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432A -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 - Google Patents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432A
KR20160115432A KR1020150043112A KR20150043112A KR20160115432A KR 20160115432 A KR20160115432 A KR 20160115432A KR 1020150043112 A KR1020150043112 A KR 1020150043112A KR 20150043112 A KR20150043112 A KR 20150043112A KR 20160115432 A KR20160115432 A KR 20160115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aft
angle
grill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숙
Original Assignee
김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숙 filed Critical 김현숙
Priority to KR1020150043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5432A/ko
Publication of KR20160115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구이판의 경사 각도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구이판의 높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의 중앙에 삽입되게 장착되고, 전,후판과 양 측판 및 하판으로 구성되어 상부에는 상부 개방부가 형성되며, 다수의 공기 투입홀를 가지고, 상단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테이블에 걸리는 걸림판이 형성되며, 내부의 하부에는 열원부가 구비되거나 안착되는 몸체와; 상기 상부 개방부의 양측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중앙에 내측이 개방되는 축 고정장홈이 형성되는 양측 두 개의 돌출판과; 상기 상부 개방부보다 양측 폭과 전후 폭이 작게 형성되는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의 양측에 힌지부를 통해 좌우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손잡이 고리가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상기 축 고정장홈에 삽입되는 다단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두 개의 높이 조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Roaster whose roast plate angle can be changed}
본 발명은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구이판의 경사 각도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구이판의 높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의 구워 판매하는 음식점에서 사용되는 구이기는, 테이블의 중앙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육류 등을 굽는 것으로, 많은 종류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구이판의 각도가 변경되는 구이기가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은 종래에 구이판의 각도가 변경되는 구이기를 개량한 것이다.
이에, 먼저 종래의 구이판의 각도가 변경되는 구이기의 일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61877호의 '고기구이판의 경사각도 조절장치'(이하, '종래의 고기구이판의 경사각도 조절장치'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고기구이판의 경사각도 조절장치는 테이블의 중앙에 형성된 설치구에 고기구이기 몸체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고기구이기 몸체의 상단에 고기를 얹어 굽기 위한 고기구이판이 지지핀에 지지되어 좌우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아래쪽에 가스레인지와 같은 발열수단이 장착된 고기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고기구이기 몸체 내부에 캠축이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캠축의 한쪽 선단은 테이블의 측벽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 되어 있으며, 다른 쪽 선단은 고기구이기 몸체의 측벽에 부착된 브라켓에 지지되어져 있는 한편, 상기 테이블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캠축의 선단에 회전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캠축에 캠이 일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캠의 상단이 고기구이판의 한쪽 선단을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고기구이판의 경사각도 제어장치는 캠축, 캠, 브라켓, 회전 손잡이, 경사각도 제어기를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많이 들게 됨은 물론,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 중에 고장이 잦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고기구이판의 경사각도 제어장치는 고기구이판을 경사지게 기울일 수 있으나, 고기구이판의 높이는 전혀 조정할 수 없음에 따라, 발열수단(열원부)의 발열 온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에는 고기를 쉽게 태우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0361877호의 '고기구이판의 경사각도 조절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구이판의 기울기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구이판의 높이를 용이하게 가변시켜 고기를 태우지 않고 적정하게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이판의 측부와 높이 조정축의 하단을 연결하는 힌지부를 종방향 중심축과 종방향 중심축을 감싸는 회전관으로 구성하여, 구이판을 설치한 상태에서 구이판의 전방 또는 후방이 하부로 경사지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의 내부 양측에 낙하 방지축을 더 구비하여, 구이판의 높이나 각도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높이 조정축을 놓치더라도, 구이판이 몸체의 하부로 완전히 낙하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이판의 각도나 높이를 변경한 상태에서 높이 조정축을 축 고정장홈에 좀 더 용이하게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이물의 종류나 열원부의 화력에 따라 구이판을 몸체의 상부로 위치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이판의 높이나 각도를 변경시킨 상태에서 높이 조정축의 회전을 단속하여, 높이 조정축이 축 고정장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는 테이블의 중앙에 삽입되게 장착되고, 전,후판과 양 측판 및 하판으로 구성되어 상부에는 상부 개방부가 형성되며, 다수의 공기 투입홀를 가지고, 상단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테이블에 걸리는 걸림판이 형성되며, 내부의 하부에는 열원부가 구비되거나 안착되는 몸체와; 상기 상부 개방부의 양측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중앙에 내측이 개방되는 축 고정장홈이 형성되는 양측 두 개의 돌출판과; 상기 상부 개방부보다 양측 폭과 전후 폭이 작게 형성되는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의 양측에 힌지부를 통해 좌우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손잡이 고리가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상기 축 고정장홈에 삽입되는 다단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두 개의 높이 조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상기 힌지부는, 상기 구이판의 측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방향 중심축과, 상기 종방향 중심축의 외주연에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고 상부에는 상기 높이 조정축이 고정되는 회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상기 몸체는, 몸체의 내부의 중앙 양측에 구이판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두 개의 낙하 방지축이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상기 축 고정장홈은, 전,후방 내측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상기 돌출판은, 몸체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수직대에 의해 몸체의 상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상기 몸체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걸림판에는, 상기 높이 조정축을 통해 구이판의 측부의 높이를 조정한 상태에서 높이 조정축을 록킹하여 높이 조정축이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지하는 회전 록킹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상기 회전 록킹수단은, 상기 걸림판의 중앙에 구비되는 힌지축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비되어 내측에는 상기 높이 조정축을 감싸서 거는 걸림 고리부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손잡이부가 상부로 돌출되는 되게 형성되는 회전 록킹부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구이판의 경사 각도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가의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구이판의 높이를 용이하게 가변시켜 고기를 태우지 않고 적정하게 익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기를 보다 맛있게 구울 수 있는 구이기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이판의 측부와 높이 조정축의 하단을 연결하는 힌지부를 종방향 중심축과 종방향 중심축을 감싸는 회전관으로 구성함에 따라, 구이판을 설치한 상태에서 구이판의 전방 또는 후방이 하부로 경사지는 것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고기를 좀 더 안정적으로 구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 양측에 낙하 방지축을 더 구비하여, 구이판의 높이나 각도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높이 조정축을 놓치더라도, 구이판이 몸체의 하부로 완전히 낙하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이판의 각도나 높이를 변경한 상태에서 높이 조정축을 축 고정장홈에 좀 더 용이하게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가지는 구이기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이물의 종류나 열원부의 화력에 따라 구이판을 몸체의 상부로 위치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이판의 높이나 각도를 변경시킨 상태에서 높이 조정축의 회전을 단속함에 따라, 높이 조정축이 축 고정장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이 좀 더 향상된 구이기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이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는, 간단한 구조로 구이판(3)의 경사 각도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음식점에 구비되는 테이블의 중앙에 삽입되게 장착되고 내부의 상부에 상부 개방부가 형성되는 몸체(1)와, 상기 상부 개방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각각에는 축 고정장홈(21)이 형성되는 두 개의 돌출판(2)과, 상기 몸체(1)의 내부에 삽입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이판(3)과, 상기 구이판(3)의 양측에 힌지부(43)를 통해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축 고정장홈(21)에 삽입되는 두 개의 높이 조정축(4)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는 테이블의 중앙에 삽입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전,후판(11)(12)과 양 측판(13) 및 하판(14)으로 구성되어 상부에는 상부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에는 열원부(1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 투입홀(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단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테이블에 걸리는 걸림판(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1)의 내부의 하부에는 가스나 전기에 의해 열기를 방출하는 열원부(10)가 구비되거나, 또는 숯불통이 안착되어 열기를 방출하는 열원부(1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숯불통에 의해 열기가 방출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몸체(1) 내부의 중앙 양측에는 구이판(3)의 높이나 각도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높이 조정축(4)을 놓치더라도 구이판(3)이 몸체(1)의 하부로 완전히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두 개의 낙하 방지축(17)이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더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돌출판(2)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에 형성되는 상부 개방부의 양측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중앙에 내측이 개방되는 축 고정장홈(21)이 형성됨으로써, 구이판(3)의 각도나 높이를 변경시킨 후에 각각의 높이 조정축(4)을 몸체(1)의 상부 양측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축 고정장홈(21)의 전,후방 내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높이 조정축(4)을 축 고정장홈(21)에 좀 더 용이하게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라운드부(211)가 더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구이판(3)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의 내부에 삽입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개방부보다 양측 폭과 전후 폭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이판(3)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판형상의 불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그릴식 구이판(3)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그릴식 구이판(3)으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높이 조정축(4)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이판(3)의 양측에 힌지부(43)를 통해 좌우로 회전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손잡이 고리(42)가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상기 축 고정장홈(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단의 삽입홈(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43)는 구이판(3)을 몸체(1)에 설치한 상태에서 구이판(3)의 전방 또는 후방이 하부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이판(3)의 측부에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종방향 중심축(431)과, 상기 종방향 중심축(431)의 외주연에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고 상부에는 상기 높이 조정축(4)이 고정되는 회전관(432)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종방향 중심축(431)은 구이판(3)의 양측을 유동없이 용이하게 들 수 있도록, 구이판(3)의 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몸체(1)의 내부 하부에 숯통의 열원부(10)를 투입하거나, 몸체(1)의 내부 하부에 구비되는 열원부(10)에 가스나 전기를 공급하여 열원부(10)에서 열기를 방출되게 한다.
다음 구이판(3)을 몸체(1)의 내부에 투입한 후, 구이판(3)의 양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높이 조정축(4)을 몸체(1) 상부의 측부에 형성된 축 고정장홈(21)에 삽입시켜, 높이 조정축(4)에 형성된 하나의 삽입홈(41)을 상기 축 고정장홈(21)에 끼우는 과정을 통해 각각의 높이 조정축(4)을 몸체(1)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축 고정장홈(21)에 고정한다.
다음 구이판(3)에 고기를 올려놓고 고기를 굽는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고기가 거의 다 익은 경우에는, 구이판(3)의 일측에 구비되는 높이 조정축(4)을 내측으로 회전시켜 몸체(1) 상부의 일측에 형성된 축 고정장홈(21)에서 이탈시킨다. 그런 다음, 일측의 높이 조정축(4)을 상승시켜 구이판(3)을 일측을 상승시킨 후에, 다시 일측의 높이 조정축(4)을 몸체(1) 상부의 일측에 형성된 축 고정장홈(21)에 삽입시켜 고정함으로써, 구이판(3)을 경사지게 위치시킨다.
다음 익은 고기는 구이판(3)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덜 익은 고기는 구이판(3)의 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고기를 타지 않게 골고루 구울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기가 전체적으로 익었을 경우에는, 상기 구이판(3)의 양측에 구비되는 높이 조정축(4)을 모두 내측으로 회전시켜 몸체(1) 상부의 양측에 형성된 축 고정장홈(21)에 고정하여, 구이판(3)의 높이를 전체적으로 높여 줌으로써 전체적으로 익은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구이판(3)의 경사 각도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게 하여, 구이판(3)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를 저가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구이판(3)의 높이를 용이하게 가변시켜 고기를 태우지 않고 적정하게 익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기를 보다 맛있게 구울 수 있는 장점도 있다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 상단의 양측에 구비되는 걸림판(16)에 각각 구비되어 높이 조정축(4)의 록킹하는 회전 록킹수단(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회전 록킹수단(5)은 높이 조정축(4)을 통해 구이판(3)을 경사지게 조정하거나, 또는 높이를 조정한 상태에서, 높이 조정축(4)을 록킹함으로써 높이 조정축(4)이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회전 록킹수단(5)은, 높이 조정축(4)이 축 고정장홈(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판(16)의 중앙에 구비되는 힌지축(51)과, 상기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비되어 내측에는 상기 높이 조정축(4)을 감싸서 거는 걸림 고리부(521)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손잡이부(522)가 상부로 돌출되는 되게 형성되는 회전 록킹부재(52)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회전 록킹수단(5)의 회전 록킹을 통해, 고기를 굽는 중에 구이판(3)의 높이나 각도를 변경시킨 상태에서, 높이 조정축(4)의 회전을 단속함에 따라 높이 조정축(4)이 축 고정장홈(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고기를 굽는 도중에 구이판(3)의 측부가 하부로 하강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안전성이 좀 더 향상된 구이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이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이기는 몸체(1)의 양측에 구비되는 돌출판(2)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이기를 구성하는 상기 돌출판(2)은 몸체(1)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수직대(18)에 의해 몸체(1)의 상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몸체(1)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돌출판(2)의 높이를 몸체(1)의 상부의 높이보다 높게 함으로써, 구이물의 종류나 열원부(10)의 화력에 따라 구이판(3)을 적정한 높이로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몸체
11 : 전판
12 : 후판
13 : 측판
14 : 하판
15 : 공기 투입홀
16 : 걸림판
17 : 낙하 방지축
18 : 수직대
2 : 돌출판
21 : 축 고정장홈
211 : 라운드부
3 : 구이판
4 : 높이 조정축
41 : 삽입홈
42 : 손잡이 고리
43 : 힌지부
431 : 종방향 중심축,
432 : 회전관
5 : 회전 록킹수단
51 : 힌지축
52 : 회전 록킹부재
521 : 걸림 고리부,
522 : 손잡이부
10 : 열원부

Claims (7)

  1. 테이블의 중앙에 삽입되게 장착되고, 전,후판(11)(12)과 양 측판(13) 및 하판(14)으로 구성되어 상부에는 상부 개방부가 형성되며, 다수의 공기 투입홀(15)를 가지고, 상단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테이블에 걸리는 걸림판(16)이 형성되며, 내부의 하부에는 열원부(10)가 구비되거나 안착되는 몸체(1)와;
    상기 상부 개방부의 양측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중앙에 내측이 개방되는 축 고정장홈(21)이 형성되는 양측 두 개의 돌출판(2)과;
    상기 상부 개방부보다 양측 폭과 전후 폭이 작게 형성되는 구이판(3)과;
    상기 구이판(3)의 양측에 힌지부(43)를 통해 좌우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손잡이 고리(42)가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상기 축 고정장홈(21)에 삽입되는 다단의 삽입홈(41)이 형성되는 두 개의 높이 조정축(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43)는,
    상기 구이판(3)의 측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방향 중심축(431)과,
    상기 종방향 중심축(431)의 외주연에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고 상부에는 상기 높이 조정축(4)이 고정되는 회전관(4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는,
    몸체(1)의 내부의 중앙 양측에 구이판(3)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두 개의 낙하 방지축(17)이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 고정장홈(21)은,
    전,후방 내측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라운드부(2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판(2)은,
    몸체(1)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수직대(18)에 의해 몸체(1)의 상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걸림판(16)에는,
    상기 높이 조정축(4)을 통해 구이판(3)의 측부의 높이를 조정한 상태에서 높이 조정축(4)을 록킹하여 높이 조정축(4)이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지하는 회전 록킹수단(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록킹수단(5)은,
    상기 걸림판(16)의 중앙에 구비되는 힌지축(51)와,
    상기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비되어 내측에는 상기 높이 조정축(4)을 감싸서 거는 걸림 고리부(521)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손잡이부(522)가 상부로 돌출되는 되게 형성되는 회전 록킹부재(5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
KR1020150043112A 2015-03-27 2015-03-27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 KR20160115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112A KR20160115432A (ko) 2015-03-27 2015-03-27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112A KR20160115432A (ko) 2015-03-27 2015-03-27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432A true KR20160115432A (ko) 2016-10-06

Family

ID=5716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112A KR20160115432A (ko) 2015-03-27 2015-03-27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54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754B1 (ko) * 2019-01-03 2020-03-04 김우식 간접열을 이용한 휴대용 구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877B1 (ko) 1999-09-01 2002-11-23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가요성의 폴리우레탄 주조 발포체 제조용 실리콘 계면활성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877B1 (ko) 1999-09-01 2002-11-23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가요성의 폴리우레탄 주조 발포체 제조용 실리콘 계면활성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754B1 (ko) * 2019-01-03 2020-03-04 김우식 간접열을 이용한 휴대용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5699B2 (en) Apparatus for converting cooking grills for cooking pizza
US61873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king foods in a barbeque grill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WO2013159018A1 (en) Improved portable baking oven
KR101226468B1 (ko) 구이 용기
KR20120008881U (ko) 돌판구이 겸용 조개류 찜이 가능한 로스터
KR101292452B1 (ko) 구이판 높이조절대
KR200482646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화덕장치
KR20160115432A (ko) 구이판의 각도 변경이 가능한 구이기
KR20180016806A (ko) 육류 불판 구이기
KR20130090854A (ko) 높이 조절 부가 구성된 조리용 불판
KR10158356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리를 구비한 구이기
JP4340781B2 (ja) 間接加熱式調理板
KR100205120B1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100630458B1 (ko) 회전식 조리부를 구비한 테이블형 구이장치
KR20180043949A (ko) 테이블 화로용 석쇠 높낮이 조절구
KR20200127852A (ko) 회전식 오븐용 꼬치고정장치
KR102322304B1 (ko) 구이용 다용도 불판
KR20170027039A (ko) 다기능 불판
KR101580445B1 (ko) 라운드 슬로우 쿠킹 바비큐 그릴 장치
KR101719614B1 (ko) 구이용 장치
TWM565537U (zh) 烤箱裝置及烤盤組合
KR101050036B1 (ko) 육류 구이기
KR20110000010U (ko) 기름 배출구조를 갖는 구이판
KR20100026673A (ko) 구이 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