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281Y1 - 양면 겸용 조리판 - Google Patents

양면 겸용 조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281Y1
KR200368281Y1 KR20-2004-0025669U KR20040025669U KR200368281Y1 KR 200368281 Y1 KR200368281 Y1 KR 200368281Y1 KR 20040025669 U KR20040025669 U KR 20040025669U KR 200368281 Y1 KR200368281 Y1 KR 200368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cooking
weight
plate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신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에스디지털
김정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에스디지털, 김정신 filed Critical (주)아이에스디지털
Priority to KR20-2004-0025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2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2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면 겸용 조리판에 관한 것으로, 일면은 육류나 생선을 구울 수 있는 구이판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타면은 국물이 있는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는 전골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조리판으로 다양한 요리를 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리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1150∼3000℃의 온도 조건하에서 미세분말상의 숯, 휘발분, 회분 및 목초액이 일정 비율로 혼합된 숯 혼합물을 구이를 할 수 있는 경사상의 일면인 구이면과 일정 높이로 형성된 테두리를 통해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는 타면인 전골면 구조로 압축 성형하되 그 전체의 면에는 미세분말상의 숯 40∼60 중량%와 테프론 불소수지액 40∼60중량%를 혼합한 코팅액을 분사하여 200∼420℃의 온도 조건하에서20∼40분간 가열 냉각을 통해 탄소 코팅층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양면 겸용 조리판{Cooking panel for multiple both faces}
본 고안은 양면 겸용 조리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면은 육류나 생선을 구울 수 있는 구이판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타면은 국물이 있는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는 전골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양면 겸용 조리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판이라 함은 각 종 요리를 조리할 때 사용하는 기구로, 이러한 조리판에는 육류나 생선 등의 고기류를 구울 때 사용하는 구이판이 시중에 많이 유통되고 있다. 시중에 유통되는 구이판에는 통상 불꽃이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는 구조의 구이판과 불꽃이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에 직접적으로 닿는 구조의 구이판으로 대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이판의 재질로는 철, 황동,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등이 사용되며, 이러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조리용 구이판은 철판, 황동판, 알루미늄판 및 스테인리스판을 프레스를 통해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기도 하고, 주물방식으로 제조되기도 한다. 또한, 조리용 구이판은 아니지만 전통적인 구이기로써 사용되어져 온 석쇠가 있는데, 이러한 석쇠는 굵은 다수의 철선을 일정한 모양으로 연결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육류나 생선과 같은 고기류를 불에 구울 때 육류나 생선이 직접 불꽃에 닿아서 익혀지는 육류나 생선의 탄 부분에서 카르보인 유도체, 벤조피렌, 트리프Ⅰ 및 트리프Ⅱ 등의 발암물질이 생성된다는 연구 결과가 알려지면서 육류나 생선을 구워먹는데 따른 문제가 사회문제로까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육류나 생선을 구울 때 불꽃이 직접 육류나 생선에 닿지 않는 상태에서 육류나 생선을 구울 수 있는 구조의 구이판이 급격히 확산되기 시작하였고, 이와 병행하여 육류나 생선이 조리용 구이판의 바닥에 들러붙지 않으면서도 타지 않는 구이판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육류나 생선이 바닥에 들러붙지 않으면서도 타지 않는 구이판에 대한 연구와 노력의 결과로써 제조된 것으로는 육류나 생선을 구울 때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게르마늄 항균 맥반석 구이판, 탄소를 주성분으로 한 탄소성형체 구조의 구이판, 천연옥돌 및 천연석을 판의 형태로 가공하여 제조한 구이판 및 기타 철판, 황동판, 알루미늄판 및 스테인리스판 등에 코팅처리를 통해 육류나 생선이 들러붙지 않도록 한 구이판 등의 다양한 구이판이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육류나 생선이 바닥에 들러붙지 않으면서도 타지 않는 구조의 일반적인 구이판은 육류나 생선을 굽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국물이 있는 전골류와 같은 요리를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굽기 위한 구이판과 전골류를 조리하기 위한 전골판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이판은 대부분 판 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통상의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받침판 위에 안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구이판의 상부면으로부터 흐르는 기름 등이 하부면으로 흐르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면은 육류나 생선을 구울 수 있는 구이판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타면은 국물이 있는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는 전골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조리판으로 다양한 요리를 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리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타면의 테두리를 일정 높이도 형성함으로써 구이면으로부터 흐르는 기름 등이 하부면으로 흐르지 않고 테두리의 외주면 하단을 통해 받침판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기름 등으로 인하여 조리판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들 이외에 탄소분말을 압축하여 일정 형태로 성형한 후 표면을 코팅 처리함으로써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이 불에 직접 닿지 않으면서도 늘러붙지 않아 육류나 생선이 타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에 도움이 되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양면 겸용 조리판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 겸용 조리판을 보인 종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양면 겸용 조리판을 구이판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 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 겸용 조리판을 전골판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조리판 110. 탄소성형체
120. 테두리 130. 탄소 코팅층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양면 겸용 조리판은 1150∼3000℃의 온도 조건하에서 미세분말상의 숯, 휘발분, 회분 및 목초액이 일정 비율로 혼합된 숯 혼합물을 구이를 할 수 있는 경사상의 일면인 구이면과 일정 높이로 형성된 테두리를 통해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는 타면인 전골면 구조로 압축 성형하되 그 전체의 면에는 미세분말상의 숯 40∼60 중량%와 테프론 불소수지액 40∼60중량%를 혼합한 코팅액을 분사하여 200∼420℃의온도 조건하에서20∼40분간 가열 냉각을 통해 탄소 코팅층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숯 혼합물은 100∼120메쉬로 분쇄된 미세분말상의 숯과 휘발분 및 회분이 98.23 : 0.88 : 0.89 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94∼96 중량%와 목초액 4∼6 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면 겸용 조리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양면 겸용 조리판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 겸용 조리판을 보인 종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양면 겸용 조리판을 구이판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 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 겸용 조리판을 전골판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판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숯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과 견해에 대해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숯이란 탄소 재료로 특수한 성질이 있어 가정용, 농림어업용, 광공업용 등 그 용도가 다양하다. 숯의 주요 성분은 탄소(C14)와 무기질로, 흙으로부터 Ca, K, Na, Mg 등을 흡수한 나무를 구울 때 유기산과 수분은 증발되어 탄소와 무기질만 남게 된다. 이들 성분 중에서 흙으로부터 흡수된 게르마늄(Ge) 성분 등의 미량 광물질에 의해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것으로 추정되면, 숯의 원적외선 방사율은 93%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숯에는 공기와 물을 정화하는 기능이 있다. 이것은 숯의 조직과 구조를 바탕으로 한 물리적 기능, 숯에 포함되어 있는 미네랄과 숯의 산성도, 내부표면의 활성점 등에 의한 물리·화학적 기능 그리고 표면에 착색하는 미생물의 기능 때문이며, 이러한 것들이 서로 연관을 맺으며 기체나 액체를 정화시키게 된다.
또한, 숯에는 기체와 액체의 분자를 흡착하는 강력한 흡착력이 있다. 이러한 숯의 흡착에는 물리적 흡착과 화학적 흡착이 있는데, 물리적 흡착은 분자와 분자 사이에 인력에 의해 그대로 표면에 흡착되어지는 현상이고, 이것은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쉽게 분리된다. 반면, 화학적 흡착은 화학적으로 흡수하는 현상으로써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여도 쉽게 분리되지 않고 흡착분자가 분해되어 버린다.
따라서, 숯의 작용기전은 흡착력으로 설명할 수 있다. 숯은 제조과정에서 형성된 아주 미세한 수많은 구멍으로 되어 있어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숯의 미세구멍은 그 크기가 매우 다양하여 액체 상태로 된 여러 가지 물질을 흡착하고 결합시킬 수 있는 장소(Binding site)를 제공하게 되므로 숯이 흡착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즉, 숯의 내표면(Internal surface)의 특성은 미세공을 채울 수 있는 어떤 분자가 있으면 끌어당긴다는 것이다. 이것이 곧 숯이 가지는 흡착력이다. 이때, 분자간의 힘은 비교적 변화가 약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 숯을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면(예를 들어, 순수한 물에 노출시킨다) 흡착된 분자는 분리된다. 이것으로써 숯은 자신이 변화하거나 다른 물질을 변화시키지 않고서 단지 흡착작용만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목적에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갖는 숯의 효능에 대해 살펴보면 첫 째, 원적외선 방사기능으로, 숯은 다른 어떠한 물질보다도 원적외선의 방사율 및 방사 에너지가 탁월하다. 이러한 원적외선은 적외선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어느 광선보다 물체를 따뜻하게 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물질 속에 흡수되어 강한 작용을 하는 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방사 침투력 분자의 진동에 의한 공명 흡수 작용으로 에너지를 발생하여 분자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 째, 음이온 방출기능으로, 숯은 음이온 발산 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음이온은 각종 오염으로 급증한 주변의 양이온을 중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숯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은 공기를 정화시킬 수가 있다.
셋 째, 전자파 흡수기능으로, 이 기능은 숯의 전도성으로 각종 전기제품에서 나오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흡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네 째, 습도 조절기능으로, 숯은 1g당 수십만 개의 기공을 가지고 있어 주변에 수분이 많을 때는 흡수하고, 건조할 때는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숯의 습도 조절 기능에 의해 방충·방균효과와 곰팡이 번식 억제 및 탈취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섯 째, 부패방지 및 탈취기능을 들 수 있다. 숯은 식수 및 다른 많은 제품의 정제, 휘발성 물질의 회수, 냄새를 내는 물질이나 유색 물질을 흡착하는데 널리 이용될 정도로 유해세균, 가스, 냄새 등을 흡착하는 방취·방부의 효능이 매우 뛰어나다. 이러한 효능은 숯이 무수한 기공으로 이루어지고 도저히 믿기 어려울 만큼 그 표면적(숯에 형성된 기공의 내부표면을 측정하면 숯 1g당 약 200∼400m2의 단면적을 갖으며, 1g의 숯을 아주 곱게 부수면 모든 입자의 총 표면적은 약 1,200m2나 된다.)이 넓어 미생물이 서식하기에 아주 적합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실제로도 숯의 기공에는 박테리아나 방선균 등의 유익한 미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 미생물들은 숯의 표면에 흡착된 유해세균, 가스 및 냄새 등을 지속적인 분해작용을 통해 분해·제거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전술한 바와 같은 숯이 가지고 있는 기능인 원적외선 방사기능, 음이온 방출기능, 전자파 흡수기능, 습도 조절기능, 부패방지 및 탈취기능을 이용하여 육류나 생선을 굽거나 전골류를 조리할 때 육류나 생선의 냄새를 탈취함은 물론, 유해 중금속을 흡착 제거하여 보다 안전하고 맛있는 구이를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하나의 조리판으로 구이와 국물이 있는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이러한 조리판은 통상의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받침판에 안치되어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리판(100)은 육류나 생선류를 구울 수 있도록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일정의 경사상으로 형성되는 상면인 구이면과 국물 등이 있는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테두리(120)가 형성된 하부면인 전골면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조리판(100)은 그 주성분이 탄소성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판(10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조리판(100)은 미세분말상의 숯, 휘발분, 회분 및 목초액이 일정 비율로 혼합된 숯 혼합물을 1150∼3000℃의 온도 조건하에서 구이를 할 수 있는 경사상의 일면인 구이면과 일정 높이로 형성된 테두리를 통해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는 타면인 전골면 구조의 탄소성형체(110)로 압축 성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 성형되는 탄소성형체의 육류나 생선 등을 구울 수 있는 상면인 구이면은 그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하향 경사면을 이루고, 국물이 있는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는 하면인 전골면은 조리판(100)의 원주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 높이의 테두리(120)가 형성됨으로써 일정 깊이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때, 테두리(120)는 전골면을 형성되게 하는 기능을 함은 물론, 구이면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기름 등이 테두리(120)의 외주면을 타고 내려 하단을 통해 받침판(200)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 성형된 탄소성형체(110)의 전체면에는 미세분말상의 숯 40∼60 중량%와 테프론 불소수지액 40∼60중량%를 혼합한 코팅액을 일정 두께로 분사하여 200∼420℃의 온도 조건하에서20∼40분간 가열 냉각을 통해 육류나 생선 등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탄소 코팅층(130)이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판(100)의 구성에서 숯 혼합물은 100∼120메쉬로 분쇄된 미세분말상의 숯과 휘발분 및 회분이 98.23 : 0.88 : 0.89 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94∼96 중량%와 목초액 4∼6 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면의 구이면과 타면의 전골면이 형성된 구조의 조리판(100)은 육류나 생선류 등의 구이를 할 경우에는 상면인 구이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받침판(200) 상에 안치시키고, 국물이 있는 전골류와 같은 요리를 하는 경우에는 하면인 전골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받침판(200) 상에 안치시켜 조리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양면 겸용 조리판(100)의 성형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먼저, 1100℃ 이상의 온도 조건하에서 가열 제조된 백탄을 분쇄기를 통해 100∼12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미세분말상의 숯을 제조한 후, 미세분말상의 숯과 휘발분 및 회분을 98.23 : 0.88 : 0.89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94∼96 중량%와 목초액 4∼6 중량%를 혼합한다. 이때, 휘발분과 회분은 미세분말상의 숯 입자들이 상호 결합되어 뭉쳐질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이고, 목초액은 미세분말상의 숯, 휘발분 및 회분에 수분을 제공해 주는 구성물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혼합을 통해 반죽 상태가 된 숯 혼합물을 미세분말상의 숯 입자보다 더 고운입자의 미세분말상으로 2차 분쇄한다. 이때, 반죽 상태의 혼합물을 보다 더 고운입자로 2차 분쇄하는 이유는 금형을 통해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시 성형물의 조직이 보다 치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2차 분쇄된 미세분말상의 숯 혼합물을 일정한 형상의 금형에 일정량 주입하여 금형의 형상대로 성형한다. 이때, 금형의 구조는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리판(100)이 육류나 생선류를 구울 수 있는 구이면과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는 전골면의 양면 겸용 구조로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이면과 전골면의 양면 겸용 구조로 성형된 성형물을 1150∼1250℃의 온도 조건하에서 3∼4회에 걸쳐 600∼1100시간동안 가열과 냉각을 반복하여 숙성시킨다. 본 고안에서는 탄소성형체(110)의 제조시 1200℃의 온도 조건하에서 약 1개월간(720시간)에 걸쳐 가열과 자연냉각으로 4회 반복 실시하여 성형물을 숙성시켰다. 즉, 1200℃의 온도로 200시간동안 가열 후 30시간정도 상온에서 자연냉각을 1회 실시하고, 다시 1200℃의 온도로 200시간동안 가열 후 30시간정도 상온에서 자연냉각을 하는 방식으로 4회에 걸쳐 가열과 상온에서의 자연냉각을 반복하여 성형물을 숙성시켰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과 자연냉각을 통해 숙성된 성형물을 상온으로부터 3000℃의 온도까지 90∼110시간동안 서서히 재가열 한 후, 자연냉각을 통해 탄소성형체의 조직을 치밀하게 하는데, 본 고안에서는 탄소성형체의 제조시 15℃의 온도조건으로부터 3000℃의 온도조건까지 약 100시간에 걸쳐 서서히 온도를 높이는 과정과 240시간 정도의 자연냉각을 통해 탄소성형체(110)를 구성하는 조성물들의 결합을 보다 치밀하게 하였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탄소성형체(110)를 완성한 후에는 이를 제품화하기 위해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데, 탄소성형체(110)를 선반 등의 가공용 기계에 걸어 표면을 깍아냄으로써 제품으로써의 가치를 부여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듬질을 한 후에는 탄소성형체(110)의 표면에 코팅처리를 하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의 코팅처리 과정은 3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미세분말상의 숯과 미세분말상의 세라믹을 40∼60 : 40∼6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탄소·세라믹 혼합물 40∼60 중량%와 테프론 불소수지액 40∼60 중량%를 혼합한 코팅액을 성형물의 하부면에 분사한 후, 200∼220℃의 온도 조건하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하여 1차 코팅층을 형성한다.
한편, 2차 코팅은 전술한 바와 같이 1차 코팅층의 상부면에 미세분말상의 숯 40∼60 중량%와 테프론 불소수지액 40∼60 중량%를 혼합한 탄소 코팅액을 분사한후 220∼240℃의 온도 조건하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하여 2차 코팅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2차 코팅을 거친 탄소성형체의 2차 코팅층 상부면에 미세분말상의 숯 40∼60 중량%와 테프론 불소수지액 40∼60 중량%를 혼합한 탄소 코팅액을 분사한 후, 380∼420℃의 온도 조건하에서 35∼40분 동안 가열하여 3차 코팅층을 형성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양면 겸용 조리판(100)을 완성한다.
본 고안에서는 탄소액(미세분말상의 숯과 테프론 불소수지액의 혼합물) 40 중량%와 세라믹액(미세분말상의 세라믹과 테프론 불소수지액의 혼합물) 60 중량%를 혼합한 코팅액을 탄소성형체(110)의 전체면에 분사한 후 200℃의 온도 조건하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여 1차 코팅하였고, 1차 코팅된 코팅층 상부면에 미세분말상의 숯 50 중량%와 테프론 불소수지액 50 중량%를 혼합한 탄소 코팅액을 분사한 후 230℃의 온도 조건하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여 2차 코팅을 하였으며, 2차 코팅층 상부면에 미세분말상의 숯 50 중량%와 테프론 불소수지액 50 중량%를 혼합한 탄소 코팅액을 분사한 후, 400℃의 온도로 35분 동안 가열하여 3차 코팅을 하였다.
전술한 탄소 코팅층(130)은 미세분말상의 숯과 테프론 불소수지액을 혼합하여 이를 탄소성형체(110)의 표면에 도포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의미에서 테프론 코팅(Teflon Coating)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테프론 코팅(Teflon Coating)은 테프론{Teflon(불화탄소수지): 미국 Dupont사의 등록상표인 불소 탄화물계의 상품명으로, 다른 고분자 화합물질이 갖지 못하는 독특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을 도료화하여 철,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동, 유리, 고무, 세라믹 플라스틱 등 기존재료에 스프레이(Spray Coating), 분말정전 분체도장(Electrostatic)등을 이용해서 전처리 과정 및 건조, 가열, 소성의 공정을 거쳐 비점착성, 내약품성, 비유성, 내열성, 절연성, 내마모 등 테프론 고유의 특성을 얻으려는 우수한 불소수지 도장을 뜻한다.
한편, 전술한 테프론 코팅은 비점착성, 저마찰계수, 비유성, 내열성, 전기적 특성, 저온도 내구력 및 내화학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테프론 코팅은 거의 모든 물질이 달라붙지 않는 비점착성과 물이나 기름이 잘 묻지 않는 비유성이 우수하여 탄소 코팅층이 형성된 탄소성형체를 통해 육류나 생선을 구울시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이 들러붙지 않고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면 겸용 조리판(100)은 육류나 생선류를 구울 수 있는 구이면과 국물이 있는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는 전골면이 상·하면에 형성되는 양면 겸용 구조로 제조함으로써 하나의 조리판으로 구이와 전골 등의 다양한 요리를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양면 겸용 조리판(100)의 주성분이 숯이기 때문에 숯의 기능을 통해 육류나 생선을 굽거나 전골류를 조리할 때 육류나 생선의 냄새를 없앨 수 있으며, 유해 중금속을 흡착 제거하여 보다 안전하고 맛있는 요리를 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일면은 육류나 생선을 구울 수 있는 구이판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타면은 국물이 있는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는 전골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조리판으로 다양한 요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로는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타면의 테두리를 일정 높이도 형성함으로써 구이면으로부터 흐르는 기름 등이 하부면으로 흐르지 않고 테두리의 외주면 하단을 통해 받침판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기름 등으로 인하여 조리판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탄소분말을 압축하여 일정 형태로 성형한 후 표면을 코팅 처리함으로써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이 불에 직접 닿지 않으면서도 들러붙지 않아 육류나 생선이 타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150∼3000℃의 온도 조건하에서 미세분말상의 숯, 휘발분, 회분 및 목초액이 일정 비율로 혼합된 숯 혼합물을 구이를 할 수 있는 경사상의 일면인 구이면과 일정 높이로 형성된 테두리를 통해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는 타면인 전골면 구조로 압축 성형하되 그 전체의 면에는 미세분말상의 숯 40∼60 중량%와 테프론 불소수지액 40∼60중량%를 혼합한 코팅액을 분사하여 200∼420℃의 온도 조건하에서20∼40분간 가열 냉각을 통해 탄소 코팅층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양면 겸용 조리판.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숯 혼합물은 100∼120메쉬로 분쇄된 미세분말상의 숯과 휘발분 및 회분이 98.23 : 0.88 : 0.89 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94∼96 중량%와 목초액 4∼6 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조리판.
KR20-2004-0025669U 2004-09-07 2004-09-07 양면 겸용 조리판 KR200368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669U KR200368281Y1 (ko) 2004-09-07 2004-09-07 양면 겸용 조리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669U KR200368281Y1 (ko) 2004-09-07 2004-09-07 양면 겸용 조리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281Y1 true KR200368281Y1 (ko) 2004-11-18

Family

ID=4935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669U KR200368281Y1 (ko) 2004-09-07 2004-09-07 양면 겸용 조리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2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457B1 (ko) * 2014-12-18 2016-02-29 김소현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457B1 (ko) * 2014-12-18 2016-02-29 김소현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167287A (ja) 多孔性焼成物
KR101359700B1 (ko) 탄소 코팅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368281Y1 (ko) 양면 겸용 조리판
KR200336206Y1 (ko) 조리용 구이판
KR10072768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황토 숯 구이판의 제조방법
KR101209693B1 (ko) 식품 가열 조리용 다용도 기름 흡착 시트
KR100596026B1 (ko) 탄소성형체의 제조방법
JP7245927B2 (ja) 黄土の効能を極大化した金属のキッチン用品の製造方法
US8648030B2 (en) Self-cleaning oven deodorants and methods for cleaning ovens
KR102091447B1 (ko) 숯이 함유된 조리 및 포장용 다용도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86313B1 (ko) 다용도 황토 조리기
KR20090101755A (ko) 구이기
KR200323642Y1 (ko) 탄소성형체의 내솥을 갖는 전기압력밥솥
KR100920520B1 (ko) 적색 셰일을 이용한 고기냄새 제거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26158Y1 (ko) 탄소성형체 패널을 이용한 침대
KR200272449Y1 (ko) 한지 황토구이판
KR102194389B1 (ko) 황토의 효능을 극대화한 금속의 주방용품
KR200207271Y1 (ko) 탄소 숯 구이판
JP3943093B2 (ja) 加熱調理器具用油脂吸収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22792Y1 (ko) 탄소성형판을 갖는 전자레인지
KR200274690Y1 (ko) 한지 게르마늄 맥반석 구이판
KR20090089016A (ko) 고화도 소성 가능한 황토 도자기 소지
JP3165852U (ja) 食材焼成用炭化ボード
KR101328448B1 (ko) 친환경 황토불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황토불판
KR20200117643A (ko) 황칠과 황토 그리고 숯의 효능을 극대화한 금속의 주방용품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