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275Y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불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불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275Y1
KR200468275Y1 KR2020120008515U KR20120008515U KR200468275Y1 KR 200468275 Y1 KR200468275 Y1 KR 200468275Y1 KR 2020120008515 U KR2020120008515 U KR 2020120008515U KR 20120008515 U KR20120008515 U KR 20120008515U KR 200468275 Y1 KR200468275 Y1 KR 2004682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support shaft
frame
coupl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준
Original Assignee
이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준 filed Critical 이석준
Priority to KR2020120008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2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2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2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Abstract

본 고안은 불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길이를 갖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불판이 적재되는 불판지지프레임이 결합된 승강프레임부와; 상기 지지축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프레임부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축삽입공이 형성된 결합고리와; 상기 결합고리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불판지지프레임과 대향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불판 조립체{HOT GRILL ASSEMBLY ENABLE TO CONTROL HEIGHT}
본 고안은 불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숯불을 사용하는 불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불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외식문화의 발달로 육류에 대한 소비가 계속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돼지고기와 소고기가 그 주종을 이루고 있다. 육류의 소비형태는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 열을 가하여 구워 먹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육류를 판매하는 음식점에는 숯불을 이용하거나 가스를 이용하는 고기 구이기가 널리 사용된다.
고기 구이기는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나 대부분 화력을 조절하고 고기의 구워지는 정도를 조절한다. 즉, 열원과 불판의 간격은 고정되어 있고 공기구멍을 조정하여 화력의 강도가 변화되는 방식이다.
가스를 이용하는 고기 구이기의 경우 화력조절이 비교적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숯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기구멍을 통해 화력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고기가 타게 되는 경우가 있어 숯불의 강도가 강할 경우 사용자가 석쇠를 들어 숯불과의 거리를 직접 조절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365593호에 석쇠의 높이가 가변되는 숯불 고기구이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개시된 숯불 고기구이는 열원으로부터 석쇠까지의 높이는 변경될 수 있으나, 나사결합에 의한 구동으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최저점으로부터 최고점까지 이동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비싸며, 상대적으로 내구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원으로부터 불판까지의 거리가 용이하게 조절되며, 간단한 구조로 내구성을 갖는 불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여부에 따라 접을 수 있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불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불판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불판 조립체는, 일정 길이를 갖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불판이 적재되는 불판지지프레임이 결합된 승강프레임부와; 상기 지지축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프레임부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축삽입공이 형성된 결합고리와; 상기 결합고리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불판지지프레임과 대향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지지부는 지면에 대해 상기 축지지부가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 면적 지면에 접촉하는 지지레그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지지부는, 그릴의 내측벽에 접촉지지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지지축이 고정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벽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너트와; 상기 삽입너트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그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축은 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승강프레임부의 결합고리가 삽입 안착되는 결합고리거치홈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축은 상기 축지지부에 절접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축은 상기 축지지부에 대해 상기 불판이 적재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축은 하부에 상기 축지지부에 결합되는 회전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고리의 판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이 기립되도록 지면에 접촉지지되는 지지돌기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불판조립체는 불판을 지지하는 불판을 지지하는 승강프레임부가 지지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므로 화력의 세기에 따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승강프레임부가 지지축의 홈에 끼워지며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간단하게 외력만 인가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불판조립체의 지지축을 지지레그에 접어서 사용할 수 있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의 지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T)에 설치된 구이용 화로(A)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화로(A)는 숯(B)을 수용한 상태로 테이블(T)에 삽입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100)는 테이블(T)의 상부에 화로(A) 주변에 설치되어 숯(B)과 불판(1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에 의해 시식자가 숯(B)에 고기를 구울 때 숯(B)의 화력에 따라 불판(140)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기를 타지 않게 구울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100)는 테이블(T)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지지축(110)과, 지지축(110)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며 불판(140)을 지지하는 승강프레임부(120)와, 지지축(110)이 테이블(T)에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레그(130)와, 승강프레임부(120) 상에 배치되며 고기가 적재되는 불판(140)을 포함한다.
지지축(11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봉 형태로 구비되며 승강프레임부(12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지지축(110)의 외주연에는 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고리거치홈(111)이 형성된다. 결합고리거치홈(111)은 도 2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110)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 때, 결합고리거치홈(111)은 경사진 경사면(111a)을 형성하게 함몰 형성되어 결합고리(121)의 하단면(121a)이 경사면(111a)에 안착되도록 한다. 경사면(111a)에 결합고리(121)가 안착되며 결합고리(121)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결합고리거치홈(111)은 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숯(B)의 화력에 따라 용이하게 상하로 승강프레임부(12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결합고리거치홈(111)의 전체 높이(h1)는 결합고리(121)의 높이(h2)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결합고리거치홈(111)에 결합고리(121)를 거치시키기가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승강프레임부(120)는 지지축(1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불판(140)을 지지한다. 승강프레임부(120)는 결합고리거치홈(111)에 거치되는 결합고리(121)와, 결합고리(121)로부터 화로(A) 방향으로 결합되어 불판(140)을 지지하는 불판지지프레임(125)과, 불판지지프레임(125)과 반대방향으로 결합고리(121)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는 손잡이(123)를 포함한다.
결합고리(121)는 원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고리(121)는 결합고리거치홈(111)의 경사면(111a)에 거치되며 지지축(110) 상에 고정된다.
손잡이(123)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외력을 인가하여 승강프레임부(120)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손잡이(123)를 잡은 상태에서 희망하는 높이의 결합고리거치홈(111)에 결합고리(121)가 거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희망하는 높이의 결합고리거치홈(111)에 결합고리(121)가 경사지게 위치하도록 하여 결합고리(121)의 하단면(121a)이 경사면(111a)에 거치되도록 한다.
불판(140)의 높이를 변경하고자 할 때는 경사지게 위치된 결합고리(121)를 수직한 상태로 기립시킨 후 지지축(110)을 따라 이동시키면 된다.
불판지지프레임(125)은 상면에 불판(140)을 적재하여 고기가 안정적으로 구워지도록 한다. 불판지지프레임(125)은 고기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내구성과 강도를 갖도록 구비된다. 또한, 불판지지프레임(125)은 숯(B)의 화력이 고기로 전달되는 것을 간섭하지 않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불판지지프레임(125)은 일정 두께를 갖는 금속소재로 불판(140)의 테두리영역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불판지지프레임(125)은 도시된 바와 같은 "반원형태" "ㄷ"자 형태, 또는 "ㅁ"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불판지지프레임(125)의 상면에는 불판(140)의 격자 형상 내부로 삽입되어 불판(14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지지돌기(125b)가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고리(121), 손잡이(123) 및 불판지지프레임(125)은 일체로 제조되거나, 각각 별도로 제조된 후 용접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지지레그(130)는 지지축(110)이 테이블(T)에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지지레그(130)는 지지축(110)의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레그(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거나 화로(A)의 외주연에 대응되는 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레그(130)는 경우에 따라 지지축(110)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다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불판(140)은 불판지지프레임(125)의 상면에 적재된다. 불판(140)은 고기가 적재된 후 고기에 화력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격자 형태의 석쇠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100)의 사용과정을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식당에서는 각 테이블(T)에 화염이 형성되는 숯(B)을 수용한 화로(A)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화로(A)의 외주연으로 불판 조립체(100)를 배치한다.
먼저, 지지축(110)과 일체로 형성된 지지레그(130)를 화로(A)의 외주연에 배치한다. 그리고, 지지축(110)의 상부를 통해 결합고리(121)를 지지축(110)에 끼우고, 손잡이(123)를 손으로 파지하여 결합고리(121)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숯(B)의 화염 상태에 따라 결합고리(121)의 위치를 조절한다. 화염이 약할 경우 낮은 높이의 결합고리거치홈(111)에 결합고리(121)를 거치시키고, 화염이 강할 경우 높은 높이의 결합고리거치홈(111)에 결합고리(121)를 거치시킨다.
희망하는 높이가 결정되면 사용자는 결합고리(121)를 수직한 상태에서 일정 각도 기울여 결합고리(121)의 하단부(121a)가 경사면(111a)에 접촉지지되며 거치되도록 한다. 이 때, 불판지지프레임(125) 상에 불판(140)이 적재되고 고기가 놓여지면 불판(140)과 고기의 무게에 의해 결합고리(121)와 경사면(111a)의 접촉면에 수직방향 하중이 가해지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숯의 화염 상태가 변경되어 불판(140)의 높이를 변경해야할 경우, 손잡이(123)를 파지한 후 결합고리(121)를 수직하게 세워 결합고리(121)와 경사면(111a)의 접촉상태를 해지하여 다시 결합고리(121)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100)는 간단한 구조로 테이블(T)에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지지축과 승강프레임부의 결합구조가 거치홈에 결합고리를 적재하는 방식으로 간단하여 고기를 굽는 중에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숯과 같이 화염의 세기를 조절하기 어려운 조건에서도 사용자가 불판과 숯의 거리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고기를 타지 않게 구울 수 있다.
한편,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10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100)는 테이블(T)의 화로(A) 주변에 설치되는 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200)는 야외에서 사용되는 그릴(G)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200)는 지지축(210)과 승강프레임부(220)와, 그릴(G)에 지지축(210)이 기립되도록 지지하는 그릴축지지부(230)와, 불판(2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축(210)과 승강프레임부(220)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릴축지지부(230)는 지지축(210)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릴(G)의 일측벽에 결합된다. 그릴축지지부(230)는 수직하게 형성되어 그릴(G)의 측벽에 밀착되는 수직프레임(231)과, 수직프레임(231)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233)과, 수평프레임(233)이 하부영역에 고정되는 삽입너트(235)와, 삽입너트(235)에 삽입되며 수직프레임(231)이 그릴(G)의 측벽에 밀착되도록 이격간격(d)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볼트(237)를 포함한다.
수직프레임(231)과 수평프레임(233)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릴(G)의 측벽에 밀착된다. 수직프레임(231)은 간격조절볼트(237)에 의해 그릴(G)의 측벽에 밀착되고, 수평프레임(233)의 상부에 지지축(210)이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삽입너트(235)는 수평프레임(233)의 하부에 좌우 한 쌍이 고정된다. 간격조절볼트(237)는 삽입너트(235)와 나사결합된다. 간격조절볼트(237)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삽입너트(235)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그릴(G) 측벽과 수직프레임(23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간격조절볼트(237)의 선단에는 그릴(G) 측벽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239)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사용자의 회전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봉(238)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200)의 사용방법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야외에서 사용자는 그릴(G)을 야외에 배치하고, 그릴(G)의 일측벽에 불판 조립체(100)를 조립한다. 간격조절볼트(237)의 탄성가압부재(239)와 수직프레임(231) 사이의 이격공간(d)에 그릴(G)의 측벽()을 삽입한다. 그리고, 회전봉(238)을 회전시켜 삽입너트(235)에 간격조절볼트(237)를 나사결합시켜 탄성가압부재(239)와 수직프레임(231) 사이의 이격간격(d)이 좁아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 탄성가압부재(239)는 그릴(G)의 측벽과 접촉하며 가압하고, 수직프레임(231)이 그릴(G)과 접촉되게 된다.
이에 의해 수직프레임(231)과 수평프레임(233)이 그릴(G)의 측벽에 위치가 구속되고, 지지축(210)의 위치도 고정된다. 사용자는 승강프레임부(220)를 지지축(210)에 삽입하고, 불판(240)을 적재하여 불판(240)과 숯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야외에서도 숯의 화염세기에 따라 간편하게 불판(2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100a)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100)는 지지축(110)이 지지레그(130)에 대해 기립된 상태가 고정되게 유지되었다.
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100a)는 지지축(110)이 지지레그(130)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불판(140)을 사용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되게 지지축(110)이 위치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110)을 회전시켜 지지레그(130)와 접촉되게 접어 보관한다.
이를 위해 지지축(110)의 하부에는 회전축(113)이 삽입되고, 회전축(113)은 지지레그(130)의 회전축지지판(131)에 결합된다. 회전축(113)에는 탄성부재(s)에 의해 탄성적으로 돌출 및 삽입되는 지지돌기(113a)가 구비되고, 회전축지지판(131)에는 90도 간격으로 지지돌기삽입공(137)이 함몰형성된다.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지지축(110)을 회전시키면 지지돌기(113a)는 압축된 상태의 탄성부재(s)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돌기삽입공(137)이 위치한 곳에 이르면 탄성부재(s)가 신장되며 지지돌기(113a)가 지지돌기삽입공(137) 내부에 삽입된다.
지지돌기(113a)가 지지돌기삽입공(137)에 삽입되면 탄성부재(s)의 탄성한계를 초과하는 외력이 인가하기 전까지 지지축(110)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 때, 지지돌기(113a)와 지지돌기삽입공(137)의 형상은 기립된 상태에서 승강프레임부(120)와 불판(140) 및 고기의 하중이 함께 인가되더라도 기립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탄성부재(s)도 충분한 탄성력으로 지지축(110)을 지지할 수 있는 탄성계수를 갖는 것으로 선택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지지축(1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판(140)이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접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불판(140) 방향으로는 지지축(110)이 회전되지 않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축(110)의 하부에 회전고리(113)가 형성되고, 회전고리(113)은 지지레그(130)에 삽입된다. 회전고리(113)는 지지레그(130)의 삽입홈(131) 사이에 배치되어 좌우로 위치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회전고리(113)는 지지레그(130)를 따라 회전되고, 이에 의해 지지축(110)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회전고리(113)의 판면에는 지지돌기(115)가 돌출 형성된다. 지지돌기(115)는 지지축(110)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해야 할 경우, 지면에 접촉지지되어 지지축(11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지지돌기(115)의 돌출높이는 지면과 충분히 접촉되어 불판(140)과 고기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불판 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불판 조립체 110 : 지지축
111 : 결합고리거치홈 111a : 경사면
120 : 승강프레임부 121 : 결합고리
123 : 손잡이 125 : 불판지지프레임
130 : 지지레그 140 : 불판
200 : 불판 조립체 210 : 지지축
211 : 결합고리거치홈 220 : 승강프레임부
221 : 결합고리 223 : 손잡이
225 : 불판지지프레임 230 : 그릴축지지부
231 : 수직프레임 233 : 수평프레임
235 : 삽입너트 237 : 간격조절볼트
238 : 회전봉 239 : 탄성가압부재

Claims (7)

  1. 불판 조립체에 있어서,
    일정 길이를 갖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불판이 적재되는 불판지지프레임이 결합된 승강프레임부; 및
    상기 지지축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축은 상기 축지지부에 절접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강프레임부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축삽입공이 형성된 결합고리와;
    상기 결합고리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불판지지프레임과 대향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축지지부는 지면에 대해 상기 축지지부가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 면적 지면에 접촉하는 지지레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조립체.
  2. 삭제
  3. 불판 조립체에 있어서,
    일정 길이를 갖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불판이 적재되는 불판지지프레임이 결합된 승강프레임부; 및
    상기 지지축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프레임부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축삽입공이 형성된 결합고리와;
    상기 결합고리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불판지지프레임과 대향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축지지부는,
    그릴의 내측벽에 접촉지지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지지축이 고정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벽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너트와;
    상기 삽입너트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그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승강프레임부의 결합고리가 삽입 안착되는 결합고리거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조립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축지지부에 대해 상기 불판이 적재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하부에 상기 축지지부에 결합되는 회전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고리의 판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이 기립되도록 지면에 접촉지지되는 지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조립체.
KR2020120008515U 2012-09-24 2012-09-24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불판 조립체 KR2004682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515U KR200468275Y1 (ko) 2012-09-24 2012-09-24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불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515U KR200468275Y1 (ko) 2012-09-24 2012-09-24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불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275Y1 true KR200468275Y1 (ko) 2013-08-02

Family

ID=5139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515U KR200468275Y1 (ko) 2012-09-24 2012-09-24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불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27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171B1 (ko) * 2015-10-30 2016-08-05 주식회사 비텍 석쇠 이동 장치 및 이 석쇠 이동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바비큐 그릴
KR20170027961A (ko) 2015-09-03 2017-03-13 김영순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리장치
KR20210023075A (ko) * 2019-08-22 2021-03-04 이제강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KR102462963B1 (ko) * 2021-08-02 2022-11-03 이대진 높이조절이 용이한 그리들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836Y1 (ko) * 1987-05-08 1990-06-30 이형섭 숯불구이용 높낮이조절 석쇠
KR200244899Y1 (ko) 2001-06-15 2001-10-17 김진만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JP2006238956A (ja) * 2005-02-28 2006-09-14 Yoshisuke Mito 焼き具保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836Y1 (ko) * 1987-05-08 1990-06-30 이형섭 숯불구이용 높낮이조절 석쇠
KR200244899Y1 (ko) 2001-06-15 2001-10-17 김진만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JP2006238956A (ja) * 2005-02-28 2006-09-14 Yoshisuke Mito 焼き具保持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961A (ko) 2015-09-03 2017-03-13 김영순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리장치
KR101646171B1 (ko) * 2015-10-30 2016-08-05 주식회사 비텍 석쇠 이동 장치 및 이 석쇠 이동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바비큐 그릴
KR20210023075A (ko) * 2019-08-22 2021-03-04 이제강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KR102233279B1 (ko) * 2019-08-22 2021-03-29 이제강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KR102462963B1 (ko) * 2021-08-02 2022-11-03 이대진 높이조절이 용이한 그리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620B2 (en) Convertible mobile fire pit and cooker assembly
CA2868084C (en) Adjustable fire pit grill
EP2850981B1 (en) Barbecue grill with multifunction
US20160227965A1 (en) Locking Insert and Modified Cooking Grate for Barbecue Grills
US20140196609A1 (en) Pizza oven accessory for a barbecue
US20120216790A1 (en) Universal swing away food supporting rack
KR200468275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불판 조립체
US8960083B2 (en) Multifunction barbecue oven
US8783241B1 (en) Dutch oven lid holder
KR200486690Y1 (ko) 화력 조절 기능을 갖는 숯불구이기
US9833108B2 (en) Barbecue grill with rotating fire receptacle
KR101848570B1 (ko) 불판 높이가 조절되는 고기 구이용 로스터
CN106264181A (zh) 带有高度可调的烤架的球形烤炉
KR101292452B1 (ko) 구이판 높이조절대
KR20160002021U (ko) 바베큐 구이 기능을 갖는 절첩식 숯불 구이기
KR101718905B1 (ko) 구이장치
KR20110010262U (ko)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KR20150135162A (ko) 오븐의 기능이 구비된 장작구이기
KR200457675Y1 (ko) 휴대용 숯불 구이기
KR20140003166U (ko) 휴대용 바베큐 회전장치
KR102233279B1 (ko)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KR20160100482A (ko) Led조명 서랍형 구이기
KR101511316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대
KR200361110Y1 (ko) 다용도 조리기
KR101459632B1 (ko) 휴대용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