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519B1 -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 Google Patents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519B1
KR101998519B1 KR1020180055521A KR20180055521A KR101998519B1 KR 101998519 B1 KR101998519 B1 KR 101998519B1 KR 1020180055521 A KR1020180055521 A KR 1020180055521A KR 20180055521 A KR20180055521 A KR 20180055521A KR 101998519 B1 KR101998519 B1 KR 101998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heating element
cover
main body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기
Original Assignee
김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기 filed Critical 김명기
Priority to KR1020180055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31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a fire box movable between different positions, e.g. horizontal, vertical, inclined
    • A47J37/0736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a fire box movable between different positions, e.g. horizontal, vertical, inclined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나 연기를 감소시킴은 물론 본체에 장착되는 제1 발열체를 기본으로 전골용기 또는 구이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본체의 일측으로 수납되는 이동형 발열부를 마련하며, 상기 본체에 마련된 거치부에 이동형 발열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그 구조를 개량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조리 용도에 적합한 열원을 일방향 또는 양방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 및 구이 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며, 이동형 발얄부가 본체에 수납되면 부피의 최소화가 이루어지므로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이점을 갖으며 이동형 발열부에 전원을 안전한 상태에서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A set for boiling food and cooking roast}
본 발명은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본체 내부에 장착된 제1 발열체를 통해 전골요리 또는 간편한 구이요리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본체의 일측으로 수납되는 이동형 발열부를 이용하여 구이 요리시 상하 양방향에서 열이 전달되어 빠르게 음식물을 익히도록 함은 물론 부피를 최소화가 가능하여 휴대 및 취급이 편리하도록 한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데우거나 조리하기 위한 장치들은 열 발생에 따라 전기 조리기, 가스 레인즈 및 숯을 이용하는 화구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열은 전도(Conduction)와 대류(Convection) 및 복사(Radiation)로 구분되고, 전도열은 주로 고체에 의해 전달되며 대류열은 주로 유체에 의해 전달되고 복사열은 어떤 발열체의 표면으로부터 에너지가 방출되는 과정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것이다.
현재 가장 선호하는 조리장치로는 가스 레인즈 및 전기 조리기이며, 특히 전기 조리기는 열량의 조절이 용이한 편리성이 있다.
상기 전기 조리기에 사용되는 발열체는 철크롬선 또는 니크롬선의 발열선으로 이루어지는 시즈히터와 적외선을 이용한 적외선 램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음식물을 익히기 위한 발열체는 전골용기 또는 구이판 하측에 장착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것이나 근래에는 전골용기 또는 구이판의 상측에 장착하기도 하고 상하측인 양방향에 장착하는 조리기들이 제안되었다.
상기 발열체가 전골용기 또는 구이판의 하측에 장착되는 경우는 국물을 포함하는 전골요리, 생선, 야채 및 육류 등을 익히는 것에 적합하고, 발열체가 전골용기 또는 구이판의 상측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전골요리를 제외한 모든 음식물 조리 및 육류를 태우지 않고 익히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발열체가 전골용기 또는 구이판의 상하측에 장착되는 경우는 빠른 조리를 위해 사용되었다.
또한, 전기 조리기 중에는 에어를 송풍하여 구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나 연기를 줄이고자 하는 것들이 다수 제안되었다.
예컨대 국내 등록특허 제10-0760790호(2007.10.04. 공고) "절전형 열산화 공기순환식 전기프라이팬"과, 등록특허 제10-1680521호(2016.12.06. 공고) "에어순환식 로스터"가 제안되었으며, 이들은 전골용기 또는 구이판의 하측에 발열체를 장착하고 송풍팬을 이용하여 데워지는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냄새나 연기를 순화시키면서 트레이에 수용된 물에 접촉시켜 냄새나 연기를 최소화하는 것으로, 열원이 전골용기 또는 구이판의 하측에만 장착되어 있으므로 빠르게 음식을 조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1539900호(2015.07.27. 공고) "양방향 가열 조리기" 및 등록특허 제10-1826787호(2018.02.08. 공고) " 다용도 복합 조리기"가 제안되었으며, 이들은 전골용기 또는 구이판의 상하측 발열체를 장착하여 빠르게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상부 발열체 부분이 항시 고정된 상태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부피가 크므로 보관 및 취급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국내 등록특허 제10-0760790호(2007.10.04. 공고) (문헌 2) 국내 등록특허 제10-1680521호(2016.12.06. 공고) (문헌 3) 국내 등록특허 제10-1539900호(2015.07.27. 공고) (문헌 4) 국내 등록특허 제10-1826787호(2018.02.08.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나 연기를 감소시킴은 물론 본체에 장착되는 제1 발열체를 기본으로 전골용기 또는 구이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본체의 일측으로 수납되는 이동형 발열부를 마련하며, 상기 본체에 마련된 거치부에 이동형 발열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그 구조를 개량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조리 용도에 적합한 열원을 일방향 또는 양방향에서 선택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 및 구이 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고, 이동형 발열부가 본체에 수납되면 부피의 최소화가 이루어지므로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이점을 갖으며 이동형 발열부에 전원을 안전한 상태에서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는 하부케이스와 이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면서 상측이 개방되고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끼워지는 기름받이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안착되면서 양측 벽면에 다수의 공기구멍이 천공되고 바닥면에 낙하하는 기름이 바로 통과하는 관통공이 천공된 방열판과; 상기 상부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제1 발열체와;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일측에 장착되어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 및 연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제1 발열체의 전원을 제어하는 온도조절기와 전원스위치: 및 상기 방열판에 안착되어 음식물을 익히는 전골용기 또는 구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발열체와 온도조절기 및 전원스위치는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1 커버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된 수납공간으로 끼워지는 지주와, 이 지주의 하단으로 돌출된 전원플러그와, 이 전원플러그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제2 발열체를 장착하는 몸체와, 이 몸체의 상하측에 결합되는 반사판, 제2 커버 및 안전망 그리고 온도조절기로 이루어지는 이동형 발열부가 마련되고; 상기 이동형 발열부의 지주는 제1 발열체만 사용할 때에는 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수납공간으로 끼워지고, 이동형 발열부의 몸체 및 제2 커버는 본체의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의 타측에 접하여 결합되는 수납구조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름받이를 하부케이스에 안정적으로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하면서, 제2 발열체를 갖는 이동형 발열부를 직립 상태로 이탈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제1 커버에 설치되면서 상하 양방향에서 발생되는 열을 통해 고기를 빠르게 익힐 수 있도록 하고, 이동형 발열부의 사용 및 보관시 항상 안전하게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제1 마이크로스위치 및 제2 마이크로스위치를 마련하며, 이동형 발열부의 지주가 빠져나온 제1 커버의 유입구를 마개로서 안전하게 차단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는 구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나 연기를 감소시킴은 물론 본체에 장착되는 제1 발열체를 기본으로 전골용기 또는 구이판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제1 발열체 및 이동형 발열부의 제2 발열체를 선택 사용함으로써 조리 용도에 적합한 열원을 일방향 또는 양방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 및 구이 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며, 이동형 발열부가 본체에 수납되면 부피의 최소화가 이루어지므로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이점을 갖으며, 제1 마이트로수위치 및 제2 마이크로스위치가 이동형 발열부의 제2 발열체 사용 여부에 따라 전원을 인가 및 차단하므로 항상 안전하고, 마개가 유입구를 개폐하므로 이물질 등의 유입이 차단되어 안전하고, 기름받이 역시 히부케이스에 수납되는 구성이므로 안정적이면서 위생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를 전골용으로 사용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선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4의 "D"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를 구이용으로 사용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E-E선 확대단면도.
도 9는 도 7의 F-F선 확대단면도.
도 10은 도 3의 "G" 부분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발열부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발열부의 회전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하부케이스(11)와 이 하부케이스(11)에 결합되면서 상측이 개방되고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12)로 이루어지는 본체(1)와, 상기 하부케이스(11)에 끼워지는 기름받이(13)와, 상기 상부케이스(12)에 안착되면서 양측 벽면에 다수의 공기구멍(21)이 천공되고 바닥면에 낙하하는 기름이 바로 통과하는 관통공(22)이 천공된 방열판(2)과, 상기 상부케이스(12)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제1 발열체(31)와, 상기 하부케이스(11)와 상부케이스(12)의 일측에 장착되어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 및 연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는 송풍팬(32)과, 상기 제1 발열체(31)의 전원을 제어하는 온도조절기(33)와 전원스위치(34) 및 상기 방열판(2)에 안착되어 음식물을 익히는 뚜껑(141)을 갖는 전골용기(14) 또는 기름배출구멍(151)이 중앙에 천공된 구이판(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본 기술을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본 기술을 이용하되 본 발명은 도 1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구이판(15)의 중앙 및 방열판(2)의 중앙에는 고기를 익힐 때 발생하는 기름을 낙하시켜 수집할 수 있도록 가늘고 긴 장공의 기름배출공(151) 및 관통공(22)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송풍팬(32)이 작동하면 구이판(15)에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를 바로 외부로 상승시키지 않고 실내공기와 함께 방열판(2)의 일측 공기구멍(21)을 통해 방열판(2)의 저면 및 하부케이스(11)의 사이로 이동시키면서 1차 희석시키고, 이어서 제1 발열체(31)의 열기와 접촉시켜 추가 감소시킨 후 다시 방열판(2)의 타측 공기구멍(21)으로 배출시키는 반복된 동작으로 고기를 구울 대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를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상기 작동은 통상적인 기술로서 이하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핵심기술은 송풍팬(32)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를 감소시키는 기존 구조로부터 전골요리 및 구이요리에 적합한 열원의 선택 사용이 편리하면서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고 구조적으로 부피의 최소화를 통해 휴대 및 취급이 간편하도록 하면서 구이요리의 조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구이용도의 이동형 발열부(4)를 본체(1)에 수납할 수 있도록 마련하고, 기름받이(13) 역시 안정적인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개량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먼저,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1 발열체(31)와 온도조절기(33) 및 전원스위치(34)는 본체(1)의 일측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1 커버(16)에 장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고기를 익힐 때 상측에서 열을 하측으로 전달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상기 수납구조 형태로 이루어지는 이동형 발열부(4)는 도 1 및 도 11에서와 같이 지주(41)와, 이 지주(41)의 상단에 결합되는 몸체(43)와, 이 몸체(43)에 고정되는 반사판(44)과 제2 커버(45)와 안전망(46)과 제2 발열체(35) 및 온도조절기(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지주(41)는 본체(1)의 하부케이스(11) 및 상부케이스(12)의 타측에 형성된 수납공간(17)으로 보관하도록 형성되면서 하단에는 돌출된 전원플러그(42)를 장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플러그(42)는 전원을 제2 발열체(35)에 전달하여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형 발열부(4)의 지주(41)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전골용기(14)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데울 때에는 제1 발열체(21)의 열기만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므로 이 때에는 본체(1)의 하부케이스(11) 및 상부케이스(12)의 타측에 형성된 수납공간(17)으로 끼워지고, 이동형 발열부(4)의 몸체(43) 및 제2 커버(45)는 본체(1)의 하부케이스(11) 및 상부케이스(12)의 타측에 접하여 결합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구이요리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육류의 기름을 수거하는 기름받이(13)는 제1 발열체(21)가 제1 커버(16)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들어낼 수 없는 구조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형 발열부(4)가 본체(1)로부터 분리되어 일측이 개방상태가 될 때 꺼낼 수 있도록 수납구조로 개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체(1)의 하부케이스(11)의 내측에 가이드 레일(18)을 형성하게 되고. 이 가이드레일(18)에 안착하여 수납되도록 기름받이(13) 양측에 날개(131)를 형성하고 선단 하부에 당겨 꺼낼 수 있는 파지홈(132)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구조의 기름받이(13)는 전골용기의 사용시 이동형 발열부(4)와 함께 본체(1)에 수납된 상태이므로 안정적이며, 이 상태는 도 7 내지 9에서와 같이 상하 양방향으로 열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이동형 발열부(4)를 본체(1)로부터 분리된 상태이면서 기름받이(13)의 파지홈(132)이 노출되는 상태이므로 바로 파지홈(132)을 이용하여 쉽게 당겨서 분리한 후 수거된 기름 등을 제거 및 세척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위생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측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제1 발열체(31)와 함께 구이판(15)에 놓여지는 고기를 상측에서도 열을 발생시키 위해서는 도 7 내지 9에서와 같이 이동형 발열부(4)를 본체(1)로부터 분리시킨 후 본체(1)의 제1 커버(16)에 직립상태로 거치하여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서 도 3 및 도 6에서와 같이 본체(1)의 제1 커버(16)의 상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거치용 유입구(161)를 형성하게 되고, 이 유입구(161) 내측 하단에는 제2 발열체(35)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소켓(51)이 장착되며, 상기 유입구(161)의 상측부분과 제1 커버(16) 사이에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내측의 걸림돌기(61)가 유입구(161) 내부로 회전 이동되고 외측의 버튼면(62)이 외부로 노출되는 잠금레버(6)를 마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 유입구(161)의 상단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비틀림스프링(71)에 의해 작동되는 마개(72)가 더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161)로 이동형 발열부(4)의 지주(41)가 끼워져 지주(41) 하단에 있는 전원플러그(42)가 상기 유입구(161) 내측 하단에 있는 전원소켓(51)에 접속될 때 지주(41)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홈(411)으로 상기 잠금레버(6)의 걸림돌기(61)가 끼워져 걸려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잠금레버(6)의 버튼면(62)을 도 10에서와 같이 누르면 걸림돌기(61)가 회전하면서 지주(41)의 걸림홈(411)으로부터 벗어나므로 지주(41)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지주(41)가 유입구(161)로부터 빠져나오면 마개(72)는 비틀림스프링(71)의 복원력으로 유입구(161)의 개방부분을 폐쇄하므로 이물질 등의 유입이 차단되어 위생적이면서 안전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구이요리 중 구이판(15)이 있는 고기의 정리 및 재투입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7 및 도 12에서와 같이 제2 커버(45)를 손으로 잡고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형 발열부(4)의 제2 발열체(35)를 고정하고 있는 몸체(43)가 좌우회전할 때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고 제2 발열체(35)의 위치가 구이판(15)의 중앙에 위치할 때 전원이 공급되어 열을 발생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제1 마이크로스위치(52)를 장착하게 된다.
상기 제2 발열체(35)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마이크로스위치(52)는 제2 커버(45)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 마이크로스위치(52) 접점을 접속 및 단락시키기 위해서는 지주(41)에 고정되는 고정편(48)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편(48)은 지주(41) 상단에 고정되어 몸체(43)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되며, 몸체(43)가 회전하기 위해서는 도 8 및 도 11에서와 같이 이동형 발열부(4)의 몸체(43)에 형성된 축관(421)이 지주(41)의 상단에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지주(41)에 고정되는 고정편(48)에 의해 몸체(43)가 지지되면서 회전되도독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동형 발열부(4)의 몸체(43)에 고정된 제2 커버(45) 및 제2 발열체(35)는 함께 회전하면서 도 7 및 도 12에서와 같이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마이크로스위치(52)가 몸체(43) 및 제2 커버(45)와 함께 중앙 또는 좌우측으로 회전할 때 제1 마이크로스위치(52)의 레버가 상기 고정편(48)에 형성된 돌출편(481)에 접촉 및 이격되면서 전원을 공급 및 단락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커버(16)의 유입구(161)의 하단에 장착된 전원소켓(51)은 마개(72)에 의해 보호되고 있지만 전원이 항시 공급되면 인위적으로 금속체를 강제로 유입ㅅ킬 때 합선 등이 발생하여 위험하므로 이동형 발열부(4)를 시용할 때만 전원이 공급되고 그외에는 차단되는 것이 안전하므로 이를 위하여 제2 마이크로스위치(53)를 마련하게 된다. 상기 제2 마이크로스위치(53)는 제1 커버(16)의 일측에 장착되어 미도시된 전원 케이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메인전원소켓(18)과 접속되면서 본체(1)의 제1 커버(16)에 형성된 유입구(161) 내측 하단에 장착된 전원소켓(51)으로 이동형 발열부(4)의 지주(41)에 장착된 전원플러그(42)가 끼워져 접속될 때 전원이 상기 전원소켓(51)으로 공급되고 지주(41)의 이탈시 전원 공급이 상기 전원소켓(51)으로 차단되도록 하부케이스(11)에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 마이크로스위치(53)는 사용이 불필요하여 이동형 발열부(4)가 분리되면 전원소켓(51)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되고, 이동형 발열부(4)를 본체(1)에서 분리시킨 후 제1 커버(16)의 유입구(161)에 끼워 거치시키면 거치되는 지주(41) 하단에 있는 전원플러그(42)가 전원소겟(51)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2 마이크로스위치(53)의 레버를 작동시켜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도면에서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선의 상호 연결에 대하여는 생략함.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내부 일측에 송풍팬(32)을 배치하고 중앙 하측에 기름받이(13)을 수용시키는 하부케이스(11) 및 상부케이스(12)로 이루어지는 본체(1)와, 이 본체(1)의 일측으로 결합되어 제1 발열체(31)을 본체(1) 내부로 위치시키고 온조조절기(33)와 전원스위치(34)와 메인전원소켓(54)과 잠금레버(6)와 마개(72) 및 전원소켓(51)을 장착한 제1 커버(16) 그리고 방열판(2)은 전골요리 또는 구이요리에 사용되는 기본 구성체이며, 용도에 적합하도록 전골용기(14) 또는 구이판(14)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고기를 양방향에서 열을 가하여 빠르게 고기를 익힐 수 있는 이동형 발열부(4)는 전골요리를 할 때에는 본체(1)의 수납공간(17)을 이용하여 도 2와 같이 본체(1)의 타측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동형 발열부(4)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본체(1)로부터 분리시킨 후 도 7에서와 같이 제1 커버(16)의 유입구(161)로 지주(41)를 밀어 넣으면 마개(72)는 도 10에서와 같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입구를 개방시키고 유입된 지주(41)의 하단에 장착된 전원플러그(42)가 전원소켓(51)에 접속됨과 동시에 지주(41)의 외부면이 제2 마이트로스위치(53)의 레버를 작동시켜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지주(41)에 형성된 걸림홈(411)이 잠금레버(6)의 걸림돌기(61)에 걸려 이탈이 방지된다.
반대로 상기 지주(41)는 잠금레버(6)의 버튼면(62)을 도 10에서와 같이 누르면 잠금레버(6)의 걸림돌기(61)가 지주(41)의 걸림홈(411)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며, 이때 제2 마이트로스위치(53)의 레버는 복귀되면서 전원소켓(51)으로 인가하던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안전하다.
상기 이동형 발열부(4)를 이용하여 도 9에서와 같이 고기를 익히면 열기가 상하 양방향에서 전달되므로 고기를 빠르게 익힐 수 있으며, 도 7 및 도 12에서와 같이 이동형 발열부(4)의 제2 발열체(35)의 위치를 좌우로 회전하여 고기를 꺼내거나 넣을 때 구이판(15) 전체가 노출됨으로써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제2 발열체(35)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던 제1 마이트로스위치(52)가 고정판(48)의 돌출편(481)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방지하면서 화상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름받이(13)는 전골요리에는 사용되지 않으므로 이동형 발열부(4)가 본체(1) 결합되어도 지장이 없으며, 양방향으로 열을 가하여 고기를 익힐 때는 이동형 발열부(4)가 본체(1)로부터 분리된 후 제1 커버(16)에 거치된 상태일 때 기름받이(13)의 파지홈(132)이 노출된 상태이므로 간편하게 인출하여 수집된 기름 등을 버리고 세척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따라서 이동형 발열부(4)가 본체(1)에 결합되어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부피의 최소화가 이루어지므로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이점을 갖으며, 제1 마이트로수위치(52) 및 제2 마이크로스위치(53)가 이동형 발열부(4)의 제2 발열체(35) 사용 여부에 따라 전원을 인가 및 차단하므로 항상 안전하고, 마개(72)가 유입구(161)를 개폐하므로 이물질 등의 유입이 차단되어 안전하고 위생적인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본체 11: 하부케이스
12: 상부케이스 13: 기름받이
14: 전골용기 15: 구이판
16: 제1 커버 17: 수납공간
2: 방열판 31: 제1 발열체
32: 송풍팬 33: 온도조절기
34: 전원스위치 35: 제2 발열체
4: 이동형 발열부 41: 지주
42: 전원플러그 43: 몸체
44: 반사판 45: 제2 커버
51: 전원소켓 52: 제1 마이크로스위치
53: 제2 마이크로스위치 54: 메인전원소켓
6: 잠금레버 61: 걸림돌기
62: 버튼면 71: 비틀림스프링

Claims (5)

  1. 하부케이스(11)와 이 하부케이스(11)에 결합되면서 상측이 개방되고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12)로 이루어지는 본체(1)와;
    상기 하부케이스(11)에 끼워지는 기름받이(13)와;
    상기 상부케이스(12)에 안착되면서 양측 벽면에 다수의 공기구멍(21)이 천공되고 바닥면에 낙하하는 기름이 바로 통과하는 관통공(22)이 천공된 방열판(2)과;
    상기 상부케이스(12)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제1 발열체(31)와;
    상기 하부케이스(11)와 상부케이스(12)의 일측에 장착되어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 및 연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는 송풍팬(32)과;
    상기 제1 발열체(31)의 전원을 제어하는 온도조절기(33)와 전원스위치(34): 및
    상기 방열판(2)에 안착되어 음식물을 익히는 전골용기(14) 또는 기름배출구멍(151)이 중앙에 천공된 구이판(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발열체(31)와 온도조절기(33) 및 전원스위치(34)는 본체(1)의 일측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1 커버(16)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1)의 하부케이스(11) 및 상부케이스(12)의 타측에 형성된 수납공간(17)으로 끼워지는 지주(41)와, 이 지주(41)의 하단으로 돌출된 전원플러그(42)와, 이 전원플러그(42)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제2 발열체(35)를 장착하는 몸체(43)와, 이 몸체(43)의 상하측에 결합되는 반사판(44), 제2 커버(45) 및 안전망(46) 그리고 온도조절기(47)로 이루어지는 이동형 발열부(4)가 마련되고;
    상기 이동형 발열부(4)의 지주(41)는 제1 발열체(21)만 사용할 때에는 본체(1)의 하부케이스(11) 및 상부케이스(12)의 타측에 형성된 수납공간(17)으로 끼워지고, 이동형 발열부(4)의 몸체(43) 및 제2 커버(45)는 본체(1)의 하부케이스(11) 및 상부케이스(12)의 타측에 접하여 결합되는 수납구조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13)는 당겨 꺼낼 수 있는 파지홈(132)을 선단에 형성하고 양측에 날개(131)를 형성하며, 상기 기름받이(13)를 수납할 수 있도록 본체(1)의 하부케이스(11)의 내측 송풍팬(32) 및 수납공간(17)에 근접하는 사이에 가이드 레일(18)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8)에 기름받이(13)의 날개(131)가 안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제1 커버(16)의 상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거치용 유입구(161)가 형성되고, 이 유입구(161) 내측 하단에 전원소켓(51)이 장착되며, 상기 유입구(161)의 상측부분과 제1 커버(16) 사이에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내측의 걸림돌기(61)가 유입구(161) 내부로 회전 이동되고 외측의 버튼면(62)이 외부로 노출되는 잠금레버(6)가 마련되며, 상기 유입구(161)의 상단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비틀림스프링(71)에 의해 작동되는 마개(72)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구(161)로 이동형 발열부(4)의 지주(41)가 끼워져 지주(41) 하단에 있는 전원플러그(42)가 상기 유입구(161) 내측 하단에 있는 전원소켓(51)에 접속되면서 지주(41)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홈(411)으로 상기 잠금레버(6)의 걸림돌기(61)가 끼워져 걸림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발열부(4)의 몸체(43)에 형성된 축관(421)이 지주(41)의 상단에 끼워지고 지주(41)에 고정되는 고정편(48)에 의해 몸체(43)가 지지되면서 회전되도독 이루어지며, 이동형 발열부(4)의 몸체(43)에 고정된 제2 커버(47)에는 제2 발열체(35)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마이크로스위치(52)가 장착되고 몸체(43) 및 제2 커버(45)와 함께 중앙 또는 좌우측으로 회전할 때 제1 마이크로스위치(52)의 레버가 상기 고정편(48)의 돌출편(481)에 접촉 및 이격되어 전원을 공급 및 단락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제1 커버(16)에 형성된 유입구(161) 내측 하단에 장착된 전원소켓(51)으로 이동형 발열부(4)의 지주(41)에 장착된 전원플러그(42)가 접속될 때 레버가 작동하여 전원이 상기 전원소켓(51)으로 공급되고 지주(41)의 이탈시 레버가 복귀되면서 전원 공급이 상기 전원소켓(51)으로 차단되도록 하부케이스(11)에 장착되는 제2 마이크로스위치(53)가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KR1020180055521A 2018-05-15 2018-05-15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KR101998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521A KR101998519B1 (ko) 2018-05-15 2018-05-15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521A KR101998519B1 (ko) 2018-05-15 2018-05-15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519B1 true KR101998519B1 (ko) 2019-07-09

Family

ID=6726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521A KR101998519B1 (ko) 2018-05-15 2018-05-15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5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7141A (zh) * 2020-04-10 2020-07-14 亿特机电实业(深圳)有限公司 一种可降低烟气排放量的火锅
WO2022048721A1 (en) 2020-09-04 2022-03-10 Bmsm Aps Vortex table barbecue and method for using a barbecue
JP7438586B1 (ja) 2023-01-05 2024-02-27 ディーエヌダブリュー リミテッド 空気循環式電気ロースター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534Y1 (ko) * 1999-06-14 2003-04-26 석무호 고기 구이기
US6930288B1 (en) * 2004-03-01 2005-08-16 Tsann Kuen Enterprise Co., Ltd. Cooking device with a warming compartment
KR100760790B1 (ko) 2006-12-27 2007-10-04 강규석 절전형 열산화 공기순환식 전기프라이팬
JP4783463B2 (ja) * 2010-02-09 2011-09-28 正秀 市川 液体を燻煙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20030118A (ko) * 2012-01-26 2012-03-27 이진희 열원체가 승하강 되는 조리용기
KR20120082379A (ko) * 2012-06-01 2012-07-23 이진희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
KR20120005542U (ko) * 2012-06-11 2012-08-01 이진희 로스터의 상부 전기 히터 조립체
KR101437858B1 (ko) * 2014-05-03 2014-09-04 이예순 다용도 열기구
KR101464629B1 (ko) * 2014-05-27 2014-11-25 (주)헤움 양방향 가열타입 구이기
JP2015004493A (ja) * 2013-06-21 2015-01-08 株式会社コロナ 石油ストーブ
KR20150013401A (ko) * 2014-12-18 2015-02-05 이진희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101553198B1 (ko) * 2015-07-20 2015-09-15 (주)헤움 슬라이드 로스터
KR101586708B1 (ko) * 2014-01-30 2016-01-19 한청수 훈연기 겸 바베큐기기
KR101641461B1 (ko) * 2015-04-03 2016-07-20 김봉준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KR101680521B1 (ko) 2016-06-03 2016-12-06 (주)헤움 에어순환식 로스터
KR101715572B1 (ko) * 2016-10-11 2017-03-22 박종찬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KR101826787B1 (ko) 2017-05-19 2018-02-08 주식회사 듀얼라인 다용도 복합 조리기

Patent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534Y1 (ko) * 1999-06-14 2003-04-26 석무호 고기 구이기
US6930288B1 (en) * 2004-03-01 2005-08-16 Tsann Kuen Enterprise Co., Ltd. Cooking device with a warming compartment
KR100760790B1 (ko) 2006-12-27 2007-10-04 강규석 절전형 열산화 공기순환식 전기프라이팬
JP4783463B2 (ja) * 2010-02-09 2011-09-28 正秀 市川 液体を燻煙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20030118A (ko) * 2012-01-26 2012-03-27 이진희 열원체가 승하강 되는 조리용기
KR20120082379A (ko) * 2012-06-01 2012-07-23 이진희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
KR20120005542U (ko) * 2012-06-11 2012-08-01 이진희 로스터의 상부 전기 히터 조립체
JP2015004493A (ja) * 2013-06-21 2015-01-08 株式会社コロナ 石油ストーブ
KR101586708B1 (ko) * 2014-01-30 2016-01-19 한청수 훈연기 겸 바베큐기기
KR101437858B1 (ko) * 2014-05-03 2014-09-04 이예순 다용도 열기구
KR101464629B1 (ko) * 2014-05-27 2014-11-25 (주)헤움 양방향 가열타입 구이기
KR101539900B1 (ko) 2014-12-18 2015-07-27 이진희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20150013401A (ko) * 2014-12-18 2015-02-05 이진희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101641461B1 (ko) * 2015-04-03 2016-07-20 김봉준 전기 및 숯불 구이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가열 조리기
KR101553198B1 (ko) * 2015-07-20 2015-09-15 (주)헤움 슬라이드 로스터
KR101680521B1 (ko) 2016-06-03 2016-12-06 (주)헤움 에어순환식 로스터
KR101715572B1 (ko) * 2016-10-11 2017-03-22 박종찬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KR101826787B1 (ko) 2017-05-19 2018-02-08 주식회사 듀얼라인 다용도 복합 조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7141A (zh) * 2020-04-10 2020-07-14 亿特机电实业(深圳)有限公司 一种可降低烟气排放量的火锅
CN111407141B (zh) * 2020-04-10 2021-03-19 亿特机电实业(深圳)有限公司 一种可降低烟气排放量的火锅
WO2022048721A1 (en) 2020-09-04 2022-03-10 Bmsm Aps Vortex table barbecue and method for using a barbecue
JP7438586B1 (ja) 2023-01-05 2024-02-27 ディーエヌダブリュー リミテッド 空気循環式電気ロースタ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7322B2 (ja) 調理装置およびその構成要素
KR101826787B1 (ko) 다용도 복합 조리기
EP2392242B1 (en) Two-way heating cooker
US7250588B2 (en) Combination bread toaster and steamer device
EP2433529B1 (en) Improved two-way heating cooker
KR101464629B1 (ko) 양방향 가열타입 구이기
US8761588B2 (en) Bidirectional heating cooker
KR101998519B1 (ko)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US10849460B2 (en) Rotisserie turkey deep fryer
US20170251872A1 (en) Electric roasting oven having a domed lid and method of use
US10568460B2 (en) Portable electric grill having a domed lid and method of use
KR101643391B1 (ko) 적외선의 가열모듈을 갖춘 조리기구
WO2016099081A1 (ko) 양방향 가열조리기
EP1527722A1 (en) An electric grill
KR200469933Y1 (ko)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KR102236131B1 (ko)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KR20160017496A (ko) 적외선 가열 조리장치
US7339137B1 (en) Electric grilling appliance
KR101618604B1 (ko) 바베큐 장치
KR200487893Y1 (ko) 구이용 로스팅장치
CN214712128U (zh) 一种易清洗的多功能煎烤器具
CN215127607U (zh) 一种多功能便携式食品煎烤器具的机头
CA3102204C (en) Removable ash clean out assembly
KR200492414Y1 (ko) 전기 구이용 화로
KR102309098B1 (ko) 하이라이트를 이용한 일인용 전기 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