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537B1 - 조립식 바비큐그릴 - Google Patents

조립식 바비큐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537B1
KR100683537B1 KR1020060086673A KR20060086673A KR100683537B1 KR 100683537 B1 KR100683537 B1 KR 100683537B1 KR 1020060086673 A KR1020060086673 A KR 1020060086673A KR 20060086673 A KR20060086673 A KR 20060086673A KR 100683537 B1 KR100683537 B1 KR 100683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barbecue grill
charcoal
binding
therm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진
Original Assignee
윤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진 filed Critical 윤용진
Priority to KR1020060086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바비큐 그릴에 관한 것으로, 바비큐그릴 본체를 이루고 있는 정면부, 하면부, 측면부, 배면부 및 그릴받침부가 각각 분리되어 있어서 필요시 각각의 부분을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각각의 부분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전면부와 하면부를 결합하였을 때 전면부와 하면부의 빈공간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하단부의 통기구를 통하여 숯이나 연소체 등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숯이나 연소체 등을 효과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는 조립식 바비큐그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비큐 그릴의 각각의 부분을 조립하여 완성함으로써, 이동이 용이하고 그 부피가 적어 보관하기도 쉬우며, 분리 후 세척이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조립식 바비큐그릴

Description

조립식 바비큐그릴{A Kit Barbecue Grill}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바비큐그릴의 각각의 부분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2a, 2b, 2c, 2d 및 2e는 본 발명의 조립식 바비큐그릴의 조립순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바비큐그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 바비큐그릴의 조립이 완성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정면부, 11:결속고리, 12:결속돌기, 13:홈
20:하면부, 21:측면결속돌기, 22:결속홈, 23:후면결속돌기, 24:통기구
30:측면부, 31:결속홈, 32:이동용손잡이구멍
40:배면부, 41:결속고리, 42:홈, 43:결속홈
50a, 50b:그릴받침부, 51a, 51b:결속홈
본 발명은 조립식 바비큐그릴에 관한 것이다.
오래전부터 숯이나 연소체(燃燒體) 등의 열을 이용하여 육류를 구워 먹는 요 리법이 발달하여 다양한 종류의 바비큐 그릴이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숯불구이용 그릴은 숯을 담은 화덕 위에 석쇠 등을 얹어 그 위에 고기를 구워먹는 형태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형태의 구이용 기구는 그 부피가 한정되어 있으며, 무게가 무거워서 이동 및 보관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제 1999-0017213호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는 개방면이 서로 맞대어져 접합될 수 있게 마주보는 측면의 개방면측 모서리가 상대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각 개방면의 반대쪽에는 통기수단을 구비하고 연소체가 담겨질 수 있는 용기형상의 두개의 본체와; 상기 본체 바닥으로부터 상기 통기수단 보다 높은 위치의 상기 본체 내벽에서 돌출된 복수 개의 받침턱에 얹어져 연소체를 상기 본체의 통기수단 보다 높은 위치에서 떠받치는 대략 석쇠형태의 연소체 받침대와; 상기 본체의 개방면에 각각 얹어지는 적어도 2개의 구이판과; 상기 각 본체의 적어도 두개의 측면에 상기 본체의 개방면 반대방향에서 조립되어 펼쳐진 상기 두 본체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조립식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접철식 구이기에 있어서 두개의 본체는 분리가능한 경첩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되므로 그 크기가 고정되어 보관이 용이하지 않고, 그 이동시에도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18470호 야외용 바베큐 구이기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 및 조절하여 구이를 보다 상황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외형 케이스 내부에 숯불의 변화에 따라 석쇠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고정대 등의 부재를 구비하고, 그 상측으로 다양한 목적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야외용 바비큐 구이기의 외형케이스 또한 그 크기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비큐그릴 본체를 이루고 있는 정면부(10), 하면부(20), 측면부(30), 배면부(40) 및 그릴받침부(50a 및 50b)가 각각 분리되어 있어서 필요시 각각의 부분을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각각의 부분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조립식 바비큐그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부(10)와 하면부(20)를 결합하였을 때 전면부(10)와 하면부(20)의 빈공간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하단부의 통기구(24)를 통하여 숯이나 연소체 등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숯이나 연소체 등을 효과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는 조립식 바비큐그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비큐그릴의 본체를 이루고 있는 정면부, 하면부, 측면부, 배면부 및 그릴받침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분 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바비큐그릴의 각각의 부분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바비큐그릴은 정면부(10), 하면부(20), 측면부(30), 배면부(40) 및 그릴받침부(50a 및 50b)로 구성된다.
상기 정면부(10)의 좌·우측면에는 조립식 바비큐그릴의 측면부(30)의 결속홈(31)에 삽입하여 결속할 수 있는 결속고리(11)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하면부(20)의 결속홈(22)에 삽입하여 결속할 수 있는 결속돌기(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에는 그릴받침부(50)를 얹어 결속할 수 있는 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면부(20)의 중앙에는 숯이나 연소체 등의 연소를 돕기위한 통기구(24)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면부(20)의 일측에는 정면부(10)의 결속돌기(12)와 결합되는 결속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속홈(22)에 대응되는 반대측에는 배면부(40)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홈(43)에 삽입하여 결합되는 결속돌기(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측에 측면부(30)의 결속홈(3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측면결속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부(30)는 본 발명의 조립식 바비큐그릴의 좌우측의 측면을 형성하 며, 각각 정면부(10) 및 배면부(40)의 결속고리(11) 및 (41)와 하면부(20)의 측면결속돌기(21)를 삽입하여 결속할 수 있는 결속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립식 바비큐그릴이 조립 완성된 후 이동이 용이하도록 이동용손잡이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면부(40)는 본 발명의 조립식 바비큐그릴의 배면측을 구성하며, 좌우측에는 측면부(30)의 결속홈(31)에 삽입하여 결속할 수 있는 결속고리(41)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부(20)의 결속돌기(23)가 삽입되어 결속될 수 있는 결속홈(4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릴받침부(50a 및 50b)의 결속홈(51a 및 51b)과 결합되는 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그릴받침부(50a 및 50b)는 숯이나 연소체의 화력에 따라, 고화력용 그릴받침(50b) 및 저화력용 그릴받침(50a)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릴받침부(50a 및 50b)의 종단에는 하향으로 돌출된 결속홈(51a 및 51b)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배면부(40)의 홈(4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조립식 바비큐그릴을 이용하여 고기 등을 구울 때, 숯이나 연소체에서 고화력이 발생되면, 고화력용 그릴받침(50b)을, 저화력이 발생되면 저화력용 그릴받침(50a)을 사용하게 되는데, 고화력용 그릴받침(50b)은 일측 하단 방향으로 돌출된 결속홈(51b)이 저화력용 그릴받침(50a)의 결속홈(51a)보다 길게 돌출되어 열원 으로부터 그릴까지의 거리가 멀어 고기 등에 전해지는 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a, 2b, 2c , 2d 및 2e는 본 발명의 조립식 바비큐그릴의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면부(20)의 좌우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결속돌기(21)를 상기 측면부(30)의 결속홈(31)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때, 측면부(30)는 하면부(20)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하여 결합되며, 상기 하면부(20)의 좌우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결속돌기(21)와 결합하여 고정된다. 측면부(30)는 좌우가 동일하다.
도 2b는 상기 도 2a의 상태에서 배면부를 조립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측면부(30)가 결합된 하면부(20)의 후면결속돌기(23)를 배면부(40)의 결속홈(43)에 삽입하여 결합하며, 하면부(20)와 결합된 측면부(30)의 결속홈(31)에 상기 배면부(40)의 결속고리(41)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도 2c는 상기 도 2b의 조립 상태에 정면부를 조립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측면부(30) 및 배면부(40)가 결합된 하면부(20)의 결속홈(22)에 정면부(10)의 결속돌기(12)를 삽입하고, 상기 측면부(30)의 결속홈(31)에 정면부(10)의 결속고리(11)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도 2d 및 도 2e는 상기 조립상태에서 그릴을 조립하여 완성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측면부(30), 배면부(40), 하면부(20) 및 정면부(10)를 결합하여 조립식 바비큐그릴의 본체를 완성하고, 배면부(40)의 홈에 그릴받침부(50a 및 50b)의 결속홈(51)을 결합하고 상기 정면부(10)의 홈에 그릴받침부(50a 및 50b)를 얹어 완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릴받침부(50a 및 50b)는 숯이나 연소체의 화력에 의해 고화력용 그릴받침(도 2e 참조)을 사용하거나, 저화력용 그릴받침(도 2d 참조)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립순서는 조립식 바비큐그릴의 조립을 예시한 것으로, 그 조립 순서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바비큐그릴의 분해사시도로서, 정면부(10)의 결속돌기(12)가 하면부(20)의 결속홈(31)에 위치하도록 하여 결합하고, 좌우측의 측면부(30)의 결속홈(31)이 하면부(20)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결속돌기(21)에 위치하도록 결합하며, 배면부(40)의 결속홈(43)이 하면부(20)의 후면결속돌기(23)에 삽입시킨다.
상기 정면부(10), 하면부(20), 측면부(30) 및 배면부(40)의 결합을 통하여 완성된 바비큐그릴의 본체에 그릴받침부(50a 또는 50b)의 결속홈(51)을 배면부(40)의 홈(42)에 위치하도록 결합한 후, 정면부(10)의 홈(13)에 얹어 조립식 바비큐그 릴을 완성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 바비큐그릴의 조립 완성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바비큐그릴의 본체를 이루고 있는 정면부
(10), 하면부(20), 측면부(30), 배면부(40) 와 그릴받침부(50a 또는 50b)의 각각의 연결부분을 결속하여 바비큐그릴의 본체를 완성한다.
상기 완성된 조립식 바비큐그릴의 하면부(20)는 측면부(30) 및 배면부(40)와 결속될 때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결합하여 하면부(20)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구(24)에 숯이나 연소체 등의 연소를 돕기 위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연소가 끝난 재 등의 이물질이 통기구(24)를 통하여 하면부(20)와 지면 사이의 빈공간으로 유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면부(20)와 결속되는 정면부(10)를 배면부(40) 및 측면부(30)보다 높게 위치시켜 하면부(20)와 결합할 때 하측면 일부가 개방되어 통기구(24)로 공기를 공급하기 용이하도록 하며, 정면부(10)와 지면과의 빈공간으로만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숯이나 연소체에 공급하는 공기량의 조절이 용이하며, 정면부(10)와 지면과의 빈공간 이외로 부터의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상기 바비큐그릴을 실외에서 사용할 때, 바람 등에 의해 숯이나 연소체가 과연소되는 문제점을 제거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완성된 바비큐그릴에 숯이나 연소체 등을 넣고 화력에 따라 그릴받침부를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그릴받침부 위에 석쇠 및 불판 등을 얹어 사용하게 된다.
상기 바비큐그릴의 사용이 끝난 후에는 정면부(10), 하면부(20), 배면부(40), 측면부(30) 및 그릴받침부(50a 및 50b)를 각각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적은 공간으로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분리되므로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보았듯이 조립식 바비큐그릴을 제공함으로써, 각각 분리되어 있는 정면부(10), 하면부(20), 측면부(30), 배면부(40) 및 그릴받침부(50a 및 50b)를 필요시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각각의 부분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바비큐그릴의 전면부(10)와 하면부(20)를 결합하였을 때 전면부(10)와 하면부(20)의 빈공간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하단부의 통기구(24)를 통하여 숯이나 연소체 등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숯이나 연소체 등을 효과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조립식 바비큐 그릴에서 전면을 형성하는 정면부(10)와;
    상기 정면부(10)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숯이나 연소체 등의 연소를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통기구(24)를 구비하고 바비큐 그릴의 밑판을 구성하며, 조립 후 지상으로부터 이격되는 하면부(20)와;
    바비큐그릴의 좌·우측면을 구성하며 상기 정면부(10)와 하면부(20)의 측면에 결합되는 이동용 손잡이 구멍(32)이 형성된 측면부(30)와;
    바비큐그릴의 후면을 구성하며 상기 하면부(20)와 측면부(30)에 결합되는 배면부(40); 및
    상기 조립이 완성된 조립체에 얹어지는 일측이 하단방향으로 돌출된 결속홈(51a 및 51b)이 형성되며, 숯이나 연소체 등의 화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저화력용 그릴받침부(50a) 및 고화력용 그릴받침부(50b)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된 결속홈(51a 및 51b)의 길이는 고화력용 그릴받침부(50b)가 저화력용 그릴받침부(50a)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비큐 그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조립 후 상기 정면부(10)의 위치가 측면부(30) 및 배면부(40)보다 높아 숯이나 연소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비큐 그릴.
KR1020060086673A 2006-09-08 2006-09-08 조립식 바비큐그릴 KR100683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673A KR100683537B1 (ko) 2006-09-08 2006-09-08 조립식 바비큐그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673A KR100683537B1 (ko) 2006-09-08 2006-09-08 조립식 바비큐그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537B1 true KR100683537B1 (ko) 2007-02-16

Family

ID=38103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673A KR100683537B1 (ko) 2006-09-08 2006-09-08 조립식 바비큐그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785A (ko) 2022-06-14 2023-12-21 (주)오빌 조립식 화로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727Y1 (ko) * 1982-09-28 1984-12-17 김현직 조립식 고기구이기
KR200196697Y1 (ko) * 2000-03-23 2000-09-15 이문희 휴대용 바베큐구이기
KR100365593B1 (ko) * 1999-12-31 2002-12-26 주식회사에이테크엔지니어링 숯불조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727Y1 (ko) * 1982-09-28 1984-12-17 김현직 조립식 고기구이기
KR100365593B1 (ko) * 1999-12-31 2002-12-26 주식회사에이테크엔지니어링 숯불조리기
KR200196697Y1 (ko) * 2000-03-23 2000-09-15 이문희 휴대용 바베큐구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785A (ko) 2022-06-14 2023-12-21 (주)오빌 조립식 화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1608B2 (en) Barbecue grill with multifunction
CA2409623C (en) Divided oven rack
KR200469514Y1 (ko) 캠핑용 화로대 겸용 난로
TW202139841A (zh) 攜帶性及操作性便利的攜帶用烤爐
KR200389623Y1 (ko) 휴대용 조립식 숯불구이기
KR20110017690A (ko) 레저용 꼬치 구이기
KR100683537B1 (ko) 조립식 바비큐그릴
US6883512B2 (en) Portable grilling apparatus
KR200166423Y1 (ko) 휴대용 접철식 구이기
KR200491379Y1 (ko) 접이식 구이판
KR200394357Y1 (ko) 숯불 구이용 화로
WO1997027792A2 (es) Asador armable, portatil, de alto rendimiento mejorado
JP3546391B2 (ja) 組立式バーベキューコンロ
KR101785087B1 (ko) 스토브 겸용 구이기
KR20010105598A (ko) 구이기
KR102475613B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JP3223631U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及びバーベキューセット
KR200174139Y1 (ko) 숯불구이용 구이기
KR102297286B1 (ko) 활용도가 우수한 화로
CN217723296U (zh) 一种多功能炉子
CA2560500C (en) Folded oven rack
KR200353944Y1 (ko) 고기구이기용 석쇠
KR200467019Y1 (ko) 이중 열원을 갖는 구이기
KR101449842B1 (ko) 밀폐형 석쇠 구이기 구조
KR101814126B1 (ko) 드럼통 재활용 바비큐장치 및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