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279B1 -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 Google Patents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279B1
KR102233279B1 KR1020190102748A KR20190102748A KR102233279B1 KR 102233279 B1 KR102233279 B1 KR 102233279B1 KR 1020190102748 A KR1020190102748 A KR 1020190102748A KR 20190102748 A KR20190102748 A KR 20190102748A KR 102233279 B1 KR102233279 B1 KR 102233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urnace
support rod
frame
cooking utens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075A (ko
Inventor
이제강
Original Assignee
이제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강 filed Critical 이제강
Priority to KR102019010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27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에 관한 것으로, 화로에 설치 가능한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연결되어 높이가 고정되고, 상기 화로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조리용구가 거치되는 거치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하나의 지지봉에 복수가 서로 다른 높이로 위치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양한 식자재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조리할 수 있으며, 열원으로부터 식자재까지의 거리를 조절하여 식자재를 적절하게 조리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비를 감소시키고 각각의 구성이 분리 가능하여 운반과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BRAZIER-AVAILABLE SUPPORT DEVICE OF COOKING UTENSIL}
본 발명은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조리용구가 거치 가능하며, 조리용구의 높이 조절과 회전이 가능한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로는 숯불 등 열원을 담는 그릇을 의미하며, 식자재가 수용되는 조리용구를 열원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고정시킨 상태로 요리한다.
화로는 실외에서 주로 이용되는데 최근에는 화로의 규모를 축소시켜 실내에서의 육류나 어류의 조리에 이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화로를 이용하여 조리된 식자재는 특유의 향과 풍미를 가지나 화력을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식자재를 태우거나 조리를 망치는 경우가 빈번하다. 화로 내 화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수단을 화로에 근접하게 설치하여 열원을 키우거나 줄이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으나, 실외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고, 열원을 감소시켜야 하는 경우 효과가 미미하다.
화로 내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8570호에서는 불판 높이가 조절되는 고기 구이용 로스터가 개시되고 있으며, 불판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연결된 회전봉을 회전시킴에 따라 안착부가 상하로 이동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1316호에는 내측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프레임의 측면에 봉이 착탈되면서 끼워져 높이가 조절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위 등록특허들의 경우 식자재의 높이를 조절 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되며 여러 가지 음식을 조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하나의 화로를 하나의 음식이 점유하므로 식자재의 조리와 섭취를 위한 시간이 증가되고 공간상의 문제점이 있다.
(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8570호 (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1316호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자재로 전달되는 화력을 손쉽게 조절 가능하며 다양한 음식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조리하기 용이한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제조비용이 감소되고 사용성이 증대된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는 화로에 설치 가능한 고정프레임, 고정프레임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봉 및 지지봉에 연결되어 높이가 고정되고, 화로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지대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대는 조리용구가 거치되는 거치프레임을 포함하고, 지지대는 하나의 지지봉에 복수가 서로 다른 높이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거치프레임은 지지봉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지지봉은, 상하로 서로 결합 가능한 다수의 지지모듈로 구성되고, 다수의 지지모듈 일부 또는 전부에는 지지대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는 거치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고 지지봉에 결합 가능한 결합구를 더 포함하고, 지지봉은 체결핀이 삽입 가능하며 설정된 높이에 따라 구비된 복수의 지지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구는 지지봉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은,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는 다리 및 상부프레임 또는 다리에 구비되며 지지봉이 고정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는 상부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 또는 지지봉에 연결되며 단열 소재로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식자재에 적당한 열을 가하여 안정적으로 요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요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요리된 식자재를 섭취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조리용구가 거치되는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하고 거치대를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성이 편리하다.
또한,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지지봉과 고정프레임을 분리 가능하므로 운반과 사용성 및 보관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프레임과 지지봉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봉과 지지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는 화로(B)에 이용 가능한 고정프레임(100),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봉(200) 및 상기 지지봉(200)에 결합되어 높이가 고정되고, 상기 화로(B)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지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화로(B)는 숯불 등의 열원을 의미하며, 열원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구 거치 기구는 실내에서 이용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캠핑장소나 야외 등 실외에서 이용된다.
고정프레임(100)은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화로(B)가 위치된다. 고정프레임(100)은 지면에 접촉되면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화로(B)를 일정 높이에 거치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상부프레임(110), 상부프레임(110)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10)을 지지하는 다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130)의 하부에는 하부프레임(120)이 연결되어 다리(130)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하부프레임(120)은 상부프레임(110)으로부터 이격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다리(130)는 복수일 수 있다.
상부프레임(110)에는 화로(B)가 안착될 수 있는데, 다리(130)는 상부프레임(110)과 화로(B)의 하중을 하부프레임(120) 또는 지면으로 분산시키며 상부프레임(110)을 일정 높이에 위치시킨다. 상부프레임(110)은 내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내측 둘레를 따라 안착구(111)가 구비된다. 안착구(111)는 상부프레임(110)의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안착구(111)의 상부에는 화로(B)가 안착되면서 지지된다. 상기 안착구(111)는 냄비 등의 조리용구U)를 지지하는 동시에 조리용구U)가 거치되었을 때 조리용구U) 측면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조리용구U)의 측면으로 과도한 열이 전달되는 경우 발생되는 조리용구U) 자체의 훼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상기 지지봉(200)이 고정 가능한 고정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40)는 복수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00)과 지지봉(200)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재(140)는 지지봉(200)이 결합 가능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40)는 지지봉(200)의 하단이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홈 또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홀 형상을 갖는 고정부재(140)는 지지봉(200)이 고정부재(140)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이 경우 고정부재(140)와 지지봉(200)을 관통하면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141)을 통해 지지봉(200)의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핀(141)은 후술하는 체결핀(22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고정부재(140)는 지지봉(200)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돌출된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봉(200)은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을 갖는다. 상기 지지봉(200)의 내부로 고정부재(140)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지지봉(200)은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지지봉(200)에는 일측에 상하로 천공된 슬릿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140)는 지지봉(200)을 기준으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복수의 고정부재(140)는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된 거리는 등간격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140) 전부 또는 일부에는 사용 목적과 여건에 따라 상기 지지봉(200)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14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상기 고정부재(140)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140)는 상기 지지봉(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40)의 슬라이딩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40)는 하부가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외측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 지지봉(200)이 삽입된 상태로 상부프레임(110)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110)에는 둘레를 따라 레일(112)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140)는 상기 레일(112)에 체결되어 레일(112)의 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고정부재(14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지지봉(200)의 위치를 쉽게 가변시킬 수 있어 사용성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지지봉(200)은 막대 형상으로,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재(140)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봉(200)은 복수일 수 있다. 상기 지지봉(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지지대(300)는 다양한 조리용구U), 예컨대 불판, 냄비, 주전자 등을 지지하는 구조로,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화로(B)의 상부에 위치하고 조리용구U)가 거치되는 거치프레임(31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300)는 하나의 지지봉(200)에 복수가 연결될 수 있다.
거치프레임(310)은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조리용구U)가 거치되었을 때 조리용구U)의 아래에는 화로(B)의 열원이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300)는 상기 조리용구U)의 종류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불판이 거치되는 경우를 가정하였을 때 사각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냄비가 거치되는 경우를 가정하였을 때 원형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봉(200)과 지지대(300)의 연결 구조와 동작 상태를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봉(200)과 지지대(300)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지지대(300)는 상기 지지봉(200)에 결합 가능한 결합구(3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합구(320)는 상기 거치프레임(310)으로부터 연장되며 지지봉(200)에 결합됨에 따라 거치프레임(310)에 거치된 조리용구U)가 화로(B)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봉(200)은, 체결핀(220)이 삽입 가능하며 설정된 높이에 따라 구비된 복수의 지지홀(210)을 포함한다. 결합구(320)가 지지봉(200)에 결합된 상태로 체결핀(220)이 지지홀(210)에 삽입되면서 지지대(3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핀(220)은 상기 지지봉(200)의 일측을 관통하면서 지지봉(200)에 결합된 지지대(300)의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결합구(320)는 일례로 상기 지지봉(200)에 지지봉(20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봉(20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구(320)는 상기 지지봉(20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봉(200)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상기 결합구(320)의 단면은 C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측에 지지봉(200)이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체결핀(220)은 상기 결합구(320)의 아래에서 지지봉(200)을 관통하면서 결합구(320)가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보조한다. 결합구(320)는 지지봉(200)과 결합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좌우로 회전 가능하다.
하나의 지지봉(200)에는 복수의 결합구(32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결합구(320)와 연결된 거치프레임(310)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거치프레임(310)에 거치된 조리용구U)들은 좌우 회전과 동시에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 예에 상기 지지봉(200)은 상하로 결합 가능한 다수의 지지모듈(230)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모듈(230)은 인접한 지지모듈(230)과 결합 가능하도록 일측에 내측으로 함입된 삽입홈(232)이 구비되고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삽입구(231)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홈(232)과 삽입구(231)는 지지모듈(2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하로 인접한 지지모듈(230)들을 가정하면, 가운데 위치한 지지모듈(230)의 삽입홈(232)에 상부에 위치한 지지모듈(230)의 삽입구(231)가 삽입되고, 가운데 위치한 지지모듈(230)의 삽입구(231)가 하부에 위치한 지지모듈(230)의 삽입홈(232)에 삽입된다. 이와 반대로 가운데 위치한 지지모듈(230)의 삽입구(231)가 상부에 위치한 지지모듈(230)의 삽입홈(232)에 삽입되고, 가운데 위치한 지지모듈(230)의 삽입홈(232)에 하부에 위치한 지지모듈(230)의 삽입구(231)가 삽입될 수 있다.
삽입구(231)는 외측으로 돌출된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삽입홈(232)은 상기 원통 형상의 삽입구(231)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삽입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삽입구(231)는 삽입홈(232)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된다.
상기 지지모듈(230)에는 후술하는 지지대(300)가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지지모듈(230) 중 일부에만 상기 지지대(300)가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지지봉(200)은 사용자가 손쉽게 지지대(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한편, 다양한 종류의 지지대(300)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치시킬 수 있고 지지대(300)를 회전시키기도 용이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400)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지지대(300) 또는 지지봉(200)에 연결된 손잡이(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0)는 지지대(300) 또는 지지봉(20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상기 지지대(300) 또는 지지봉(2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손잡이(400)는 단열 소재로 형성되거나, 단열 소재로 형성된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 고정프레임
110 : 상부프레임 111 : 안착구
112 : 레일
120 : 하부프레임 130 : 다리
140 : 고정부재 141 : 고정핀
200 : 지지봉
210 : 지지홀 220 : 체결핀
230 : 지지모듈 231 : 삽입구
232 : 삽입홈
300 : 지지대
310 : 거치프레임 320 : 결합구
400 : 지지대
화로 : B
조리용구 : U

Claims (8)

  1. 화로에 설치 가능한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연결되어 높이가 고정되고, 상기 화로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조리용구가 거치되는 거치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하나의 지지봉에 복수가 서로 다른 높이로 위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는 다리; 및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봉이 고정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지지봉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상하로 서로 결합 가능한 다수의 지지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지지모듈 일부 또는 전부에는 상기 지지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거치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지봉에 결합 가능한 결합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은 체결핀이 삽입 가능하며 설정된 높이에 따라 구비된 복수의 지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지지봉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또는 상기 지지봉에 연결되며 단열 소재로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KR1020190102748A 2019-08-22 2019-08-22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KR102233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748A KR102233279B1 (ko) 2019-08-22 2019-08-22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748A KR102233279B1 (ko) 2019-08-22 2019-08-22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075A KR20210023075A (ko) 2021-03-04
KR102233279B1 true KR102233279B1 (ko) 2021-03-29

Family

ID=7517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748A KR102233279B1 (ko) 2019-08-22 2019-08-22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7539A (ko) 2022-06-02 2023-12-11 김윤철 회전식 불판이 구비된 화롯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8631B2 (ja) * 1996-03-29 2001-03-19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スペクトラムアナライザ
KR200244899Y1 (ko) * 2001-06-15 2001-10-17 김진만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KR200468275Y1 (ko) * 2012-09-24 2013-08-02 이석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불판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3732Y2 (ko) * 1990-08-09 1993-11-04
JP3148631U (ja) * 2008-10-23 2009-02-26 繁晴 田安 バーベキュコンロ
KR101511316B1 (ko) 2013-12-03 2015-04-20 이유구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대
KR101848570B1 (ko) 2016-12-23 2018-04-12 조성구 불판 높이가 조절되는 고기 구이용 로스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8631B2 (ja) * 1996-03-29 2001-03-19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スペクトラムアナライザ
KR200244899Y1 (ko) * 2001-06-15 2001-10-17 김진만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KR200468275Y1 (ko) * 2012-09-24 2013-08-02 이석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불판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7539A (ko) 2022-06-02 2023-12-11 김윤철 회전식 불판이 구비된 화롯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075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4134B2 (en) Electrical portable broiler
JP5462937B2 (ja) 改良両方向加熱調理器
KR102233279B1 (ko)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KR101998519B1 (ko)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KR101797097B1 (ko) 바베큐 구이 장치
KR200486690Y1 (ko) 화력 조절 기능을 갖는 숯불구이기
KR101622575B1 (ko) 적외선 가열조리기가 구비된 테이블
US9737170B2 (en) Wide flanged frying/cooking device with stand and safety plate
KR200482646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화덕장치
KR200468275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불판 조립체
CN106889904A (zh) 一种烤架
KR101718905B1 (ko) 구이장치
KR200244899Y1 (ko)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KR200472637Y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불판
KR102321294B1 (ko) 석쇠 교체가 가능한 탄화방지용 접이식 불판
KR20160086601A (ko) 야외용 로스터
KR100777675B1 (ko) 절첩식 식탁을 구비한 숯불구이기
KR20230000376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캠핑용 그릴
KR100630458B1 (ko) 회전식 조리부를 구비한 테이블형 구이장치
US20080141869A1 (en) Arrangement For a Grill
KR101511316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대
KR101479422B1 (ko) 숯불구이기
KR20180043949A (ko) 테이블 화로용 석쇠 높낮이 조절구
KR200361110Y1 (ko) 다용도 조리기
JP6084736B1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及び網焼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