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457B1 -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 - Google Patents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457B1
KR101598457B1 KR1020140183129A KR20140183129A KR101598457B1 KR 101598457 B1 KR101598457 B1 KR 101598457B1 KR 1020140183129 A KR1020140183129 A KR 1020140183129A KR 20140183129 A KR20140183129 A KR 20140183129A KR 101598457 B1 KR101598457 B1 KR 101598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grill
plate
pan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현
Original Assignee
김소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현 filed Critical 김소현
Priority to KR1020140183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47J37/103Broiling- or heating-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판의 한쪽 면은 중심부분이 볼록한 형상으로 하여 육류 등을 구울 때 구이판으로서의 기능을 하고, 다른쪽 면은 평판 형상으로 하여 각종 볶음 요리를 할 때 프라이팬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육류 등을 구울 때도 기름이 밖으로 튀지 않고 연기가 나지 않게 하는,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은, 상부에 음식물이 놓이게 되는 불판; 불판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불판에서 발생한 기름을 받아주는 기름받이부가 구비된 하부받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불판은, 중심부분이 볼록하고 가장자리 쪽으로 낮아지도록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볼록면; 볼록면 측에서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테두리; 제1테두리의 내측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제1테두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일정 폭으로 형성된 기름유도구(溝); 기름유도구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장공(長孔); 볼록면의 반대측 면에 표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기름유도구의 내측에 형성된 평판면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요리시 발생하는 기름이 기름유도구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하부받침의 기름받이부에 수집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Grill pan without splash oil}
본 발명은 요리를 할 때 사용하는 그릴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불판으로 육류를 구울 때 사용하는 구이판 기능과, 후라이 또는 각종 볶음 요리를 하기 위한 평판 형상의 프라이팬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육류를 구울 때도 기름을 밖으로 튀지 않게 하는,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육류를 굽기 위해 사용하는 구이판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판을 주로 사용해 오다가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고기맛을 좌우하는 것이 알려진 후에는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은 천연암석을 판상(板狀)으로 가공한 돌판을 사용하였으나, 천연암석은 가공하는데 많은 비용과 기간이 소요되고 금속재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아 열을 저장하는 축열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돌판이 달궈지기 전에는 고기를 구울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방열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고기를 구울 때 쉽게 타면서 연기가 난다는 문제와, 무게가 무겁고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깨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금속판의 표면에 세라믹을 박형으로 코팅한 구이판은 금속판에 비해 세라믹의 코팅층이 얇기 때문에 원적외선 방사율이 적고, 금속판과 세라믹 간의 열팽창계수가 달라서 세라믹 코팅층이 금속판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세라믹 코팅층의 강도가 약해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490593호 "백탄이 함유된 세라믹 구이판 및 이 구이판의 제조방법", 특허등록 제520274호 "고기 구이판", 특허등록 제632974호 "황토 구이판 및 황토 구이판 제조방법", 특허등록 제1061827호 "이중 구이판", 특허등록 제1281088호 "이중 구이판"과 같이 구이판에 관해 많은 기술이 출현했다.
하지만, 상기 특허기술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출현한 모든 구이판은 고기를 구우면서 생기는 기름이 구이판 밖으로 튀기 때문에 구이판 주변이 기름으로 범벅이 되어 바닥이 미끄러워서 걸어다니다 넘어질 수도 있고, 기름기 묻은 미끈미끈한 바닥이나 씽크대 등을 청소하기도 힘들며, 구이판 밖으로 튀어나온 기름으로 인해 주위에 놓인 다른 반찬에 기름기가 앉아 제맛을 잃게 되며, 기름이 튀면서 구이판 주위에 있는 사람의 옷에 묻어서 한참 후에도 옷에서 냄새가 날 뿐만 아니라 피부에 화상을 입게 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고기를 굽기 위한 구이판과, 달걀 후라이 또는 각종 볶음 요리를 하기 위한 평판 형상의 프라이팬은 지금까지는 별도의 요리 기구였다. 즉, 구이판은 고기를 구우면서 발생하는 기름이 빠지게 하기 위해 솥뚜껑과 같이 중심부분이 높고 가장자리가 낮은 형상이지만, 프라이팬은 평평한 평판 형상이다. 따라서 두 개의 요리 기구를 별도로 장만하여 보관했다가 용도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불판의 한쪽 면은 중심부분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육류 등을 구울 때 구이판으로서의 기능을 하고, 다른쪽 면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여 후라이 또는 각종 볶음 요리를 할 때 프라이팬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육류 등을 구울 때도 기름이 밖으로 튀지 않고 연기가 나지 않게 하는,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은, 상부에 음식물이 놓이게 되는 불판; 상기 불판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불판에서 발생한 기름을 받아주는 기름받이부가 구비된 하부받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불판은, 중심부분이 볼록하고 가장자리 쪽으로 낮아지도록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볼록면; 상기 볼록면 측에서 가장자리 최외측을 따라 상향 및 하향으로 돌출되게 띠 형상으로 형성된 제1테두리; 상기 제1테두리 높이의 중심부 내측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제1테두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일정 폭으로 형성된 기름유도구(溝); 상기 기름유도구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장공(長孔); 상기 볼록면의 반대측 면에 표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기름유도구의 내측에 형성된 평판면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요리시 발생하는 기름이 기름유도구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하부받침의 기름받이부에 수집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부받침은, 최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가장자리벽; 상기 가장자리벽의 내측으로 가장자리벽보다 낮게 형성되고, 경사지도록 단(段)이 지게 형성된 경사단부(段部); 상기 경사단부의 내측으로 경사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구(溝) 형상으로 형성된 기름받이부; 상기 기름받이부 내측에 형성되어 화력(火力)이 불판의 하부에 직접 가해지도록 형성된 통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불판을 구이판 또는 프라이팬으로 사용하기 위해 하부받침에 얹혀졌을 때, 불판의 가장자리 최외측에 형성된 제1테두리의 외측면이 가장자리벽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단(段)이진 경사단부에 걸쳐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부받침의 외측 측면에는 손잡이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장공(長孔)과 장공 사이에 위치하는 기름유도구의 표면은, 양측에 위치하는 장공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거나, 일측에 위치하는 장공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의 불판은 양면이 서로 다른 형상인데, 즉 일면은 솥뚜껑과 같이 중심부분이 볼록한 형상이고 타면은 평판 형상이며, 불판의 가장자리 부근을 따라 등간격으로 장공(長孔)을 형성해 놓았기 때문에 육류 등을 구울 때는 솥뚜껑 형상의 면을 사용함으로써, 육류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 장공을 통해 불판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받침으로 흘러내려서 기름이 밖으로 튀지 않고 연기도 나지 않는다. 또한, 달걀 후라이나 각종 볶음 요리 등을 할 때는 평판 형상의 면을 사용함으로써 불판을 프라이팬으로서의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구이판과 프라이팬을 별도의 요리기구로 준비하지 않고 하나의 그릴팬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그릴팬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그릴팬의 하부받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그릴팬의 불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불판의 한쪽 면은 중심부분이 볼록한 형상으로 하고 다른쪽 면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여, 하나의 불판이 구이판과 프라이팬의 두가지 기능을 하면서 육류 등을 구울 때도 기름이 밖으로 튀지 않고 연기도 나지 않게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그릴팬'이란 불판의 양면을 모두 활용하여 프라이팬의 기능과 그릴의 기능을 모두 할 수 있으므로, 요리하는 음식물에 따라 양면 중 어느 한 면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즉 하나의 제품으로 두가지 기능을 모두 갖는 제품이기 때문에 명명한 것이라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의 그릴팬은, 굽고자 하는 육류나 생선 또는 요리할 음식물이 상부에 놓이게 되는 불판(20)과, 불판(20)을 받쳐 주는 하부받침(1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요리에 필요한 화력은 불판(20)의 하부에 가해지게 된다.
불판(20)은 기본적으로 상면과 하면 모두를 활용하며, 상면과 하면의 표면 형상이 다르고, 평면 형상은 둥그런 원판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반드시 원형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불판(20)의 재질은 알루미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금속과 세라믹, 석판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불판(20)의 상면은 중심부분이 볼록하고 가장자리 쪽으로 낮아지도록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솥뚜껑과 같은 형상의 볼록면(21)이고, 볼록면(21)의 반대측 면은 표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면(22)이다. 따라서 육류를 구울 때는 기름이나 물이 발생하기 때문에 기름이나 물이 흘러내리도록 볼록면(21)을 활용하고, 달걀 후라이나 볶음요리를 할 때는 평평한 면이 필요하기 때문에 평판면(22)을 활용하는 것이 편리하므로 불판(20)의 양면 모두를 활용한다.
볼록면(21) 측에서 가장자리 최외측을 따라 상향 및 하향으로 돌출되게 띠 형상으로 제1테두리(25)가 형성되어 있고, 제1테두리(25) 높이의 중심부 내측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제1테두리(25)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일정 폭으로 기름유도구(溝)(24)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름유도구(24)를 따라 등간격으로 장공(長孔)(2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볼록면(21)에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나 물은 볼록면(21)의 경사진 표면을 따라 흘러내려서 기름유도구(24)에 유도되고, 이들은 기름유도구(24)에 형성된 장공(23)을 통해 하부받침(10)의 기름받이부(13)에 수집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나 물이 장공(23)을 통해 빠져나가서 불판(2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기름받이부(13)에 수집되게 되므로, 고기를 구울 때 기름이나 물이 튀지 않게 되며 따라서 연기도 나지 않게 된다.
기름유도구(24)는 표면을 평평하게 형성해도 상관없지만, 원활하게 기름이나 물이 장공(23)으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해 장공(23)과 장공(23) 사이에 위치하는 기름유도구(24)의 표면을 양측에 위치하는 장공(23)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거나, 일측에 위치하는 장공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볼록면(21)의 반대측 면에 표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된 평판면(22)은 기름유도구(24)의 내측에 형성되는데, 볼록면(21)에서 봤을 때 기름유도구(24)는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평판면(22)에서 봤을 때는 평판면(22)의 표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되게 된다(도 2 참조). 그러므로 기름유도구(24)의 돌출된 양측벽은 평판면(22)에 봤을 때는 제2테두리(26) 역할을 하게 된다.
하부받침(10)은 불판(2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불판(20)을 받쳐 주고, 굽거나 요리하면서 불판(20)에서 발생한 기름이나 물이 흘러내렸을 때 이을 받아주는 역할을 한다. 하부받침(10)은 외측으로부터 중심부측으로 가장자리벽(11)과, 경사단부(段部)(12)와, 도랑 형상의 기름받이부(13) 및 구멍이 뚫린 통공부(14)가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가장자리벽(11)은 최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벽(11)의 내측으로는 가장자리벽(11)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경사진 단(段) 형상으로 경사단부(段部)(12)가 형성되어 있는데, 경사단부(12)에 불판(20)의 가장자리 부분이 걸쳐지고 제1테두리(25)의 외측면이 가장자리벽(11)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하여 불판(20)이 하부받침(10)에 얹혀지게 된다. 즉, 불판(20)을 구이판 또는 프라이팬으로 사용하기 위해 하부받침(10)에 얹혀졌을 때, 불판(20)의 가장자리 최외측에 형성된 제1테두리(25)의 외측면이 가장자리벽(11)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단(段)이진 경사단부(12)에 걸쳐지게 된다.
기름받이부(13)는 경사단부(12)의 내측으로 경사단부(12)보다 낮은 위치에 도랑과 같은 구(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굽거나 요리하면서 불판(20)에서 발생한 기름이나 물이 흘러내렸을 때 장공(23)을 통해 낙하하여 기름받이부(13)에 수집되게 된다.
통공부(14)는 기름받이부(13) 내측에 뚫어져서 형성된 구멍인데, 요리에 필요한 화력(火力)이 통공부(14)를 통해 불판(20)의 하부에 직접 가해지면서 불판(20)을 가열시키게 된다. 불판(20)이 하부받침(10)에 얹혀졌을 때 화력이 통공부(14)를 통해서만 불판(20)에 직접 가해지고, 통공부(14)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불판(20) 부분에는 화력이 닿지 않기 때문에 그 부분에 구워진 육류를 올려놓으면 기름도 빠지게 될 뿐만 아니라 육류가 타지도 않게 된다.
하부받침(10)은 별도의 손잡이가 없어도 상관은 없지만,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하부받침(10)의 외측면, 즉 가장자리벽(11)의 외측면 일측 또는 대칭되는 양측에 손잡이결합부(15)를 형성하여 손잡이(16)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하부받침 11 : 가장자리벽
12 : 경사단부(段部) 13 : 기름받이부
14 : 통공부 15 : 손잡이결합부
16 : 손잡이
20 : 불판 21 : 볼록면
22 : 평판면 23 : 장공(長孔)
24 : 기름유도구(溝) 25 : 제1테두리
26 : 제2테두리

Claims (5)

  1. 상부에 음식물이 놓이게 되는 불판;
    상기 불판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불판에서 발생한 기름을 받아주는 기름받이부가 구비된 하부받침;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불판은,
    중심부분이 볼록하고 가장자리 쪽으로 낮아지도록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볼록면;
    상기 볼록면 측에서 가장자리 최외측을 따라 상향 및 하향으로 돌출되게 띠형상으로 형성된 제1테두리;
    상기 제1테두리 높이의 중심부 내측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제1테두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일정 폭으로 형성된 기름유도구(溝);
    상기 기름유도구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장공(長孔);
    상기 볼록면의 반대측 면에 표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기름유도구의 내측에 형성된 평판면;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요리시 발생하는 기름이 기름유도구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하부받침의 기름받이부에 수집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받침은,
    최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가장자리벽;
    상기 가장자리벽의 내측으로 가장자리벽보다 낮게 형성되고, 경사지도록 단(段)이 지게 형성된 경사단부(段部);
    상기 경사단부의 내측으로 경사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구(溝) 형상으로 형성된 기름받이부;
    상기 기름받이부 내측에 형성되어 화력(火力)이 불판의 하부에 직접 가해지도록 형성된 통공부;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상기 불판을 구이판 또는 프라이팬으로 사용하기 위해 하부받침에 얹혀졌을 때, 불판의 가장자리 최외측에 형성된 제1테두리의 외측면이 가장자리벽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단(段)이진 경사단부에 걸쳐지게 되며,
    상기 하부받침의 외측 측면에는 손잡이가 결합되고,
    상기 장공(長孔)과 장공 사이에 위치하는 기름유도구의 표면은, 양측에 위치하는 장공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83129A 2014-12-18 2014-12-18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 KR101598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129A KR101598457B1 (ko) 2014-12-18 2014-12-18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129A KR101598457B1 (ko) 2014-12-18 2014-12-18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457B1 true KR101598457B1 (ko) 2016-02-29

Family

ID=5544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129A KR101598457B1 (ko) 2014-12-18 2014-12-18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4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3336A (zh) * 2019-11-20 2020-01-17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烤盘
KR20220138439A (ko) 2021-02-27 2022-10-13 남기원 캠핑용 이중 조리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448U (ko) * 1996-08-07 1998-05-15 이환중 솥뚜껑용 고기구이판
KR200318145Y1 (ko) * 2003-03-19 2003-06-27 강성웅 전골요리 겸용 돌 구이판
KR200368281Y1 (ko) * 2004-09-07 2004-11-18 (주)아이에스디지털 양면 겸용 조리판
KR20110000683U (ko) * 2009-07-15 2011-01-21 윤영삼 오븐형 직화조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448U (ko) * 1996-08-07 1998-05-15 이환중 솥뚜껑용 고기구이판
KR200318145Y1 (ko) * 2003-03-19 2003-06-27 강성웅 전골요리 겸용 돌 구이판
KR200368281Y1 (ko) * 2004-09-07 2004-11-18 (주)아이에스디지털 양면 겸용 조리판
KR20110000683U (ko) * 2009-07-15 2011-01-21 윤영삼 오븐형 직화조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3336A (zh) * 2019-11-20 2020-01-17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烤盘
KR20220138439A (ko) 2021-02-27 2022-10-13 남기원 캠핑용 이중 조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KR101709584B1 (ko) 조리용기 및 구이판 제조방법
US20170332840A1 (en) Cooktop Insert
KR101598457B1 (ko)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
JP5612792B1 (ja) 調理器用のグリル装置
KR20180006074A (ko) 철판을 가열하여 불맛을 내는 구이기
KR200472637Y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불판
KR102375564B1 (ko) 구이용 불판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KR100241237B1 (ko) 눋거나 기름이 튀지 않는 바닥을 갖는 구이판
KR101713432B1 (ko) 다기능 불판
JP2016104108A (ja) ガスコンロのグリル庫用陶磁器製調理器
KR200447619Y1 (ko) 조리기구
KR20130098513A (ko) 다용도 조리기구
US2880665A (en) Grill accessory for electric toasfers
US5465652A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238999Y1 (ko) 구이용 석쇠
KR200481251Y1 (ko) 다기능 불판 세트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102317772B1 (ko)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KR200359184Y1 (ko) 구이기
KR101256342B1 (ko) 구이장치
JP3162378U (ja) 蒸し野菜料理併用の焼肉用鍋
JPH05253076A (ja) 電気魚焼き器
JP2009000184A (ja) 蒸し野菜料理併用の焼肉用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