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423Y1 -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423Y1
KR200166423Y1 KR2019990017213U KR19990017213U KR200166423Y1 KR 200166423 Y1 KR200166423 Y1 KR 200166423Y1 KR 2019990017213 U KR2019990017213 U KR 2019990017213U KR 19990017213 U KR19990017213 U KR 19990017213U KR 200166423 Y1 KR200166423 Y1 KR 200166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te
grill
portable folding
main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해광요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해광요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해광요업
Priority to KR2019990017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4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4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컨대 숯과 같은 연소체를 열원으로 소고기나 돼지고기 등과 같은 육류를 구울 수 있는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류가방의 형식로 접철(摺綴)되고 또 분리도 가능한 두 개의 본체로 이루어져 있어서 휴대가 간편하고 또 동시에 많은 인원이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는, 개방면이 서로 맞대어져 접합될 수 있게 마주보는 측면의 개방면측 모서리가 상대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각 개방면의 반대쪽에는 통기수단(12)(13)을 구비하고 연소체가 담겨질 수 있는 용기형상의 두 개의 본체(1)와; 상기 본체 바닥으로부터 상기 통기수단 보다 높은 위치의 상기 본체 내벽에서 돌출된 복수 개의 받침턱(11)에 얹어져 연소체를 상기 본체의 통기수단 보다 높은 위치에서 떠받치는 대략 석쇠형태의 연소체 받침대(2)와; 상기 각 본체의 개방면에 각각 얹어지는 적어도 2 개의 구이판(3)(4)과; 상기 각 본체의 적어도 두 개의 측면에 상기 본체의 개방면 반대방향에서 조립되어 펼쳐진 상기 두 본체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4 개 이상의 조립식 다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PORTABLE FOLDING GRILL}
본 고안은 예컨대 숯과 같은 연소체(燃燒體)를 열원(熱源)으로 소고기나 돼지고기 등과 같은 육류(肉類)를 구울 수 있는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류가방의 형식로 접철(摺綴)되어 결합되고 또 분리도 가능한 두 개의 본체로 이루어져 있어서 휴대가 간편하고 많은 인원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육류에 함유된 지방은 고기맛을 느끼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종의 성인병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육류로부터 지방을 제거할 수 있는 조리법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숯불구이나 돌구이 또는 바베큐 구이 등은 지방을 제거할 수 있는 대표적인 조리법들로서, 이 조리법들은 대상 구이물로부터 기름기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린내를 없애는 탈취효과도 있기 때문에 특히 소고기나 돼지고기 등과 같이 지방 함유량이 많고 비린내가 많이 나는 육류를 조리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숯불구이는 조리가 간편하고 숯 특유의 향으로 고기를 훈증(熏蒸)하여 입맛을 돋굴수 있기 때문에 더욱 각광받고 있다. 이에 숯불화로 위에 얹어 사용할 수 있는 석쇠형 구이대가 음식점 등에 대량으로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구이대는 반드시 화로(火爐)와 쌍을 이루어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보관 및 휴대가 매우 번거로워 가정용 혹은 야외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인은 숯과 같은 연소체(燃燒體)를 열원으로 사용하면서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여 가정용 혹은 야외용으로 적합한 다목적(多目的) 구이기를 개발하여 실용등록출원 제98-14881호로서 출원한 바 있다.
이 다목적 구이기는 양측에 기름받이홈을 갖는 알루미늄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앙 개방면에 아래로 내려앉는 형태로 얹어지는 용기형상의 화로와, 상기 본체를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접철식(接綴式)다리와, 상기 본체 상면에 얹어지는 구이판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이 종래 다목적 구이기는 가볍고 부피가 작아서 휴대 및 보관이 비교적 용이하여 가정용으로서 적합하고, 또, 그 구이판이 게르마늄(Ge)이 함유된 법랑(琺瑯)으로 코팅처리되어 있어서 고기가 잘 눌어붙지 않고 중금속이 석출될 우려가 없어 인체에도 무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 다목적 구이기는 본체와 화로 및 구이판 등의 구성들이 서로 결합될 수 없는 완전분리형이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 도중에 구성의 일부가 망실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보관 또는 운반시 구이판이 외부에 노출되어 먼지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되기 때문에 보관/휴대시 사전 세척여부를 불문하고 사용할 마다 다시 세척해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사용할 때 고기에서 흘러나온 기름이 본체에 차체에 성형된 기름받이에 고여 본체 전체가 기름에 오염되기 때문에 세척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 다목적 구이기가 가진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해소된 것으로, 게르마늄(Ge) 법랑 코팅처리되어 구이판에 고기가 잘 눌어붙지 않음은 물론, 분리가 가능하면서 구이판 등의 나머지 구성들을 모두 함유한 채로 서류 가방과 같이 접철식으로 결합되는 두 개의 본체로 이루어져 있어서 휴대 및 보관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망실이나 파손의 우려가 없는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의 사용을 위해 조립되는 과정을 보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의 두 본체 사이의 결합구조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의 보관을 위해 조립되는 과정을 보인 조립사시도.
도 6는 도 5의 Ⅵ-Ⅵ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가 보관 또는 휴대를 위해 일체로 조립되어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연소체 받침대
3 : 석쇠형 구이판 4 : 판형 구이판
5 : 조립식 다리 6 : 경첩
7 : 기름받이 8 : 잠금장치
9 : 손잡이 11 : 받침턱
12 : 통기공 13 : 통기조절판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안출된 본 고안의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는 개방면이 서로 맞대어져 접합될 수 있게 마주보는 측면의 개방면측 모서리가 상대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각 개방면의 반대쪽에는 통기수단을 구비하는 연소체가 담겨질 수 있는 용기형상의 두 개의 본체(1)와; 상기 본체(1) 바닥으로부터 상기 통기수단 보다 높은 위치의 상기 본체(1) 양측 내벽에 돌출성형된 복수 개의 받침턱(11)에 얹어져 연소체를 상기 본체(1)의 통기수단(12)(13) 보다 높은 위치에서 떠받치는 대략 석쇠형태의 연소체 받침대(2)와; 상기 각 본체(1)의 개방면에 각각 얹어지는 적어도 2 개의 구이판(3)(4)과; 상기 각 본체(1)의 적어도 두 개의 외측벽(1a)(1b)에 상기 본체의 개방면 반대방향에서 조립되어 상기 두 본체(1)를 펼쳐진 상태에서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4 개 이상의 조립식 다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두 본체(1)는 분리가능한 경첩(6)에 의해 고정되고 또 상기 각 조립식 다리(5)는 상기 본체(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다단(多段)의 조립식 단봉(51)(5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이판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 개의 철제(鐵製)살들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엮여진 석쇠형 구이판(3)이거나, 또는, 중앙부가 불룩하고 길이방향으로는 복수 개의 슬롯형 훈제공(40)들이 각각 기름유도홈(41)을 사이에 두고 복수 개의 열을 지어 형성되며 일단에는 상기 기름유도홈(41)에 의해 유도된 기름을 낙하시키는 기름배출공(42)이 형성된 판형 구이판(4)이고, 아울러, 상기 판형 구이판(4)이 얹어지는 상기 본체(1)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판형 구이판 기름배출공(42) 하부에서 서랍식으로 탈착되는 기름받이(7)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의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구조와 기능을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립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을 이루는 구성은 표면에 내열성, 내식성 및 내마모성 등을 위하여 게르마늄(Ge)을 함유한 법랑이 코팅되고 바닥이 곡면인 용기형상의 본체(1), 상기 본체(1)의 바닥 위에 얹어지는 석쇠형태의 연소체 받침대(2), 본체(1)의 개방면에 얹어지는 구이판(3)(4), 그리고, 상기 본체(1)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다리(5) 등으로 대별하여 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로 이루어진 본체(1)는 예컨대 숯과 같은 연소체가 담겨지는 금속제 용기로서, 도 3과 같이 분리형 경첩(6)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들 각 본체(1)의 상부 개방면에는 내향턱(1c)이 성형되어 구이판(3)(4)이 얹어지고, 최하부로부터 약간 위쪽에 위치한 바닥면에는 비늘형태로 절개된 후 내측으로 돌출된 받침턱(11)이 성형되어 그 위에 숯과 같은 연소체를 본체(1) 바닥에 대하여 떠받칠 수 있는 연소체 받침대(2)가 얹어진다. 그리고, 4 개의 측면 중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두 개의 측면(1a)(1b)에는 통기(通氣)수단으로서 상기 연소체 받침턱(11) 보다 낮은 위치에 통기조절판(13)이 설치되는 통기공(12)이 형성되고, 각 외측벽에는 본체(1) 보다 길이가 짧은 높이조절봉(51)과 지지봉(52)이 양단에 순차적으로 끼워 맞추어져 본체(1) 지지용 다리(5)를 이루는 대략 n 자형 중공의 고정봉(50)이 부착된다. 그리고, 각 본체(1)의 자유단측에는 도 1 및 도 8과 같이 두 본체(1)를 맞대어 접합시킬 수 있게 하는 잠금장치(8)와 휴대를 간편하게 하는 손잡이(9)가 각각 설치된다.
받침대(2)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제(鐵製)살 여러 개가 사각형 석쇠형태로 엮여져 이루어진 것으로, 본체(1)의 받침턱(11)에 걸쳐지며, 그 위에 놓여지는 예컨대 숯과 같은 연소체를 소정의 높이로 떠받쳐 연소체 하부와 본체(1) 바닥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통기공(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연소체에 공급되게 한다.
본체(1)의 상면에 얹어지는 구이판(3)(4)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종류로서, 하나는 소고기와 같이 기름배출량이 적은 고기류를 구울 때 사용하는 석쇠형 구이판(3)이고, 다른 하나는 삽겹살과 같이 기름배출량이 많은 고기류를 구울 때 사용하는 판형 구이판(4)이다.
그 중에 특히 판형 구이판(4)은 도 1, 2 및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으로 불룩하고(도 5와 도 6에서는 구이판(4)이 뒤집혀져 있어 아래로 불룩함) 표면에 훈제를 위한 다수의 훈제공(40)과 기름배출을 위한 기름유도홈(41)들이 서로 교번되게 각각 열을 지어 형성된다. 또 그 열의 끝부분 중앙에는 기름배출공(42)이 형성되어 구이판(4) 중앙에서 집중적으로 구워지는 고기에서 배어나오는 기름이 기름유도홈(41)을 따라 흘러 기름배출공(42)에서 신속하게 배출되어 기름이 고기로부터 효과적으로 탈리(脫離)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아울러 이 판형 구이판(4)에 대응하여 두 개의 본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기름배출공(42) 하부에서 그 기름배출공(42)에 맞닿은 기름배출관(14)을 통해 낙하하는 기름을 수거할 수 있는 기름받이(7)가 본체(1) 저면의 부착된 미끄럼 안내판(15)에 서랍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중앙부분에서 구워진 고기에서 배어나온 기름은 기름유도홈(41)을 따라 흘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름배출공(42)에서 기름배출관(14)을 통해 떨어져 그 기름배출관(14) 하부의 기름받이(7)에 포집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짐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는 다음과 같은 조립방법으로 조립되거나 혹은 분해되어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조립되거나 혹은 반대로 휴대할 수 있는 상태로 조립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봉(51)과 지지봉(52)을 본체(1)의 측면 고정봉(50)에 순차적으로 끼워 지지용 다리(5)를 조립형성하여 두 본체(1)를 펼쳐 놓는다. 이어 각 본체(1) 내에 연소체 받침대(2)를 받쳐 놓고 그 받침대(2) 위에 숯과 같은 연소체를 놓고 불을 점화시킨 후 구이판(3)(4)을 본체(1) 개방면에 얹으면 도 1과 같이 고기를 구울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 도 3의 경첩(6)을 분리하고 각 본체(1)마다 별도 조립식 다리(5)를 조립한 후 두 본체(1)를 떼어 놓으면,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인원이 동시에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이 끝나면, 먼저 기름받이(7)를 빼내어 기름받이(7)에 수거된 기름을 제거하고 각 구성품들을 분해하여 세척한다. 이어 도 5와 같이 본체(1) 바닥에 받침대(2)를 놓은 후 그 위에 다리부품들(50)(51)(52)과 기름받이(7)를 순서대로 수납하고 구이판(3)(4)을 뒤집어 본체(1)의 개방면을 덮으면 도 6과 같이 구이판(3)(4)이 덮개 역할을 하여 다른 구성품들(2)(7)(51)(52)이 모두 본체(1)에 수납된다. 이 상태에서 두 본체(1)를 접고 잠금장치(8)를 걸어 잠그면, 두 본체(1)가 경첩(6)과 잠금장치(8)의 작용으로 다른 구성들을 수납한 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과 같은 형태로 부피가 축소된 상태로 결합되어 운반 및 보관이 아주 용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는 분리가능한 두 개의 본체(1)로 이루어져 두 본체(1)를 분리 설치하는 경우 동시에 많은 인원이 사용할 수 있으며, 또 기타의 구성부품들을 수납한 상태에서 두 본체(1)가 가방과 같은 형태로 부피가 축소된 상태에서 결합되므로 운반 및 보관이 매우 간편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유기적 작용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체가 구이판 등의 나머지 구성들을 모두 함유한 채로 서류 가방과 같이 접철식으로 결합되므로, 휴대 및 보관이 매우 간편하고, 휴대 중에 각 구성품이 망실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거의 없으며, 구이판 등을 청결한 상태로 보관/휴대할 수 있어 사용할 때마다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둘째, 두 개의 본체를 분리하여 각각 별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동시에 많은 인원이 사용할 수 있다. 또 고기 종류에 따라 구이판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육류를 그 조리방법에 맞게 구울 수 있다.
셋째, 구이판 및 본체 표면에 코팅된 게르마늄을 함유한 법랑에 의해 고기가 구이판 등에 눌어붙지 않음으로써 고기를 타지않게 고르게 익힐 수 있고 또 굽는 과정에서 고기가 눌어붙어서 생기는 연기나 그을음 또는 냄새 등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법랑 코팅에 의해 구이판 및 본체의 내열성, 내식성 및 내마모성 등이 크게 강화되어 내구수명이 길다.
넷째, 고기가 눌어붙지 않고 또 구워지는 고기에서 배어나온 기름을 기름받이에 수거하여 버릴 수 있으므로 사용 후 세척이 아주 용이하다.
다섯째, 다리 조립시 높이조절봉의 선택적 사용에 따라 구이판의 높이 조절도 가능하여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개방면이 서로 맞대어져 접합될 수 있게 마주보는 측면의 개방면측 모서리가 상대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각 개방면의 반대쪽에는 통기수단을 구비하고 연소체가 담겨질 수 있는 용기형상의 두 개의 본체(1)와;
    상기 본체(1) 바닥으로부터 상기 통기수단 보다 높은 위치의 상기 본체(1) 양측 내벽에 돌출성형된 복수 개의 받침턱(11)에 얹어져 연소체를 상기 본체(1)의 통기수단(12)(13) 보다 높은 위치에서 떠받치는 대략 석쇠형태의 연소체 받침대(2)와;
    상기 각 본체(1)의 개방면에 각각 얹어지는 적어도 2 개의 구이판(3)(4)과; 그리고,
    상기 각 본체(1)의 적어도 두 개의 외측벽(1a)(1b)에 상기 본체의 개방면 반대방향에서 조립되어 상기 두 본체(1)를 펼쳐진 상태에서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4 개 이상의 조립식 다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철식(摺綴式) 구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 두 개는 분리가능한 경첩(6)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립식 다리(5)는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고 상기 본체 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다단의 단봉(51)(5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3)(4)은 적어도 하나는 다수 개의 철제살들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엮여진 석쇠형의 구이판(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3)(4) 중 적어도 하나는 중앙부가 불룩하고 길이방향으로는 복수 개의 슬롯형 훈제공(40)들이 각각 기름유도홈(41)을 사이에 두고 열을 지어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기름유도홈에 의해 유도된 기름을 낙하시키는 기름배출공(42)을 포함하는 판형 구이판(4)이고,
    상기 판형 구이판(4)이 얹어지는 상기 본체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판형 구이판 기름배출공 하부에서 서랍식으로 탈착되는 기름받이(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
KR2019990017213U 1999-08-19 1999-08-19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 KR200166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213U KR200166423Y1 (ko) 1999-08-19 1999-08-19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213U KR200166423Y1 (ko) 1999-08-19 1999-08-19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423Y1 true KR200166423Y1 (ko) 2000-02-15

Family

ID=1958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213U KR200166423Y1 (ko) 1999-08-19 1999-08-19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42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617B1 (ko) * 2011-10-06 2012-06-12 주종완 훈제 겸용 바비큐 구이기
KR101407213B1 (ko) * 2013-07-05 2014-06-13 서명훈 휴대용 조립식 그릴
KR101554201B1 (ko) 2015-07-10 2015-09-18 사승진 다기능 화로대 테이블
WO2015178563A1 (ko) * 2014-05-23 2015-11-26 이영희 휴대용 숯불구이기
KR101643645B1 (ko) * 2016-03-30 2016-07-28 공재철 일회용 구이기 셋트
KR102242029B1 (ko) * 2020-05-13 2021-04-19 주식회사 벨락 그릴/꼬치 구이 가능한 휴대용 화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617B1 (ko) * 2011-10-06 2012-06-12 주종완 훈제 겸용 바비큐 구이기
KR101407213B1 (ko) * 2013-07-05 2014-06-13 서명훈 휴대용 조립식 그릴
WO2015178563A1 (ko) * 2014-05-23 2015-11-26 이영희 휴대용 숯불구이기
KR20150134961A (ko) * 2014-05-23 2015-12-02 이윤희 휴대용 숯불구이기
KR101642370B1 (ko) 2014-05-23 2016-07-25 이윤희 휴대용 숯불구이기
KR101554201B1 (ko) 2015-07-10 2015-09-18 사승진 다기능 화로대 테이블
KR101643645B1 (ko) * 2016-03-30 2016-07-28 공재철 일회용 구이기 셋트
KR102242029B1 (ko) * 2020-05-13 2021-04-19 주식회사 벨락 그릴/꼬치 구이 가능한 휴대용 화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0491A (en) Portable combination cooking grill
US3943837A (en) Dual purpose barbecue grill and rotisserie
US4158992A (en) Combination hibachi-type grill and rotisserie
US4165683A (en) Barbecue apparatus
US3276351A (en) Portable charcoal cooker
EP3925499A1 (en) Portable roaster that facilitates portability and handleability
US11439275B2 (en) Barbecue grill and smoker
KR200166423Y1 (ko)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
US6213004B1 (en) Portable broiling device
KR20110017690A (ko) 레저용 꼬치 구이기
US20050155496A1 (en) Roaster oven
US6883512B2 (en) Portable grilling apparatus
KR20070000744U (ko) 다용도 불고기 구이장치
KR20220071335A (ko) 조립식 항아리형 바비큐 장치
KR102012239B1 (ko)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KR19980073219A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200155315Y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KR20030091080A (ko) 직화구이기
AU765383B1 (en) A cooking device
US10278537B2 (en) Compact versatile portable cooker
KR102475613B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KR19980065176U (ko) 구이판 및 상기 구이판을 가지는 다목적 구이기
KR100683537B1 (ko) 조립식 바비큐그릴
KR20130090047A (ko) 기름 배출 석쇠 구이 장치
KR200323023Y1 (ko) 숯불구이기의 선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