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5827A - 불판 및 이를 구비한 구이기 - Google Patents

불판 및 이를 구비한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827A
KR20150055827A KR1020130138306A KR20130138306A KR20150055827A KR 20150055827 A KR20150055827 A KR 20150055827A KR 1020130138306 A KR1020130138306 A KR 1020130138306A KR 20130138306 A KR20130138306 A KR 20130138306A KR 20150055827 A KR20150055827 A KR 20150055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plate
center
contain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종
Original Assignee
(주)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우 filed Critical (주)시우
Priority to KR1020130138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5827A/ko
Publication of KR20150055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판 및 이를 구비한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육류나 생선을 올려놓으면 육류나 생선의 표면이 직접 불판과 닿지 않아서 타지 않으며, 물받이에 안착되는 부분이 경사져서 이물질이 물받이로 잘 빠지는 한편, 전골냄비의 설치도 용이하도록 된 불판 및 이를 구비한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불판(1000)은, 주연부(1100)의 내측에 관통되어 기름이 흘러내리도록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장공(1200)과, 주연부와 장공의 소정위치에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불판견인홈(1300)과, 장공의 안쪽인 중앙부에 돌출문양(1400)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장공과 장공의 사이에 형성된 불판표면이 물결을 이루는 것과 같이 돌출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물결문양돌출부(1500)와, 상기 주연부의 하부는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1600)이 구비되고, 본 발명의 구이기(100)는, 상기 불판과, 불판의 주연부 하부경사면을 지지하도록 외주면에서 중심부쪽으로 갈수록 낮도록 경사진 경사면(2100)을 갖춘 물받이(2000)와, 불판의 하부에 장공의 안쪽으로 기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하부의 불꽃이 직접 불판의 중앙부로 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체결수단(4000)으로 조립되는 캡(3000)과, 외주면에 다수개의 산소공급구(2200)를 갖춘 물받이(2000)의 하부를 받치면서 연소장치의 상부에 안착되는 물받이지지부재(50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불판 및 이를 구비한 구이기{Grill, Roas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육류나 생산을 구울 때 사용하는 불판 및 이를 구비한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름 배출용 장공이 형성된 사이사이에 육류나 생선을 올려놓으면 육류나 생선의 표면이 직접 불판과 닿지 않아서 타지 않도록 됨과 더불어, 물받이에 안착되는 부분이 경사져서 이물질이 물받이로 잘 빠지는 한편, 전골냄비의 설치도 용이하도록 된 불판 및 이를 구비한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내지는 숯불 등을 이용한 육류 또는 어류 등을 굽는 불판 내지는 구이판들이 다양한 종류로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는바, 종래 대부분 금속제 불판들은 가스 내지 숯불과 같은 열원의 과열로 고기가 타버리거나 구워지는 고기의 육즙 또는 기름이 불판에 눌러 붙는 경우가 많아서 구운 고기의 풍미를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고기를 구운 다음 불판을 세척할 때 이 불판에 굳어진 기름 찌꺼기 제거에 많은 작업시간을 소요함에 따라 자연히 인건비 등이 증가되는 문제가 된다.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66271호로 "구이용 불판"이 공지되어 있는바, 물받이 지지체의 공동부를 통하여 가스 열원이나 숯불 열원이 공급되어 육류 내지는 어류를 구울 수 있는 금속제에 세라믹 불소수지 코팅이 이루어진 원판형 몸체판을 갖춘 불판에 있어서, 상기 몸체판의 구이면은 바깥쪽에 외곽 돌출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이 외곽 돌출 테두리부를 기준으로 안쪽동심원으로 이격 배치되는 원호형의 기름 배출구멍들이 등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원호형의 기름 배출구멍들 사이로 방사형의 길고 짧은 기름 배출구멍들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판의 이면의 외곽 둘레에는 물받이 지지체의 원형 안착면에 위치하면서 다른 불판의 몸체판에 형성된 외곽 돌출 테두리부가 닿아지는 안착홈들이 등각도로 연속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기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이 불판 테두리와 물받이 지지 원주면 둘레에 눌러 붙지 않고 직접 물받이로 떨어짐에 따라 공기의 풍미를 저하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척시 기름제거가 용이하여 인건비 절감이 이루어지고 적재 보관시에도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안정되게 적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이용 불판은 원호형의 기름 배출구멍과 방사형의 기름 배출구멍의 사이에 육류나 생산을 올려 놓게 되면 불판의 표면에 육류나 생선의 표면이 직접 접촉하여 고기가 타버리거나 구워지는 고기의 육즙 또는 기름이 불판에 눌러 붙는 경우가 많아서 구운 고기의 풍미를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63909호 "구이기용 불판구조"에 의하면, 다수의 장방형홀과 원형홀이 복합되어 형성된 구이기용 불판에 있어서, 상기 불판을 스테인레스판의 사이에 알루미늄판이 중첩 구성되도록 한 후 그 3중으로 구성된 불판에 통상의 장방형홀과 원형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구이기용 불판을 스테인레스판의 사이에 알루미늄판이 중첩 구성되도록 한 후 그 3중으로 구성된 불판에 통상의 장방형홀과 원형홀을 형성함으로서 중앙의 알루미늄판에 의해 불판의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측으로 구비된 스테인레스판에 의해 불판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고, 각종 중금속으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이기용 불판구조는 육류와 생선에서 빠져나온 육즙이나 이물질이 불판의 둘레면과 물받이의 둘레면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고 눌러 붙어서 세척시 작업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조문헌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66271호로 "구이용 불판"과,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63909호 "구이기용 불판구조".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대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름 배출용 장공이 형성된 사이사이에 육류나 생선을 올려놓으면 육류나 생선의 표면이 직접 불판과 닿지 않아서 타지 않도록 됨과 더불어, 물받이에 안착되는 부분이 경사져서 이물질이 물받이로 잘 빠지도록 된 불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앙에 전골냄비의 설치도 용이하도록 된 불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름 배출용 장공이 형성된 사이사이에 육류나 생선을 올려놓으면 육류나 생선의 표면이 직접 불판과 닿지 않아서 타지 않도록 됨과 더불어, 물받이에 안착되는 부분이 경사져서 이물질이 물받이로 잘 빠지는 한편, 전골냄비의 설치도 용이하도록 된 불판을 구비한 구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불판은, 주연부의 내측에 관통되어 기름이 흘러내리도록 복수개의 장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장공과 장공의 사이에 형성된 불판 표면이 물결을 이루는 것과 같이 돌출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주연부의 상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연부의 하부는 경사면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불판의 중앙에는 뚝배기용기를 수용하도록 하부가 관통된 용기수용부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이기는, 상기 불판과, 상기 불판의 하부에 불판의 주연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물받이를 포함하되, 상기 불판의 주연부 하부를 지지하는 물받이는 외주면에서 중심부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구이기는, 상기 불판은, 중앙에 방사상의 돌출문양이 형성되고, 상기 주연부와 장공의 사이에 불판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견인홈이 형성되며, 중앙하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불판의 하부에 장공의 안쪽으로 기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하부의 불꽃이 직접 불판의 중앙부로 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체결수단으로 조립되는 캡과, 상기 불판의 하부에는 불판의 주연부를 지지하되 외주면에서 중심부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갖춘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의 하부를 받치면서 연소장치의 상부에 안착되는 물받이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이기는, 중앙에 방사상의 돌출문양이 형성되고, 상기 주연부와 장공의 사이에 불판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견인홈이 형성된 불판과, 상기 불판의 용기수용부에 안착되어 용기의 하부를 감싸도록 하여 하부의 불꽃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화력을 조절하도록 된 화력조절용기받침부재와, 상기 불판의 하부에는 불판의 주연부를 지지하되 외주면에서 중심부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갖춘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의 하부를 받치면서 연소장치의 상부에 안착되는 물받이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구이기는, 상기 불판에 형성된 용기수용부의 상부주연부에 안착되면서 용기가 끼워지도록 중앙에 용기수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수용구멍의 하부주연부에는 용기수용부의 상부주연부에 안착되도록 하부홈이 형성되며, 다익은 고기가 타지 않도록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방사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홈이 형성된 반대쪽으로 일정높이의 돌출되어 기름등이 용기수용구멍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주연부가 형성된 보조불판을 더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불판에 의하면, 장공과 장공의 사이에 형성된 불판 표면이 물결을 이루는 것과 같이 돌출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기름 배출용 장공이 형성된 사이사이에 육류나 생선을 올려놓으면 육류나 생선의 표면이 직접 불판과 닿지 않아서 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불판 및 이를 구비한 구이기에 의하면, 물받이에 안착되는 주연부의 하부 부분이 경사져서 이물질이 물받이로 잘 빠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불판 및 이를 구비한 구이기에 의하면, 중앙에 뚝배기와 같은 용기를 수용하도록 하부가 관통된 용기수용부가 구비되어 고기를 구우면서 용기 내의 음식을 조리하거나 데워서 먹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이기에 의하면, 불판의 용기수용부에 안착되어 용기의 하부를 감싸도록 한 화력조절용기받침부재에 의해 연소장치의 불꽃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화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이기에 의하면, 불판에 형성된 용기수용부의 상부주연부에 안착되면서 용기가 끼워지도록 중앙에 용기수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수용구멍의 하부주연부에는 용기수용부의 상부주연부에 안착되도록 하부홈이 형성되며, 다익은 고기가 타지 않도록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방사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홈이 형성된 반대쪽으로 일정높이의 돌출되어 기름등이 용기수용구멍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주연부가 형성된 보조불판에 의해 고기를 태우지 않고 먹을 수 있음은 물론, 용기내의 국물요리를 조리하여 먹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판을 구비한 구이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물받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판을 채용한 구이기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불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판을 채용한 또 다른 실시예의 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보조불판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불판 및 이를 구비한 구이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내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불판(10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연부(1100)의 내측에 관통되어 기름이 흘러내리도록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장공(1200)과, 상기 주연부(1100)와 장공(1200)의 소정위치에 일정한 길이의 호모양으로 형성된 불판견인홈(1300)과, 상기 장공(1200)의 안쪽인 중앙부에 돌출문양(1400)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장공과 장공의 사이에 형성된 불판표면이 물결을 이루는 것과 같이 돌출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물결문양돌출부(1500)와, 상기 주연부의 하부는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160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장공(1200)과 장공(1200)의 사이에 형성된 불판 표면이 물결을 이루는 것과 같이 돌출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물결문양돌출부(1500)에 육류나 생선을 올려놓으면 육류나 생선의 표면이 직접 불판과 닿지 않아서 타지 않게 된다.
또 상기 주연부(1100)의 하부 부분이 경사면(1600)으로 되어 있어서 음식물 찌꺼기 및 이물질이 물받이로 잘 빠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불판(1000)은, 중앙하부면에 후술하는 캡이 안착되도록 체결수단이 체결되도록 형성된 나사부(1700)와, 상기 주연부(1100)의 상부에 형성된 곡면(1110)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나사부(1700)에 체결되는 나사못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후술하는 캡이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불판(1000)을 구비한 구이기(100)에 의하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술한 상기 불판(1000)과, 상기 불판(1000)의 주연부 하부경사면(1600)를 지지하도록 외주면에서 중심부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도록 경사진 경사면(2100)을 갖춘 물받이(2000)와, 상기 불판의 하부에 장공의 안쪽으로 기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하부의 불꽃이 직접 불판의 중앙부로 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체결수단(4000)으로 조립되는 캡(3000)과, 또한 외주면에 다수개의 산소공급구(2200)를 갖춘 상기 물받이(2000)의 하부를 받치면서 도시되지 않은 연소장치의 상부에 안착되는 물받이지지부재(50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연소장치에서 불꽃이 발생하여 상기 불판(1000)으로 전달될 때 캡(3000)에 의해 불판(1000)의 중앙부가 직접 불꽃이 닿지 않아서 육류나 어류가 쉽게 타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장공(1200)과 장공(1200)의 사이에 형성된 불판 표면이 물결을 이루는 물결문양돌출부(1500)에 육류나 생선을 올려놓으면 육류나 생선의 표면이 직접 불판과 닿지 않아서 타지 않게 되는 한편, 상기 불판(1000)과 물받이(2000)의 안착되는 주연부(1100)의 하부 부분이 경사짐과 더불어 물받이도 경사져서 이물질이 물받이쪽으로 잘 빠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불판 및 이를 구비한 구이기를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이기(200)는, 일 실시예의 상기 문양(1400)이 없이 중앙에 뚝배기 용기(60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부가 관통된 용기수용부(1800)가 더 형성된 불판(1000)과, 상기 불판의 용기수용부에 안착되어 용기의 하부를 감싸도록 하여 하부의 불꽃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화력을 조절하도록 된 화력조절용기받침부재(7000)와, 상기 불판의 하부에 불판의 주연부를 지지하되 외주면에서 중심부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갖춘 물받이(2000)와, 상기 물받이의 하부를 받치면서 연소장치의 상부에 안착되는 물받이지지부재(50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중앙에 뚝배기와 같은 용기(6000)를 수용하도록 하부가 관통된 용기수용부(1800)가 구비되어 고기를 구우면서 용기 내의 음식을 조리하거나 데워서 먹을 수 있고, 상기 화력조절용기받침부재(7000)를 설치하여 용기수용부(1800)에 안착된 용기(6000)에 전달되는 화력을 차단하여 음식물이 말라버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불판(1000)의 용기수용부(1800)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화력조절용기받침부재(7000)가 안착되는 안착홈(18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홈(1820)에 의해 화력조절용기받침부재(7000)가 많이 돌출되지 않아 용기(6000)의 안착이 용이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1900은 마늘 또는 야채 조리부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이기(300)의 실시예로서, 다른 실시예의 구이기에 보조불판(8000)을 더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보조불판(8000)은, 상기 불판(1000)에 형성된 용기수용부(1800)의 상부주연부(1810)에 안착되면서 용기(6000)가 끼워지도록 중앙에 용기수용구멍(8100)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수용구멍(8100)의 하부주연부(8110)에는 용기수용부(1800)의 상부주연부(1810)에 안착되도록 하부홈(8200)이 형성되며, 다익은 고기가 타지 않도록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방사방향으로 장공(830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홈(8200)이 형성된 반대쪽으로 일정높이의 돌출되어 기름등이 용기수용구멍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돌출부(8400)가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8500은 보조불판을 견인하여 이동하기 위한 견인홈이다.
따라서 상기 불판(1000)에 형성된 용기수용부(1800)의 상부주연부(1810)에 안착된 보조불판(8000)에 의해 고기를 태우지 않고 먹을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용기수용구멍(8100)을 통해서 안착된 용기(6000)내의 국물요리를 조리하여 먹을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 불판 1100 : 주연부
1200 : 장공 1300 : 불판견인홈
1400 : 돌출문양 1500 : 물결문양돌출부
1600 : 경사면 1700 : 나사부
1800 : 용기수용부 1810 : 상부주연부
2000 : 물받이 2100 : 경사면
2200 : 산소공급구 3000 : 캡
4000 : 체결수단 5000 : 물받이지지부재
6000 : 용기 7000 : 화력조절용기받침부재
8000 : 보조불판 8100 : 용기수용구멍
8200 : 하부홈 8300 : 장공
8400 : 돌출부 8500 : 견인홈

Claims (7)

  1. 주연부의 내측에 관통되어 기름이 흘러내리도록 복수개의 장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불판에 있어서,
    상기 장공과 장공의 사이에 형성된 불판 표면이 물결을 이루는 것과 같이 돌출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물결문양돌출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부의 하부는 경사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의 중앙에는 용기를 수용하도록 하부가 관통된 용기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불판과,
    상기 불판의 하부에 불판의 주연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물받이를 포함하되,
    상기 불판의 주연부 하부를 지지하는 물받이는 외주면에서 중심부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5. 제1항 또는 제2항의 불판을 포함하되,
    상기 불판은, 중앙에 방사상의 돌출문양이 형성되고, 상기 주연부와 장공의 사이에 불판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견인홈이 형성되며, 중앙하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불판의 하부에 장공의 안쪽으로 기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하부의 불꽃이 직접 불판의 중앙부로 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체결수단으로 조립되는 캡과,
    상기 불판의 하부에는 불판의 주연부를 지지하되 외주면에서 중심부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갖춘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의 하부를 받치면서 연소장치의 상부에 안착되는 물받이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6. 제3항의 불판을 포함하되,
    상기 불판은, 중앙에 방사상의 돌출문양이 형성되고, 상기 주연부와 장공의 사이에 불판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견인홈이 형성되되,
    상기 불판의 용기수용부에 안착되어 용기의 하부를 감싸도록 하여 하부의 불꽃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화력을 조절하도록 된 화력조절용기받침부재와,
    상기 불판의 하부에는 불판의 주연부를 지지하되 외주면에서 중심부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갖춘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의 하부를 받치면서 연소장치의 상부에 안착되는 물받이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에 형성된 용기수용부의 상부주연부에 안착되면서 용기가 끼워지도록 중앙에 용기수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수용구멍의 하부주연부에는 용기수용부의 상부주연부에 안착되도록 하부홈이 형성되며, 다익은 고기가 타지 않도록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방사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홈이 형성된 반대쪽으로 일정높이의 돌출되어 기름등이 용기수용구멍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보조불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KR1020130138306A 2013-11-14 2013-11-14 불판 및 이를 구비한 구이기 KR20150055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306A KR20150055827A (ko) 2013-11-14 2013-11-14 불판 및 이를 구비한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306A KR20150055827A (ko) 2013-11-14 2013-11-14 불판 및 이를 구비한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827A true KR20150055827A (ko) 2015-05-22

Family

ID=5339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306A KR20150055827A (ko) 2013-11-14 2013-11-14 불판 및 이를 구비한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58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387B1 (ko) * 2021-04-06 2022-09-23 최상균 구이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387B1 (ko) * 2021-04-06 2022-09-23 최상균 구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11356A1 (en) Multi-Configurable Outdoor Cooking Grill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EP0653917B1 (en) Outdoor cooking device
CA2523528A1 (en) Sideburner assembly for barbecue grills
US10610052B2 (en) Grill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KR20150055827A (ko) 불판 및 이를 구비한 구이기
KR100940370B1 (ko) 탄화방지 기능을 갖는 구이용 불판
KR101713432B1 (ko) 다기능 불판
KR100630458B1 (ko) 회전식 조리부를 구비한 테이블형 구이장치
KR102083681B1 (ko) 무연 로스터
KR102142681B1 (ko) 구이팬
KR100940369B1 (ko) 탄화방지 기능을 갖는 구이용 불판
KR200238999Y1 (ko) 구이용 석쇠
KR200266752Y1 (ko) 뚜껑이 분리되는 솥뚜껑형 구이판
CN209996071U (zh) 一种烧烤用器具
KR20110003628U (ko) 구이판 및 이를 이용한 간편 조리기
JP2003210332A (ja) 加熱料理用装置
KR20180014944A (ko) 무쇠팬 조리 기구
KR200196668Y1 (ko) 가스레인지 겸용 고기구이기
KR20240037541A (ko) 맥반석구슬 불판
KR20100026673A (ko) 구이 용구
KR200347666Y1 (ko) 고기구이용 받침대
KR200403739Y1 (ko) 구이겸용 전골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