KR200385600Y1 (ko) 이중석쇠
WO2017039247A1 (ko) 구이용 숯불 직화 그릴
KR100522401B1 (ko) 직화구이기
KR20120006292A (ko) 바비큐 장치
CN216364762U (zh) 锅具和厨具
CN105851101B (zh) 一种烤炉
KR100730093B1 (ko) 고기구이 불판
KR200214910Y1 (ko) 공기층을 갖는 중공형상의 파이프가 케이지상으로배열배치되어서 된 구이판
CN201081255Y (zh) 无烟害火炉结构
CN201318701Y (zh) 一种烧烤炉
KR20090006431U (ko) 육류조리용 불판
JPH03176006A (ja) 調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326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326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