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899Y1 -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 Google Patents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899Y1
KR200244899Y1 KR2020010017912U KR20010017912U KR200244899Y1 KR 200244899 Y1 KR200244899 Y1 KR 200244899Y1 KR 2020010017912 U KR2020010017912 U KR 2020010017912U KR 20010017912 U KR20010017912 U KR 20010017912U KR 200244899 Y1 KR200244899 Y1 KR 200244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late
vertical movement
food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만
Original Assignee
김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만 filed Critical 김진만
Priority to KR2020010017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8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899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불판을 지지하는 별도의 불판받침틀을 구비하고 상기 불판받침틀이 소정 길이의 수직이동바(bar)에 장착되어 상기 수직이동바가 승하강함에 따라 불판과 연료가 연소하고 있는 본체와의 거리를 조절하여 필요한 양의 화력을 불판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음식물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직이동바가 상, 하로 이동할 수 있어 수직이동바에 지지되어 있는 불판받침틀과 이에 안착되어 있는 불판의 높이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음식물이 타거나 과도하게 익어 섭취하기에 곤란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기 편안한 위치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수직이동바와 불판받침틀이 음식물 구이기 본체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수직이동바와 이에 지지되어 있는 불판받침틀은 접어서 상기 불판받침틀, 수직이동바, 불판 등을 음식물 구이기 본체 내부에 수납할 수가 있어 운송 빛 보관이 용이하다.

Description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Food Roaster Having a Vertically Movable Grill}
본 고안은 불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음식물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판을 지지하고 있는 불판받침틀을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음식물을 굽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불판받침틀을 비롯한 부속 기구들을 분리하여 음식물 구이기 본체 안에 수납하므로써 운송과 보관이 용이하도록 고안된 음식물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나 생선 등의 음식물을 굽기 위한 종래의 음식물 구이기는 숯, 나무 등을 비롯한 연료를 담게되는 본체와 음식물을 올려놓아 구울 수 있는 불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불판은 본체 상부에 올려져 본체 내부에 있는 바베큐 연료가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화력에 의해 달구어지고 불판 사이로 화력이 올라오게 되어 이로 인해 불판 위에 놓여진 음식물들이 익거나 구워지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음식물 구이기는 일부 고가의 제품을 제외하고는 화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대부분 구비되어 있지 않고, 연료가 연소되고 있는 본체와 음식물이 올려져 있는 불판과의 사이가 가까워 연료의 불꽃이 음식물에 직접 닿거나 과도하게 되어 음식물이 본의 아니게 타는 경우가 발생하고 과도하게 익혀져 섭취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한편, 연료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화력 자체를 제어하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화력 자체를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 구이기가 가지고 있는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불판을 지지하는 별도의 불판받침틀을 구비하고 상기 불판받침틀이 소정 길이의 수직이동바(bar)에 장착되어 상기 수직이동바가 승하강함에 따라 불판과 연료가 연소하고 있는 본체와의 거리를 조절하여 필요한 양의화력을 불판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음식물 구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불판받침틀은 수직이동바와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수직이동바 역시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여 사용후에는 상기 불판 받침틀을 비롯한 부속 기구들을 본체에 수납하므로서 운송과 보관이 용이한 음식물 구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구이기의 일실시예를 분리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불판이 음식물 구이기 본체와 근접하게 하강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불판이 상승하여 음식물 구이기 본체와 이격되어 상승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음식물 구이기 본체 내부에 음식물 구이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수직이동바와 불판받침틀 등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구이기의 또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불판이 음식물 구이기 본체와 근접하게 하강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불판이 상승하여 음식물 구이기 본체와 이격되어 상승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음식물 구이기 본체 내부에 음식물 구이기본체로부터 분리된 수직이동바, 중간봉, 불판받침틀 등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음식물 구이기 본체 2 연료받이 스크린
3 스크린 받침편 4 공기 유입구
5 다리 6 바 삽입봉
7 중간봉 잠금장치 10 중간봉
11 바 잠금장치 20 수직이동바
21 제1바 22 제2바
23 연장봉 24 걸림홈
30 불판받침틀 31 불판받침편
32 걸림편 33 불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연료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연료를 올려놓을 수 있는 연료받이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으며 측면에는 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바 삽입봉이 설치되어 있는 본체와; 음식물을 올려놓는 불판과; 상기 불판이 안착되는 불판받침틀과; 상기 불판받침틀이 접혀져서 상기 수직이동바와 나란하게 되는 상태와 상기 수직이동바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불판받침틀이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상기 바 삽입봉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직이동바를 구비하여; 상기 수직이동바를 수직으로 이동함에 의하여 상기 불판과 상기 불판받침틀을 승하강시키므로써 본체와의 간격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된 바 삽입봉이, 상기 본체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고정봉과, 일단이 상기 고정봉에 삽입되어 직립되고 타단에는 상기 수직이동바가 삽입되어 원하는 위치에 놓여졌을 때 수직이동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중간봉으로 이루어진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수직이동바가, 바 삽입봉에 삽입되는 제1바, 그리고 상기 제1바와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위치하여 상부에서 상기 제1바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일측에는 상기 불판받침틀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제2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바 삽입봉의 일측에 분할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음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하여 살펴보므로써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수직으로 이동하여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한 불판을 구비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구이기의 일 실시예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구이기에는 숯이나 나무, 번개탄과 같은 연료를 담는 본체(1)가 구비된다. 상기 연료는 본체(1)에 설치된 연료받이 스크린(2) 위에 담겨진다. 상기 연료받이 스크린(2)은 본체(1)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져 위치하는데 본체(1)의 벽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크린 받침편(3) 위에 놓여진다. 연료의 연소 후 발생하는 재는 상기 연료받이 스크린(2)을 통해 본체 바닥에 모이게 된다.
본체(1)의 측면에는 연료의 원활한 연소와 화력 조절을 위해 공기가 유입될수 있도록 공기유입구(4)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의 외측면 하부에는 음식물 구이기를 지탱하는 다리(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의 일측면에는 불판을 상, 하로 이동시켜 불판과 연료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불판 높이조절기구가 구비된다. 다음에서는 상기 불판 높이조절기구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본체(1)의 일측면에는 바 삽입봉(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 삽입봉(6)의 단부에는 후술할 수직이동바(2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사용자가 수직이동바(20)를 승하강한 후 소정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 삽입봉(6)의 단부에는 바 잠금장치(11)가 구비된다.
상기 바 잠금장치(11)는 바 삽입봉(6)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홈을 형성하고 잠금볼트를 상기 홈에 회전 삽입해 수직이동바(20)를 조여 수직이동바(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도 있고, 바 삽입봉(6)에 구멍을 형성하고 수직이동바(20)에 다수개의 구멍을 높이 별로 형성하여 고정쇠를 바 삽입봉(6)의 구멍과 수직이동바(20)의 원하는 높이에 위치하는 구멍을 관통시켜 수직이동바(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바 잠금장치(11)는 반드시 위에 예시된 구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수직이동바(20)는 통상의 원형봉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바 삽입봉(6)에 삽입되어 상, 하로 이동하면서 그 삽입깊이를 조절하므로써 수직이동바(20)의 본체(1)로부터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하게 된다. 수직이동바(20)의 일측에는 불판(33)을 올려놓을 수 있는 불판받침틀(30)이 장착된다. 본 고안에서는,불판(33)을 구비한 상기 불판받침틀(30)이 사용시에는 상기 수직이동바(20)에 수직하게 위치하고 비사용시에는 접혀져서 상기 수직이동바(20)와 마주하여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불판받침틀(30)은 수직이동바(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불판받침틀(30)이 수직이동바(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일례를 살펴보면, 수직이동바(20)의 측면에는 수직이동바(20)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축을 갖고 수직이동바(20)의 양측으로 연장된 중실형의 연장봉(23)이 구비된다. 상기 연장봉(23)에는 불판받침틀(30)의 단부가 삽입이 되어 상기 불판받침틀(30)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화살표 방향으로 90도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연장봉(23)의 양측 단부에는 연장봉(23) 상부와 연장봉(23) 최우측 사이에 90도 각도로 걸림홈(24)을 형성한다.
상기 불판받침틀(30)에서 상기 연장봉(23)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상기 연장봉(23)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24)에 삽입되는 걸림편(32)을 형성한다. 사용을 위하여 상기 불판받침틀(30)을 수직이동바(20)와 나란하게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불판받침틀(30)을 회전시킬 때, 상기 불판받침틀(30)이 수직이동바(20)와 수직한 위치에 놓이게 되면 상기 걸림편(32)이 상기 걸림홈(24)의 양측에 걸리게 되어 불판받침틀(30)이 더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불판받침틀(30)이 수직이동바(20)와 수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 서술된 연장봉(23)의 걸림홈(24)과 불판받침틀(30)의 걸림편(32)으로 이루어진 구성은 불판받침틀(30)을 90도 각도로 펼치고 접기 위한 일 실시예일 뿐 그 방법은 본 고안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불판받침틀(30)은 불판(3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불판(33) 크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이 되는데, 그 모양은 불판(33)의 모양에 따라 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불판받침틀(30) 안쪽에는 불판(33)이 올려지게 되는데 상기 불판(33)은 불판받침틀(30) 모서리 또는 네 귀퉁이에 구비되어 있는 불판받침편(31)에 안착되어 사용함에 따라 교환이 필요할 때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불판받침틀(30)이 일측에 부착된 수직이동봉(20)이 상기 바 삽입봉(6)에 삽입되어 자유롭게 수직으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상기 바 삽입봉(6)의 일측에는 수직하게 개방되어 있는 개방홈(12)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다음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직이동바(20)를 수직으로 승하강하여 불판(33)의 높이를 조절하므로써 음식물을 적절한 화력으로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초반부에는 높은 화력이 필요하고 따라서 음식물이 연소하고 있는 연료와 근접할 필요성이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삽입봉(6)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바 잠금장치(11)를 풀어 수직이동바(20)를 아래로 하강시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판받침틀(30)이 하강해 불판(33)이 본체(1)와 근접하게 되어 음식물이 화력에 가까워지게 된다. 불판받침틀(30)이 원하는 위치로 하강한 상태에서 바 잠금장치(11)를 잠궈서 수직이동바(2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반면, 소정 시간동안 음식물이 본체(1)와 근접하여 조리가 된 후 천천히 조리할 필요가 있거나 이미 익혀진 음식물에 미열을 가해 음식물이 식지 않도록 할 경우 상기 바 잠금장치(11)를 풀어 수직이동바(20)를 상승시켜 도 3과 같이 필요한 높이에 맞춘 후 수직이동바(20)를 고정시키면 상기 불판(33)은 필요로 하는 열량만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음식물을 기립한 상태에서 섭취할 경우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상기 불판(33)의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어 사용자는 편안한 자세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구이기는 필요시 분리가 가능한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이동바(20)는 본체(1)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바 잠금장치(11)를 풀어 수직이동바(20)를 바 삽입봉(6)으로부터 빼낸 후, 수직이동바(20)에 지지되어 있는 불판받침틀(30)을 회전시켜 수직이동바(20)와 평행하게 접는다. 접혀진 불판받침틀(30)과 수직이동바(20)는 본체(1) 안에 수납된다.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구이기는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보관시 전용면적을 덜 차지하고 운반이 용이하다.
다음으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비하여 수직이동바(20)의 구성이 변형된 것이고, 바 삽입봉(6)이 조립식으로 구성된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직이동바(20)는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평행하게 위치하며 그 상부에서 서로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는 제1바(21)와제2바(22)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바(21)는 바 삽입봉에 삽입되며(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바(21)가 중간바(10)에 삽입됨), 상기 제2바(22)의 하단부에는 불판받침틀(3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에는 제1바(21)와 제2바(22)의 사이에 공간이 있고, 그 공간으로 상기 바 삽입봉의 측면이 지나갈 수 있으므로(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간바(10)의 측면이 지나감), 앞서 살펴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바 삽입봉 일측에 수직한 개방홈이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바 삽입봉(6)이 조립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 삽입봉(6)은 본체(1)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고정봉(13)과, 상기 고정봉(13)에 삽입되는 중간봉(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봉(13)에 중간봉 잠금장치(7)를 설치하게 되면 고정봉(13)에 삽입되는 중간봉(10)의 위치를 가변시킨 후 임의의 위치에서 중간봉(1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간봉 잠금장치(7)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바 잠금장치(11)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중간봉(10)은 속이 비어 있는 관형이며 상부 단부로는 수직이동바(20)가 삽입된다(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수직이동바(20)의 상기 제1바(21)가 삽입됨). 상기 중간봉(10)의 상부 단부에는 수직이동바(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바 잠금장치(14)가 구비된다.
도 5 내지 도 8에는 각각 위 실시예에서 불판받침틀(30)이 하강한 상태, 불판받침틀(30)이 상승된 상태, 및 중간봉(10), 불판받침틀(30) 등과 같은 부품이 분리되어 본체(1) 내에 수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서 살펴본 도 2내지 도 4의 경우와 같으므로 반복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이, 바 삽입봉(6)을 고정봉(12)과 중간봉(10)으로 이루어진 조립식으로 구성하게 되면, 구이기의 사용 후에 구이기의 정리 및 보관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즉, 사용 후에는 중간봉(10)을 고정봉(13)으로부터 빼내어 본체(1)로부터 분리하고 바 잠금장치(14)를 풀어 수직이동바(20)를 중간봉(10)으로부터 분리할 수가 있다. 또한 수직이동바(20)에 지지되어 있는 불판받침틀(30)을 회전시켜 수직이동바(20)와 평행하게 접을 수 있다. 상기 분리된 중간봉(10)과, 불판받침틀(30)을 지지하고 있는 수직이동바(20)를 본체(1) 안에 수납하므로써 구이기를 쉽게 정리하고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바 삽입봉(6)을 위와 같이 조립식으로 형성하면서도 수직이동바(20)를 제1바(21) 및 제2바(22)의 형태로 구성하지 않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간봉(10)의 일측면에도 불판받침틀(30)이 일측에 부착된 수직이동봉(20)이 상기 바 삽입봉(6)에 삽입되어 자유롭게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수직 개방홈(13)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는 수직이동바가 상, 하로 이동이 가능하여 수직이동바에 지지되어 있는 불판받침틀과 이에 안착되어 있는 불판의 높이를 사용자가 자유 자재로 조절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음식물이타거나 과도하게 익어 섭취하기에 곤란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기 편안한 위치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구이기는 수직이동바와 중간봉이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수직이동바와 이에 지지되어 있는 불판받침틀은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불판받침틀, 수직이동바, 중간봉, 불판 등을 본체 내부에 수납할 수가 있어 운송 빛 보관이 용이하다.

Claims (3)

  1. 연료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연료를 올려놓을 수 있는 연료받이 스크린(2)을 구비하고 있으며 측면에는 바 잠금장치(11)가 구비되어 있는 바 삽입봉(6)이 설치되어 있는 본체(1)와;
    음식물을 올려놓는 불판(33)과;
    상기 불판(33)이 안착되는 불판받침틀(30)과;
    상기 불판받침틀(30)이 접혀져서 상기 수직이동바(20)와 나란하게 되는 상태와 상기 수직이동바(20)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불판받침틀(30)이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상기 바 삽입봉(6)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직이동바(20)를 구비하여;
    상기 수직이동바(20)를 수직으로 이동하여 상기 불판(33)과 상기 불판받침틀(30)을 승하강시키므로써 본체(1)와의 간격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바(20)는,
    상기 바 삽입봉(6)에 삽입되는 제1바(21)와,
    상기 제1바(21)와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위치하여 상부에서 상기 제1바(21)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일측에는 상기 불판받침틀(3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제2바(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측면에 설치된 바 삽입봉(6)은,
    상기 본체(1)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고정봉(13)과,
    일단이 상기 고정봉(13)에 삽입되어 직립되고 타단에는 상기 수직이동바(20)가 삽입되어 원하는 위치에 놓여졌을 때 수직이동바(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바 잠금장치(14)가 설치되어 있는 중간봉(10)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이동바(20)의 일단은 상기 중간봉(10)의 일단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KR2020010017912U 2001-06-15 2001-06-15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KR200244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912U KR200244899Y1 (ko) 2001-06-15 2001-06-15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912U KR200244899Y1 (ko) 2001-06-15 2001-06-15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899Y1 true KR200244899Y1 (ko) 2001-10-17

Family

ID=7306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912U KR200244899Y1 (ko) 2001-06-15 2001-06-15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899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557B1 (ko) 2008-03-05 2009-12-14 조현도 야외용 숯불로스터의 석쇠높이 조절장치
KR200468275Y1 (ko) 2012-09-24 2013-08-02 이석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불판 조립체
KR101509123B1 (ko) * 2013-10-02 2015-04-07 김상준 구이 장치
KR101618083B1 (ko) 2014-12-29 2016-05-04 장태연 공예품 표면의 옻칠을 위한 높이 조절 장치
KR101646171B1 (ko) * 2015-10-30 2016-08-05 주식회사 비텍 석쇠 이동 장치 및 이 석쇠 이동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바비큐 그릴
KR20170000166U (ko) 2015-07-03 2017-01-11 신갑환 그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이기
KR20210023075A (ko) * 2019-08-22 2021-03-04 이제강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557B1 (ko) 2008-03-05 2009-12-14 조현도 야외용 숯불로스터의 석쇠높이 조절장치
KR200468275Y1 (ko) 2012-09-24 2013-08-02 이석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불판 조립체
KR101509123B1 (ko) * 2013-10-02 2015-04-07 김상준 구이 장치
KR101618083B1 (ko) 2014-12-29 2016-05-04 장태연 공예품 표면의 옻칠을 위한 높이 조절 장치
KR20170000166U (ko) 2015-07-03 2017-01-11 신갑환 그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이기
KR101646171B1 (ko) * 2015-10-30 2016-08-05 주식회사 비텍 석쇠 이동 장치 및 이 석쇠 이동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바비큐 그릴
KR20210023075A (ko) * 2019-08-22 2021-03-04 이제강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KR102233279B1 (ko) * 2019-08-22 2021-03-29 이제강 화로에 이용 가능한 조리용구 거치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84066A (en) Charcoal burner
CA2868084C (en) Adjustable fire pit grill
US20020179081A1 (en) Barbeque grill with retractable ventilation system
US8365717B1 (en) Barbecue accessory and method of use
JP7204262B2 (ja) 携帯性及び取扱性の容易な携帯用炭火焼き器
KR100879805B1 (ko) 휴대용 바비큐 구이기
KR200480913Y1 (ko) 캠핑용 확장형 조립식 화로대
KR200244899Y1 (ko)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KR200432974Y1 (ko) 일회용 숯불구이기
US5307789A (en) Multi-purpose gas heated cooking apparatus
KR100899260B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KR20130134678A (ko) 그릴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고기구이기
KR200361851Y1 (ko) 야외용 숯불 바베큐 구이기
KR200383470Y1 (ko) 음식물 구이기
JP2013200048A (ja) 組立て式こん炉及び該こん炉の組立て方法
KR20100090673A (ko) 야외 구이기용 꽂이 회전장치
KR200484407Y1 (ko) 석쇠 승강식 바비큐 그릴
KR20110010262U (ko)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KR200179509Y1 (ko) 고기 구이기
KR20080003396U (ko) 숯불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야외용 숯불구이기
KR200198107Y1 (ko) 구이기
KR200361110Y1 (ko) 다용도 조리기
KR101511316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대
EP1306043B1 (en) Barbecue
KR200166423Y1 (ko)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